KR102319956B1 -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 Google Patents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956B1
KR102319956B1 KR1020200016679A KR20200016679A KR102319956B1 KR 102319956 B1 KR102319956 B1 KR 102319956B1 KR 1020200016679 A KR1020200016679 A KR 1020200016679A KR 20200016679 A KR20200016679 A KR 20200016679A KR 102319956 B1 KR102319956 B1 KR 10231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uckle
plate
emboss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997A (ko
Inventor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Original Assignee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송나라, 송지나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20001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9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문양을 표현하기 위한 음각부와 양각부의 결합구성으로 인하여 문양 자체를 버클의 구조에 편입시킴으로써 문양을 이루는 요소인 글자나 로고의 일부분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원초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은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된 제1 영역(A)을 갖는 음각판(100); 및 상기 제1 영역(A)에 형성된 문양에 끼움결합하며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2 영역(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벨트줄 걸이부(24) 및 돌출부(26)가 형성된 양각판(2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BUCKLE FOR BELT}
본 발명은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랜드 버클의 경우 버클 전면에 브랜드 이름이나 회사의 로고를 새겨서 브랜드 버클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고가의 브랜드 버클의 경우에는 회사의 이름 및 제품의 브랜드를 표시하는 글자 및 로고부분이 회사의 상징 및 제품의 가격대를 높게 형성하므로 글자 및 로고를 정확하고도 퀄러티 있도록 표현하고 유지하는 것이 곧 버클제품의 기술력이 되는바, 본 발명은 브랜드명이 길거나 문양이 복잡한 로고를 퀄러티있게 표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구성도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문양이 버클구조 자체에 편입되도록 구조화함으로써, 글자 및 로고 표현 효과가 고품질로 수득되고, 글자 및 로고의 지속성을 증대시켜 상품완결성 및 AS 발생률을 감소시킨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용 버클은 버클 본연의 고정기능과 패션화 기능이 요구되는데, 현대사회에서는 패션화기능의 다양성과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서 장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출원번호 2019990004636호에서는 버클 결합구의 장식구조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원과 같이 글자 및 로고부분(문양)을 표현하기 위해 구조화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외관부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에 불과하며, 출원번호 2019990016561호 역시 이면판에 요철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요철부로 장식성을 부과하는 것에 그치는 실정이다. 본원은 양각부와 음각부를 끼움결합하는 구조를 개시하며, 이는 단순히 양각부 또는 음각부를 전면에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양각부와 음각부의 결합을 통해서 형성되는 문양을 제공하는 것이 본 기술의 핵심이다. 즉, 종래에는 로고 및 브랜드명을 버클 표면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도 1(a)에서와 같이 로고(L)를 별도의 부속품으로 따로 제작한 다음 로고가 들어갈 자리에 홈(H)을 만들고, 홈에 로고를 별도로 접착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도 2와 같이 완성하는 것이다. 이는 별도로 로고를 따로 제작하여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로고가 본체에서 탈락될 가능성이 상시 공존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의 로고가 아니라 복잡한 구성을 가진 로고를 표현하는 것은 제작 자체부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에폭시로 이루어진 판 위에 브랜드를 표시하는 버클은 제조방법 자체가 에폭시 액체를 틀에 부어서 버클 전면에 판을 형성해야하므로 금속형태의 프레임이 버클자체에 반드시 있어야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매끄러운 판을 수득하기 위하여 사포질도 가해야하므로 사포과정에서 전면부의 글자가 평평해 질 수 밖에 없어서, 전면부의 글자가 평평한 형태만이 제공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상의 한계 즉, 프레임 틀이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평평한 표면을 갖는 로고가 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로고가 복잡하거나, 글자수가 많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양 자체를 버클 구조에 구조적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브랜드 글자 및 로고가 버클에서 이탈되지 않고 구조적으로 견교하게 유지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며, 이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품경쟁력 및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을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랜드를 표현하는 글자수가 많거나 복잡한 로고를 버클에 표현하는데 있어서, 문양 자체를 버클에 구조적으로 편입시키는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브랜드 표현을 고품질로 수득할 수 있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고를 표현하기 위하여 요청되었던 구조적인 한계를 뛰어넘어서, 에폭시를 이용한 버클에서는 일정한 프레임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적 제약을 받지 않고도 로고를 표현할 수 있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글자 자체 또는 문양 자체가 이탈 될 수 없는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불량률을 제로로 만들 수 있어서 제품경쟁력이 강화되며, 내구성이 증대된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의 패션화경향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자체를 서로 서로 다른 색상과 재질로 제공할 수 있도록 분리함으로써, 문양을 이루는 글자부분과 본체부분의 차별화가 효율적으로 부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랜드명이 길 경우에도, 이를 빠른 시간 안에 표현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서, 버클의 총 생산기간과 공정이 단축된 효율적인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은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된 제1 영역(A)을 갖는 음각판(100); 및 상기 제1 영역(A)에 형성된 문양에 끼움결합하며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2 영역(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벨트줄 걸이부(24) 및 돌출부(26)가 형성된 양각판(2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의 상기 음각판(100)은 상기 양각판(20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가 별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의 상기 음각판(100)은 벨트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의 전면에는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되고, 후면에는 문양 주변부가 홈(40)으로 형성된 음각판(400); 및 상기 음각판(400)에 형성된 문양에 끼움결합하며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3영역(53) 및 상기 제3영역 하단에 형성된 돌출된 받침부(55)를 갖는 양각판(5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각판(500)의 돌출된 받침부(55)는 상기 음각판(400)의 홈(40)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은 문양을 표현하기 위한 음각부와 양각부의 결합구성으로 인하여 문양 자체를 버클의 구조에 편입시킴으로써 문양을 이루는 요소인 글자나 로고의 일부분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원초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명을 구성하는 글자수가 많은 경우 이를 일일이 버클 전면에 표현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단시간에 표현할 수 있도록 공정을 개선한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에폭시를 이용한 장식판에 로고를 표현하기 위하여는 버클 프레임에 액체의 에폭시를 투입해야하므로 프레임 자체에서 틀 형태가 반드시 요청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가 없이도 로고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버클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문양부(글자부 또는 로고부)를 다른 부위와 도드라지게 차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패션화경향에 부합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로고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음각판 및 양각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양각판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3의 음각판과 양각판이 결합한 사진이다.
도 6은 도3(c)의 각 부속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음각판 및 양각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8은 양각판에 새결질 글씨크기를 대비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음각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뒷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도 9와 결합하는 양각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음각판과 도 11의 양각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3은 도 12의 양각판 위에 음각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는 도 13을 도장처리한 결과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는 종래의 버클(a)과 본 발명의 버클(b)을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음각판(100)과 양각판(200)만으로도 버클이 형성된 벨트가 형성된다. 즉, 벨트줄이 음각판(100)으로 기능하며, 양각판(200) 후면에 벨트줄 걸이부(24) 및 돌출부(26)가 형성되어 벨트줄의 구멍에 돌출부(26)가 삽입됨으로써 벨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단순한 벨트의 구조를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명칭이나 로고 등의 문양을 버클 자체에 구조화시킴으로써 브랜드를 표시하는 글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물품에 각인된 브랜드의 품질을 높이는 버클 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a)의 음각판(100)은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된 제1 영역(A)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브랜드 명칭이 긴 경우에 높은 효율성을 발휘하며, 음각판(100) 자체에 브랜드 명칭을 프레스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또는 레이저 마킹으로 작업하여 타공하여 음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음각판(100)은 도 3(c)에서와 같이 벨트줄일 수도 있다.
도 3(b)의 양각판(200)은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2 영역(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벨트줄 걸이부(24) 및 돌출부(26)가 형성된다. 후면에는 돌출부(26)를 형성하여 벨트 줄의 구멍에 끼워서 사용하는 형태로 버클을 제작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양각판(200)의 상기 후면은 도 2 및 도 14와 같은 자동형 버클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각판(200)의 제2 영역(B)에 형성된 양각 문양은 음각판(100)의 타공된 영역에 끼움결합하여 도 5와 같은 모습으로 결합한다. 상기 음각판(100)과 양각판(200)은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3(c)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음각판(100)을 상기 양각판(2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고정부재(3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로 고정부재(300)를 형성하면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보다 더 견교한 고정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300) 자체를 도3(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식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다른 부위와 구별되도록 색상 및 재질을 달리함으로써 포인트 처리가 가능함으로 벨트의 화려함을 배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7(b)에서와 같이 양각판(200)은 원하는 부위만을 양각화하여 음각판(100)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알파벳 소문자 a를 표현하기 위하여 양각판(200)의 제2 영역(B)의 양각부위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한 결과는 도7(c)와 같다. 도 7(c)는 도 7(b)의 음각판(100) 및 양각판(200)을 도장 처리한 결과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표현해야 할 글자 또는 문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를 위한 실시 예이다. 즉, 상술한 실시 예는 도 8(a)와 같이 표현해야 할 글자 크기가 커서 글자 높이도 큰 경우에 적합하며, 아래에 서술할 실시 예는 도 8(b)와 같이 표현해야 할 글자 크기가 가늘고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이러한 차이를 가하는 이유는 양각판(200)은 연마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연마를 하는 과정에서 글자 크기가 작고 가는 경우에는 글자 자체가 삭감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완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음각판(400) 전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되고, 음각판(400)의 후면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문양 주변부가 홈(40)으로 패인 영역이 형성된다.
양각판(500)은 도 11에서와 같이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3 영역(53) 및 상기 제3영역(53) 하단에 형성된 돌출된 받침부(55)를 갖으며, 도 12에서와 같이 양각판(500)의 돌출된 받침부(55)는 상기 음각판(400)의 홈(40)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하여 도 13과 같은 모습으로 된다. 돌출된 받침부(55)의 높이는 원하는 문양 또는 글자 높이의 1/2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돌출된 받침부(55)가 없다면 표현해야 할 글자체가 얇고 글자수가 많은 경우, 글자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금속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얇은 글자 자체가 지탱력이 흔들려서 삭감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돌출된 받침부(55)를 밑기둥에 받침으로 형성함으로써 글자 자체의 밑기둥을 튼실하게 함에 따라서 연마과정에서 글자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는 이와 같이 제작된 물건의 최종 제품을 나타내며, 글자 크기가 작으면서 가늘고 글자수가 많은 경우에 효과적인 문자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a)는 종래기술이고, 도 15(b)는 본 발명인 바, 종래에는 표현할 문양을 별도로 제작한 후 장식판에 홈을 내어 접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글자수가 많거나 문양이 복잡한 경우에 적합하지 않으며 별도로 제작한 문양마져 이탈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원은 이를 구조적으로 해결한 발명이며, 도 16(a)는 종래기술이고, 도 16(b)는 본 발명인 바, 종래에는 에폭시를 틀에 부어서 판을 만든 후 문양을 판 위에 새겨야하므로 액체인 에폭시를 고정할 프레임 틀이 반드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여야하는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요구되었던 틀 자체가 필요없는 구조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 음각판 200, 500 : 양각판
300 : 고정부재

Claims (5)

  1.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된 제1 영역(A)을 갖는 음각판(100); 및
    상기 제1 영역(A)에 형성된 문양에 끼움결합하며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2 영역(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벨트줄 걸이부(24) 및 돌출부(26)가 형성된 양각판(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판(100)을 상기 양각판(20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판(200)의 상기 후면은 자동형 버클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판(100)은 벨트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5. 전면에는 문양이 음각으로 타공되고, 후면에는 문양 주변부가 홈(40)으로 형성된 음각판(400); 및
    상기 음각판(400)에 형성된 문양에 끼움결합하며 문양이 양각으로 형성된 제3영역(53) 및 상기 제3영역 하단에 형성된 돌출된 받침부(55)를 갖는 양각판(5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각판(500)의 돌출된 받침부(55)의 높이는 형성할 문양 높이의 1/2이며, 상기 음각판(400)의 홈(40)에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KR1020200016679A 2020-02-11 2020-02-11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KR10231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79A KR102319956B1 (ko) 2020-02-11 2020-02-11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79A KR102319956B1 (ko) 2020-02-11 2020-02-11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97A KR20210101997A (ko) 2021-08-19
KR102319956B1 true KR102319956B1 (ko) 2021-11-01

Family

ID=7749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79A KR102319956B1 (ko) 2020-02-11 2020-02-11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9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194Y1 (ko) * 2005-05-13 2005-08-19 윤대원 허리벨트
KR101895278B1 (ko) * 2017-05-16 2018-09-05 송광수 슬라이딩형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27B1 (ko) * 2007-12-05 2009-12-17 송광수 혁대용 아크릴문양 장식버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194Y1 (ko) * 2005-05-13 2005-08-19 윤대원 허리벨트
KR101895278B1 (ko) * 2017-05-16 2018-09-05 송광수 슬라이딩형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97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963B1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장식부재에 도형, 글씨, 테두리 형성방법
CN110712443A (zh) 一种凹凸纹理模具及其制作方法、应用
US2294865A (en) Method of making decorated articles
KR102319956B1 (ko) 문양이 구조화된 버클
US20240123678A1 (en) Synthetic resin articl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2016060105A (ja) 微細線模様の成形方法
KR100401925B1 (ko) 귀금속 카드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KR20110011769A (ko) 순금박판 성형방법에 의한 사각메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사각메달
US10441038B2 (en) Process for producing decorated medallions and metals
JPH089279B2 (ja)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CN112009123A (zh) 一种可印刷出二变图案的胶印工艺
KR20060036170A (ko)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285B1 (ko)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JPH03111066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識別字体の成形方法
JPH02251436A (ja) 薄肉貴金属複合板
KR200217798Y1 (ko) 인쇄문양장신구
KR200360468Y1 (ko) 귀금속판
KR200259083Y1 (ko) 귀금속 카드
KR20060102948A (ko) 몰드내로 사출성형하여 홀로그램 스티커를 제조하는 방법
JPH10119402A (ja) 蒔絵もしくは金箔加飾を施した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9207A (ko) 귀금속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0374219Y1 (ko) 엠블렘
KR960003023B1 (ko) 시계문자판의 문양체 형성방법
KR200266850Y1 (ko) 장식용 직조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