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801B1 - 차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801B1
KR102133801B1 KR1020180131811A KR20180131811A KR102133801B1 KR 102133801 B1 KR102133801 B1 KR 102133801B1 KR 1020180131811 A KR1020180131811 A KR 1020180131811A KR 20180131811 A KR20180131811 A KR 20180131811A KR 102133801 B1 KR102133801 B1 KR 10213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vehicle
interface board
connection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029A (ko
Inventor
진유선
Original Assignee
진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유선 filed Critical 진유선
Priority to KR102018013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8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게 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복수의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PCB; 상기 스마트키 PCB 상의 테스트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을 탑재한 인터페이스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하부에 위치하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연결핀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스트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메인 PC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차량 제어 장치에 탑재시키고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R}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게 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고도 실외에서 도어(door)를 개폐하고, 나아가 스마트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 키 홈에 키 삽입과정 없이 시동 버튼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차량용 스마트키에 의한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다가서서 도어 개폐 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도어핸들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안테나가 스마트키를 감지하여 도어를 여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를 지닌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의 운전석에 착석하여 시동 버튼 스위치를 작동할 경우, 실내 안테나가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를 감지하여 시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차량용 스마트키에는 실내 안테나와 연동하는 암호화된 무선주파수로 세팅되어 있으며, 무선으로 통신되는 암호코드가 스마트키와 실내 안테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 및 시동의 편리함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유사한 기능의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다만, 차량용 스마트키는 휴대용 리튬이온 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지가 방전된 경우 스마트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사이즈가 소형이어서, 분실의 위험이 높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1293호(공고일: 2012년01월04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마트키 이탈 경보 시스템)는 차량에 설치되어 일정 규칙으로 암호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신호발생부; 스마트키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발생부의 통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신호발생부에 회신하는 신호응답부; 상기 신호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되, 상기 신호발생부와 신호응답부 간의 거리를 연산하여 입력된 기준 거리를 이탈 여부 또는 응답신호의 회신 여부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 상기 신호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차량의 내부와 상기 스마트키에 각각 모듈(module) 형태로 설치되며, 경보신호는 시각이나 청각 또는 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보발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GPS 맵이 내장되며, 상기 스마트키에 장착되는 GPS 모듈을 통해 GPS 좌표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위치추적부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승차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과 일정거리 이상 이탈되거나 상기 신호발생부에 상기 신호응답부의 응답신호가 회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부를 통해 탑승자가 한 명이라도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발생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이탈경보 시스템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1293호는 스마트키와 차량의 거리에 따른 경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분실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미비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1284호(공개일: 2016년05월11일,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스마트키)는 스마트키 본체와 상기 스마트키 본체가 착탈되고,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혁대의 버클로 구성되며, 스마트키 본체의 양쪽으로 결합돌출부와 안내홈이 형성되고, 결합돌출부의 하부 양쪽에는 걸림편이 출몰하도록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은 스마트키 본체에 형성된 버턴 작동공간부와 연결되어 직동캠돌부가 형성된 걸림편이 각각 결합되고 직동캠돌부 사이에는 걸림편을 외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개재되며, 버턴 작동공간부에는 직동캠돌부의 외부에는 걸림편을 내측으로 당겨주기 위한 직동캠요부를 갖는 버턴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혁대의 버클 양쪽에는 스마트키 본체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와 안내홈이 결합되도록 결합홈과 걸림편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하부에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스마트키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편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를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1284호는 스마트키 보관 관련 기술로 스마트키를 휴대함에 따른 분실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101293호(공고일: 2012년01월04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마트키 이탈 경보 시스템)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1284호(공개일: 2016년05월11일,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스마트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전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에 적용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복수의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PCB; 상기 스마트키 PCB 상의 테스트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을 탑재한 인터페이스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 하부에 위치하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연결핀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스트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메인 PC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 일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PCB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차량 제어 장치에 탑재시키고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EC(Electric Control)을 위한 별도의 배선 작업은 전혀 필요 없을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어 배터리 방전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키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보드 상의 복수의 관통홀 상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스마트키 기판의 테스트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스마트키 기판의 테스트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키 PCB(10), 인터페이스 보드(20), 메인 PCB(30), 하부 케이스(40), 상부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30)는 하부 케이스(40)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메인 PCB(30) 상부에 인터페이스 보드(20)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스 보드(20)에 스마트키 PCB(10)가 거치될 수 있다. 메인 PCB(30), 인터페이스 보드(20), 스마트키 PCB(10)가 순차로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4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50)와 하부 케이스(40)가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케이싱 될 수 있다.
스마트키 PCB(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12)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눌림과 복귀를 하면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면 해당 스위치에 할당된 동작(도어 오픈/트렁크 오픈) 수행을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키(10)가 차량 내의 메인 콘트롤러(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20)는 기 설정된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2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21) 상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22)을 통해 스마트키 PCB(10)와 메인 PCB(30) 간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키는 상용화된 모든 차량용 스마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 PCB(10)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내장된 PCB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상용화된 모든 스마트키 PCB(10)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한다. 도 2는 LOCK/UNLOCK/TRUNK/ALARM 등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 단자를 가지는 스마트키 PCB를 예시한다. 상기 스마트키 PCB는 제조 단계에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각각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 단자를 포함한다. 테스트 단자는 택트 스위치(12)와 제어부(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택트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 그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테스트 단자에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흘려준 후 제어부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키 PCB의 불량/정상 판정을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 단자를 사용해 스마트키 PCB(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는 상기와 같이, 스마트키 PCB(10), 인터페이스 보드(20), 메인 PCB(30), 하부 케이스(40), 상부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 PCB(10)는 복수의 테스트 단자(11)와 복수의 택트 스위치(12)를 포함할 수 있다.도 3은 테스트 단자(11)와 택트 스위치(12)가 3개인 것을 예시한다. 3 개의 택트 스위치(12)는 각각 LOCK/UNLOCK/TRUNK에 대한 것이며, 3 개의 테스트 단자(11)는 각각 택트 스위치(12)에 대응한 테스트 단자일 수 있다. 3개의 테스트 단자(11)는 하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PCB 기판 상에 설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20)는 복수의 관통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페이스 보드(20)의 상부에 스마트키 PCB(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보드(20)는 스마트키 PCB(10)가 거치되어 고정 설치되기 위한 거치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 PCB(10)가 인터페이스 보드(2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한 그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보드(20)는 메인 PCB(30)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보드(20)는 하부에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0)를 통해 인터페이스 보드(20)는 하부 케이스(40)에 안착되면서 메인 PCB(30)와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1)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스마트키 PCB(10)의 복수의 테스트 단자(11)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스마트키 PCB(10)를 인터페이스 보드(20)에 고정하였을 때 테스트 단자(11)가 위치하는 곳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위치에 광통홀(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스마트키 PCB(10)의 사이즈 및 형상을 고려하여 스마트키 PCB(10)를 스마트키 PCB 상의 테스트 단자(11)가 모두 관통홀(21)에 대응되도록 인터페이스 보드(20)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관통홀(21) 중 테스트 단자(11)가 위치하는 관통홀(21)에 연결핀(22)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연결핀(22)는 접속부(22a), 본체(22b), 거치부(22c), 연결부(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2a), 본체(22b), 거치부(22c), 연결부(22d)는 도전체일 수 있다. 본체(22b)는 중공형으로 내부에 탄성수단(예를 들어, 스프링, 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부(22a)의 하부는 본체(22b)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접속부(22a)는 본체(22b)와 밀착되는 것에 의해 접속부(22a)와 본체(22b)가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할 수 있다. 거치부(23c)는 광통홀(21)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하부면이 인터페이스 보드(2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2d)는 거치부(23c)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광통홀(21)을 관통하고 하부는 인터페이스 보드(20)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부(22d)는 본체(2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테스트 단자(11)가 접속부(22a)를 압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에 의해 테스트 단자(11)는 접속부(2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체(22b) 내부의 탄성부재는 상부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접속부(22a)를 보다 견고하게 테스트 단자(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22a)의 상단은 거치부(23)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PCB(12)는 콘트롤러(31), 연결단자 모듈(32), 통신모듈(33), 전원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자 모듈(32)은 복수의 연결단자(3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단자(32a) 각각은 복수의 연결핀(22) 각각과 연결선(L)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33)은 외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블루트스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을 통해 콘트롤러(31)는 택트 스위치(12) 각각의 기능(LOCK/UNLOCK/TRUNK 등)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31)는 통신모듈(33)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한 테스트 단자(11)에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31)는 전원 모듈(3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 레벨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신호에 의해 파악된 택트 스위치 기능 대응한 연결단자(32a)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결단자(32a), 연결선(L), 연결핀(22)을 경유하여 테스트 단자(11)에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주지된 바와 같이, 해당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으로 스마트키 PCB(10) 상의 제어부는 인식할 수 있고, 스마트키 PCB 상의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메인 콘트롤러로 해당 택트 스위치(12)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전원 모듈(34)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고정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차량 제어 장치에 탑재시키고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EC(Electric Control)을 위한 별도의 배선 작업은 전혀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어 배터리 방전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키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차량 제어 장치
10: 스마트키 PCB
20: 인터페이스 보드
30: 메인 PCB
40: 하부케이스
50: 상부케이스

Claims (3)

  1. 인터페이스 보드 상의 복수의 관통홀 상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수용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테스트 단자(11)를 포함하는 스마트키 PCB(10);
    상기 스마트키 PCB(10) 상의 테스트 단자(11)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22)을 탑재한 인터페이스 보드(20); 및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 하부에 위치하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연결핀(22)을 통해 상기 복수의 테스트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메인 PCB(30)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는 복수의 관통홀(21)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22)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21) 중 일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는 상기 스마트키 PCB(10)가 거치되어 고정 설치되기 위한 거치부(23)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는 하부에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는 상기 지지부(24)를 통해 하부케이스(40)에 안착되면서 상기 메인 PCB(30)와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2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스마트키 PCB(10)의 복수의 테스트 단자(11)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21) 중 테스트 단자(11)가 위치하는 관통홀(21)에 상기 연결핀(22)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핀(22)은 접속부(22a), 본체(22b), 거치부(22c) 및 연결부(22d)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2a), 본체(22b), 거치부(22c) 및 연결부(22d)는 도전체이고,
    상기 본체(22b)는 중공형으로 내부에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22a)의 하부는 상기 본체(22b)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거치부(22c)는 상기 관통홀(21)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하부면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연결부(22d)는 상기 거치부(22c)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관통홀(21)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부(22d)의 하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0)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테스트 단자(11)는 상기 접속부(22a)를 압착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메인 PCB(30)는 콘트롤러(31), 연결단자 모듈(32), 통신모듈(33) 및 전원 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 모듈(32)은 복수의 연결단자(32a)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32a) 각각은 복수의 연결핀(22) 각각과 연결선(L)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신모듈(33)은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모듈(33)을 통해 상기 콘트롤러(31)는 택트 스위치(12) 각각의 기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콘트롤러(31)는 상기 통신모듈(33)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한 테스트 단자(11)에 상기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콘트롤러(31)는 전원 모듈(3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 레벨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신호에 의해 파악된 택트 스위치 기능 대응한 연결단자(32a)로 공급하고,
    상기 연결단자(32a), 연결선(L) 및 연결핀(22)을 경유하여 상기 테스트 단자(11)에 상기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스마트키 PCB(10) 상의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를 공급 받은 테스트 단자(11)에 대응한 택트 스위치(12)가 온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마트키 PCB(10) 상의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메인 콘트롤러로 상기 전기 신호가 공급된 테스트 단자(11)에 대응한 택트 스위치(12)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30)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KR1020180131811A 2018-10-31 2018-10-31 차량 제어 장치 KR10213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11A KR102133801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11A KR102133801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29A KR20200049029A (ko) 2020-05-08
KR102133801B1 true KR102133801B1 (ko) 2020-07-14

Family

ID=7067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811A KR102133801B1 (ko) 2018-10-31 2018-10-31 차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881B1 (ko) 2021-02-04 2021-10-28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KR102475394B1 (ko) 2021-12-21 2022-12-07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79Y1 (ko) * 2021-10-26 2022-06-08 주식회사 스페셜원 차량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341B1 (ko) * 2000-11-14 2004-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소켓
KR101101293B1 (ko) 2011-04-15 2012-01-04 손순호 차량용 스마트키 이탈경보 시스템
KR20160051284A (ko) 2014-11-03 2016-05-11 박정환 자동차용 스마트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26B1 (ko) *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881B1 (ko) 2021-02-04 2021-10-28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KR102475394B1 (ko) 2021-12-21 2022-12-07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29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801B1 (ko) 차량 제어 장치
US8653390B2 (en)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hicle
KR100966498B1 (ko) 스위치 장치
US9563996B2 (en) Radio key for a vehicle
US7248901B2 (en) Arrangement for handling a communication device
US20160087485A1 (en) In-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5303653A (zh) 手机套车辆密钥卡
US7576636B2 (en) Driver authorization system
US20100188192A1 (en)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US9058704B2 (en) Electronic vehicle key
CN104703129A (zh) 用于激活车辆便利性功能的用户接近检测
US8334750B2 (en) Integrated antenna module for push button start vehicle and emergency start method using the same
JP6911780B2 (ja) 携帯機、及び、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CN109496186B (zh) 具有充电线识别装置的电动车
US20180110113A1 (en) Method and indicating system for a vehicle
KR101757208B1 (ko) 스마트 자물쇠
KR20050048657A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CN108091810B (zh) 具有由互连件连接的母板和电池子板的远程控制设备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JP5984216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2016216963A (ja) 施解錠案内照明システム
KR20120046407A (ko) 안테나 통합형 버튼시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버튼시동 차량의 비상시동 방법
KR101119754B1 (ko) 차량도어의 무선개폐기능 및 차량의 무선 시동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88074B1 (ko) 정품배터리식별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2162903B1 (ko) 차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