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790B1 -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790B1
KR102319790B1 KR1020190179374A KR20190179374A KR102319790B1 KR 102319790 B1 KR102319790 B1 KR 102319790B1 KR 1020190179374 A KR1020190179374 A KR 1020190179374A KR 20190179374 A KR20190179374 A KR 20190179374A KR 102319790 B1 KR102319790 B1 KR 10231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heet
pile yarn
yarn
stand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861A (ko
Inventor
김종철
성지은
최스란
신원진
Original Assignee
콜마스크 주식회사
(주)미테솔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마스크 주식회사, (주)미테솔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콜마스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7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가 수평 방향으로 직조되는 베이스층; 및 상기 그라운드사에 직조되며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를 포함하는 기립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립층에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미용액이 충진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MAS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압점을 형성하여 피부를 자극하고, 미용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을 미용액이 침지된 마스크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마스크 시트는 통상적으로 부직포 원단에 미용액이 침지되어 제조되며,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하여, 미용액을 피부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스크 시트에 이용되는 부직포 원단의 경우, 다수의 섬유사가 수평 방향으로 교락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섬유사 길이 방향의 측면만이 피부와 접하게 되기 때문에, 피부를 충분히 자극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마스크 시트의 일면에 피부에 접촉할 때 타면은 대기 중에 노출되게 되며, 따라서 부직포에 함침된 미용액의 상당수는 대기로 증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마스크 시트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압점을 형성하여 피부를 자극시키고, 미용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가 수평 방향으로 직조되는 베이스층; 및 상기 그라운드사에 직조되며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를 포함하는 기립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립층에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미용액이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는 상기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에 접하면서, 상기 피부를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점(pressing point)를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이 상기 파일사를 따라 상기 피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는 친수성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14%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상기 그라운드사의 공정 수분율 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층에 충진된 상기 미용액은 상기 베이스층으로의 투과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길이는 상기 마스크 시트의 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5 mm 이고, 상기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밀도는, 13 만개/cm2 내지 42 만개/cm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사의 굵기는 0.005D(denier) 내지 0.1D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80 GSM 내지 250 GS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 및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로 이루어지는 파일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파일사의 루프를 절단하여, 상기 그라운드사가 형성하는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파일사를 기립시키는 단계; 상기 파일사의 상단을 절삭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시트에 눈 영역, 코 영역 및 입 영역이 형성되도록 절개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시트에 미용액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파일사의 남은 상단을 연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사가 기립하여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피부 압점(pressing point)의 수를 증가시키고 마스크 시트의 피부 자극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된 파일사를 따라 미용액이 피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파일사가 모공을 보다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모공 내측으로 미용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전면 및 배면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의 연소 공정 중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의 연소 공정 중 일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섬유사를 기립시키고, 기립된 섬유사의 단부가 피부와 접촉하여 압점(pressing point)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보다 강화하는 미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이 마스크 시트로 이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렌징 패드 등 다양한 피부 부착용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전면 및 배면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마스크 시트는 피부 미용을 위해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그라운드사, 파일사)가 직조 또는 편성하여 형성되는 베이스층 및 기립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가 수평 방향으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사에는 파일사가 결합할 수 있으며, 베이스층은 파일사가 기립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파일사가 그라운드사에 결합하기 때문에 베이스층은 그라운드사뿐만 아니라, 파일사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가 조밀하게 직조되기 때문에, 베이스층은 미용액을 기립층으로 가두는 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기립층에 충진된 미용액은 베이스층으로의 투과 및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층은 파일사 및 섬유사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지 않거나, 미용액의 이동이 제한될 정도로 작은 통공만이 형성될 수 있다.
기립층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가 그라운드사에 직조되어 형성되며, 이때 파일사는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할 수 있다. 즉, 베이스층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립층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사에 의해 형성되는 기립층에 미용액이 충진될 수 있다. 미용액은 사용자의 미용, 화장 등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에센스, 콜드크림, 스킨크림, 스킨젤, 유액 및 화장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스크 시트는 기립층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기립층이 피부에 접하면,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와 접하면서 피부를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점(pressing point)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상태에서 미용액이 파일사를 통해 보다 직접적으로 피부, 특히 모공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조밀하고 다량의 피부 흡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파일사의 굵기, 밀도, 높이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피부 자극의 정도, 미용액의 충진량, 파일사의 강성 등이 결정될 수 있다.
파일사의 굵기는 기립층의 강성, 피부 자극의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굵기는 0.005D(denier) 내지 1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5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1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05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굵기는 0.01D 일 수 있다. 파일사의 굵기는 마스크 시트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하거나, 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의 파일사는 다른 영역의 파일사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굵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라운드사는 파일사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0.005D 내지 1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5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1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0.01D 내지 0.05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0.01D 일 수 있다. 그라운드사의 굵기는 마스크 시트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하거나, 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의 그라운드사는 다른 영역의 그라운드사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굵기가 적용될 수 있다.
기립층의 높이는 베이스층으로부터 (특히,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일사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기립층의 높이는, 미용액의 충진량, 마스크 시트의 무게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2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6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4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3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층의 높이는, 0.2 mm 일 수 있다. 기립층의 높이는 마스크 시트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하거나, 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높이가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층의 높이는 베이스층의 단면이 갖는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2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6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3 mm 내지 0.5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4 mm 일 수 있다. 베이스층의 높이는 마스크 시트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하거나, 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높이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의 높이는 기립층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3 mm 내지 0.5 mm 이고,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4 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립층의 높이는 베이스층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5 mm 이고,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파일사의 밀도는 단위 면적당 베이스층에 연결되는 파일사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밀도는 1000 개/cm2 내지 500000 개/cm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밀도는 100000 개/cm2 내지 500000 개/cm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밀도는 130000 개/cm2 내지 420000 개/cm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밀도는 200000 개/cm2 내지 300000 개/cm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밀도는 250000 개/cm2 내지 300000 개/cm2 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에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파일사 및 그라운사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 적어도 하나는, 단일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복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 적어도 하나의 재질은 면, 대마(hemp), 아마(linen), 저마(ramie), 황마(jute), 모, 견, 비스코스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나일론, 아크릴, 모다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비닐론, 폴리에스터(예를 들어, 폴리글리콜리드(PGA),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롤락톤(PCL),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폴리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PHB), 아디프산 폴리에틸렌(PEA), 폴리뷰틸렌 숙신네이트(PB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벡트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질에 따라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official moisture regain)이 달라지게 되며, 공정 수분율에 따라 미용액의 충진 및 전달력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수분율은, 섬유가 갖는 수분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준 상태에서 건조 시료의 무게에 대해 섬유가 흡수하고 있는 물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14%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1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8%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5%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3%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1%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 내지 0.6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0.4 % 일 수 있다. 파일사가 낮은 공정 수분율을 갖도록 하여, 미용액이 파일사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립층 내의 미용액이 피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라운드사는 파일사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파일사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공정 수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그라운드사의 공정 수분율 보다 높을 수 있다.
실시시예에 따라, 파일사에는 친수성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친수성 표면 처리는, 파일사 표면의 특성을 변화시켜, 파일사가 보다 친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사에 대한 친수성 표면 처리를 통해 미용액이 베이스층으로 이동 및 흡수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친수성 표면 처리는, 파일사에 대해 플라즈마 처리, 효소 가공, 친수성 소재 코팅, 표면 거칠기 변화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친수성 표면 처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는 마스크 시트의 안면 착용 시, 사용감을 저해하지 않는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80 GSM 내지 250 GS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100 GSM 내지 200 GS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140 GSM(grams per square meter) 내지 180 GS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140 내지 160 GS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145 GSM 내지 155 GSM일 수 있다. 상기 중량은 미용액이 침지되기 전의 마스크 시트에 대한 것이다.
마스크 시트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시트는, 파일 직물의 루프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직물은, 직물 표면에 커다란 루프(loop)가 한 면 혹은 양면에 나타나 있는 직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파일 직물을 제조한 후, 파일 직물의 루프를 절단하여 베이스층 및 기립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가 직조되면서, 베이스층 및 기립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의 직조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 시트는,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에 대응하는 절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눈 및 입에 대응하는 절개 영역은 소정의 면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코에 대응하는 절개 영역은 절개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법(400)은 파일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S410 단계), 파일사를 기립시키는 단계(S420 단계), 파일사를 절삭하는 단계(S430 단계), 절개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S440 단계) 및 미용액을 충진하는 단계(S45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파일 직물을 준비할 수 있다. 파일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 및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일사는 그라운드사와 함께 직조되되, 느슨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파일사를 기립시킬 수 있다. S420 단계는 파일사의 느슨한 루프를 절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루프가 절단됨으로써, 파일사는 일 측이 그라운드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외측으로 향하면서, 기립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파일사를 절삭할 수 있다. 파일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사의 상단 부분을 절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절삭의 정도를 조절하여, 기립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절개 성행을 수행할 수 있다. S440 단계를 통해 마스크 시트에 절개 영역 및/또는 절개선을 형성하여 눈 영역, 코 영역 및 입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마스크 시트에 미용액을 충진할 수 있다. 이때, 미용액은 기립층으로 충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방법(400)은 파일사를 연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절삭하는 공정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기립층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계는 파일사의 상단에 열 반응성 염료(무기산, 유기산 등)를 도포하고, 이후에 열을 인가하여 열 반응성 염료가 파일사와 함께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물리적인 절삭 공정에 의할 경우, 기립층의 높이는 0.4 mm 내지 0.6 mm가 한계이며,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갖기는 어렵지만, 연소 공정을 통해 기립층의 높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1회 또는 복수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의 연소 공정 중 일부를 도시한다.
마스크 시트 원단은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 반응성 염료가 파일사 상단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시트 원단은 S410 단계 내지 S430 단계에 의해 베이스층과 기립층이 형성된 마스크 시트일 수 있다. 또는, 마스크 시트 원단은 S410 단계 내지 S440 단계에 의해 베이스층과 기립층이 형성되고, 눈 영역 등에 대해 절개가 이루어진 마스크 시트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510, 520) 하단에 열 반응성 염료(550)가 수용되는 수용부(540)가 형성되고, 하측 롤러(510)가 회전하면서 열 반응성 염료(550)는 하측 롤러(510)의 표면에 인가될 수 있다. 특히, 하측 롤러(510)에는 미세 홈(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하측 롤러(510)의 표면 및 미세 홈에 열 반응성 염료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560)가 회전하는 하측 롤러(510)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표면에 인가된 열 반응성 염료(550)를 하측 롤러(51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하측 롤러(510)에는 미세 홈에만 열 반응성 염료(550)가 남게 된다.
마스크 시트 원단(530)은 하측 롤러(510) 측으로 기립층이 향하고, 상측 롤러(210) 측으로 베이스층이 향하도록 배치되어, 롤러(510, 520)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하측 롤러(510)의 미세 홈으로 기립층의 파일사가 삽입되어, 파일사의 상단에는 열 반응성 염료(550)가 도포되게 된다. 이후 마스크 시트 원단(530)에 열이 인가되어, 열 반응성 염료(550)가 파일사 중 일부와 함께 연소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 롤러(6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열 반응성 염료가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측 롤러(610)의 표면에는 미세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 원단(630)은 하측 롤러(620) 측으로 베이스층이 향하고, 상측 롤러(610) 측으로 기립층이 향하도록 배치되어, 롤러(610, 62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측 롤러(610)의 미세 통공 사이로 기립층의 파일사가 삽입되어, 파일사의 상단에는 중공을 통과하는 열 반응성 염료가 도포되게 된다. 이후 마스크 시트 원단(630)에 열이 인가되어, 열 반응성 염료가 파일사 중 일부와 함께 연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친수성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파일사 표면의 특성을 변화시켜, 파일사가 보다 친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사에 대해 플라즈마 처리, 효소 가공, 친수성 소재 코팅, 표면 거칠기 변화 등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정련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사 및/또는 파일사에서 유지, 호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마스크 시트의 가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련 용액에 그라운드사 및/또는 파일사를 소정의 시간 동안 담지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련 용액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그라운드사 및 파일사에 강성을 부여하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는 마스크 시트에 소정의 시간 동안 열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2 및 비교예1,2의 마스크 시트 제조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층의 높이 0.3 mm, 기립층의 높이 0.2 mm를 포함하는 실시예1, 베이스층의 높이 0.3 mm, 기립층의 높이 0.4 mm를 포함하는 실시예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및 2에서 파일사 및 그라운드사는 0.01D의 굵기를 가지고, 공정수분율 0.4%의 PET 100%를 재질로 하고, 파일사의 밀도는 279,936 개/cm2 로 제조되었다. 또한, 텐셀(40GSM)을 재질로 하는 비교예1, 면(50GSM)을 재질로 하는 비교예2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마스크 시트의 물 흡수 실험
실시예1,2 및 비교예1,2에 대해 물을 충분히 충진한 후, 무게 변화를 통해 물의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흡수량
(mg/cm2)
68.533 105.067 49.067 57.733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1,2는 비교예1,2에 비하여 높은 흡수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면적의 원단으로 더 많은 액체를 충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1 및 2는 기립층의 높이가 단지 0.2mm 만이 차이 나지만, 실시예2는 실시예1에 비하여 약 150%의 흡수량을 보인다. 이는 기립층의 높이에 대한 미세한 조절로 흡수량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2: 마스크 시트의 물 증발 실험
실험예1에서 실시예1,2 및 비교예1,2에 물을 충분히 충진한 후, 20분 및 24시간 후 무게 변화를 통해 물의 증발량 및 증발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실시예1, 2에서는, 베이스층을 외부에 노출하고, 기립층을 노출되지 않게 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24시간
증발량
(mg/cm2)
21.067 21.867 24.133 21.600
24시간
증발률(%)
30.74 20.81 49.18 37.41
20분
증발량
(mg/cm2)
6.475 4.473 11.835 7.878
20분
증발률(%)
9.45 4.26 24.12 13.65
증발량은 마스크 시트에 충진된 미용액 중 피부에 전달되지 않고, 대기 중으로 증발되는 미용액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2, 비교예1,2는 대체로 비슷한 24시간 증발량을 보이지만, 증발률은 실시예1,2가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1,2가 비교예1,2에 비하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흡수되면서도, 더 적은 양의 액체가 증발됨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1,2는 비교예1,2에 비하여 미용액의 전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는 시간인 20분 동안의 증발량을 살펴보면, 실시예1,2가 비교예1,2에 비하여 훨씬 더 적은 증발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마스크 시트를 실제 사용할 경우, 실시예1,2에서는 미용액의 증발 손실이 비교예1,2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마스크 시트의 품평 실험
실시예1,2 및 비교예1,2에 따른 마스크시트를 사용자에게 착용한 후, 품평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밀착력 4.5 4.0 3.5 3.0
사용감(질감) 4.5 4.5 3.0 3.5
보액력 4.5 5 3.0 4.0
유연성 3.5 3.5 3.5 3.0
합계 17 17 13 13.5
상기와 같이, 밀착력, 사용감, 보액력, 유연성 및 통기성의 모든 영역에서 실시예1,2가 비교예1,2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1,2에서 기립층을 형성하는 그라운드사가 피부와 밀도 있게 접촉하되, 각각의 그라운드사는 미세한 굵기를 가지고, 굴곡 가능하게 때문에, 기존의 마스크 시트(비교예1,2 등)에서는 느낄 수 없는 개선된 밀착력과 사용감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마스크 시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가 수평 방향으로 직조되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도록 상기 그라운드사에 직조되며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를 포함하는 기립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립층에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미용액이 충진되며,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는 상기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에 접하면서, 상기 피부를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점(pressing point)을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이 상기 파일사를 따라 상기 피부로 전달되고,
    상기 파일사의 밀도는 13 만개/cm²내지 42 만개/cm²이며,
    상기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80 GSM 내지 250 GSM 인, 마스크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친수성 표면 처리가 수행되는, 마스크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14% 이하인, 마스크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공정 수분율은 상기 그라운드사의 공정 수분율 보다 높은, 마스크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층에 충진된 상기 미용액은 상기 베이스층으로의 투과 및 이동을 제한하는, 마스크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길이는 상기 마스크 시트의 영역 별로 상이한, 마스크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인, 마스크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0.5 mm 이고, 상기 기립층의 높이는 0.1 mm 내지 1 mm 인, 마스크 시트.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굵기는 0.005D(denier) 내지 0.1D 인, 마스크 시트.
  13. 삭제
  14.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사 및 상기 그라운드사에 직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사로 이루어지는 파일 직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파일사의 루프를 절단하여, 상기 그라운드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층에 대해 상기 파일사를 기립시켜 기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사의 상단을 절삭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시트에 눈 영역, 코 영역 및 입 영역이 형성되도록 절개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시트에 미용액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기립하는 상기 파일사의 단부가 피부에 접하면서, 상기 피부를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점(pressing point)을 형성하고, 상기 미용액이 상기 파일사를 따라 상기 피부로 전달되고,
    상기 파일사의 밀도는 13 만개/cm²내지 42 만개/cm²이며,
    상기 마스크 시트의 중량은 80 GSM 내지 250 GSM 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파일사의 남은 상단을 연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179374A 2019-12-31 2019-12-31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74A KR102319790B1 (ko) 2019-12-31 2019-12-31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74A KR102319790B1 (ko) 2019-12-31 2019-12-31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61A KR20210085861A (ko) 2021-07-08
KR102319790B1 true KR102319790B1 (ko) 2021-11-01

Family

ID=7689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374A KR102319790B1 (ko) 2019-12-31 2019-12-31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7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984A (ja) * 2012-10-03 2014-04-24 Key Tranding Co Ltd シート状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KR101770764B1 (ko) * 2017-05-01 2017-08-23 (주)티엠비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822A (ko) * 2015-10-20 2017-04-28 고경찬 미용용 마스크 팩
KR101819168B1 (ko) * 2016-06-23 2018-01-17 (주)뷰티화장품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도입된 하이드로겔 팩
KR102074196B1 (ko) * 2018-05-28 2020-02-07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984A (ja) * 2012-10-03 2014-04-24 Key Tranding Co Ltd シート状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KR101770764B1 (ko) * 2017-05-01 2017-08-23 (주)티엠비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6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2451B (zh) 保液片料及面膜
JP6726422B2 (ja) 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対人用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
CN107106416B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TWI663986B (zh) 含浸化妝料之皮膚被覆片用不織布及其製造方法
ES2662147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tejidos no tejidos calandrados y calandria
TWI510688B (zh) 積層片及其製造方法
KR102213970B1 (ko)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EP2692923B1 (en) Nonwoven Materials Containing Polylactic Acid
KR20170024544A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188219B1 (ko) 누벅풍 피혁형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55566A (ja) 除吸放出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904536A (zh) 不織布以及積層不織布
JP6560488B2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KR102296842B1 (ko) 가습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기화식 가습 장치
KR102319790B1 (ko)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22412A (ja) ウェットシート用シート基材
JP6726421B2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KR101685058B1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JP7479356B2 (ja) 繊維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4442B2 (ja) 美容シート用不織布、美容シート、及び該美容シート用不織布の製造方法
KR102320056B1 (ko) 클렌징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JP5942843B2 (ja) 吸収補助シー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吸収体
KR20200066158A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JP2018150641A (ja) 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