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81B1 - 전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81B1
KR102318881B1 KR1020210016138A KR20210016138A KR102318881B1 KR 102318881 B1 KR102318881 B1 KR 102318881B1 KR 1020210016138 A KR1020210016138 A KR 1020210016138A KR 20210016138 A KR20210016138 A KR 20210016138A KR 102318881 B1 KR102318881 B1 KR 10231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nnector
interface
control
interfac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 신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튠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to KR102021001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고 인터페이스 PCB에 탈부착되는 제어용 PC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그리고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발전으로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 키 홈에 차량 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 시동 버튼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 키를 키홀더에 삽입하지 않고도 실외에서 도어(door)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근접하면, 차량 도어에 장착된 도어 안테나와 스마트키의 무선통신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도어 개폐와 시동의 편리함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스마트키는 해당되는 안테나와 연동하도록 암호화된 무선주파수로 설정되어 상호 통신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작동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차량용 스마트키를 분실하거나 자체 배터리 방전 또는 고장으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장치에 탑재시켜서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2,133,801는 "차량 제어장치"을 개시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2,133,801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의 복수의 관통홀 상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의 연결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신호선의 조립이 불완전하여 스마트키 PCB와 인터페이스 보드 그리고 메인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불완전하게 형성됨에 따라 스마트키 시스템의 원활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2,133,8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고 인터페이스 PCB에 탈부착되는 제어용 PC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그리고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를 포함한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제1 커넥터와 대응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회로기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이 회로기판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제어용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탐침을 포함하며, 제어용 PCB는 인터페이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탐침은 회로기판 패턴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탐침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가 회로기판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 내부에 하측 일부가 삽입되며 상측이 첨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따라 가이드부 외부로 상측이 승강되며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부, 그리고 가이드부 내부에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복원되어 접촉부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제어용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인터페이스 PCB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일측이 인터페이스 PCB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제어용 PCB의 일면을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안정된 연결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PCB에 연결되는 제어용 PCB의 고정 결합과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 제어용 PCB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인터페이스 PCB의 상측에 제어용 PCB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 제어용 PCB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탐침(2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인터페이스 PCB의 상측에 제어용 PCB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메인 PCB(10),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20)를 포함하며, 메인 PCB(10)과 인터페이스 PCB(20)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는 커넥터 투 커넥터 케이블(connector to connector cable, C to C cable)로서 메인 PCB(10)과 인터페이스 PCB(20)에 각각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PCB(10)에서 생성한 신호를 인터페이스 PCB(2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메인 PCB(10)와 인터페이스 PCB(20)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로 연결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의 개별 조립에 따른 PCB의 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별 신호선들의 연결에 따른 간섭과 신호선 조립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는 제1 커넥터(102), 케이블(104), 제2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102)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106)는 해당되는 복수의 케이블(104)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PCB(10)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targe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메인 PCB(10)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타겟 디바이스의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컨트롤러는 스마트폰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10)의 일측에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제1 커넥터(102)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PCB(Printed Circuit Board)는 제어장치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전원회로, 제어회로 또는 이에 대응하는 회로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PCB(10)는 제어부,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부는 통신모듈과 전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부는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는 메인 PCB(10)와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연결되어 메인 PCB(10)에서 생성된 신호가 전달되며,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24)이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의 일측에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제2 커넥터(106)에 연결되며, 회로기판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인터페이스 PCB(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용 PCB(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다. 여기서, 타겟 디바이스는 스마트키 또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일면에 복수의 테스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는 제어용 PCB(30) 상의 테스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는 사용자의 눌림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버튼부가 온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차량 내의 메인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상용화된 차량용 스마트키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용 PCB(3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PCB(20)도 제어용 PCB(30)에 대응하여 종류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를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별로 구비하여 메인 PCB(10)에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전자 제어장치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PCB(10)에 제1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제1 전자 제어장치를 제1 차량에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제1 전자 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제1 전자 제어장치와 페어링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제1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량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제2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제2 전자 제어장치를 제2 차량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2 전자 제어장치는 메인 PCB(10)에 결합된 제1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를 분리하고, 제2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전자 제어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용 PCB(30)의 종류에 맞는 인터페이스 PCB(20)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전자 제어장치를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되도록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인터페이스 PCB(20)와 제어용 PCB(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탐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탐침(200)은 일측이 회로기판 패턴(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제어용 PCB(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탐침(200)은 메인 PCB(10)와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 인터페이스 PCB(20)의 회로기판 패턴(24)을 통해 전달된 전기 신호를 제어용 PCB(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PCB(20)는 적용되는 형태별로 다른 제어용 PCB의 패턴(Pattern)을 커스터 마이징(customiz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에서 회로기판 패턴(24)에는 탐침(200)이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탐침(200)은 회로기판 패턴(24)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 패턴(24)은 인터페이스 PCB(20)로 전달된 신호를 해당 탐침(2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탐침(200)의 위치는 제어용 PCB(30)가 인터페이스 PCB(20)에 결합될 때 회로기판 패턴(24)의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탐침(200)은 가이드부(210), 접촉부(220), 그리고 탄성 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가 회로기판 패턴(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220)는 가이드부(210) 내부에 하측(224) 일부가 삽입되며 상측(222)이 첨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따라 가이드부(210) 외부로 상측(222)이 승강되며 인터페이스 PCB(20)와 제어용 PCB(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탄성 가압부(230)는 가이드부(210) 내부에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복원되어 접촉부(220)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220)는 가이드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용 PCB(30)의 결합으로 접촉부(220)가 압착되면서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230)는 가압된 상태에서 상부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220)를 제어용 PCB(30)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PCB(20)에 구비되어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간극을 유지시켜 불균형한 탐침(200) 접촉에 의한 제어용 PCB(30)의 처짐 및 제어용 PCB(30)내 전자적 쇼트 및 물리적인 버튼 눌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에 구비되어 인터페이스 PCB(20)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인터페이스 PCB(20)의 하단방향 구속 및 탐침(200)의 탄성에 의한 제어용 PCB(30)의 이탈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20)는 일측이 인터페이스 PCB(20)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내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용 PCB(30)의 일면을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후크의 경사면은 인터페이스 PCB(20)의 상측에서 제어용 PCB(30)의 테두리를 억지끼움으로 장착시킬 수 있으며, 경사면의 하측은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제어용 PCB(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는 메인 PCB(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결합시 내부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메인 PCB(10)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PCB(20), 그리고 제어용 PCB(30)가 수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착탈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다양한 제조사 또는 제품 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 또는 키 제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및 제어장치의 호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다양한 제조사 또는 제품 군의 차량 또는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되게 교체 장착함으로써 실제로 해당되는 전자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의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장치에 탑재시키고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차량 이외의 다양한 전자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전자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량에 제한되지 않으며, 리모컨 키 조작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TV, 에어컨, 선풍기, 청소기, 냉장고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메인 PCB 12 ; 메인 커넥터
20 ; 인터페이스 PCB 22 ; 인터페이스 커넥터
24 ; 회로기판 패턴 30 ; 제어용 PCB
100 ; 커넥터 방식 연결부 102 ; 제1 커넥터
106 ; 제2 커넥터 110 ; 지지대
120 ; 고정부 200 ; 탐침
210 ; 가이드부 220 ; 접촉부
230 ; 탄성 가압부

Claims (9)

  1.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상기 메인 PCB와 상기 인터페이스 PCB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
    상기 회로기판 패턴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용 PCB에 타측이 탄성 접촉 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탐침,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하단방향 구속과 상기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용 PCB와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상측에서 상기 탐침을 통해 탄성 접촉된 상기 제어용 PCB의 테두리를 끼움방식으로 고정하여 상기 제어용 PCB의 형태 변형없이 탄성 접촉 결합을 유지하는 전자 제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메인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탐침은 상기 회로기판 패턴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전자 제어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탐침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회로기판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하측 일부가 삽입되며 상측이 첨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 외부로 상측이 승강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PCB와 상기 제어용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구비되어 외력에 따라 압축 복원되어 상기 접촉부에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가압부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를 갖고 내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용 PCB의 일면을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KR1020210016138A 2021-02-04 2021-02-04 전자 제어장치 KR10231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38A KR102318881B1 (ko) 2021-02-04 2021-02-04 전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38A KR102318881B1 (ko) 2021-02-04 2021-02-04 전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81B1 true KR102318881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138A KR102318881B1 (ko) 2021-02-04 2021-02-04 전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94B1 (ko) * 2021-12-21 2022-12-07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JP6592635B2 (ja) * 2019-05-22 2019-10-16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照明装置、平板付コネクタ、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133801B1 (ko) 2018-10-31 2020-07-14 진유선 차량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KR102133801B1 (ko) 2018-10-31 2020-07-14 진유선 차량 제어 장치
JP6592635B2 (ja) * 2019-05-22 2019-10-16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照明装置、平板付コネクタ、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94B1 (ko) * 2021-12-21 2022-12-07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7049B (zh) 用于启动远程控制器的方法和设备
US20080147242A1 (en) Stackable thermostat
KR102318881B1 (ko) 전자 제어장치
CN107942715A (zh) 智能控制面板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TWI555391B (zh) 電器裝置遙控系統及其訊號轉換裝置與訊號轉換裝置控制方法
CN103067550A (zh) 手机测试工装检测方法
KR102475394B1 (ko) 전자 제어장치
CN111474463A (zh) 电路板测试系统、电路板测试主机及电路板测试方法
CN107240243A (zh) 一种带机械开关的智能遥控开关
US10984967B2 (en) Retrofit switch
CN207037905U (zh) 一种带机械开关的智能遥控开关
KR102339328B1 (ko) 차량용 제어 장치
KR101688333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CN110190481B (zh) 供电机构及具有其的遥控器检测设备
CN209799606U (zh) 用于交通工具的车锁和交通工具
CN105911870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家电控制方法及系统
CN102468559B (zh) 一种可遥控插线板及其遥控方法
CN213815875U (zh) 一种独立识别语音控制开关
US20220201514A1 (en) Automated remote control tester
CN218828149U (zh) 线束接通机构
CN219738813U (zh) 一种自发电按钮开关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US5172333A (en) Interfacing hand-held remote controllers for computer controlled operation
CN216844589U (zh) 灯具无线控制器
CN216904860U (zh) 隐藏穿透式无线手势控制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