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036B1 - 복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036B1 KR101657036B1 KR1020160046736A KR20160046736A KR101657036B1 KR 101657036 B1 KR101657036 B1 KR 101657036B1 KR 1020160046736 A KR1020160046736 A KR 1020160046736A KR 20160046736 A KR20160046736 A KR 20160046736A KR 101657036 B1 KR101657036 B1 KR 101657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signal
- socket
- plug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특히 4핀 사출부가 먼저 닿아도 보이지 않는 공간에 정확한 삽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를 하나의 하우징(130)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와; 상기 워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에 끼움 결합하되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하나의 하우징(203)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를 하나의 하우징(130)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와; 상기 워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에 끼움 결합하되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하나의 하우징(203)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4핀 사출부가 먼저 닿아도 보이지 않는 공간에 정확한 삽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기기 간에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되며, 이러한 신호를 상호 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방법으로 수 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이용하여 양방을 연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일측 통신기기에 수 커넥터를 설치하고, 타측 통신기기에 암 커넥터를 설치하고,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체결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각각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종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신호들이 체결된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를 통하여 일측 통신기기에서 타측 통신기기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신호핀이 설치된다.
종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복합 커넥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등록특허공보 제10-1225048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는 고주파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통신기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 등 연결선의 수량 증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통신 기기 간에 다량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통신기기의 부피가 증가되고, 통신기기의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절곡된 형태로 통신기기에 연결하는 경우, 다수개의 연결선을 절곡시키는 것이 어려워 통신기기가 설치되는 위치 및 면적 등 사용환경에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때, 고주파 신호와 같이 민감한 신호의 경우 각각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신호핀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선 또는 신호핀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신호핀의 배열이 일정한 길이를 갖지 못하는 경우, 고주파 신호와 같이 길이에 민감한 신호를 전송 시 길이 오차를 발생시켜 위상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신호케이블의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케이블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케이블커넥터간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바, 이때, 상기 신호케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가 마련되고, 이 경우, 상기 별도의 커넥터 자체가 부피를 차지하므로 박형의 전자장치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별도의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복합 케이블의 종류로서 동축 케이블과 플렉시블 케이블을 접속한 경우가 있는바,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는 인슐레이터와, 그 인슐레이터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고정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인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삽입 성공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하기가 곤란하여 접속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을 인슐레이터에 삽입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컨택트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플랫 케이블을 인슐레이터에 삽입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컨택트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와 인쇄회로기판간의 실장강도 강화를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초박형 제품에 2종의 커넥터(RF 커넥터와 시그널 커넥터)를 연결 안착하는 구조로 4핀 사출부를 RF 커넥터 보다 먼저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고, 4핀 사출부가 먼저 닿아도 보이지 않는 공간에 정확한 삽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를 하나의 하우징(130)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와; 상기 워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에 끼움 결합하되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하나의 하우징(203)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몸체부(111)가 설치되고, 원통형 몸체부의 내주연에 원통형 형상의 커넥터 축(112)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축(112)의 내부 중앙부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정핀(113)이 돌출 형성되고,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는,
사각형 테두리면(121)을 형성하고, 테두리면의 내측에 수직면(122)을 형성하며, 수직면에는 커넥터 소자(123) 및 커넥터 홀(124)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는,
RF 케이블(201) 및 시그널 케이블(202)을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203)에 끼움결합시키고, 상기 RF 케이블(201)의 끝단에는 제 1 RF 커넥터(210)를 결합시키며, 시그널 케이블(202)의 끝단에는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결합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는 상기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원통형 몸체부(111)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지지부(211)를 포함하고, 지지부(21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212)를 형성하되, 상기 단자부(212)는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고정핀(113)을 삽입하여 RF케이블(201)과 접속시키는 핀홀(213)이 중앙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 몸체(221) 및 플러그형 4핀(222)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 및 커넥터 홀(124)에 삽입 결합되는바, 플러그형 4핀(222)은 커넥터 홀(124)에 삽입되고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1)는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삽입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접촉감지 센서(400)를 시그널 소켓 커넥터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접촉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박형 제품에 2종의 커넥터(RF 커넥터와 시그널 커넥터)를 연결 안착하는 구조로 4핀 사출부를 RF 커넥터 보다 먼저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고, 4핀 사출부가 먼저 닿아도 보이지 않는 공간에 정확한 삽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4핀 암 커넥터 구조 사출 형태로 깊게 홈을 내어 1차 가이드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서 4핀 시그널 수 커넥터 구조가 자리를 잡고 안착점에 원형 RF 커넥터를 안착시켜 오삽입을 해결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와, 상기 원틀 고정용 소켓 하우징에 결합되는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는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를 하나의 하우징(130)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바,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몸체부(111)가 설치되고, 원통형 몸체부의 내주연에 원통형 형상의 커넥터 축(112)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축(112)의 내부 중앙부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정핀(1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는 사각형 테두리면(121)을 형성하고, 테두리면의 내측에 수직면(122)을 형성하며, 수직면에는 커넥터 소자(123) 및 커넥터 홀(124)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는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바, 구체적으로는 RF 케이블(201) 및 시그널 케이블(202)을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203)에 끼움결합시키고, 상기 RF 케이블(201)의 끝단에는 제 1 RF 커넥터(210)를 결합시키고, 시그널 케이블(202)의 끝단에는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는 상기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원통형 몸체부(111)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지지부(211)를 포함하고, 지지부(21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212)를 형성하되, 상기 단자부(212)는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고정핀(113)을 삽입하여 RF케이블(201)과 접속시키는 핀홀(213)이 중앙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 몸체(221) 및 플러그형 4핀(222)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 및 커넥터 홀(124)에 삽입 결합되는바, 플러그형 4핀(222)은 커넥터 홀(124)에 삽입되고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 몸체(221)는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고정핀(113)은 상기 플러그용 제 1 RF 케이블 커넥터(210)가 제 2 RF 커넥터(110)에 끼워질 때 상기 플러그형 제 1 RF 케이블 커넥터(210)의 핀홀(213)에 자동으로 끼워지면서 연결되고,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연결되면서 원터치에 의해서 RF 케이블(201)과 시그널 케이블의(202) 접속이 모두 완료되는 것이다.
참고로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203)은 커넥터 접속 패널(230)에 고정 설치되고, 원틀 고정용 소켓 하우징(130)은 소켓 접속 패널(140)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 접속 패널(230)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전진시켜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에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에 점접촉을 위한 반구형 지지부(300)를 더 설치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의 사각형 수직벽에 다수개의 반구형 지지부(300)를 설치하고, 아울러 필요에 따라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몸체부에 점접촉을 위한 반구형 지지부(300)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구형 지지부(300)를 더 구성하게 되면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에 삽입 고정시킬때,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점접촉되면서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결합되고, 플러그형 제 1 RF 커넥터(210)가 점접촉되면서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에 결합된다.
즉, 상기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면접촉하여 결합하게 되면 오래 사용하거나 겨울철 얼었을때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로부터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또한, 플러그형 제 1 RF 커넥터(210)가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에 면접촉하여 결합하게 되면 오래 사용하거나 겨울철 얼었을때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로부터 플러그형 제 1 RF 커넥터(210)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 일단에 반구형 지지부(300)를 더 설치하고 이를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와 결합시키게 되면 점접촉에 의해서 상호 접촉되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더라도 필요할때 보다 쉽게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플러그형 제 1 RF 커넥터(210)가 양호하게 분리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반구형 지지부(300)의 내측에 열선(31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선(310)에 열을 가하게 되면 접촉부위가 녹으면서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를 겨울철에 분리시킬때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플러그형 제 1 RF 커넥터(120)의 접촉 부위가 녹으면서 양자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접촉감지 센서(400)를 시그널 소켓 커넥터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접촉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성한다.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에러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경보신호를 지속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구성을 상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로 전원부(1101)와,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는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형 시그널 커넥터(220)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한 다음에 커넥터를 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100: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
110: 소켓용 제 2 RF 커넥터
111: 몸체부
112: 커넥터 축
120: 시그널 소켓 커넥터
121: 사격형 테두리면
122: 수직면
123: 커넥터 소자
124: 커넥터 홀
130: 하우징
200: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
201: RF 케이블
202: 시그널 케이블
203: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
110: 소켓용 제 2 RF 커넥터
111: 몸체부
112: 커넥터 축
120: 시그널 소켓 커넥터
121: 사격형 테두리면
122: 수직면
123: 커넥터 소자
124: 커넥터 홀
130: 하우징
200: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
201: RF 케이블
202: 시그널 케이블
203: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
Claims (1)
-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를 하나의 하우징(130)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100)와; 상기 원틀 고정용 소켓 커넥터부에 끼움 결합하되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하나의 하우징(203)에 각각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몸체부(111)가 설치되고, 원통형 몸체부의 내주연에 원통형 형상의 커넥터 축(112)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축(112)의 내부 중앙부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정핀(113)이 돌출 형성되고,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는,
사각형 테두리면(121)을 형성하고, 테두리면의 내측에 수직면(122)을 형성하며, 수직면에는 커넥터 소자(123) 및 커넥터 홀(124)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원틀 고정용 커넥터부(200)는,
RF 케이블(201) 및 시그널 케이블(202)을 원틀 고정용 커넥터 하우징(203)에 끼움결합시키고, 상기 RF 케이블(201)의 끝단에는 제 1 RF 커넥터(210)를 결합시키며, 시그널 케이블(202)의 끝단에는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를 결합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용 제 1 RF 커넥터(210)는 상기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원통형 몸체부(111)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지지부(211)를 포함하고, 지지부(21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212)를 형성하되, 상기 단자부(212)는 소켓용 제 2 RF 커넥터(110)의 고정핀(113)을 삽입하여 RF케이블(201)과 접속시키는 핀홀(213)이 중앙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 몸체(221) 및 플러그형 4핀(222)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 및 커넥터 홀(124)에 삽입 결합되는바, 플러그형 4핀(222)은 커넥터 홀(124)에 삽입되고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1)는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삽입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가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에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접촉감지 센서(400)를 시그널 소켓 커넥터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접촉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시그널 소켓 커넥터(120)와 플러그용 시그널 커넥터(220)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6736A KR101657036B1 (ko) | 2016-04-18 | 2016-04-18 | 복합 커넥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6736A KR101657036B1 (ko) | 2016-04-18 | 2016-04-18 | 복합 커넥터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8126A Division KR101634802B1 (ko) | 2015-12-14 | 2015-12-14 | 복합 커넥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036B1 true KR101657036B1 (ko) | 2016-09-30 |
Family
ID=5707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6736A KR101657036B1 (ko) | 2016-04-18 | 2016-04-18 | 복합 커넥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03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67454A (ja) * | 1994-12-15 | 1996-06-25 | Honda Tsushin Kogyo Kk |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
JP2547909Y2 (ja) * | 1990-08-10 | 1997-09-17 | 住友電装 株式会社 | 結合コネクタ |
KR20110008422U (ko) * | 2010-02-23 | 2011-08-31 | 주식회사보림전자 | 램프 소켓 |
KR20130136290A (ko) * | 2012-06-04 | 2013-12-1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와 인렛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
-
2016
- 2016-04-18 KR KR1020160046736A patent/KR101657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7909Y2 (ja) * | 1990-08-10 | 1997-09-17 | 住友電装 株式会社 | 結合コネクタ |
JPH08167454A (ja) * | 1994-12-15 | 1996-06-25 | Honda Tsushin Kogyo Kk |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
KR20110008422U (ko) * | 2010-02-23 | 2011-08-31 | 주식회사보림전자 | 램프 소켓 |
KR20130136290A (ko) * | 2012-06-04 | 2013-12-1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와 인렛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8562B2 (en) | Modified electrical devices | |
US10644461B2 (en) | Modified electrical devices | |
CN101849325A (zh) | 能够连接于印刷线路板的连接器 | |
US8597059B2 (en) | Plug movable to a plurality of positions depending upon characteristics of a load device | |
CN105048203A (zh) | 连接器 | |
KR101688333B1 (ko) | 복합 커넥터 장치 | |
KR20190127129A (ko) |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 |
KR101723048B1 (ko) |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 |
JP3047988U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1634802B1 (ko) | 복합 커넥터 장치 | |
KR20170119069A (ko) | 간격 지지대를 갖는 복합 커넥터 장치 | |
EP2915217B1 (en) | Modified electrical devices | |
CN203250928U (zh) | 电连接器的防呆结构 | |
KR101657036B1 (ko) | 복합 커넥터 장치 | |
JP3909051B2 (ja) | 接続ブッシュを備える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 |
TWI479756B (zh) | 電源適配器及電連接器 | |
US11063375B2 (en) | Connection instrument | |
CN211829323U (zh) | 一种电子设备充电装置 | |
CN210404234U (zh) | 航空插头及无人设备 | |
CN220038382U (zh) | 一种快拆灯具感应器 | |
CN219697954U (zh) | 一种led电源保护装置及led灯具 | |
CN221596899U (zh) | 一种磁吸端子连接器 | |
US11626685B1 (en) | Power activation utilizing reed switch technique for non-metallic connector applications | |
KR20170101483A (ko) | 커넥터 장치 및 제조방법 | |
CN219086275U (zh) | 一种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