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328B1 - 차량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328B1
KR102339328B1 KR1020200086330A KR20200086330A KR102339328B1 KR 102339328 B1 KR102339328 B1 KR 102339328B1 KR 1020200086330 A KR1020200086330 A KR 1020200086330A KR 20200086330 A KR20200086330 A KR 20200086330A KR 102339328 B1 KR102339328 B1 KR 10233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ode
control module
contac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921A (ko
Inventor
조원기
류제인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키
Publication of KR2021000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21A/ko
Priority to PCT/KR2021/0089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150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8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combined with personal settings of other vehicle devices, e.g. mirrors, seats, steer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개폐 및 공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추가로 차량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버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개폐 및 공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추가로 차량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제어기와 차량에 장착되어 원격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차량의 원격제어시스템에는 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차량의 손상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원격제어기에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차량과 떨어져 있는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휴대폰은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거의 모든 운전자가 휴대폰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폰과 차량의 원격제어기를 모두 소지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뿐더러 분실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제어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이 원격제어기의 습득자가 임의로 원격제어기를 작동시켜 차를 이동시키거나 차량의 내부의 귀중품을 탈취해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하나의 기기와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을 묶고자 하는 디지털 컨버전스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휴대폰에 자동차 제어기능을 부가하는 등 휴대폰에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5941호 (2020.06.29. 공개)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888호 (2012.09.03.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키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수단을 통해 차량을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몸체부; 및 차량의 스마트키용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에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연결부 및 제1 전극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 및 제2 몸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 및 외부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제어 모듈(m)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의 개폐, 원격 시동 등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m)은 스마트키의 내부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제어 모듈(m)이 스마트키에 내설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를 분실하거나 휴대하지 않는 경우 차량을 개방, 폐쇄하거나 원격 시동을 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어 모듈(m)을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키면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을 용이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버튼부(b)는 제어 모듈(m)과 연결되어 차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버튼부(b)는 사용자가 누르는 스마트키의 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어 모듈(m) 상에 위치한다. 도 2를 일례로 설명하자면, 버튼부(b)는 차량의 도어 개방, 도어 폐쇄, 트렁크 개방 및 차량 위치 경적 알림의 기능을 각각 갖는 4개의 버튼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스마트키의 버튼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b)는 후술할 접촉부(110)에 구비된 제1 전극(111)과 연결됨에 따라,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111)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전력을 공급받아 선술한 도어 개방, 도어 폐쇄, 트렁크 개방 및 차량 위치 경적 알림 등의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외부 단말"은 차량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을 뜻하고, 스마트폰, PDA 등의 단말수단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1)는 상기 제어 모듈(m)을 포함하고, 차량(c)의 내부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p)을 통해 차량용 제어 장치(1)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차량용 제어 장치(1)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키를 소지하지 않고도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는 몸체부(100, 200) 및 접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제어 모듈(m) 및 접촉부(110)가 삽입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시키며, 외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m)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몸체부는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는 제1 몸체부(100); 및 제1 몸체부(100)와 체결 고정되는 제2 몸체부(200);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선술한 제어 모듈(m)을 내부에 수용하고, 후술할 외부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차량의 개방 및 원격 시동 등 차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00)는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부(110)가 구비되며, 후술할 제2 몸체부(2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 모듈(m)을 내부에 위치시킨다.
또한, 제1 몸체부(100)는 중개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부는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중개부는 외부 단말과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단말에서 입력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제2 몸체부(200)는 제어 모듈(m)과 체결되어 제어 모듈(m)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나사 등의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제1 몸체부(100)와 체결 및 고정된다.
제2 몸체부(200)에는 제1 고정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30)는 제어 모듈(m)을 수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230)는 제어 모듈(m)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틀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 고정부(230)는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230)는 상측 방향에 제어 모듈(m)을 고정한 상태로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된다.
접촉부(110)는 제어 모듈(m)로 차량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접촉부(110)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 접촉부(11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어 모듈(m)은 제2 몸체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과 접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접촉부(110)의 하면에는 제어 모듈(m)에 형성된 복수의 버튼부(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전극(1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111)이 상기 버튼부(b)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200)는 제1 고정부(230) 상의 제2 전극(210)을 통해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술할 연결부(220)를 통해 제1 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210)은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전극(210)은 연결홈(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20)와 대응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한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제1 전극(111)과 연결된 버튼부(b)에 전력을 공급하여 궁극적으로 차량 제어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 전극(210)은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 구비되는 2개의 제2 전극(210)으로 구분되어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몸체부(100)의 일면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과 연결되기 위한 전력공급홈(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력공급홈(140)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100)는 구동되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몸체부(100)의 타면에는 초기화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초기화부는 외부 단말에서 제1 몸체부(100)를 향해 전달되는 차량의 제어 신호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초기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초기화부는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눌려지는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실수로 잘못된 제어 신호를 송출했을 때 이를 즉시 취소하고 바로잡을 수 있어, 실수에 따른 차량 피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통신 개시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통신 개시부(130)는 외부 단말과 연결 및 연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서, 버튼 형태로 구비된다. 통신 개시부(13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 개시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 몸체부(100)는 후술할 중개부를 통해 외부 단말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몸체부(100) 및 외부 단말은 블루투스 통신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거리 통신수단으로도 채택 가능하다. 한편, 제1 몸체부(100)는 후술할 제2 몸체부(200)와 체결됨으로써 제어 모듈(m)을 수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1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는 접촉부(110)의 각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해 접촉부(110)의 상하방향을 뒤집어 도시함에 따라, 도 5의 상측은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이고 도 5의 하측은 접촉부(110)의 상측 방향을 의미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11)은 버튼부(b)와 대응되도록 구비 및 연결되어, 버튼부(b)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차량 제어 기능을 실시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1 전극(111)은 접촉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버튼부(b)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전극(111)은 하나의 버튼부(b) 당 2개의 제1 전극(111)이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제1 전극(111)은 각각 하나의 버튼부(b)의 꼭지점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11)부는 버튼부(b)를 통해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전극(111)은 내부에 스프링이 포함된 포고 핀의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버튼부(b)에 의해 가압될 때 눌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110)는 제2 고정부(120)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0)는 선술한 접촉부(110)를 제1 몸체부(100) 내 배치 및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부(120)는 접촉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와 동시에 접촉부(110)와 접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110)는 제1 몸체부(100) 내 배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결홈(112)은 후술할 연결부(220)와 연결됨으로써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홈(112)은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연결부(2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홈(112)에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부(220)가 삽입됨으로써,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선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112)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2 전극(2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220)는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연결홈(112)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부(220)는 4핀 등의 규격을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1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연결부(113) 및 제1 전극(11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는 차량의 스마트키용으로 제작된 제어 모듈(m)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그런데, 제어 모듈(m)에 연결된 버튼부(b)의 위치 및 개수 등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접촉부(110)는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전극(11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접촉부(110)는 전극연결부(113) 및 전극홈부(1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연결부(113)는 제1 전극(111) 및 접촉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접촉부(110)의 하면에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11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전극연결부(113)는 각 제1 전극(111)에 대응된다.
전극홈부(1131)는 상기 전극연결부(113)에 형성되어, 제1 전극(1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기 전극연결부(113)의 하면에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위치에 전극홈부(1131)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1)은 상단이 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부(1131) 중 상기 버튼부(b)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극홈부(1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튼부(b) 및 접촉부(1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전극홈부(1131)를 선택하여 제1 전극(111)이 연결되는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제어 모듈(m)의 변경에 따라 접촉부(110)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재생산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m)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의 조립을 나타내기 위해 제2 전극(210) 및 연결부(220) 구성을 삭제하여 도시한다. 제어 모듈(m)은 제1 고정부(23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제2 전극(210)이 제어 모듈(m)과 접함에 따라,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은 향후 제1 몸체부(100)에서의 전력 공급 시 제어 모듈(m) 상의 버튼부(b)를 향해 전력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에서의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의 체결 이후 수행되는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체결을 도시한다.
접촉부(110)가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1 전극(111)이 제1 몸체부(100)의 하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체결된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은 제1 몸체부(100)와 결합되고, 나사 등의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서 고정되며, 제어 모듈(m)은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에 위치한 버튼부(b)가 제1 전극(111)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후 제1 몸체부(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한 전원 케이블 등의 전원 공급수단이 전력공급홈(140)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제1 몸체부(100) 내 연결홈(112)은 연결부(220)와 체결된 상태에서 제2 몸체부(200) 내 제2 전극(210)을 향해 전력을 전달하고,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210)과 연결된 제어 모듈(m) 상의 복수의 버튼부(b)는 외부 단말에서의 무선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 및 외부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 몸체부(100) 상의 통신 개시부(130)를 누름에 따라, 제1 몸체부(100) 및 외부 단말은 중개부를 통해 무선 연결되고, 외부 단말에서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차량의 제어를 지시하는 신호를 제1 몸체부(10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100)는 도 7에서 선술한 전기적 연결 구조에 기반하여 버튼부(b)를 전기적으로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선술한 본 발명 내 일련의 구성 및 연결구조를 통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제1 전극(111)이 물리적으로 가압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방법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무선 제어 방법은 차량 등록 단계, 입력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등록 단계는 무선 제어의 주체가 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단계로서, 외부 단말은 선술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차량의 번호, 제조사, 모델명, 연료 타입 및 기어 타입 등 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는 중개부에 저장된다.
입력 단계는 차량 등록 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단계로서 중개부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입력 단계에서 스마트키 내부의 제어 모듈(m)은 스마트키로부터 분리되어 제2 몸체부(200)와 결합되고, 제어 모듈(m)과 연결된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와 체결된다. 이후 전원 공급수단이 전력공급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0)를 향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1 몸체부(100)는 중개부와 연결된 외부 단말에서 발생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차량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버튼부(b)를 향해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버튼부(b)의 구동을 통해 차량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공유 또한 가능하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가 제어 모듈(m)을 수용한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경우, 외부 단말을 통해 차량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m: 제어 모듈 b: 버튼부
100: 제1 몸체부 111: 제1 전극
110: 접촉부 120: 제2 고정부
113: 전극연결부 1131: 전극홈부
200: 제2 몸체부 210: 제2 전극
230: 제1 고정부

Claims (8)

  1. 외부 단말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몸체부; 및
    차량의 스마트키용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m)에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 모듈(m)의 버튼부(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전극(1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111)이 상기 버튼부(b)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111)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m)에 차량의 제어 신호가 전달되며,
    상기 제어 모듈(m)의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극(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중개부를 포함하며,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접촉부(110)가 구비되는 제1 몸체부(100); 및
    상면에 상기 제2 전극(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200) 상면에는 상기 제어 모듈(m)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틀 형상의 제1 고정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부(100) 내부에는 상기 접촉부(110)의 둘레면을 따라 틀 형상의 제2 고정부(12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 모듈(m)은 상기 제1 고정부(230)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200)의 상면에 배치 및 고정되고,
    상기 접촉부(110)는 상기 제2 고정부(120)에 의해 상기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11)은 내부에 스프링이 포함된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b)와 접촉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은 스마트폰, PDA 등의 무선 단말 수단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10)의 하면에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113)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전극연결부(113)의 하면에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위치에 전극홈부(1131)가 배열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111)은 상단이 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부(1131) 중 상기 버튼부(b)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극홈부(1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튼부(b) 및 접촉부(1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KR1020200086330A 2019-07-12 2020-07-13 차량용 제어 장치 KR10233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8993 WO2022015029A1 (ko) 2019-07-12 2021-07-13 차량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4613 2019-07-12
KR1020190084613 2019-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21A KR20210007921A (ko) 2021-01-20
KR102339328B1 true KR102339328B1 (ko) 2021-12-15

Family

ID=7430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30A KR102339328B1 (ko) 2019-07-12 2020-07-13 차량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9328B1 (ko)
WO (1) WO2022015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28B1 (ko) * 2019-07-12 2021-12-15 주식회사 원키 차량용 제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80B1 (ko) * 2012-11-27 2014-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속핀 및 이를 갖는 전력 모듈 패키지
KR101840259B1 (ko) * 2016-11-04 2018-05-04 주식회사 티비씨 차량 순정리모콘을 이용한 원격도어시스템 및 원격도어제어방법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335A (ko) * 2010-02-22 2011-08-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1180888B1 (ko) 2010-10-05 2012-09-07 주식회사 대동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ⅰ)
KR20170028031A (ko) * 2015-09-03 2017-03-13 주식회사 소마테크 블루투스와 obd를 이용한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KR102339328B1 (ko) * 2019-07-12 2021-12-15 주식회사 원키 차량용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80B1 (ko) * 2012-11-27 2014-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속핀 및 이를 갖는 전력 모듈 패키지
KR101840259B1 (ko) * 2016-11-04 2018-05-04 주식회사 티비씨 차량 순정리모콘을 이용한 원격도어시스템 및 원격도어제어방법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5029A1 (ko) 2022-01-20
KR20210007921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39B2 (en) Mobile terminal and case for mobile terminal
CN105303653A (zh) 手机套车辆密钥卡
US20180184191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CN100539614C (zh) 将不同移动无线电话连接到汽车中的操纵部件的装置和接口模块
CN102857272B (zh) 短距离无线通信装置
US10075575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hone to a vehicle
KR20110022387A (ko) 이동 단말기
US20230067147A1 (en) Cradle and portable sound device
JP6187354B2 (ja) 携帯機器用カバー
KR102339328B1 (ko) 차량용 제어 장치
KR201100963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JP2014155030A (ja) 特定無線信号対応発光モジュール
KR101200985B1 (ko)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JP2014049896A (ja) 携帯端末装置、充電器および携帯端末システム
KR101580316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JP4502735B2 (ja) 電動ミシン
KR20110066741A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KR101210179B1 (ko) 차량용 스마트키
KR1014659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확장이 가능한 동글형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101119754B1 (ko) 차량도어의 무선개폐기능 및 차량의 무선 시동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EP3896667A1 (en) Improved device for the remote control of a utility
KR20200144869A (ko) 충전기 겸용 리모컨 장치
KR102162903B1 (ko) 차량 제어 장치
KR20100018380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