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87B1 -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887B1
KR102319887B1 KR1020210095661A KR20210095661A KR102319887B1 KR 102319887 B1 KR102319887 B1 KR 102319887B1 KR 1020210095661 A KR1020210095661 A KR 1020210095661A KR 20210095661 A KR20210095661 A KR 20210095661A KR 102319887 B1 KR102319887 B1 KR 10231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roduction
hopper
he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정봉수
Original Assignee
정회성
정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성, 정봉수 filed Critical 정회성
Priority to KR102021009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골재 배출량을 측정하고 공급량을 제거할 수 있으며, 골재를 크러셔 파쇄부로 직접 공급하고 이 공급된 골재에 다짐효과를 주어 압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피더에 의해 공급받은 골재가 호퍼의 일부분에 집중되어 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자원재활용률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제품 신뢰도와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SUPPLY CONTROL CRUSHER HOPPER SYSTEM AND RECYCLING AGGREGA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더를 통해 공급되는 골재를 최적의 공급량으로 크러셔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퍼는 크러셔 가동부에 골재를 공급,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크러셔는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골재를 파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로부터 적정량의 골재가 지속적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크러셔가 가동되어야지만 최적의 파쇄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의 골재를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호퍼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콘 크러셔의 호퍼에서 적정량의 골재가 공급되지 않아 맨틀과 콘케이브 사이에 골재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지 않을 경우 콘 크러셔는 파쇄작용이 저하되며, 골재 공급량이 더욱 적어질 경우에는 콘 크러셔의 파쇄작용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컨베이어 등을 통해 공급되는 골재가 쌓이는 위치가 달라 파쇄실 내로 들어가는 골재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럴 경우 파쇄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크러셔 호퍼는 백호우 등으로 채워진 골재나 상단 크러셔에서 생산되어 운반되는 골재를 단순히 저장, 공급하는 일부 기능만 하므로 크러셔 가동에 최적인 골재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상기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최적 공급조건에 맞지 않게 골재가 공급되면 크러셔가 성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없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생산되는 골재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호퍼는 공급된 골재의 공급경로를 유도하거나 크러셔의 파쇄실 내로 공급되는 골재의 다짐상태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이로 인해 파쇄실 내의 압축효과가 저하되어 크러셔의 파쇄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설폐기물의 경우 성상이 다양하여 각 단계의 크러셔에 공급되는 공급량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토사 배출량은 성상에 따라 총 공급량의 20 내지 50%이므로 크러셔로의 공급량이 50 내지 80%씩 큰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크러셔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의 특성상 높이가 높이 않아 내부에 골재량을 많이 쌓아두는데 한계가 있어 최적 골재량을 공급하는데 여유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1351호(2014.04.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3902호(2021.06.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2103호(2018.04.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0743호(2011.06.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배출량을 측정하고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재를 크러셔 파쇄부로 직접 공급하고 이 공급된 골재에 다짐효과를 주어 압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더에 의해 공급받은 골재가 호퍼의 일부분에 집중되어 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러셔와 분리되도록 상기 크러셔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 외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를 탄성 지지하는 진폭 제어가 가능한 스프링과, 상기 호퍼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진동 모터와, 상기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는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 및,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상기 진동 모터와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와 진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크러셔로 공급되는 공급 골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긍곱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한 후,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재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다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동 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의 진동에 의해 호퍼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다짐과 동시에 호퍼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크러셔 중앙의 파쇄부로 유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는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으로 갈수록 호퍼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와 크러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호퍼에 부착되어 상기 호퍼의 진동으로 인한 분진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크러셔와 호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분진방지 고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피더로부터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제1 생산량 분석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진동 모터와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와 진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크러셔로 공급되는 공급 골재량을 조절하는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선세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를 제어하는 호퍼 진동수 제어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 진동수를 제어하면서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와, 상기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제2 생산량 분석단계 및,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선세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스프링을 제어하여 호퍼의 진폭을 제어하는 호퍼 진폭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호퍼 진동수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 진폭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더로부터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피더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골재 공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골재 공급 조절단계는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통해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골재 높이 측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감소되도록 피더를 제어하며,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증가되도록 피더를 제어하는 피더속도 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설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호퍼의 높이를 키우지 않고도 호퍼를 통해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호퍼의 진동수와 진폭의 동시 제어를 통해 최적의 공급량으로 골재가 크러셔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골재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키고 생산 골재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 내부로 공급된 골재가 호퍼의 진동과 더불어 호퍼 내부에 설치된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에 의해 다져지면서 크러셔로 공급되어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자의 압착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피더에 의해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가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에 의해 다져지면서 크러셔의 파쇄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유도되어 호퍼 내에 공급된 골재가 호퍼의 일측에 집중되어 쌓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생산 골재의 품질을 한층 더 향상시킴은 물론 골재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자원재활용률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제품 신뢰도와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흐름도
도 7은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골재 공급 조절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은 호퍼(110), 스프링(120), 진동 모터(130),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110)는 크러셔(200)와 분리되도록 상기 크러셔(200)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110)는 크러셔(200)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일반적인 호퍼와는 다르게 상기 크러셔(200)와 별도를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크러셔(200)와 분리되어 상기 크러셔(200)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콘 크러셔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은 콘 크러셔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조크러셔, 롤크러셔, 임팩트 크러셔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0)은 상기 호퍼(110) 외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F)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크러셔(20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크러셔(200) 상부에 배치된 상기 호퍼(1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120)의 경우에는 제어부(15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진폭 제어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20)으로는 코일 스프링, 에어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호퍼(110)의 진폭 제어 폭이 클 경우에는 에어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호퍼의(110) 진폭 제어 폭이 작을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모터(130)는 상기 호퍼(110)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진동 모터(130)에는 진동수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진동수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는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상기 크러셔(200)로부터 파쇄된 후 상기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300)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시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 모터(130)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110)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 모터(130)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110)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진동 모터(130)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110)의 진동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제어된 후 상기 크러셔(200)에 파쇄되어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300)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에 의해 그 높이가 재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재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다시 비교 분석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120)에 의한 호퍼(110)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스프링(120)의 진폭이 제어되어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120)에 의한 호퍼(110)의 진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스프링(120)의 진폭이 제어되어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은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는 상기 호퍼(110)의 진동에 의해 호퍼(110)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다짐과 동시에 호퍼(110)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크러셔(200) 중앙의 파쇄부로 유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11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는 상기 호퍼(110)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으로 갈수록 호퍼(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는 상기 호퍼(110)와 함께 진동되어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를 다져서 압축시킴으로써 크러셔(200) 파쇄부의 골재 파쇄 토크를 증가시켜 파쇄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은 분진방지 고무패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진방지 고무패드(170)는 상기 호퍼(110)와 크러셔(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호퍼(110)에 부착되어 상기 호퍼(110)의 진동으로 인한 분진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호퍼(110)의 진동으로 인한 크러셔(200)와 호퍼(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은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는 호퍼(110)에 설치되어 피더(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호퍼(110)로 공급되어 호퍼(110)에 쌓이는 골재 높이를 측정하여 제어부로(150)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 의해 피더로부터 호퍼(11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흐름도이며, 도 7은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골재 공급 조절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제1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S110), 제1 생산량 분석단계(S120) 및,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을 작동시켜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의 제어부(150)에는 적정 골재 생산량(Q1), 진동 모터(130)의 초기 적정 진동수, 스프링(120)의 초기 적정 진폭이 기 설정된다.
상기 제1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S110)는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에 의해 크러셔(200)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300)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S120)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S13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Q2)(Q3)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의 분석 값에 따라 진동 모터(130)와 스프링(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호퍼(110)의 진동수와 진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공급 골재량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S130)를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S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진동수 제어단계(S131),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S132), 제2 생산량 분석단계(S133) 및, 호퍼 진폭 제어단계(S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 진동수 제어단계(S131)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S120)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Q2)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해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의 진동수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호퍼 진동수 제어단계(S131)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S120)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Q2)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 모터(130)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110)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Q2)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 모터(130)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110)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130)를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S132)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호퍼(110) 진동수를 제어하면서 크러셔(200)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300)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재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S133)는 상기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S132)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호퍼 진폭 제어단계(S134)는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S133)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Q3)과 기 세팅된 전정 골재 생산량(Q1)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해 스프링(120)을 제어하여 호퍼(110)의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호퍼 진폭 제어단계(S134)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S133)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14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Q3)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120)에 의한 호퍼(110)의 진동 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스프링(120)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Q3)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Q1)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120)에 의한 호퍼(110)의 진폭이 감쇠도록 상기 스프링(120)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110)로부터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100)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은 골재 공급 조절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 공급 조절단계(S140)는 상기 호퍼(110)에 쌓인 골재높이를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를 통해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더로부터 호퍼(11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피더를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골재 공급 조절단계(S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높이 측정단계(S141) 및, 피더속도 조절단계(S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 높이 측정단계(S141)는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를 통해 호퍼(110)에 쌓인 골재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더속도 조절단계(S142)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호퍼(110)에 쌓인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호퍼(110)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감소되도록 피더의 속도가 감소되게 상기 피더를 제어하며,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호퍼(110)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증가되도록 피더의 속도가 증가되게 상기 피더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은 설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호퍼(110)의 높이를 키우지 않고도 호퍼(110)를 통해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호퍼(110)의 진동수와 진폭의 동시 제어를 통해 최적의 공급량으로 골재가 크러셔(20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골재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키고 생산 골재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호퍼(110) 내부로 공급된 골재가 호퍼(110)의 진동과 더불어 호퍼(110) 내부에 설치된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에 의해 다져지면서 크러셔(120)로 공급되어 크러셔(200)로 공급되는 골재의 압착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피더에 의해 호퍼(110)로 공급되는 골재가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160)에 의해 다져지면서 크러셔(200)의 파쇄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유도되어 호퍼(110) 내에 공급된 골재가 호퍼(110)의 일측에 집중되어 쌓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생산 골재의 품질을 한층 더 향상시킴은 물론 골재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호퍼 (120) : 스프링
(130) : 진동 모터 (140) :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
(150) : 제어부 (160) :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
(170) : 분진방지 고무패드 (180) : 골재 높이 측정센서

Claims (13)

  1. 크러셔와 분리되도록 상기 크러셔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 외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를 탄성 지지하는 진폭 제어가 가능한 스프링;
    상기 호퍼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진동 모터;
    상기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는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 및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상기 진동 모터와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와 진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크러셔로 공급되는 공급 골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한 후, 상기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재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다시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재 비교 분석된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동 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진동에 의해 호퍼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다짐과 동시에 호퍼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크러셔 중앙의 파쇄부로 유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 유발 공급유도 플레이트는,
    상기 호퍼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으로 갈수록 호퍼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크러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호퍼에 부착되어 상기 호퍼의 진동으로 인한 분진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크러셔와 호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분진방지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피더로부터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8.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제1 생산량 분석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진동 모터와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와 진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크러셔로 공급되는 공급 골재량을 조절하는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 공급량 조절단계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선세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의 진동수를 제어하는 호퍼 진동수 제어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 진동수를 제어하면서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후 생산 골재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생산 골재의 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
    상기 제2 생산 골재 높이 감지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는 제2 생산량 분석단계; 및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선세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생산 골재 높이와 기준 골재 높이에 따른 생산 골재량과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의 분석 값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스프링을 제어하여 호퍼의 진폭을 제어하는 호퍼 진폭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진동수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호퍼의 진동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진동 모터를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진폭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생산량 분석단계에서 생산 골재 높이 측정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되는 생산 골재 높이와 기 세팅된 기준 골재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며,
    상기 생산 골재 높이가 기준 골재 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생산 골재량이 기 세팅된 적정 골재 생산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호퍼의 진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진폭을 제어하여 호퍼로부터 크러셔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더로부터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피더를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골재 공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공급 조절단계는,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를 통해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골재 높이 측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호퍼에 쌓인 골재높이와 기 세팅된 골재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감소되도록 피더를 제어하며, 상기 골재 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감지된 골재높이가 기 세팅된 골재높이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호퍼로 공급되는 골재량이 증가되도록 피더를 제어하는 피더속도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을 이용한 순환 골재 생산방법.
KR1020210095661A 2021-07-21 2021-07-21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231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61A KR102319887B1 (ko) 2021-07-21 2021-07-21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61A KR102319887B1 (ko) 2021-07-21 2021-07-21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887B1 true KR102319887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61A KR102319887B1 (ko) 2021-07-21 2021-07-21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522B1 (ko) 2022-02-18 2022-10-27 윤훈철 순환토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토사 생산방법
CN115301545A (zh) * 2022-09-19 2022-11-08 安徽九牛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螺纹保护器生产用原料除杂设备
KR102625698B1 (ko) * 2023-07-20 2024-01-16 주식회사 구성기업 크러셔 투입량 제어를 통한 골재입도 조정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83A (ja) * 1997-07-15 1999-02-02 Komatsu Ltd 自走式破砕機械
JP3521052B2 (ja) * 1997-06-20 2004-04-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KR101040743B1 (ko) 2010-09-17 2011-06-14 주식회사 일성산업 멀티용도별 양질의 순환골재생산장치 및 방법
JP2012121007A (ja) * 2010-12-10 2012-06-28 Shizuoka Seiki Co Ltd 粉砕機
KR101391351B1 (ko) 2013-10-23 2014-05-14 민원 크러셔의 구동속도 조절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852103B1 (ko) 2017-05-22 2018-04-27 민원 절대 잔골재율 선별 및 재파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2273902B1 (ko) 2021-01-22 2021-07-05 김대수 골재의 생산속도에 기초한 제어기능을 갖는 순환골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052B2 (ja) * 1997-06-20 2004-04-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JPH1128383A (ja) * 1997-07-15 1999-02-02 Komatsu Ltd 自走式破砕機械
KR101040743B1 (ko) 2010-09-17 2011-06-14 주식회사 일성산업 멀티용도별 양질의 순환골재생산장치 및 방법
JP2012121007A (ja) * 2010-12-10 2012-06-28 Shizuoka Seiki Co Ltd 粉砕機
KR101391351B1 (ko) 2013-10-23 2014-05-14 민원 크러셔의 구동속도 조절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852103B1 (ko) 2017-05-22 2018-04-27 민원 절대 잔골재율 선별 및 재파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2273902B1 (ko) 2021-01-22 2021-07-05 김대수 골재의 생산속도에 기초한 제어기능을 갖는 순환골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522B1 (ko) 2022-02-18 2022-10-27 윤훈철 순환토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토사 생산방법
CN115301545A (zh) * 2022-09-19 2022-11-08 安徽九牛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螺纹保护器生产用原料除杂设备
CN115301545B (zh) * 2022-09-19 2023-09-26 安徽九牛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螺纹保护器生产用原料除杂设备
KR102625698B1 (ko) * 2023-07-20 2024-01-16 주식회사 구성기업 크러셔 투입량 제어를 통한 골재입도 조정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87B1 (ko) 공급량 제어 크러셔 호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CN101626836B (zh) 用于控制锥形破碎机的工艺参数的方法
EP15925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rusher, and a pointer instrument for indication of load on a crusher
AU597107B2 (en) Gyratory crusher control
JP2011525854A (ja) 粉砕工程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設備
EP3003565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crusher, a crushing system and a crushing plant
US794235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rusher and a crusher
CN111201087B (zh) 材料粉碎系统依赖于负载操作的方法
CN107552149A (zh) 一种辊式破碎机辊缝间隙自动调节装置及工作方法
CN106702871A (zh) 自行式地面铣刨机和用于对交通表面进行作业的方法
JPS645942B2 (ko)
KR101504567B1 (ko) 균등량 공급 장치를 설치한 콘크러셔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그 생산 방법
US71082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a crusher
Hulthén et al. Real-time algorithm for cone crusher control with two variables
KR20180091075A (ko) 엔진 연료 소비 제어부를 구비한 수평 분쇄기
US1033580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JP5668903B2 (ja) 竪型粉砕機
CN116133755A (zh) 在喂给装置中具有振动装置的高压辊压机
CN104525352A (zh) 一种矿用破碎机抗共振的方法及系统
JP4919158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及び竪型粉砕機
KR20120033100A (ko) 석탄 파쇄 장치 및 석탄 파쇄입도 제어 방법
JPH05104011A (ja) 竪型粉砕機の自動運転方法
KR100931236B1 (ko) 소결 연료의 입도 균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31195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rusher,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control system
JP2023131703A (ja) 砕石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