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03B1 -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03B1
KR102319103B1 KR1020210043119A KR20210043119A KR102319103B1 KR 102319103 B1 KR102319103 B1 KR 102319103B1 KR 1020210043119 A KR1020210043119 A KR 1020210043119A KR 20210043119 A KR20210043119 A KR 20210043119A KR 102319103 B1 KR102319103 B1 KR 10231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ecipe
tim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연
조성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육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육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육각
Priority to KR102021004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조리 기기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조리 재료 정보와 상기 조리 요청 정보가 이용한 제1조리법을 제공하는 조리법 제공부; 및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조리법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조리법이 수정된 제2조리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Cooking equipment that can change recipes by reflecting user's feedback}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로 사용되는 전자 레인지, 오븐, 인덕션, 그리고 에어 프라이어 등은 투입할 재료나 원하는 조리 방식에 따라 마이크로 웨이브, 열선, 팬 등 조리 수단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사전 정의된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다.
기존의 조리기기는 세분화된 조리법이 프로그램으로 내장되어 제공되지만, 다양하고 주관적인 사람의 입맛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사용자가 자신의 입맛에 따라 조리 프로그램을 직접 수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사용자는 경험적으로 자신의 입맛에 따라 조리 기기의 온도와 시간을 조정하는데, 어떻게 조정해야 원하는 결과가 나오게 될지 알기 어려워 추가 조리로 과도하게 조리되어 버리거나, 덜 조리된 상태를 반복적으로 추가 조리함으로써 요리의 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 입맛에 최적화된 조리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조리 재료 정보와 상기 조리 요청 정보를 이용한 제1조리법을 제공하는 조리법 제공부; 및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조리법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조리법이 수정된 제2조리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리 재료 정보는 상기 조리 재료의 종류, 부위, 두께, 용량, 그리고 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요청 정보는 상기 조리 재료의 익힘 정도, 표면의 질감, 식감, 맛, 향, 그리고 육즙 및 수분 보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리법과 제2조리법은 조리 온도 또는 조리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전자 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튀김기, 수비드, 인덕션, 그리고 오븐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리법은 상기 조리 기기들 중 어느 하나로 제1조리 시간과 제1조리 온도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고, 상기 제2조리법은 상기 조리 기기들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제2조리 시간과 제2조리 온도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되, 상기 제2조리 시간이 상기 제1조리 시간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2조리 온도가 상기 제1조리 온도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리법은, 제1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 및 제2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리법은, 제3온도 구간에서 제3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 및 제4온도 구간에서 제4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온도 구간과 상기 제4온도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온도 구간 또는 상기 제2온도 구간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3조리 시간과 상기 제4조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조리 시간 또는 상기 제2조리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피드백은 상기 결과물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정보 또는 상기 결과물에 대해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조리법으로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1조리법을 제2조리법으로 수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맛에 최적화된 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조리 재료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수정된 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마다 식별 코드를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별 코드에 따라 수정된 조리법을 저장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조리부(110), 정보 수신부(120), 그리고 조리법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조리부(110)는 조리법에 따라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조리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12), 그리고 하우징(111) 내부에 제공된 조리 도구로 구성된다. 조리 도구는 전자 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튀김기, 수비드, 인덕션, 그리고 오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110)는 조리법에 따라 전자 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튀김기, 수비드, 인덕션, 그리고 오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20)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기에서 입력된 상기 정보들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들은 상기 도어(112)의 전면에 제공된 디스플레이(113)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13)로부터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들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보들은 상기 도어(112)의 전면에 제공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기(113)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기로(113)부터 상기 조리 재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리 재료 정보는 조리 재료의 종류, 부위, 두께, 등급 그리고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재료 정보는 도축 연령, 도축일, 숙성 방법 및 기간, 그리고 무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재료의 종류는 조리 재료의 대상으로, 육류를 예를 들면, 소고기, 돼지 고기, 닭고기 등을 의미한다. 조리 재료의 부위는 등심, 안심, 목살 등 고기 부위를 의미하고, 두께는 조리하고자 하는 고기의 두께를 의미하고, 등급은 지방 함량, 지방의 근육 사이 분포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 고기 품질, 예컨대 소고기의 경우 1++, 1+ 등급을 의미한다. 도축 연령은 도축되기까지의 가축의 생존 나이를 의미하고, 도축일은 가축을 도축한 일자를 의미하고, 숙성 방법 및 기간은 도축 이후 조리 재료를 보관한 방법 및 기간을 의미하고, 무게는 조리 재료의 무게를 의미한다. 용량은 조리 재료의 양을 의미하며, 몇 인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조리 요청 정보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리의 정도를 의미한다. 조리 요청 정보는 조리 재료의 익힘 정도, 표면의 질감, 식감, 맛, 향, 그리고 육즙 및 수분 보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익힘 정도는 조리 재료의 겉과 속의 익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고기를 기준으로 예를 든다면 레어, 미디움 레어, 미디움, 미디움 웰던, 그리고 웰던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면의 질감은 조리 재료의 겉면이 구워진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삭함의 정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
식감은 부드러움, 뻑뻑함, 질김, 쫄깃함 등을 의미한다.
육즙 및 수분 보존량은 조리 결과물에 함유된 육즙 및 수분의 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육즙 및 수분의 함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미디움 웰던, 바삭함 3단계, 쫄깃함, 육즙 및 수분 보존량 2단계로 조리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드백은 조리 기기(100)로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의미한다.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평가 항목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평가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가 정보 수신부(120)에 수신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평가 항목은 속이 덜 익음, 너무 뻑뻑함, 겉면이 탔음, 겉면이 바삭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평가 내용에 포함된 문장 및 단어를 분석하여 부정 요소와 불만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의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평가 내용을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껍질이 좀 더 바삭하게 조리되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아쉽네요' 라는 평가 내용을 입력하면, 이중 '아쉽네요'를 불만 요소로 추출하고, 조리 요청 정보의 관련 키워드인 '껍질'과 '바삭하게'를 불만의 내용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껍질이 바삭하지 않게 조리되었음'이 사용자 피드백 정보로 정보 수신부(120)에 수신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리 결과물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송된다. 데이터 서버에는 다양한 조리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는 조리 결과물의 이미지와 조리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키워드를 포함한다. 데이터 서버는 촬영된 이미지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추출하고, 해당 이미지의 피드백 키워드를 촬영된 이미지 정보의 사용자 피드백 정보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사용자 피드백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정보 수신부(120)에 수신된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가 반영된 조리법을 조리부(110)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수정된 조리법을 조리부(110)에 제공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1차 제공되는 조리법을 제1조리법이라 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제1조리법이 수정되어 2차 제공되는 조리법을 제2조리법이라 칭한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에 따라 조리 도구,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온도를 결정하고, 이를 조리법으로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조리법은 하나의 조리 도구로, 제1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2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온도 구간은 제2온도 구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제1조리 시간은 제2조리 시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온도 구간이 제2온도 구간과 동일할 경우, 제1조리 시간과 제2조리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제1조리 시간과 제2조리 시간이 동일할 경우, 제1온도 구간과 제2온도 구간이 상이할 수 있다.
조리 재료는 종류, 부위, 두께, 그리고 등급에 따라 열 전도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조리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예컨대, 1++ 등급, 30mm 두께를 갖는 소고기 등심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많고, 근육 사이에 지방이 잘게 분포되어 있으며 두께감이 있다. 따라서 지방을 충분히 녹여 풍미가 배가될 수 있도록, 제1조리 단계에서 오븐으로 130℃의 조리 온도로 15분 동안 조리하고, 제2조리 단계에서 190℃의 조리 온도로 10분 동안 조리할 수 있다.
1+ 등급, 15mm 두께를 갖는 소고기 안심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방이 매우 적고 단백질 위주이며, 고온에서 오래 조리하면 쉽게 과 조리되어 식감이 뻑뻑해질 수 있다. 때문에, 제1조리 단계에서 오븐으로 130℃의 조리 온도로 12분 동안 조리하고, 제2조리 단계에서 190℃의 조리 온도로 4분 동안 조리할 수 있다.
닭다리살의 경우, 껍질의 바삭함을 최대한 살려야 하며, 껍질 밑에 가려져 있는 많은 지방이 충분히 녹아야 풍미가 배가되므로, 제1 및 제2조리 단계에서 오븐으로 190℃의 조리 온도로 각각 12분씩 조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법 제공부(130)는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에 따라 다양한 제1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법 제공부(130)는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제1조리법을 수정한 제2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는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조정값을 산출하고, 조정값에 따라 제1조리법에 포함된 조리 도구, 조리 시간, 그리고 조리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정하여 제2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법에서의 온도 구간을 수정하여 제2조리법에 제공할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법에서의 제1온도 구간 또는 제2 온도 구간과 상이한 온도 구간으로 제2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법에서의 조리 시간을 수정하여 제2조리법에 제공할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법에서의 제1조리 시간 또는 제2조리 시간과 상이한 조리 시간으로 제2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조리법은 제3온도 구간에서 제3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4온도 구간에서 제4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온도 구간은 제1온도 구간과 상이한 온도 구간일 수 있다. 제4온도 구간은 제2온도 구간과 상이한 온도 구간일 수 있다. 제3조리 시간은 제1조리 시간과 상이한 조리 시간일 수 있다. 제4조리 시간은 제2조리 시간과 상이한 조리 시간 일 수 있다.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법에서의 조리 도구와 다른 조리 도구를 선택하여 제2조리법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조리법의 제1조리 단계 또는 제2조리 단계에서 전자 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튀김기, 수비드, 그리고 오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하였다면, 제2조리법에서는 다른 하나의 조리 도구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레인지는 조리 재료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히고,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오븐은 상부에서 집중 가열하므로, 조리 재료의 겉면 그릴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인덕션은 하부에서 집중 가열하므로, 조리 재료의 겉면 그릴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에어 프라이어는 하우징의 내부로 고르게 열을 확신시킬 수 있어 조리 재료의 수분 제거가 가능하고,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스팀은 하우징의 내부로 고르게 열을 확신시킬 수 있어 조리 재료의 수분 유지에 장점을 갖는다. 조리법 제공부(130)은 상술한 조리 도구의 장점에 따라 조리 도구를 선택하여 제2조리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기 평가항목들 중 '덜 익었음'을 선택하는 경우, 조리법 제공부(130)는 조리 재료를 더 익힐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여 제2조리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조리법은 조리 순서의 가장 앞에 전자 레인지의 조리 단계를 추가하여, 조리 재료의 겉과 속을 충분히 익힐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조리법은 제1조리법과 동일한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 시간을 늘리거나, 조리 온도를 높여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조리법은 제1조리법과 상이한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재료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야 할 경우 전자 레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제1조리법과 동일한 조리 기구를 이용할 경우, 제1온도 구간 보다 높은 제3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보다 긴 제3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2온도 구간보다 높은 제4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보다 짧은 제4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조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제1조리 단계의 조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조리법 제공부(130)는 제1조리 단계와 동일한 조리 효과를 내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다른 조리 기구로 제1조리 단계가 진행되도록 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오븐으로 조리함에 따라 조리 재료의 내외부를 골고루 익히는데 조리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될 경우, 조리 기구를 전자 레인지로 변경하여 제1조리 단계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평가항목들 중 '너무 뻑뻑함'을 선택하는 경우, 조리법 제공부(130)는 조리 시간을 줄이거나, 조리 온도를 낮춰 제2조리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조리법은 제1조리법과 동일한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제1온도 구간 보다 낮은 제3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보다 긴 제3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2온도 구간보다 낮은 제4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보다 긴 제4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도구로 오븐을 사용하는 경우, 제2조리법에서는 제1조리법에서보다 조리 시간을 줄이거나, 조리 온도를 낮춰 뻑뻑한 식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평가항목들 중 '너무 탔음'을 선택하는 경우, 제2조리법은 스팀 조리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스팀 조리 단계는 조리 도구로 스팀을 이용하는 단계로, 조리 순서의 가장 앞에, 또는 고온 집중 가열 구간 앞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2조리법은 제1조리법과 동일한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제1온도 구간과 동일한 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과 동일한 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2온도 구간과 동일한 제4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보다 짧은 제3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평가항목들 중 '겉면이 바삭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경우, 제2조리법은 제1조리법과 동일한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제1온도 구간과 동일한 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과 동일한 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와, 제2온도 구간과 동일한 제4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보다 긴 제3조리 시간 동안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조리법은 조리 도구로 에어 프라이어, 오븐, 그리고 인덕션을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프라이어의 출력을 강화하여 1차 조리 후, 오븐과 인덕션을 동시에 구동하여 조리 재료의 겉면을 바삭하게 2차 조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조리 기기
110: 조리부
120: 정보 수신부
130: 조리법 제공부

Claims (5)

  1. 사용자마다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식별 코드에 따라 수정된 조리법을 저장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있어서,
    조리 재료 정보와 조리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조리 재료 정보와 상기 조리 요청 정보를 이용한 제1조리법을 제공하는 조리법 제공부; 및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1조리법에 따라 조리된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조리법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조리법이 수정된 제2조리법을 제공하되,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재료 정보와 상기 조리 요청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2조리법을 상기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저장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재료 정보는 상기 조리 재료의 종류, 부위, 두께, 용량, 그리고 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요청 정보는 상기 조리 재료의 익힘 정도, 표면의 질감, 식감, 맛, 향, 그리고 육즙 및 수분 보존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리법과 제2조리법은 조리 온도 또는 조리 시간이 상이한 조리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전자 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튀김기, 수비드, 인덕션, 그리고 오븐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리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리법에서 어느 하나의 조리 기기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고,
    상기 제2조리법에서 상기 제1조리법에서 사용된 조리 기기로 조리할 경우 조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다른 하나의 조리 기기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되,
    상기 제1조리법은 제1조리 시간과 제1조리 온도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고,
    상기 제2조리법은 제2조리 시간과 제2조리 온도로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며,
    상기 제1조리 시간이 상기 제2조리 시간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1조리 온도가 상기 제2조리 온도와 상이한 조리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법은,
    제1온도 구간에서 제1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 및
    제2온도 구간에서 제2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리법은,
    제3온도 구간에서 제3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1조리 단계; 및
    제4온도 구간에서 제4조리 시간 동안 상기 조리 재료를 조리하는 제2조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온도 구간과 상기 제4온도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온도 구간 또는 상기 제2온도 구간과 상이하거나,
    상기 제3조리 시간과 상기 제4조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조리 시간 또는 상기 제2조리 시간과 상이한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은 상기 결과물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정보 또는 상기 결과물에 대해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되는 조리 기기.
KR1020210043119A 2021-04-02 2021-04-02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KR10231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19A KR102319103B1 (ko) 2021-04-02 2021-04-02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19A KR102319103B1 (ko) 2021-04-02 2021-04-02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103B1 true KR102319103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19A KR102319103B1 (ko) 2021-04-02 2021-04-02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203A1 (ja) * 2022-07-14 2024-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99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와 조리시스템 및 그 조리제어방법
JP2008057801A (ja) * 2006-08-29 2008-03-13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WO2017055317A1 (en) * 2015-09-30 2017-04-06 Koninklijke Philips N.V. Assistance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persons
KR20180134557A (ko) *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31139A (ko) * 2019-09-11 2021-03-19 정선규 체질별 조리법 자동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99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와 조리시스템 및 그 조리제어방법
JP2008057801A (ja) * 2006-08-29 2008-03-13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WO2017055317A1 (en) * 2015-09-30 2017-04-06 Koninklijke Philips N.V. Assistance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persons
KR20180134557A (ko) * 2017-06-09 2018-12-19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31139A (ko) * 2019-09-11 2021-03-19 정선규 체질별 조리법 자동 조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203A1 (ja) * 2022-07-14 2024-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1716A1 (zh) 一种烹饪方法和烹饪工具的推荐方法和系统
CN109254539B (zh) 一种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CN104730931B (zh) 一种美食交互系统和美食食谱的生成方法
CN109478261A (zh) 生成烹饪过程
JP5129167B2 (ja) 調理用オーブンおよび複数の調理技術を利用した関連方法
CN108447543A (zh) 基于烹饪设备的菜谱推送方法和装置
CN108158425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US6730890B2 (en) Programmable remote controlled cooking or bak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9033843A1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6773859B (zh) 一种智能烹饪控制方法
CN108133743A (zh) 一种信息推送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5038495A2 (en) Modulated and controlled cooking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the same
US10839175B2 (en) Decoding a custom cooking program
KR102319103B1 (ko)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조리법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
US10120553B1 (en) User interface and controller for a heating system
KR20200054361A (ko) 개인별 맞춤형 밥짓기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50088A1 (en) Recip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N116796078A (zh) 基于食材重量智能化匹配菜谱系数的方法及装置
CN109431299B (zh) 食物加工方法、装置、存储介质及烤箱
CN108134809A (zh) 一种信息推送的方法、装置和系统
US10101035B1 (en) Custom cooking program based on feedback
CN110875089A (zh) 一种基于烹饪历史记录的食谱推荐方法和烹饪厨电
WO2018194715A1 (en) Automatic heating system and method
KR102234026B1 (ko) 체질별 조리법 자동 조리기기
CN114443946A (zh) 食谱推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