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394B1 - 전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394B1
KR102475394B1 KR1020210183860A KR20210183860A KR102475394B1 KR 102475394 B1 KR102475394 B1 KR 102475394B1 KR 1020210183860 A KR1020210183860 A KR 1020210183860A KR 20210183860 A KR20210183860 A KR 20210183860A KR 102475394 B1 KR102475394 B1 KR 10247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fixing
interface
connec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영
허명구
이기창
형 신
송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튠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튠잇
Priority to KR102021018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고 인터페이스 PCB에 탈부착되는 제어용 PC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회로기판 패턴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용 PCB에 타측이 탄성 접촉 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탐침,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인터페이스 PCB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고, 고정 지지부는 인터페이스 PCB에 하측 일부가 결합되며, 상측 일부가 제어용 PCB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 지지부, 그리고 제1 고정 지지부에 결합되어 제어용 PCB의 상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발전으로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 키 홈에 차량 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 시동 버튼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 키를 키홀더에 삽입하지 않고도 실외에서 도어(door)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근접하면, 차량 도어에 장착된 도어 안테나와 스마트키의 무선통신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도어 개폐와 시동의 편리함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스마트키는 해당되는 안테나와 연동하도록 암호화된 무선주파수로 설정되어 상호 통신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작동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차량용 스마트키를 분실하거나 자체 배터리 방전 또는 고장으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장치에 탑재시켜서 무선 통신으로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2,133,801는 "차량 제어장치"을 개시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2,133,801는 인터페이스 보드 상의 복수의 관통홀 상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의 연결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신호선의 조립이 불완전하여 스마트키 PCB와 인터페이스 보드 그리고 메인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불완전하게 형성됨에 따라 스마트키 시스템의 원활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2,133,8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고 인터페이스 PCB에 탈부착되는 제어용 PCB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회로기판 패턴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용 PCB에 타측이 탄성 접촉 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탐침,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인터페이스 PCB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고, 고정 지지부는 인터페이스 PCB에 하측 일부가 결합되며, 상측 일부가 제어용 PCB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 지지부, 그리고 제1 고정 지지부에 분리 결합구조로 구비되며, 제1 고정 지지부에 결합되어 제어용 PCB의 상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지지부는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단부는 인터페이스 PCB에 결합되는 제1 고정 걸림부, 제1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면이 인터페이스 PCB의 상면과 접하며, 상면이 제어용 PCB의 하면에 접하여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제2 고정 걸림부, 제2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측면이 제어용 PCB의 측면과 접하여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제3 고정 걸림부, 그리고 제3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고정 지지부가 결합되는 제4 고정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고정 걸림부는 제3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2 고정 지지부가 안착되는 보디부, 그리고 보디부의 상측에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고정 지지부의 끼움 장착을 안내하며, 보디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디부의 길이는 제2 고정 지지부의 두께와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 걸림부의 길이는 제어용 PCB의 두께와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는 중공의 안착홀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는 안착홀을 통해 헤드부에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보디부에 안착되며, 하측 일면이 제어용 PCB의 상측 일면과 탄성 접촉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제1 커넥터와 대응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회로기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탐침은 회로기판 패턴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제어용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안정된 연결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PCB에 연결되는 제어용 PCB의 고정 결합과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 제어용 PCB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가 고정 지지부를 통해 연결된 관계를 도시한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제품 사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메인 PCB와 인터페이스 PCB, 제어용 PCB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에서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가 고정 지지부를 통해 연결된 관계를 도시한 제품 사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인터페이스 PCB와 제어용 PCB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제품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메인 PCB(10), 인터페이스 PCB(20), 탐침(200), 고정 지지부(120, 130)를 포함한다.
메인 PCB(10)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targe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메인 PCB(10)는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타겟 디바이스의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컨트롤러는 스마트폰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CB(Printed Circuit Board)는 제어장치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전원회로, 제어회로 또는 이에 대응하는 회로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PCB(10)는 제어부,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부는 통신모듈과 전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부는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는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24)이 형성될 수 있다.
탐침(200)은 회로기판 패턴(24)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 PCB(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용 PCB(30)에 타측이 탄성 접촉 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탐침(200)은 일측이 회로기판 패턴(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제어용 PCB(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PCB(20)는 적용되는 형태별로 다른 제어용 PCB의 패턴(Pattern)을 커스터 마이징(customiz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에서 회로기판 패턴(24)에는 탐침(200)이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탐침(200)은 회로기판 패턴(24)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 패턴(24)은 인터페이스 PCB(20)로 전달된 신호를 해당 탐침(20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탐침(200)의 위치는 제어용 PCB(30)가 인터페이스 PCB(20)에 결합될 때 회로기판 패턴(24)의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120, 130)는 인터페이스 PCB(20)에 구비되어 인터페이스 PCB(20)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120, 130)는 제1 고정 지지부(120), 제2 고정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지지부(120)는 인터페이스 PCB(20)에 하측 일부가 결합되며, 상측 일부가 제어용 PCB(3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고정 지지부(120)는 인터페이스 PCB(20)와 제어용 PCB(30)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단부는 제1 고정 걸림부(121), 제2 고정 걸림부(123), 제3 고정 걸림부(125), 그리고 제4 고정 걸림부(127, 1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걸림부(121)는 원주형의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터페이스 PCB(20)에 결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에는 제1 고정 걸림부(121)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 걸림부(121)는 인터페이스 PCB(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걸림부(121)는 인터페이스 PCB(20)에 체결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걸림부(121)는 인터페이스 PCB(20)에 납땜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제1 고정 걸림부(121)에서 인터페이스 PCB(20)와 접하는 부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걸림부(123)는 제1 고정 걸림부(121)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면이 인터페이스 PCB(20)의 상면과 접하며, 상면이 제어용 PCB(30)의 하면에 접하여 제어용 PCB(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걸림부(123)는 제1 고정 걸림부(121)의 크기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걸림부(123)의 크기는 인터페이스 PCB(20)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여 지지되며, 상면이 제어용 PCB(30)의 하면에 접하여 제어용 PCB(30)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걸림부(123)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고정 걸림부(123)의 원주방향 지름은 제1 고정 걸림부(121)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3 고정 걸림부(125)는 제2 고정 걸림부(123)의 상측에 구비되어 측면이 제어용 PCB(30)의 측면과 접하여 제어용 PCB(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고정 걸림부(125)의 길이는 제어용 PCB(30)의 두께와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 걸림부(125)는 제1 고정 걸림부(121)의 크기보다는 크며, 제2 고정 걸림부(123)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 걸림부(125)의 크기가 제2 고정 걸림부(12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2 고정 걸림부(123)의 상면에 제어용 PCB(30)의 하면 일부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고정 걸림부(125)의 측면이 제어용 PCB(30)의 측면과 접하여 제어용 PCB(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고정 걸림부(123)와 제3 고정 걸림부(125)의 결합관계에 따라 제어용 PCB(30)의 측면과 하면 일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4 고정 걸림부(127, 129)는 제3 고정 걸림부(125)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고정 지지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4 고정 걸림부(127, 129)는 제3 고정 걸림부(125)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2 고정 지지부(130)가 안착되는 보디부(127), 그리고 보디부(127)의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고정 지지부(130)의 끼움 장착을 안내하며, 보디부(127)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디부(127)의 길이는 제2 고정 지지부(130)의 두께와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29)의 경사면 하측은 평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제1 고정 지지부(12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제1 고정 지지부(120)에 분리 결합구조로 구비되며, 제1 고정 지지부(120)에 결합되어 제어용 PCB(30)의 상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중공의 안착홀(132)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가 탄성체로 구비됨에 따라 제1 고정 지지부(120)에 분리 결합시 보다 용이한 조립 또는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지지부(130)가 제1 고정 지지부(120)에 탄성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고정 지지부(130)의 탄성을 제어용 PCB(30)로 전달하여 제어용 PCB(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안착홀(132)을 통해 헤드부(129)에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보디부(127)에 안착되며, 하측 일면이 제어용 PCB(30)의 상측 일면과 탄성 접촉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인터페이스 제어용 PCB(30)의 상단방향 구속 및 탐침(200)의 탄성에 의한 제어용 PCB(30)의 이탈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의 안착홀(132)은 헤드부(129)의 경사면 상부보다 크고 하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지지부(130)의 안착홀(132)은 헤드부(129)의 경사면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지지부(130)는 헤드부(129)와 보디부(127)의 접합면이 평면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보디부(127)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제어용 PCB(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120, 130)는 인터페이스 PCB(20)의 하단방향 구속과 제어용 PCB(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지지부(120, 130)는 제1 고정 지지부(120)와 제2 고정 지지부(130)의 결합으로 제어용 PCB(30)를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 지지부(120)는 인터페이스 PCB(20)의 상측에서 탐침(200)을 통해 탄성 접촉된 제어용 PCB(30)의 테두리를 측방향과 하부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지지부(130)는 제1 고정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용 PCB(30)의 상부를 탄성 고정하여 제어용 PCB(30)의 형태 변형 없이 탄성 접촉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지지부(120)와 제2 고정 지지부(130)가 함께 작용하여 제어용 PCB(30)를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에서 고정 지지하여 인터페이스 PCB(2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인터페이스 PCB(20)에 구비되어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인터페이스 PCB(20)에 구비되어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대(110)는 탐침(200)의 배치영역과 고정 지지부(120, 130)의 고정영역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0)는 적절한 간격을 갖고 복수로 구비되어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결합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의 간극을 유지시켜 불균형한 탐침(200) 접촉에 의한 제어용 PCB(30)의 처짐 및 제어용 PCB(30)내 전자적 쇼트 및 물리적인 버튼 눌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110)와 고정 지지부(120, 130)가 함께 작용하여 제어용 PCB(30)를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에서 고정 지지하여 인터페이스 PCB(20)에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메인 PCB(10)와 인터페이스 PCB(20)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는 커넥터 투 커넥터 케이블(connector to connector cable, C to C cable)로서 메인 PCB(10)과 인터페이스 PCB(20)에 각각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PCB(10)에서 생성한 신호를 인터페이스 PCB(2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메인 PCB(10)와 인터페이스 PCB(20)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로 연결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의 개별 조립에 따른 PCB의 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개별 신호선들의 연결에 따른 간섭과 신호선 조립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는 제1 커넥터, 케이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는 해당되는 복수의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PCB(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2),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회로기판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탐침(200)은 메인 PCB(10)와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 인터페이스 PCB(20)의 회로기판 패턴(24)을 통해 전달된 전기 신호를 제어용 PCB(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PCB(20)는 메인 PCB(10)와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연결되어 메인 PCB(10)에서 생성된 신호가 전달되며, 일면에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24)이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의 일측에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100)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회로기판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인터페이스 PCB(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용 PCB(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다. 여기서, 타겟 디바이스는 스마트키 또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일면에 복수의 테스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0)는 제어용 PCB(30) 상의 테스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용 PCB(30)는 일면에 쓰루홀 단자, 소자 패턴 연결부, 스위치 패턴 연결부, 그리고 패턴 노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PCB(20)는 제어용 PCB(30) 상의 테스트 단자 뿐만 아니라, 쓰루홀 단자, 소자 패턴 연결부, 스위치 패턴 연결부, 그리고 패턴 노출부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는 사용자의 눌림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버튼부가 온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차량 내의 메인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상용화된 차량용 스마트키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용 PCB(30)는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용 PCB(3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PCB(20)도 제어용 PCB(30)에 대응하여 종류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를 타겟 디바이스의 종류별로 구비하여 메인 PCB(10)에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전자 제어장치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PCB(10)에 제1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제1 전자 제어장치를 제1 차량에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제1 전자 제어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제1 전자 제어장치와 페어링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제1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량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제2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제2 전자 제어장치를 제2 차량에 연결한다. 여기서, 제2 전자 제어장치는 메인 PCB(10)에 결합된 제1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를 분리하고, 제2 차량의 제어용 PCB(30)와 인터페이스 PCB(20)가 결합된 전자 제어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용 PCB(30)의 종류에 맞는 인터페이스 PCB(20)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전자 제어장치를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되도록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는 메인 PCB(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결합시 내부 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메인 PCB(10)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PCB(20), 그리고 제어용 PCB(30)가 수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착탈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다양한 제조사 또는 제품 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 또는 키 제어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및 제어장치의 호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다양한 제조사 또는 제품 군의 차량 또는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PCB(20)와 제어용 PCB(30)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되게 교체 장착함으로써 실제로 해당되는 전자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의 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차량용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의 전자 제어장치에 탑재시키고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장치는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차량 이외의 다양한 전자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전자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량에 제한되지 않으며, 리모컨 키 조작을 통해 제어되는 전자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TV, 에어컨, 선풍기, 청소기, 냉장고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메인 PCB 12 ; 메인 커넥터
20 ; 인터페이스 PCB 22 ; 인터페이스 커넥터
24 ; 회로기판 패턴 30 ; 제어용 PCB
100 ; 커넥터 방식 연결부 110 ; 지지대
120 ; 제1 고정 지지부 121 ; 제1 고정 걸림부
123 ; 제2 고정 걸림부 125 ; 제3 고정 걸림부
127 ; 보디부 129 ; 헤드부
130 ; 제2 고정 지지부 132 ; 안착홀
200 ; 탐침

Claims (13)

  1. 무선 컨트롤러의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PCB,
    일면에 상기 타겟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 패턴이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PCB,
    상기 회로기판 패턴에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용 PCB에 타측이 탄성 접촉 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탐침,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하단방향 구속과 상기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하측 일부가 결합되며, 상측 일부가 상기 제어용 PCB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고정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지지부에 분리 결합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 지지부에 탄성 결합되어 하측 일면이 상기 제어용 PCB의 상측 일면과 탄성 접촉 결합을 유지하여 상기 제어용 PCB의 상단방향 구속과 상기 제어용 PC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지지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PCB와 상기 제어용 PCB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단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결합되는 제1 고정 걸림부,
    상기 제1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면이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상면과 접하며, 상면이 상기 제어용 PCB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제2 고정 걸림부,
    상기 제2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측면이 상기 제어용 PCB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제3 고정 걸림부, 그리고
    상기 제3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고정 지지부가 결합되는 제4 고정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고정 걸림부는
    상기 제3 고정 걸림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지지부가 안착되는 보디부, 그리고
    상기 보디부의 상측에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 지지부의 끼움 장착을 안내하며, 상기 보디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보디부의 길이는 상기 제2 고정 지지부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제어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3 고정 걸림부의 길이는 상기 제어용 PCB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제어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2 고정 지지부는 중공의 안착홀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전자 제어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고정 지지부는 상기 안착홀을 통해 상기 헤드부에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보디부에 안착되는 전자 제어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메인 PCB와 상기 인터페이스 PCB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방식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하는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메인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방식 연결부의 제2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탐침은 상기 회로기판 패턴에서 각각의 신호접점 배치와 대응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전자 제어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PCB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용 PCB와 상기 인터페이스 PCB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KR1020210183860A 2021-12-21 2021-12-21 전자 제어장치 KR10247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860A KR102475394B1 (ko) 2021-12-21 2021-12-21 전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860A KR102475394B1 (ko) 2021-12-21 2021-12-21 전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394B1 true KR102475394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860A KR102475394B1 (ko) 2021-12-21 2021-12-21 전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0900A (en) * 1978-06-30 1980-04-29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ircuit board arrangement
JPH08277820A (ja) * 1995-02-08 1996-10-22 Trw United Carr Gmbh & Co Kg プラスチック製固定要素
KR102133801B1 (ko) 2018-10-31 2020-07-14 진유선 차량 제어 장치
KR102318881B1 (ko) * 2021-02-04 2021-10-28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0900A (en) * 1978-06-30 1980-04-29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ircuit board arrangement
JPH08277820A (ja) * 1995-02-08 1996-10-22 Trw United Carr Gmbh & Co Kg プラスチック製固定要素
KR102133801B1 (ko) 2018-10-31 2020-07-14 진유선 차량 제어 장치
KR102318881B1 (ko) * 2021-02-04 2021-10-28 주식회사 튠잇 전자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7049B (zh) 用于启动远程控制器的方法和设备
US7748640B2 (en) Stackable thermostat
KR102318881B1 (ko) 전자 제어장치
KR102475394B1 (ko) 전자 제어장치
JP2013109743A (ja) ユーエスビー応用装置及びユーエスビー応用装置の組立方法
US20060231631A1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9613761B2 (en) Contact element
US9615157B2 (en) Microphone
US11521806B2 (en) Light device control apparatus
US7245249B2 (en) Remote controller
EP3817022B1 (en) Engine star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837725B1 (en) Connector assembly
US10984967B2 (en) Retrofit switch
EP0824279A2 (en) Remote controller
KR101688333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US10614975B2 (en) Retrofit switch
WO2022139229A1 (ko) 카드 트레이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34802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CN103716672B (zh) 一种遥控器、显示装置以及遥控显示系统
KR20210007921A (ko) 차량용 제어 장치
KR20170119069A (ko) 간격 지지대를 갖는 복합 커넥터 장치
CN216251495U (zh) 一种连接器
US6244884B1 (en) Self docking electrical connector
CN102648508B (zh) 一种接触器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