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5029A1 - 차량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2015029A1 WO2022015029A1 PCT/KR2021/008993 KR2021008993W WO2022015029A1 WO 2022015029 A1 WO2022015029 A1 WO 2022015029A1 KR 2021008993 W KR2021008993 W KR 2021008993W WO 2022015029 A1 WO2022015029 A1 WO 202201502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electrode
- control module
- contact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8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combined with personal settings of other vehicle devices, e.g. mirrors, seats, steering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etc. through a smartphone without carrying a vehicle smart key, and additionally sharing a vehicle.
-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carried by a driver, a receiver mounted on the vehicle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receiver.
- an alarm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vehicle is damaged, and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a driver away from the vehicle can recognize it.
- the number of mobile phone subscribers has exploded, and almost all drivers are using the mobile phone.
- it is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o possess both a mobile phone and a remote controller of a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loss still exist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sharing and managing a vehicle through a portable means such as a smart phon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mounted inside a vehicl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for the vehicle's smart key,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nd transmitting a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vehicle from outside the vehicle even in a state where the smart key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 the vehicle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a separate mechanical device. can be controlled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vehicle control us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c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ntac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and a first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control module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ody part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an external terminal;
-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a contact part (1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for the vehicle's smart key,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module (m) .
- the control module (m) is located inside the smart key for a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remote start,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m) is located inside the smart key.
- the control module (m) as described above is built into the smart ke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hicle cannot be opened, closed, or remotely started if the smart key is lost or not carri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easily through a smartphone carried by a user while locating the control module m as described above inside the vehicle.
- the button unit (b)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to control the vehicle.
- the button unit (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of the smart key pressed by the user, and is located on the control module (m). 2 as an example, the button unit (b) may b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four buttons each having functions of vehicle door opening, door closing, trunk opening, and vehicle location horn notification, respectively, and the button of the smart key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 the button part (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1 in response to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a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1 provided in the contact part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receives power and performs vehicle control functions such as door opening, door closing, trunk opening, and vehicle location horn notification.
- external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carried by a user for remote control of a vehicle, and may be variously provided as a terminal means such as a smart phone or a PDA.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vehicle control us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includes the control module m and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c.
- the user wirelessly control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p,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control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vehicle without possessing a smart key. be able to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may include body parts 100 and 200 and a contact part 110 .
- the body portion allows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unted inside the vehicle, the control module m and the contact unit 110 are inserted therein, physically isolates them from the outsi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It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odule (m) through.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00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facing downward; and a second body part 200 that is fasten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and fixed thereto.
- the first body portion 1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above-described control module m therein, and to control the vehicle, such as opening and remote starting of the vehicle, through manipulation in an external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00 is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contact part 1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control module m is provided therein, and a second body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By being coupled with the control module (m) is positioned therein.
- the first body portion 10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portion (not shown).
- the intermediary un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 the intermediary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vehicle control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terminal whil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o enabl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 the second body 20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the control module m to fix the control module m.
- the second body part 200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 a first fixing part 23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part 200 .
- the first fixing unit 23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nd fix the control module m.
- the first fixing part 230 is provided in a frame shap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m).
- the first fixing part 230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200).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art 230 is fastened by moving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module m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 the contact unit 11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m.
- the contact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 the contact part 11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the control module m moves upward in a state in which it is fastened with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10, the contact part (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 a first electrode 1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button parts b formed in the control module m, respectively, and the first electrode 111 is connected to the button.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part (b).
- the second body par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210 on the first fixing part 230, and the first body part (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 the second electrode 21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m.
- the second electrode 21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module m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2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112
- the first electrode 111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connected button unit (b) to ultimately induce vehicle control.
- the second electrode 210 is divided into two second electrodes 210 provided a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200 .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body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ower supply groove 140 for connecting to a separate power supply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00 .
- the power supply groove 140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separate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 the first body part 100 may receive power to be driven.
- an initialization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00 .
- the initialization unit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block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ward the first body unit 100 and to restore the initial state.
- the initialization unit may be provided as a button that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 a communication initiator 1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
- the communication initiator 130 is a configuration for initiating connection and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 the first body part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n intermediary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dopted a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ans.
- the first body part 100 accommodates the control module (m) by being fastened with the second body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ct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side of FIG. 5 is a downward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10
- the lower side of FIG. 5 means an upper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10 .
- the first electrode 111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unit b, and is induced to perform a vehicle control function by supplying power to the button unit b.
- the first electrode 111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10 and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button parts b, respectively.
- the first electrode 111 is provided such that two first electrodes 111 correspond to one button part b, and the two first electrodes 111 each have one button part. It may be loc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vertex of (b). Through this, the first electrode 111 unit can easily supply power through the button unit (b).
- the first electrode 11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ogo pin with a spring therein, it is positioned so as to be pressed when pressed by the button portion b. damage can be prevented.
- the contact part 110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120 and a connection part.
-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configured to arrange and fix the aforementioned contact part 110 in the first body part 100 .
-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formed in a frame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10 an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 and at the same time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rt 110 . Accordingly, the contact part 110 may continuously maintain the arrangement state in the first body part 100 .
- connection groove 112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by being connected to a connection part 2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nnection groove 112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10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nection part 220 .
- the connection part 220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12 , so that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connection unit 220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electrode 210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connection groove 112 as described above.
- the connection part 220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nection groove 112 .
-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in a pin shape having a standard such as 4 pins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12 .
- FIG.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tact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113 and the first electrod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trol device electrically controls the control module m manufactured for the vehicle smart key.
-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button units b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may vary, and the contact unit 11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1 to correspond thereto.
- the contact part 11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connection part 113 and an electrode groove part 1131 .
- the electrode connection part 113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contact part 110 .
- a plurality of electrode connection parts 1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1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10 .
- Each electrode connection part 113 corresponds to each first electrode 111 .
- the electrode groove portion 1131 is formed in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13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electrode 111 to be connected thereto.
- electrode grooves 1131 may be arranged at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 the first electrode 111 has an upper end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an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electrode groove portions 11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rtion (b) among the electrode groove portions 1131, so that the button portion ( b) and the contact part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osition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111 is connected can be easily changed by selecting the electrode groove portion 1131 ,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or reproduce the design of the contact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rol module m.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control module (m)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1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is deleted to show the assembly of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the control module m.
- the control module (m) is inserted to be position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230, and as the second electrode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rol module (m),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the control module ( m) can easily supply power toward the button part (b) on the control module (m)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body part 100 in the future.
- FIG. 9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nd the control module (m) in FIG. It shows the fastening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performed after the fastening of the.
- the contact part 11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bu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00, the second body part 200 fastened to each other ) and the control module (m) are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and are screwed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nd fix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control module (m) ) is positioned so that the button part b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11 in a stat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 Thereafter, the first body part 100 receives power by inserting a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power cable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140 .
- a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power cable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140 .
- connection groove 112 in the first body part 100 transmits power toward the second electrode 210 in the second body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it is fastened with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e first electrode ( 111) and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b on the control module m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210 may control the vehicle as power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wireless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respectively.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body unit 100 and the external terminal ar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mediary, and the external terminal operates a predetermined operation means such as an application.
- a signal instructing control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through the Through this, the first body part 100 may electrically operate and control the button part (b) bas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in FIG. 7 .
-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vehicle from outside the vehicle even when the smart key is positioned inside the vehicle compared to the prior art.
- the first electrode 111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physically pres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utton portion b, and thus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ncreased.
- the physical and electrical coupling between each component is organically mad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vehicle without a separate mechanical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 the radio control method includes a vehicle registration step, an input step, and a control step.
- the vehicle registration step is a step for recognizing a vehicle that is the subject of wireless control, and the external terminal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uch as the vehicle number, manufacturer, model name, fuel type and gear type, through operation means such as the aforementioned separate application. Enter Accordingly, the inpu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s stored in the intermediary unit.
- the input step is a step performed after the vehicle registration step, and is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to execut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stored in the intermediary unit.
- the control module (m) inside the smart key is separated from the smart key and combined with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m)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It is fastened with the part 100 .
- the power supply means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140
- the power supply toward the first body part 100 is maintained.
- the first body part 100 receives a vehicl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mediary unit, supplies power to the button unit (b)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signal, and the button unit (b)
-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of
- sharing of a vehicle is also possible through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module m is accommodated, the vehicle can be easily shared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 control module b button section
- first body 111 first electrode
- contact part 120 second fixing part
- electrode connection part 1131 electrode groove part
-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vehicle from outside the vehicle even in a state where the smart key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 the vehicle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a separate mechanical device. can be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개폐 및 공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추가로 차량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버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의 개폐 및 공조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추가로 차량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제어기와 차량에 장착되어 원격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차량의 원격제어시스템에는 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차량의 손상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원격제어기에 경보신호를 전송하여 차량과 떨어져 있는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휴대폰은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거의 모든 운전자가 휴대폰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폰과 차량의 원격제어기를 모두 소지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뿐더러 분실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제어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이 원격제어기의 습득자가 임의로 원격제어기를 작동시켜 차를 이동시키거나 차량의 내부의 귀중품을 탈취해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하나의 기기와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을 묶고자 하는 디지털 컨버전스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휴대폰에 자동차 제어기능을 부가하는 등 휴대폰에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선행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5941호 (2020.06.29. 공개)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888호 (2012.09.03.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키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수단을 통해 차량을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몸체부; 및 차량의 스마트키용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에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연결부 및 제1 전극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 및 제2 몸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단말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몸체부; 및
차량의 스마트키용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m)에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제어 모듈(m)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의 개폐, 원격 시동 등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m)은 스마트키의 내부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제어 모듈(m)이 스마트키에 내설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를 분실하거나 휴대하지 않는 경우 차량을 개방, 폐쇄하거나 원격 시동을 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어 모듈(m)을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키면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을 용이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버튼부(b)는 제어 모듈(m)과 연결되어 차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버튼부(b)는 사용자가 누르는 스마트키의 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어 모듈(m) 상에 위치한다. 도 2를 일례로 설명하자면, 버튼부(b)는 차량의 도어 개방, 도어 폐쇄, 트렁크 개방 및 차량 위치 경적 알림의 기능을 각각 갖는 4개의 버튼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스마트키의 버튼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b)는 후술할 접촉부(110)에 구비된 제1 전극(111)과 연결됨에 따라,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111)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전력을 공급받아 선술한 도어 개방, 도어 폐쇄, 트렁크 개방 및 차량 위치 경적 알림 등의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외부 단말"은 차량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을 뜻하고, 스마트폰, PDA 등의 단말수단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반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1)는 상기 제어 모듈(m)을 포함하고, 차량(c)의 내부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p)을 통해 차량용 제어 장치(1)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차량용 제어 장치(1)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키를 소지하지 않고도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는 몸체부(100, 200) 및 접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제어 모듈(m) 및 접촉부(110)가 삽입되고, 이들을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시키며, 외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m)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몸체부는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는 제1 몸체부(100); 및 제1 몸체부(100)와 체결 고정되는 제2 몸체부(200);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선술한 제어 모듈(m)을 내부에 수용하고, 후술할 외부 단말에서의 조작을 통해 차량의 개방 및 원격 시동 등 차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00)는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촉부(110)가 구비되며, 후술할 제2 몸체부(2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어 모듈(m)을 내부에 위치시킨다.
또한, 제1 몸체부(100)는 중개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부는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중개부는 외부 단말과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단말에서 입력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차량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제2 몸체부(200)는 제어 모듈(m)과 체결되어 제어 모듈(m)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나사 등의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제1 몸체부(100)와 체결 및 고정된다.
제2 몸체부(200)에는 제1 고정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30)는 제어 모듈(m)을 수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230)는 제어 모듈(m)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틀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 고정부(230)는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230)는 상측 방향에 제어 모듈(m)을 고정한 상태로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된다.
접촉부(110)는 제어 모듈(m)로 차량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접촉부(110)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 접촉부(11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어 모듈(m)은 제2 몸체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과 접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접촉부(110)의 하면에는 제어 모듈(m)에 형성된 복수의 버튼부(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전극(1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111)이 상기 버튼부(b)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200)는 제1 고정부(230) 상의 제2 전극(210)을 통해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술할 연결부(220)를 통해 제1 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210)은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2 전극(210)은 연결홈(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20)와 대응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한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제1 전극(111)과 연결된 버튼부(b)에 전력을 공급하여 궁극적으로 차량 제어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 전극(210)은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 구비되는 2개의 제2 전극(210)으로 구분되어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몸체부(100)의 일면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과 연결되기 위한 전력공급홈(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력공급홈(140)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100)는 구동되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몸체부(100)의 타면에는 초기화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초기화부는 외부 단말에서 제1 몸체부(100)를 향해 전달되는 차량의 제어 신호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초기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초기화부는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눌려지는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실수로 잘못된 제어 신호를 송출했을 때 이를 즉시 취소하고 바로잡을 수 있어, 실수에 따른 차량 피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통신 개시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통신 개시부(130)는 외부 단말과 연결 및 연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서, 버튼 형태로 구비된다. 통신 개시부(13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 개시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 몸체부(100)는 후술할 중개부를 통해 외부 단말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몸체부(100) 및 외부 단말은 블루투스 통신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거리 통신수단으로도 채택 가능하다. 한편, 제1 몸체부(100)는 후술할 제2 몸체부(200)와 체결됨으로써 제어 모듈(m)을 수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1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는 접촉부(110)의 각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해 접촉부(110)의 상하방향을 뒤집어 도시함에 따라, 도 5의 상측은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이고 도 5의 하측은 접촉부(110)의 상측 방향을 의미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11)은 버튼부(b)와 대응되도록 구비 및 연결되어, 버튼부(b)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차량 제어 기능을 실시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1 전극(111)은 접촉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버튼부(b)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전극(111)은 하나의 버튼부(b) 당 2개의 제1 전극(111)이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제1 전극(111)은 각각 하나의 버튼부(b)의 꼭지점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전극(111)부는 버튼부(b)를 통해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전극(111)은 내부에 스프링이 포함된 포고 핀의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버튼부(b)에 의해 가압될 때 눌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110)는 제2 고정부(120)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0)는 선술한 접촉부(110)를 제1 몸체부(100) 내 배치 및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부(120)는 접촉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와 동시에 접촉부(110)와 접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110)는 제1 몸체부(100) 내 배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결홈(112)은 후술할 연결부(220)와 연결됨으로써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홈(112)은 접촉부(11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연결부(2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홈(112)에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부(220)가 삽입됨으로써,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선술한 바와 같이 연결홈(112)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2 전극(2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220)는 제2 몸체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연결홈(112)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부(220)는 4핀 등의 규격을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1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연결부(113) 및 제1 전극(11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는 차량의 스마트키용으로 제작된 제어 모듈(m)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그런데, 제어 모듈(m)에 연결된 버튼부(b)의 위치 및 개수 등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접촉부(110)는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전극(11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의 접촉부(110)는 전극연결부(113) 및 전극홈부(1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연결부(113)는 제1 전극(111) 및 접촉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접촉부(110)의 하면에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11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전극연결부(113)는 각 제1 전극(111)에 대응된다.
전극홈부(1131)는 상기 전극연결부(113)에 형성되어, 제1 전극(1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기 전극연결부(113)의 하면에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위치에 전극홈부(1131)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1)은 상단이 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부(1131) 중 상기 버튼부(b)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극홈부(1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튼부(b) 및 접촉부(1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전극홈부(1131)를 선택하여 제1 전극(111)이 연결되는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제어 모듈(m)의 변경에 따라 접촉부(110)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재생산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m)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의 조립을 나타내기 위해 제2 전극(210) 및 연결부(220) 구성을 삭제하여 도시한다. 제어 모듈(m)은 제1 고정부(23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제2 전극(210)이 제어 모듈(m)과 접함에 따라,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은 향후 제1 몸체부(100)에서의 전력 공급 시 제어 모듈(m) 상의 버튼부(b)를 향해 전력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에서의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의 체결 이후 수행되는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체결을 도시한다.
접촉부(110)가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1 전극(111)이 제1 몸체부(100)의 하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체결된 제2 몸체부(200) 및 제어 모듈(m)은 제1 몸체부(100)와 결합되고, 나사 등의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제1 몸체부(100)의 하측 방향에서 고정되며, 제어 모듈(m)은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에 위치한 버튼부(b)가 제1 전극(111)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후 제1 몸체부(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한 전원 케이블 등의 전원 공급수단이 전력공급홈(140)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제1 몸체부(100) 내 연결홈(112)은 연결부(220)와 체결된 상태에서 제2 몸체부(200) 내 제2 전극(210)을 향해 전력을 전달하고,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210)과 연결된 제어 모듈(m) 상의 복수의 버튼부(b)는 외부 단말에서의 무선 신호에 각각 대응하여 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 및 외부 단말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 몸체부(100) 상의 통신 개시부(130)를 누름에 따라, 제1 몸체부(100) 및 외부 단말은 중개부를 통해 무선 연결되고, 외부 단말에서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차량의 제어를 지시하는 신호를 제1 몸체부(10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 제1 몸체부(100)는 도 7에서 선술한 전기적 연결 구조에 기반하여 버튼부(b)를 전기적으로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선술한 본 발명 내 일련의 구성 및 연결구조를 통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제1 전극(111)이 물리적으로 가압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방법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무선 제어 방법은 차량 등록 단계, 입력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등록 단계는 무선 제어의 주체가 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단계로서, 외부 단말은 선술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차량의 번호, 제조사, 모델명, 연료 타입 및 기어 타입 등 차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된 상기 차량에 관한 정보는 중개부에 저장된다.
입력 단계는 차량 등록 단계 이후에 실시되는 단계로서 중개부에 저장된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입력 단계에서 스마트키 내부의 제어 모듈(m)은 스마트키로부터 분리되어 제2 몸체부(200)와 결합되고, 제어 모듈(m)과 연결된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와 체결된다. 이후 전원 공급수단이 전력공급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0)를 향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1 몸체부(100)는 중개부와 연결된 외부 단말에서 발생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차량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버튼부(b)를 향해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버튼부(b)의 구동을 통해 차량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공유 또한 가능하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 장치가 제어 모듈(m)을 수용한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경우, 외부 단말을 통해 차량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호의 설명]
m: 제어 모듈 b: 버튼부
100: 제1 몸체부 111: 제1 전극
110: 접촉부 120: 제2 고정부
113: 전극연결부 1131: 전극홈부
200: 제2 몸체부 210: 제2 전극
230: 제1 고정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마트키를 차량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각 구성 간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결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 장치가 없이도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8)
- 외부 단말을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몸체부; 및차량의 스마트키용 제어 모듈(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 모듈(m)에 차량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 모듈(m)의 버튼부(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전극(111)이 각각 형성되며,상기 제1 전극(111)이 상기 버튼부(b)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상기 제1 전극(111)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m)에 차량의 제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모듈(m)의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m)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극(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111)은 내부에 스프링이 포함된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b)와 접촉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는,상기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중개부를 포함하고, 하측 방향을 향하는 하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접촉부(110)가 구비되는 제1 몸체부(100); 및상면에 상기 제2 전극(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는 제2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2 몸체부(200) 상면에는 상기 제어 모듈(m)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틀 형상의 제1 고정부(230)가 구비되고,상기 제1 몸체부(100) 내부에는 상기 접촉부(110)의 둘레면을 따라 틀 형상의 제2 고정부(120)가 구비되어,상기 제어 모듈(m)은 상기 제1 고정부(230)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200)의 상면에 배치 및 고정되며,상기 접촉부(110)는 상기 제2 고정부(120)에 의해 상기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단말은 스마트폰, PDA 등의 무선 단말 수단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부(110)의 하면에 상기 접촉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연결부(113)가 복수개 형성되고,상기 전극연결부(113)의 하면에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위치에 전극홈부(1131)가 배열 형성되며,상기 제1 전극(111)은 상단이 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홈부(1131) 중 상기 버튼부(b)에 대응되는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극홈부(11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튼부(b) 및 접촉부(1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84613 | 2019-07-12 | ||
KR10-2020-0086330 | 2020-07-13 | ||
KR1020200086330A KR102339328B1 (ko) | 2019-07-12 | 2020-07-13 | 차량용 제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15029A1 true WO2022015029A1 (ko) | 2022-01-20 |
Family
ID=7430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1/008993 WO2022015029A1 (ko) | 2019-07-12 | 2021-07-13 | 차량용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328B1 (ko) |
WO (1) | WO20220150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328B1 (ko) * | 2019-07-12 | 2021-12-15 | 주식회사 원키 | 차량용 제어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6335A (ko) * | 2010-02-22 | 2011-08-3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
KR101443980B1 (ko) * | 2012-11-27 | 2014-09-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접속핀 및 이를 갖는 전력 모듈 패키지 |
KR20170028031A (ko) * | 2015-09-03 | 2017-03-13 | 주식회사 소마테크 | 블루투스와 obd를 이용한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
KR101840259B1 (ko) * | 2016-11-04 | 2018-05-04 | 주식회사 티비씨 | 차량 순정리모콘을 이용한 원격도어시스템 및 원격도어제어방법 |
KR101885226B1 (ko) * | 2018-05-18 | 2018-08-03 | 주식회사 스페셜원 |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
KR20210007921A (ko) * | 2019-07-12 | 2021-01-20 | 주식회사 원키 | 차량용 제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0888B1 (ko) | 2010-10-05 | 2012-09-07 | 주식회사 대동 |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ⅰ) |
KR102676239B1 (ko) | 2018-12-13 | 2024-06-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2020
- 2020-07-13 KR KR1020200086330A patent/KR1023393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13 WO PCT/KR2021/008993 patent/WO202201502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6335A (ko) * | 2010-02-22 | 2011-08-3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
KR101443980B1 (ko) * | 2012-11-27 | 2014-09-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접속핀 및 이를 갖는 전력 모듈 패키지 |
KR20170028031A (ko) * | 2015-09-03 | 2017-03-13 | 주식회사 소마테크 | 블루투스와 obd를 이용한 스마트키 제어 시스템 |
KR101840259B1 (ko) * | 2016-11-04 | 2018-05-04 | 주식회사 티비씨 | 차량 순정리모콘을 이용한 원격도어시스템 및 원격도어제어방법 |
KR101885226B1 (ko) * | 2018-05-18 | 2018-08-03 | 주식회사 스페셜원 |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
KR20210007921A (ko) * | 2019-07-12 | 2021-01-20 | 주식회사 원키 | 차량용 제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328B1 (ko) | 2021-12-15 |
KR20210007921A (ko) | 202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0046024A1 (ko) |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 |
WO2018124416A1 (en) | Wireless sound equipment | |
WO2019139371A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 |
WO2016186284A1 (ko) |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 |
WO2017119555A1 (en) | Portable camera | |
WO2019151788A1 (ko) |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시스템 | |
WO2022015029A1 (ko) | 차량용 제어 장치 | |
WO2014204114A1 (ko) | 키 입력 장치, 키 입력 인식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 |
WO2017065377A1 (ko) | 벽면 부착형 터치 스위치 | |
WO2011105715A2 (ko) |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 |
WO2016056759A1 (ko) | 다기능 벨트 | |
WO2021010566A1 (ko) | 듀얼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 |
WO2014092259A1 (ko) | 무선충전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WO2019168291A1 (ko) |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해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
WO2016163610A1 (ko) | 전자장치 | |
WO2021235584A1 (ko) |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 |
WO2015194716A1 (ko) | 이동 단말기 | |
WO2017179771A1 (en) | Portable keyboard | |
WO2016186267A1 (ko) | 비콘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기와의 페어링 방법 및 차량용 단말기 | |
WO2011132979A2 (ko) | 휴대용 마우스 | |
JPH08237345A (ja) | 無線電話機用充電台並びに無線電話機の充電及びデー タ伝送システム | |
WO2018110721A1 (ko)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
WO2013154302A1 (ko) |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 |
WO2015068994A1 (ko) | 공진주파수 가변방식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그 방법 | |
WO2021029515A1 (ko) | 차량 제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18421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218421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