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285B1 -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285B1
KR101189285B1 KR1020100042130A KR20100042130A KR101189285B1 KR 101189285 B1 KR101189285 B1 KR 101189285B1 KR 1020100042130 A KR1020100042130 A KR 1020100042130A KR 20100042130 A KR20100042130 A KR 20100042130A KR 101189285 B1 KR101189285 B1 KR 10118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groove
layer
forming
epox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561A (ko
Inventor
노성태
함종안
이남각
장기호
Original Assignee
노성태
장기호
이남각
함종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태, 장기호, 이남각, 함종안 filed Critical 노성태
Priority to KR102010004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2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5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produced by processes involving mou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신구본체 표면상에 별도의 에폭시층을 형성시키고 에폭시층에 문양홈을 형성시킨 후 문양홈 내에 문양층이 채워지는 방식으로 문양을 형성시킴에 따라,
금형등을 이용해 장신구본체에 직접 문양홈을 형성시키는 기존 방식과 달리 문양과 문양 간 경계지점에 장신구본체와 일체인 경계벽이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전체적인 제품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모양의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작과정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게 되며,
문양이 에폭시층이나 장신구 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면서 형성되므로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pattern forming method of accessory}
본 발명은 표면에 식각방식을 통해 각종 문양이 형성되는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이나 의류에 사용되는 장식제품표면에는 로고나 각종 도형 등의 문양이 형성된 상태로 제작된다.
이렇게 제품(이하 '장신구'라 함)표면에 문양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실크스크린(silk screen) 및 패드인쇄와 같이 제품표면 상에 해당문양을 따라 잉크를 도포시키는 인쇄방식이 있고,
금속등으로 이루어진 장신구 본체표면을 직접 식각(etching)하거나 장신구 본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금형상에 문양홈을 형성시켜 사출이나 프레스작업을 통해 장신구 본체표면에 해당 문양홈을 형성시킨 후 문양홈을 형성시킨 후 문양홈 내에 에폭시나 잉크 등의 문양부재를 채워넣는 주입방식이 있다.
그 중 인쇄방식은 문양층이 장신구 표면상에 덧대어진 구조, 즉 장신구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와의 접촉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어 쉽게 지워져 훼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가전제품 리모컨이나 우산손잡이와 같이 사용자 손과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제품에 접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문양훼손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섬세한 글씨나 도형등은 작업공정 상 선명도와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주입방식은 문양과 문양 간 색을 달리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문양홈 형성과정에서 금형 및 장신구 본체표면 상의 문양홈과 문양홈 사이에 경계벽을 만들어 문양색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각 문양홈에 문양부재를 채워넣으면 각 문양의 테두리에 장신구 본체와 일체인 금속경계벽 표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렇게 금속재인 금형 상에 문양홈을 직접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추후 프레스 또는 사출작업을 통해 장신구 본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압력에 의해 금형의 문양홈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따라서 섬세한 문양형성이 어려워 주입방식에서는 대부분 매우 단순한 문양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동일종류의 제품에 각기 다른 문양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문양에 해당하는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위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각 문양과 문양간 경계지점에 금속경계벽에 해당되던 장신구본체 표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에 비해 금형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문양도 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문양이 장신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재질을 한정하여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저식각을 통해 문양홈을 형성시키되 해당재질에 맞는 레이저펄스값을 설정함에 따라 식각효율 향상 및 제품훼손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 중 문양형성방법에 대한 각 실시예는,
장신구 본체를 준비하는 본체준비공정, 상기 본체 표면상에 별도의 에폭시층을 구비시키는 에폭시층 형성공정, 상기 에폭시층을 해당 문양대로 식각하여 문양홈을 형성시키는 문양홈 형성공정, 상기 문양홈 내에 문양층을 구비시키는 문양층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준비공정은 본체 표면상에 일정깊이의 바탕홈을 형성시키는 바탕홈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층 형성공정은 에폭시수지를 상기 바탕홈 내에 채워 넣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홈 형성공정은 레이저식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레이저펄스값은 2내지 25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층 형성공정 중 에폭시층의 두께는 바탕홈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문양 형성공정 중 문양층의 두께는 문양홈의 두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준비공정과 에폭시층 형성공정 사이에는 본체표면 가공공정이 더 실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양형성방법을 통해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구조에 대한 실시예는,
장신구 본체, 상기 본체 표면상에 적층 형성되고 표면상에 문양홈이 형성된 에폭시층, 상기 에폭시층의 문양홈 내에 채워지는 문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장신구본체 표면에는 일정깊이의 바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에폭시층이 바탕홈 내에 채워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층의 두께는 상기 바탕홈의 깊이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문양층의 두께는 상기 문양홈 깊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문양홈이 장신구본체에 적층된 에폭시층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문양홈과 문양홈 간 금속경계벽에 해당되던 장신구본체 표면노출이 차단되므로, 상이한 색상의 문양을 형성시키더라도 금속경계벽에 의한 이질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문양의 선명도와 정밀도가 향상되어, 결국 전체적인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문양홈이 에폭시층에 형성됨과 동시에 레이저식각방식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문양홈 형성작업이 간편해져 복잡한 문양형성이 가능해지고 장신구본체 제작과정에서의 금형제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각 장신구본체마다 문양을 달리 형성하더라도 해당 금형들을 추가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문양홈 형성공정에서 에폭시층의 재질특성에 적합한 레이저펄스값을 적용함에 따라 식각효율 향상 및 에폭시층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에폭시층과 마찬가지로 문양층도 에폭시와 칠등을 이용해 형성시킴에 따라 문양 및 주변 바탕의 색상구현이 다양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접촉되더라도 쉽게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문양층을 문양홈 두께 이하로 형성시킴에 따라 외부접촉에 의한 마모가능성을 보다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장신구 본체와 에폭시층 및 문양층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장신구 본체와 에폭시층 및 문양층 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문양층형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에폭시층과 문양층이 완성된 상태의 장신구 사시도
도 5는 문양형성과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6은 장신구 본체 준비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에폭시층 형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문양홈 형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레이저커팅을 통해 에폭시층에 문양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문양형성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제작된 장신구 구조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문양층이 형성된 장신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장신구 본체(100)와 에폭시층(200) 및 문양층(300)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장신구는 귀걸이나 반지와 같은 순수 장신구의 기본 틀뿐만 아니라 사무용품이나 판촉물과 같이 제품표면 상에 로고나 각종 장식문양이 표시되는 제품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장신구 본체(100)는 기본 장신구의 뼈대, 즉 완전한 장신구가 아닌 제작과정에서의 기본 몸체를 뜻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그 일예로 허리벨트의 중 버클 중 기본 금속틀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장신구 본체(100)중 문양층(300)이 형성될 표면 상에는 일정깊이의 바탕홈(110)이 형성되는데, 바탕홈(110)은 후술하는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문양의 형태 및 개수 등에 따라 도면과 같이 문양이 형성될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형을 이용해 장신구본체(100) 제작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되거나 별도 조각가공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탕홈(110) 내부에는 에폭시층(2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에폭시층(200)은 장신구본체(100)의 바탕문양 기능과 더불어 후술하는 문양홈(22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바탕홈(110)의 모양과 동일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바탕홈(110)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에폭시층(200)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바탕홈(110)의 깊이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에폭시층(200) 상면과 장신구본체(100)가 동일면을 이루게 되며, 필요에 따라 바탕홈(110) 깊이보다 낮은 두께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처럼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장신구 사용과정에서 외부물체와의 접촉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만큼 기존 인쇄방식에 비해 훼손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잉크가 아닌 에폭시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와 접촉되더라도 마모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만약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도 무관하다면 바탕홈(110)을 형성시키지 않고 장신구본체(100) 표면상에 에폭시층(200)을 단순 적층시키는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에폭시층(200)은 장신구의 바탕문양 역할도 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문양층(300)의 색상을 고려해 투명 또는 특정 색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에폭시층(200) 상면에는 문양홈(220)이 형성되는데,
문양홈(220)은 후술하는 문양층(300)이 설치되고 문양층의 모양을 이루는 부분으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문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면과 같이 에폭시층(200)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에폭시층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여러 문양홈(220)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처럼 각 문양홈(220)과 문양홈 사이에 경계벽(240)이 형성되고 각 경계벽(24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각 문양홈 간 경계라인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문양홈(220)이 금속제 장신구본체(100)가 아닌 에폭시층(200)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경계벽(240)은 장신구본체(100)가 아니라 에폭시층(200)이 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문양홈(220) 간 경계라인은, 결국 에폭시층(200) 표면이 된다.
즉 장신구본체(100)가 아닌 에폭시층(200) 상에 문양홈(220)을 형성시킴에 따라 기존과 달리 각 문양홈(220) 사이로 금속제 경계벽이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문양홈(220) 내부에는 문양층(300)이 설치되는데,
문양층(300)은 장신구의 실제 문양기능을 하는 것으로 각 문양홈(220)과 동일한 모양 및 두께를 가지며 문양층(300)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문양층(300)이 실질적인 문양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양층(300)의 색상을 에폭시층(200)과 달리하여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한다.
그리고 문양층(300)도 에폭시수지를 적용하거나 단순 칠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외부접촉에 의한 훼손을 방지한다.
또한 문양층(300)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문양홈(220)의 깊이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문양층(300)이 에폭시층(20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문양층(300)이 에폭시층(200)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장신구 사용과정에서 외부접촉에 의한 마모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물론 에폭시수지가 아닌 단순 칠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에폭시수지를 적용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문양홈(220) 깊이보다 얇은 두께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렇게 각 문양홈(220) 내에 문양층(300)이 구비되면 [도 4]와 같이 장신구본체(100) 상에 에폭시층(200)이 구비되고 에폭시층(200)에 형성된 각 문양홈(220)에 문양층(300)이 채워져, 외관상 마치 에폭시층(200)과 문양들이 장신구본체(100) 표면상에 인쇄된 것과 같이 표현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문양과 문양 사이마다 형성된 경계라인은 에폭시층 표면이 노출된 것이기 때문에, 장신구본체(100)가 노출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전체 문양이 명확해 져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문양홈(220)이 장신구본체(100)에 비해 연질인 에폭시층(200)을 식각하여 형성되므로, 금속재이 장신구본체나 금형에 형성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식각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복잡한 형상의 문양홈(220)도 쉽게 가공할 수 있어, 결국 기존에 비해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문양형성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장신구본체 준비공정(S10)과 에폭시층 형성공정(S30), 문양홈 형성공정(S50), 문양층 형성공정(S60)으로 구분되어 실시된다.
먼저 장신구 본체준비공정(S10)은 문양이 형성될 장신구 본체(100)를 제작하는 단계로, 장신구 종류 및 재질등에 따라 사출이나 프레스 또는 주물방식 등을 이용해 제작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바탕홈 형성단계(S12)가 포함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바탕홈 형성단계(S12)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장신구본체(100) 중 문양이 형성될 면 상에 일정깊이의 바탕홈(110)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때 형성되는 바탕홈(110)은 형성될 문양에 따라 도면처럼 문양이 형성될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국부적으로 여러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탕홈 형성 작업은 사출이나 주물방식을 통해 장신구본체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장신구본체 제작 후 프레스가공 등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
바탕홈(110)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후술하는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외부접촉에 의해 떼어지는 등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바탕홈 형성단계(S12)를 통해 장신구본체 준비공정(S10)이 완료되면 본체표면 가공공정(S20)을 거친다.
본체표면 가공공정(S20)은 후술하는 에폭시층 형성공정(S30)에서 에폭시층(20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도6]의 확대도처럼 샌드블러스트(sand blast)작업등을 통해 바탕홈(110) 상에 요철부(112)를 형성시켜 에폭시층(200)과의 접촉면적 및 마찰력을 최대화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바탕홈(110) 내주면을 가열하여 에폭시층(200)이 채워졌을 때 접촉면이 녹아 융착 되도록 하는 가열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철형성 방식과 가열방식이 병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표면 가공공정(S20)은 반드시 실시되는 과정이 아니라 에폭시층(200)의 형성방법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체표면 가공공정(S20)이 완료되면 에폭시층 형성공정(S30)을 진행하는데,
에폭시층 형성공정(S30)은 장신구본체(100)상에 에폭시층(200)을 구비시키는 단계로, [도 1]처럼 다시 에폭시수지 충진단계(S32)와 1차건조단계(S34)로 구분되어 실시된다.
먼저 에폭시수지 충진단계(S32)는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에폭시수지(210)를 바탕홈(110) 내에 채워 넣는 과정으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는(210)는 경화재가 2 : 1비율로 혼합된 형태가 사용되며 후술하는 문양층(300)을 고려해 투명 또는 색상이 가미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바탕부재는 기본적으로 바탕홈(110)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로 채워지도록 하여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 시 바탕홈(110) 깊이보다 낮은 두께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렇게 바탕부재 충진단계(S32)가 완료되면 [도 7b]와 같이 일정두께의 에폭시층(200)이 바탕홈(110) 내에 매립되어 상면이 장신구본체(100) 표면상에 노출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에폭시층(200)에 색깔이 가미될 경우 에폭시층(200) 자체가 장신구의 바탕문양 기능도 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바탕부재 충진단계(S32)는 바탕부재를 액상의 수지 상태가 아니라 고체상태로 별도 제작한 후 바탕홈(110) 내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도 괜찮다면 바탕홈(110)을 형성시키지 않고 단순히 장신구본체(100) 표면상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거나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에폭시층(200)이 장신구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도 상관없다면 바탕홈(110)을 형성시키지 않고 단순히 에폭시층을 장신구본체(100) 표면상에 도포하거나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에폭시수지 충진단계(S32)이후 진행되는 1차건조단계(S34)는 수지 상태의 에폭시층(200)을 응고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일반적인 열풍가열방식이나 전기히팅 방식 등이 사용된다.
실험결과 에폭시층(200)은 약 70℃의 온도로 1시간가량 가열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응고상태가 되었는데, 이러한 가열방식과 온도 및 시간은 에폭시층의 두께 및 면적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참고로 만약 에폭시수지 충진단계(S32)가 에폭시층을 별도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경우, 1차건조단계(S34)는 에폭시층 접촉에 사용되는 접착재의 경화목적으로 진행되며, 접착재 사용없이 바탕홈(110) 내에 단순 끼워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1차건조단계(S34)는 생략될 수 있다.
에폭시층 형성공정(S30)이 완료되면, 에폭시층(200) 표면을 다듬는 에폭시층 연마공정(S40)을 진행하는데, 이는 추후 실시되는 광택공정(S70)에서의 광택효율을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 광택작업 실시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에폭시층 연마공정(S40)까지 완료되면 문양홈 형성공정(S50)을 진행하는데,
문양홈 형성공정(S50)은 에폭시층(200) 상에 문양층(300)의 설치자리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에폭시층(200)을 식각형태로 커팅하여 해당 문양형상과 동일한 문양홈(220)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문양홈 형성작업은 도면과 같이 별도의 레이저빔장치(L)에 의한 레이저식각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레이저빔의 적정 펄스(pulse)값은 실험결과 에폭시층의 재질특성 상 2내지 25마이크로미터가 가장 적합하다.
만약 펄스값이 위의 최대 한정치를 초과하면 식각과정에서 에폭시층(200)이 열변형되어 일그러지는 현상이 초래되고, 최소 한정치 미만일 경우 식각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물론 에폭시층(200)을 다른 재질로 적용하였을 경우 이러한 레이저 적정 펄스값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렇게 문양홈(220)이 장신구본체(100) 및 금형에 비해 연질인 에폭시층(200)을 식각하여 형성되므로, 금속금형에 직접 형성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복잡한 형상의 문양홈(220)도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어, 결국 기존에 비해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제품마다 문양모양을 달리 하더라도 별도 금형을 추가조 제작할 필요없이 해당 문양대로 레이져식가을 실시하면 되므로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양홈 형성공정(S50)까지 완료되면 [도 8b]와 같이 에폭시층(200) 상에 해당 문양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문양홈(220)이 형성된 구조가 된다.
이때 종래와 마찬가지로 각 문양홈(220)과 문양홈 사이에 경계벽(240)이 형성되기는 하지만, 문양홈(220)이 에폭시층(200)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경계벽(240)은 장신구본체가 아니라 에폭시층이 된다.
즉 문양홈(220)과 문양홈 사이에서 금속 경계벽의 노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그 후 문양층 형성공정(S60)을 실시하는데,
상기 문양층 형성공정(S60)은 장신구본체(100) 상에 문양을 최종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도 5]와 같이 다시 문양부재 충진단계(S62)와 2차건조단계(S64)로 구분되어 실시된다.
먼저 상기 문양부재 충진단계(S6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실제 문양역할을 하는 문양부재(310)를 문양홈(220) 내에 채워 넣는 단계로, 이때 사용되는 문양부재(310)는 에폭시층(200)과 마찬가지로 경질의 에폭시수지가 사용되며 투명이거나 필요에 따라 색상이 첨가된 형태로 사용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문양부재(310)가 장신구의 실질적인 문양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양부재(310)의 색상을 에폭시층(200)과 달리하여 추후 완성된 문양층(300)이 시각적으로 강조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문양부재(310)에도 경화재가 첨가될 수 있으며 재질 또한 에폭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일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 목재, 칠형태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문양부재(310)는 기본적으로 문양홈(220)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로 채워짐에 따라 문양부재(310)가 에폭시층(20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되고, 필요시 문양홈(220) 깊이보다 낮은 두께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처럼 문양부재(210)가 에폭시층(20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으로 외부와의 접촉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만큼 기존에 비해 훼손가능성도 저하된다.
참고로 문양부재 충진단계(S62)는 수지 상태를 채워 넣은 후 응고시키는 방식외에 별도 고체상태로 제작한 후 각 문양홈(220)에 결합시키는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문양부재 충진단계(S62)가 완료되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각 문양홈(220) 내부에 일정두께의 문양층(300)이 위치되어, 마치 에폭시층(200) 표면상에 문양들이 새겨진 것과 같은 구조가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문양과 문양 사이마다 형성된 경계라인은 에폭시층 표면이 노출된 것이기 때문에, 각 문양 간 경계지점에 장신구본체(100)와 일체인 금속경계벽이 노출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후 진행되는 2차건조단계(S64)는 수지 상태의 문양층(300)를 응고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앞에서 실시한 1차건조단계(S34)와 마찬가지로 열풍가열방식이나 전기가열 방식 등이 사용 된다.
참고로 만약 문양층 충진단계(S62)가 문양부재를 별도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경우, 2차건조단계(S64)는 문양부재 접촉에 사용되는 접착재의 경화목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접착재 사용없이 단순 끼움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2차건조단계(S64)를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문양층 형성공정(S60)까지 완료되면 [도 3] 및 [도 4]처럼 장신구본체(100) 상에 에폭시층(200)이 구비되고 에폭시층(200)에 형성된 각 문양홈(220)에 문양층(300)이 채워져 문양층(300) 표면이 노출된 구조의 장신구가 완성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문양층(300)의 표면연마 후 광택 및 코팅공정(S70)을 거쳐 완전히 제품화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장신구본체 상에 별도의 에폭시층(200)을 형성시키고 에폭시층(200)에 문양홈(220)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해당 문양홈(220) 마다 문양층(300)을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문양형성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기존 장신구본체와 일체인 금속경계벽이 문양과 문양 사이에 노출되어 제품성이 저하되던 문제점과 복잡한 문양형성이 불가능하던 문제점 금형제작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및 문양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어 쉽게 훼손되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장신구 본체 110 : 바탕홈
200 : 에폭시층 210 : 에폭시수지
220 : 문양홈 240 : 경계벽
300 : 문양층 310 : 문양부재
S10 : 본체준비공정 S12 : 바탕홈 형성단계
S20 : 본체 표면처리공정
S30 : 에폭시층 형성공정 S32 : 에폭시수지 충진공정
S34 : 1차건조공정 S40 : 에폭시층 연마공정
S50 : 문양홈 형성공정 S60 : 문양층 형성공정
S62 : 문양부재 충진단계 S64 : 2차건조단계

Claims (8)

  1. 장신구 본체를 준비하고, 상기 장신구 본체 표면상에 바탕홈을 형성하는 바탕홈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본체준비공정,
    상기 바탕홈에 에폭시수지를 채워 넣는 에폭시수지 충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신구 본체에 에폭시층을 형성하는 에폭시층 형성공정,
    상기 에폭시층을 해당 문양대로 식각하여 문양홈을 형성시키는 문양홈 형성공정 그리고
    상기 문양홈 내에 문양층을 구비시키는 문양형성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층 형성공정 중 에폭시층의 두께는 상기 바탕홈 깊이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문양 형성공정 중 문양층의 두께는 문양홈의 깊이 이하로 형성되는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2. 삭제
  3. 제 1항에서,
    상기 문양홈 형성공정이 레이저식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4. 제 3항에서,
    상기 문양홈 형성공정은 레이저펄스 값이 2 내지 25μm인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42130A 2010-05-04 2010-05-04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KR10118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0A KR101189285B1 (ko) 2010-05-04 2010-05-04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0A KR101189285B1 (ko) 2010-05-04 2010-05-04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61A KR20110122561A (ko) 2011-11-10
KR101189285B1 true KR101189285B1 (ko) 2012-10-09

Family

ID=4539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30A KR101189285B1 (ko) 2010-05-04 2010-05-04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54B1 (ko) 2015-06-30 2016-12-01 김재일 Nfc 기능을 갖는 단추 장신구 및 그의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06B1 (ko) * 2007-07-26 2008-08-12 양준형 레이저를 이용한 자개문양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06B1 (ko) * 2007-07-26 2008-08-12 양준형 레이저를 이용한 자개문양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54B1 (ko) 2015-06-30 2016-12-01 김재일 Nfc 기능을 갖는 단추 장신구 및 그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61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2945A1 (en) Method for making insegnias with raised designs including two pressing steps
CN106659015A (zh) 一种电子产品框体一体成型结构件及其制作方法
CN101422946A (zh) 模内装饰制品及其成型方法
KR101189285B1 (ko) 장신구의 문양형성방법
JP2020028985A (ja) 絵付け食器の製造方法と絵付け食器
EP4074502A1 (e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ie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74840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EP3820326B1 (en) Process for producing lipsticks with special tridimensional surface effects
CN211567501U (zh) 一种花纹模具
US3057017A (en) Button manufacture
KR100761349B1 (ko) 단추의 제조방법 및 그 단추
KR100530356B1 (ko) 기념패 및 그 제조방법
CN206212480U (zh) 一种电子产品框体一体成型结构件
KR101591663B1 (ko) 버클 장식의 형성방법 및 버클 장식
CN205827086U (zh) 一种可变换多种装饰效果的闹钟
KR200172167Y1 (ko) 의류용 입체라벨
KR200217798Y1 (ko) 인쇄문양장신구
JPH0699697A (ja)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KR100407638B1 (ko)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인조손톱
KR100781034B1 (ko) 멜라민 수지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0984924Y (zh) 带有立体模制基板的反射饰件
KR20030025960A (ko) 투명 액세서리 제조방법
KR100529836B1 (ko)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물 제조방법 및 그 장식물
KR20090080185A (ko) 의류용 악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