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508B1 -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508B1
KR102318508B1 KR1020200055981A KR20200055981A KR102318508B1 KR 102318508 B1 KR102318508 B1 KR 102318508B1 KR 1020200055981 A KR1020200055981 A KR 1020200055981A KR 20200055981 A KR20200055981 A KR 20200055981A KR 102318508 B1 KR102318508 B1 KR 10231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opening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5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27D2001/1875Hanging doors an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용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장치로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이 용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에 장착되어, 소정의 공간에 위치된 용기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커버 장치는 도어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작되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없는 대기 시간 동안에 용기를 폐쇄하거나, 필요시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고, 용기 내 온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COVER APPARATUS AND TREATING METHOD}
본 발명은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기를 신속하게 커버할 수 있고, 지금을 제거할 수 있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선이 수용된 전로는 클린 하우스 내에 위치되며, 클린 하우스 내에서 용선 중 인(P), 탄소(C) 등을 제거하는 정련이 실시된다. 이렇게 전로 내 용선에 대한 정련을 클린 하우스 내에서 실시하는 이유는, 정련 조업 시 발생하는 분진, 배가스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전로 내 수용된 원료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로 정련 조업이 종료되어 전로로부터 용강이 출강되면, 전로를 경동 시킨 후 덮개를 이용하여 전로의 노구를 폐쇄한다. 이는, 다음 조업이 실시되기 전에 전로 내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때, 덮개는 클린 하우스 외부에서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어 있다가, 노구를 폐쇄해야 하는 경우, 클린 하우스의 도어를 열고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전로로 이송된다. 그런데 노구를 폐쇄하기 위해서 덮개를 이송시키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노구를 신속하게 개방 및 폐쇄하기 어려워 전로의 보온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로의 노구 주변에는 용선 및 슬래그 등이 고착된 지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지금에 의해 노구가 밀폐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지금에 의해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덮개에 의한 보온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구 주변에 형성된 지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로로 고철을 장입하는 장입 슈트로 지금을 가격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지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철 장입 슈트를 동작시키는 작업자가 별도로 필요하고, 고철 장입 슈트의 동작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화물로 구성된 전로 내벽의 일부가 떨어져나가 손상된 경우, 상기 전로 내벽에 내화물을 코팅하는 보수를 실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로를 경동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내화물을 분사할 수 있는 차량을 개방된 클린 하우스에 근접 위치시킨 다음, 전로 내부로 내화물을 분사한다. 이때, 작업자가 전로의 고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성이 있다.
한국공개실용 20-1998-0042968
본 발명은 용기를 신속하게 커버할 수 있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에 형성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린 하우스를 폐쇄한 상태로 용기 내로 분사물을 분사할 수 있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린 하우스 내부의 분진을 포집할 수 있는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용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장치로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이 상기 용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가 위치된 방향 및 상기 용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부에 장착된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커버 바디; 및 분사부가 삽입될 수 있게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된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분사물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하우스를 향하는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노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노즐은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로 분사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커버 바디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분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배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노즐 중, 상기 유입구와 가까운 노즐일 수록 그 내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도어부 중,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도어 각각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1 덮개에 결합된 제 1 회전부 및 상기 제 2 덮개에 결합된 제 2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각각은, 두께 방향의 양면인 외면 및 내면,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의 면이며, 마주보는 면인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각각의 측면은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는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방법은, 하우스의 전방에 위치된 도어부를 닫는 과정; 상기 하우스 내에 위치된 용기의 개구가 상기 도어부를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는 과정; 일단이 상기 도어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용기 폐쇄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폐쇄 과정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용기 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상기 용기를 폐쇄한 후, 상기 용기 내부에 제 1 분사물을 분사하여 상기 용기 내부를 보수하는 용기 보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보수 과정은, 분사부의 선단이 상기 용기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로 상기 분사부를 관통시키는 분사부 삽입 과정; 및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부로 제 1 분사물을 분사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코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를 닫은 후, 상기 하우스 내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 과정은, 상기 커버부 내에 마련된 노즐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커버부 외부로 제 2 분사물을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기 전에 실시하거나, 상기 커버부로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전에 실시하거나, 상기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커버부를, 그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측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용기를 개방시킨 후에 실시한다.
상기 도어부를 여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를 열거나 닫는데 있어서, 상기 도어부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도어부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커버부를 상기 도어부와 함께 수평 이동시킨다.
상기 커버부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된 후에, 상기 도어부를 여는 과정; 및 상기 도어부를 다시 닫아, 상기 도어부에 설치된 상기 커버부로 상기 용기 개구 주변에 형성된 지금을 긁어 제거하는 지금 제거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는 클린 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된 용기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커버 장치는 도어부에 장착된 상태로 동작되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없는 대기 시간 동안에 용기를 폐쇄하거나, 필요시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고, 용기 내 온도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도어부를 개폐시킬 때, 상기 도어부에 설치된 커버부에 의해 용기에 고착된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지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지금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지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조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온의 용기 내부를 보수하는데 있어서, 용기를 폐쇄한 상태로 실시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고열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이 확보된 상태로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의 내측 공간에 분진이 발생되었을 때, 커버 장치를 통해 상기 내측 공간으로 분사물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에 의해 도어부 내측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클린 하우스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개폐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어부가 열린 상태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내면이 전로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은 도어부의 닫힘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에 의해 전로 상부면의 지금이 제거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개폐 장치에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측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조업 단계, 전로 및 클린 하우스의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유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는 소정의 공간에 수용 또는 설치되어 있는 용기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보수 및 상기 용기가 설치된 공간의 분진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은 개폐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용기는 공간 내에서 경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통해 개폐 하고자 하는 용기인 전로 및 커버 장치가 설치되는 개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개폐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소정의 공간은 클린 하우스 일 수 있다. 그리고, 용기는 제강 조업에서 용선 또는 용강이 수용되는 전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클린 하우스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은 개폐 장치 및 커버 장치에 의해 클린 하우스가 폐쇄된 상태이고, 도 2는 클린 하우스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로(10)는 클린 하우스 내에 설치되며, 전로(10) 내부에는 정련을 위한 내용물 즉, 용선이 수용된다. 전로(10) 내부에 수용된 용선은 인(P), 탄소(C) 등의 불순물을 목표로 하는 농도로 조절하는 정련 과정을 거쳐 용강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로(10) 내 용선으로 산소를 취입(산소 취련)하여, 용선 중 인(P), 탄소(C) 등을 제거하는 정련 공정이 실시되며, 정련이 종료된 용선을 용강이라 한다. 이렇게 전로(10) 내 용선에 대한 정련을 클린 하우스 내에서 실시하는 이유는, 정련 조업 시 발생하는 분진, 배가스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전로(10) 내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로(10)는 고철, 용선, 첨가체 등의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부에는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이하, 노구(11))가 마련된다. 노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 즉, 구멍의 형태로서, 노구(11) 주위에는 전로(10)를 구성하는 벽체로 둘러 쌓여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로(10)의 상단에 해당하는 면이며, 노구(11)를 둘러싸는 면을 '전로의 상부면(11a)'으로 명명한다.
또한, 전로(10) 상부의 일측에는 정련이 종료된 용강을 출강시키기 위한 출강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로(10)의 외주면에는 클린 하우스 내에서 경동 가능하도록 전로(10)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니언(12)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린 하우스는 개폐 장치(100) 내측의 공간으로서, 전로(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클린 하우스 내에는 전로(10)의 트러니언(12)과 체결되어 상기 전로(10)를 경동시키는 경동기(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클린 하우스 내에는 전로(10)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배가스 회수 설비, 정련 공정 시 전로(10)로 정련제 등의 첨가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 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장치(100)는 클린 하우스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전로(10)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 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부(110) 및 클린 하우스가 개폐되도록 도어부(110)를 이동시키는 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10)는 전로(10)의 폭 또는 직경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 각각의 하부에는 레일(120)을 따라 활주 가능한 휠(112a, 112b)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110)에는 후술되는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1000)의 커버부(1100)가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도어부(110)에는 상기 커버부(11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하, 수용홈(111: 111a, 111b)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100)가 수용되는 수용홈(11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
이러한 개폐 장치(100)에 의하면,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 하우스가 닫힌다. 반대로,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 2와 같이 클린 하우스가 개방 또는 열린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의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를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 마주보는 측면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도어부(110)가 열린 상태로 간략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개폐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은 클린 하우스 내 전로 및 커버부가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클린 하우스 내 전로가 경동되어 있고, 커버부가 전로 방향으로 기울어져 노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장치(1000)는 개폐 장치(100)의 도어부(110)에 장착되어, 전로(10)의 노구(11)를 개폐시킨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장치(1000)는 클린 하우스에 위치된 전로(10)의 노구(11)를 폐쇄하도록 상기 전로(10)와 가까워지거나(도 5 및 도 6 참조), 반대로 전로(10)와 멀어지게(도 3 및 도 4 참조) 그 각도가 조절되는 커버부(1100) 및 커버부(11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110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폐 장치(100)의 도어부(110)에 의해 그 공간이 구분되는 도어부(110)의 외측 공간에서 내측 공간으로의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커버부(1100)의 두께 방향의 양면 중, 클린 하우스를 향하는 면을 내면, 상기 내면과 반대쪽 면이며 클린 하우스 밖의 면을 외면이라 명명한다.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110)의 내측 공간 즉, 클린 하우스 측 또는 전로(10) 측으로 기울어지게 동작되어 전로(10)의 노구(11)를 폐쇄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노구(11)를 폐쇄하고 있는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 측으로 이동되어 직립됨으로써 노구(11)를 개방시킨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러한 커버부(11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커버부(1100)의 하측 끝단(이하, 일단)이 도어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0)가 상기 도어부(110)에 체결된 일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100)의 회전 동작은 이후 구동부(1200)를 설명할 때,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100)는 개폐 장치(100)의 도어부(11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도어부(110)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00)가 수용 또는 수납될 수 있는 공간 즉, 수용홈(111)이 마련된다. 즉, 도어부(110)의 일부에 상기 도어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마련되며, 그 개구가 커버부(11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1)이다. 수용홈(111)은 도어부(1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커버부(11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1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도 4와 같이 커버부(1100)는 직립한 상태일 때, 상기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고, 이에 수용홈(111)이 커버부(1100)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커버부(1100)가 전로(10)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일 때, 커버부(110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홈(111)의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에 수용홈(111)의 적어도 일부가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커버부(1100)는, 노구(11)를 개폐하는 커버 바디(1110) 및 전로(10) 내부로 원료(이하, 제 1 분사물)를 분사시키는 분사부(200)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는 삽입부(1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부(1100)는 커버 바디(1110)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마련되어, 클린 하우스로 원료(이하, 제 2 분사물)를 분사하는 노즐(1140) 및 노즐(1140)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배관(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1110)는 전로(10)의 노구(11)를 구획하는 상부면(11a)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구(11)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커버 바디(1110)는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에 수용 가능하고, 전로(10)의 상부면과 접촉 가능하며, 전로(10)의 노구(11)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커버 바디(1110)의 면적은 적어도 노구(11)에 비해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바디(1110)는 원형의 판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에 수용 가능하고, 전로(10)의 상부면과 접촉 가능하며, 전로(10)의 노구(11)를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바디(1110)는 개폐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 각각에 장착되도록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 바디(1110)는 제 1 도어(110a)에 장착되는 제 1 덮개(1110a) 및 제 1 덮개(1110a)와 마주보도록 제 2 도어(110b)에 장착되는 제 2 덮개(111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가 원형의 형상이라고 할 때,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은 예컨대 반원이며, 상호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는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이고,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직립한 상태일 때, 클린 하우스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 사이가 이격되지 않는 형상이면 족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외면(OF1, OF2)과 내면(IF1, IF2) 사이를 연결하며, 상호 마주보는 면을 측면(SF1, SF2)이라 명명한다.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은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 덮개(1110a)는 제 1 도어(110a)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하고, 제 2 덮개(1110b)는 제 2 도어(110b)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를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도어부(110)를 열 때,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도 함께 상호 멀어지게 이동한다. 즉, 제 1 덮개(1110a)의 측면(이하, 제 1 측면(SF1))과 제 2 덮개(1110b)의 측면(이하, 제 2 측면(SF2))이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반대로,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를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 도어부(110)를 닫을 때,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도 함께 상호 가까워지게 이동한다. 즉, 제 1 덮개(1110a)의 제 1 측면(SF1)과 제 2 덮개(1110b)의 제 2 측면(SF2)이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 즉,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는 전로(10)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도어부(110)측으로 이동되어 직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는 직립 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와 함께 수평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직립한 상태로 놓여 있고, 도어부(110)의 수용홈(111)에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주보는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의 측면이 상호 접촉되게 이동된 경우, 클린 하우스가 완전히 폐쇄된다. 즉, 도어부(110)가 닫혔을 때, 수용홈(111)을 통해 클린 하우스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폐쇄된다.
다른 예로,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전로(10) 측으로 기울어져 수용홈(111)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마주보는 제 1 도어(110a)와 제 2 도어(110b)의 측면이 상호 접촉되게 이동된 경우, 도 5와 같이 수용홈(111)에 의해 클린 하우스의 내부가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즉, 도어부(110)가 닫혔을 때, 수용홈(111)을 통해 클린 하우스 내부가 일부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에 의해 전로(10)의 노구(11)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전로(10) 내 온도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110)와 함께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0)는 도어부(110)에 연결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부(110)와 분리되어 전로(1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0)의 동작에 의해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이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이에, 커버부(1100)는 전로(10)의 노구(11)를 개폐하는 수단이면서,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을 개폐시킬 수 있는 수단 즉, 클린 하우스의 개폐 수단일 수 있다.
도 7은 도어부가 열린 상태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내면이 전로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은 도어부의 닫힘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에 의해 전로 상부면의 지금이 제거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부(110)가 닫힐 때, 이와 함께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가 수평 이동한다. 이때, 상호 가까워지도록 수평 이동하는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에 의해 전로(10)의 상부면(11a)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 즉 지금(D)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대기 시간 동안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를 기울여 전로(10)의 노구(11)를 폐쇄하고, 도어부(110)를 닫는다. 그런데, 대기 시간 동안에 도어부(110)를 열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를 상호 멀어지게 이동시켜 도어부(110)를 연다(도 7 참조). 여기서, 도어부(110)를 열어야 하는 상황이란, 예컨대 전로(10) 내 내화물의 침식 여부를 확인하거나, 전로(10)의 출강구를 교환 및 보수하는 작업을 하거나, 클린 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설비 예컨대 배가스 회수 설비 등의 보수 작업을 실시할 때일 수 있다.
이후, 필요한 작업을 마치면,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를 상호 가까워지게 이동시켜 도어부(110)를 다시 닫는다. 이때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도 함께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즉,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가 닫힌다. 이때,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10)의 상부면(11a)에 부착되어 있는 지금(D)을 긁으면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때,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내면(IF1, IF2)과 측면(SF1, SF2) 사이의 모서리(E1, E2)(도 7 참조)가 지금(D)을 긁어낸다(도 8 참조).
이때, 적어도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측면(SF1, SF2) 또는 내면(IF1, IF2)과 측면(SF1, SF2) 사이의 모서리(E1, E2) 주위 영역은 강도가 높은 재료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개폐 장치에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측면(SF1, SF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OF1, OF2) 및 내면(IF1, IF2)과 이루는 각도가 직각(90°)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측면(SF1, SF2)은 외면(OF1, OF2) 및 내면(IF1, IF2)과 직각이 아닌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또는 경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즉, 제 1 측면(SF1)은 제 1 외면(OF1)쪽에서 제 1 내면(IF1)쪽으로 갈수록 제 2 측면(SF2)과 가까워지고, 제 2 측면(SF2)은 제 2 외면(OF2)쪽에서 제 2 내면(IF2)쪽으로 갈수록 제 1 측면(SF1)과 가까워지게 형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측면(SF1, SF2)과 내면(IF1, IF2)이 이루는 각도가 작고, 90°미만의 예각일 수 있다. 이에, 변형예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측면(SF1, SF2)과 내면(IF1, IF2) 사이의 모서리(E1, E2)가 상대적으로 더 날카로울 수 있다. 따라서, 도어부(110)가 닫히는 동작시에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에 의한 지금(D)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전로(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용선을 정련하는 조업을 실시할 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노구(11)가 도어부(110)를 향하도록 경동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전로(10) 내 용선이 없이 비어 있는 대기 상태에서는, 전로(10)를 경동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대기 시간 중에 노구(11)를 폐쇄시켜 전로(10) 내 온도 하락을 억제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1100)에 의하면, 전로(10)가 경동된 상태로 노구(11)가 커버부(110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대기 시간에, 필요 시 도어부(110)를 개방했다가 닫는 동작만으로 전로(10) 상부면의 지금을 제거할 수 있다.즉, 지금 제거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도어부(110)의 개폐 동작만으로 전로(10)의 상부면(11a)에 형성된 지금(D)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D)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지금 제거를 위한 작업을 별도로 추가 실시하지 않고, 필요시 도어부(110)를 열었다가 닫는 동작만으로 전로(10) 상부면(11a)의 지금(D)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조업 시간이 단축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지금 제거 장치로 고철 장입 설비를 이용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고철 장입 설비의 동작을 위한 작업자를 배치하거나, 고철 장입 설비의 동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커버 바디, 커버 바디에 마련된 삽입부, 노즐 및 배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측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1은 커버부의 삽입구가 폐쇄되고, 전로가 직립된 상태이고, 도 12는 삽입구로 분사부가 삽입되어 삽입구가 개방되고, 전로가 경동된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바디(1110)는 복수의 커버 부재(1111a, 1111b)를 포함하고, 복수의 커버 부재(1111a, 1111b)가 상호 체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커버 부재(1111a, 1111b)는 방사형으로 나열 배치되어, 그 전체 형상이 예컨대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바디(1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어(110a)에 장착되는 제 1 덮개(1110a) 및 제 2 도어(110b)에 장착되는 제 2 덮개(1110b)로 분할 형성된다. 이에,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이 복수의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덮개(1110a)는 복수의 제 1 커버 부재(1111a) 및 연속 배치된 제 1 커버 부재(1111a) 간을 상호 체결하는 제 1 체결 부재(1112a)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제 1 커버 부재(1111a)가 나열되어 체결된 전체적인 형상은 예컨대 반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2 덮개(1110b)는 복수의 제 2 커버 부재(1111b) 및 연속 배치된 제 2 커버 부재(1111b) 간을 상호 체결하는 제 2 체결 부재(1112b)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제 2 커버 부재(1111a)가 나열되어 체결된 전체적인 형상은 제 1 덮개(1110a)와 대칭을 이루는 반원의 형태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1112a, 1112b) 각각은 연속 배치된 커버 부재(1111a, 1111b)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112a-1, 1112b-1) 및 연결 부재(1112a-1, 1112b-1)와 커버 부재(1111a, 1111b) 간을 관통시켜 장착된 결합 부재(1112a-2, 1112b-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112a, 1112b)는 커버 부재(1111a, 1111b)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다. 이에, 복수의 제 1 커버 부재(1111a) 및 복수의 제 2 커버 부재(1111b)들은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하다. 이에, 복수의 커버 부재(1111a, 1111b) 중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커버 부재만을 분리하여 교체시킬 수 있다.
삽입부(1120)는 제 1 분사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200)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도록 커버 바디(1110)에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부(11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삽입구(1121) 및 삽입구(11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삽입구(1121)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1122)를 포함한다. 또한, 삽입부(1120)는 개폐 부재(1122)가 삽입구(1121)를 개폐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개폐 부재(1122)를 지지하며, 커버 바디(1110)에 장착된 지지 부재(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1121)는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구(1121)는 클린 하우스 외측에 마련된 분사부(200)(도 12 참조)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또는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분사부(200)는 제 1 분사물이 통과될 수 있으며, 가요성인 배관 및 배관의 선단에 연결된 노즐을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리고, 분사부(200)로 공급되는 제 1 분사물은 전로(10) 내벽면을 코팅하기 위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분사물은 전로(10)를 구성하는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커버 바디(1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로 분할 형성된다. 이에, 삽입구(1121)는 제 1 덮개(1110a)에 마련된 제 1 개구(1121a)와 제 2 덮개(1110b)에 마련된 제 2 개구(1121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이 복수의 커버 부재(1111a, 1111b)로 이루어지고, 커버 바디(1110)의 중심에는 삽입구(1121)가 마련되므로,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커버 부재 간이 이격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시킨다. 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커버 부재들(1111a, 1111b)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며, 이 빈 공간이 삽입구(1121)가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개폐 부재(1122)는 삽입구(1121)와 마주볼 수 있도록 커버 바디(1110)에 장착된다. 그리고, 개폐 부재(1122)는 커버 바디(1110)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개폐 부재(1122)는 예컨대, 커버 바디(1110)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구(1121)를 개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1121) 및 개폐 부재(1122) 각각은 원형의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구(1121)는 분사부(200)가 삽입 또는 통과될수 있는 형상, 개폐 부재(1122)는 삽입구(1121)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지지 부재(1123)는, 개폐 부재(1122)가 삽입구(1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 부재(1122)를 지지한 상태로, 커버 바디(1110)에 장착된다. 예컨대, 지지 부재(1123)는 제 1 및 제 2 도어(110a, 110b)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삽입구(11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커버 바디(111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부재(1122)는 회전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지지 부재(112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20)에 의하면, 외부에서 개폐 부재(1122)로 힘이 가해지거나, 상기 개폐 부재(1122)로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면, 개폐 부재(1122)가 지지 부재(1123)를 축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삽입구(1121)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예컨대, 도 12와 같이 분사부(200)를 이동시켜 그 선단으로 개폐 부재(1122)를 클린 하우스 방향으로 밀면, 상기 개폐 부재(1122)가 지지 부재(1123)를 축으로하여 회전한다. 즉, 개폐 부재(1122) 중, 지지 부재(1123)와 연결된 일단과 반대 끝단인 타단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회전한다. 이에, 커버부(1100)에 마련된 삽입구(1121)가 개방된다. 반대로, 분사부(20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11과 같이 개폐 부재(1122)를 밀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중력에 의해 타단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개폐 부재(1122)가 회전하며, 이에 삽입구(1121)가 폐쇄된다.
상기에서는 개폐 부재(1122)가 삽입구(1121)의 상측에서 커버 바디(1110)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및 그 힘의 해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부재(112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바디(1110)는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로 분할 형성되고, 삽입구(1121)는 제 1 덮개(1110a)에 마련된 제 1 개구(1121a)와 제 2 덮개(1110b)에 마련된 제 2 개구(1121b)를 포함한다. 이에, 개폐 부재(1122)는 제 1 덮개(1110a)에 마련된 제 1 개구(1121a)와 제 1 덮개(1110a)에 마련된 제 2 개구(1121b) 각각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부(1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구(1121a)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부재(1122a), 제 1 개폐 부재(1122a)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1123a), 제 2 덮개(1110b)에 마련된 제 2 개구(1121b)를 개폐하는 제 2 개폐 부재(1122b), 제 2 개폐 부재(1122b)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1123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114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 내부에 마련되어, 커버 바디(1110)의 외측으로 제 2 분사물을 분사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제 2 분사물은, 클린 하우스 내에 분진이 발생되었을 때, 이 분진을 클린 하우스 바닥으로 포집 또는 집진하기 위한 물질로서, 예컨대 물(water)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노즐(1140)은 커버 바디(11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클린 하우스를 향하는 선단이 개방되어 커버 바디(1110)의 내면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노즐(1140)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나열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노즐(1140)로부터 제 2 분사물이 분사되면, 클린 하우스 내 분진이 상기 제 2 분사물에 의해 포집되어 바닥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분진에 의해 클린 하우스 내부 및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노즐(114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의 내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 바디(1110)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선단의 높이가 상기 선단의 반대쪽 끝단인 후단에 비해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노즐(1140)은 후단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노즐(1140)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제 2 분사물을 클린 하우스 바닥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분사시켜, 클린 하우스 내 공중에 있는 분진을 하측으로 유도시켜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복수의 노즐(1140)은 커버 바디(1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나열 형성되므로, 커버 바디(1110)의 상하 방향 측면에서 보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노즐(1140)이 나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노즐(1140)에 있어서, 제 2 분사물이 유입되는 위치와 가까운 노즐(1140)일 수록 그 내경이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바디(1110) 내부에 마련된 배관(1150)의 하부를 통해 제 2 분사물이 유입된다고 할 때, 커버 바디(1110) 내에 마련된 복수의 노즐(1140)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노즐(1140)에 비해 하측에 위치된 노즐(1140)의 내경이 작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제 2 분사물이 유입되는 위치와 가까울 수록 노즐(1140)의 내경이 작도록 마련하는 것은, 복수의 노즐(114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 2 분사물이 유입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복수의 노즐(1140)의 내경이 모두 동일한 경우, 유입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노즐(114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이 많을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노즐(1140)로부터 분사되는 제 2 분사물의 분사량이 불균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공중에 있는 분진을 바닥으로 끌어내리는 포집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배관(1150)은 복수의 노즐(1140)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 바디(1110) 내에 마련된다. 이러한 배관(1150)의 일부에는 제 2 분사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는 제 2 분사물을 제공하는 별도의 공급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는 예를 들어 커버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는 커버 바디(1110) 상부 또는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는 하나로 마련되지 않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커버 바디(1110)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바디(1110)는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로 분할 형성되며, 노즐(1140)은 커버 바디(11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제 1 덮개(1110a) 및 제 2 덮개(1110b) 각각에 노즐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제 1 덮개(11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열되도록 복수의 제 1 노즐(1140a)이 형성되고, 제 2 덮개(11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열되도록 복수의 제 2 노즐(1140b)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 1 덮개(1110a) 내부에 마련되며 제 1 노즐(1140a)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배관을 제 1 배관(1150a), 제 2 덮개(1110b) 내부에 마련되며 제 2 노즐(1140b)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배관을 제 2 배관(1150b)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 내지 도 6으로 돌아가, 구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부(1200)는 커버부(1100)가 도어부(110)의 내측 공간 즉, 클린 하우스 측 또는 전로(10)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직립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구동부(1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바디(111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도어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전로(10)가 위치된 도어부(110)의 내측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1210)와, 회전부(121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1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구동원(1220)은 모터(motor)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1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회전부(1210)는 예컨대, 커버 바디(1110)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회전부(1210)는 구동원(1220)의 동작에 의해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부(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210)에 커버 바디(1110)가 결합 및 고정되는데, 커버 바디(1110)의 하부 끝단 즉, 일단이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210)에 커버 바디(1110)가 결합되는데 있어서, 예컨대, 회전부(1210)의 외주면에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에 커버 바디(1110)의 일단이 삽입되어, 별도의 결합 수단을 통해 회전부(1210)와 커버 바디(11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1210)에 커버 바디(111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결합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회전부(1210)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1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커버 바디(1110)의 타단이 전로(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 이동된다. 즉, 회전부(1210)가 전로(10)가 위치된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1210)에 고정 결합된 커버 바디(1110)도 함께 회전한다. 즉, 커버 바디(1110)가 회전부(1210)에 고정된 일단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커버 바디(1110)의 타단이 일단에 비해 전로(10)와 가까워지게 기울어진다. 이때, 커버 바디(1110)의 내면과 전로(10)의 상부면(11a)이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 바디(1110)가 기울어지면, 노구(11)가 폐쇄된다,
또한, 커버 바디(1110)가 노구(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부(1210)가 전로(10)와 반대 방향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버 바디(1110)가 회전부(1210)에 고정된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커버 바디(1110)의 타단이 전로(10)와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커버 바디(1110)의 내면이 전로(10)의 상부면(11a)과 이격되면 노구(11)가 개방된다.
커버 바디(1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덮개(1110a)와 제 2 덮개(1110b)로 분할 형성된다. 이에, 구동부(1200)는 제 1 덮개(1110a) 및 제 2 덮개(1110b) 각각을 별도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부(1210)는 제 1 덮개(1110a)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부(1210a) 및 제 2 덮개(1110b)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부(12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1220)은 제 1 회전부(1210a)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원(1220a) 및 제 2 회전부(1210b)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원(1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00)에 의하면, 제 1 구동원(1220a)의 동작에 의한 제 1 회전부(1210a)의 회전에 의해, 제 1 덮개(1110a)가 제 1 도어(110a)에서 전로(10) 쪽으로 회전하거나, 전로(10)에서 제 1 도어(110a)쪽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구동원(1220b)의 동작에 의한 제 2 회전부(1210b)의 회전에 의해, 제 2 덮개(1110b)가 제 2 도어(110b)에서 전로(10) 쪽으로 회전하거나, 전로(10)에서 제 2 도어(110b)쪽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이 회전하여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내면(IF1, IF2)과 전로(10)의 상부면(11a)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기울어지면, 노구(11)가 폐쇄된다. 반대로, 제 1 및 제 2 덮개(1110b) 각각이 회전하여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 각각의 내면(IF1, IF2)과 전로(10)의 상부면(11a)이 이격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1110a, 1110b)가 직립 상태가 되면, 노구(11)는 개방된다.
상기에서는 회전부(1210)가 커버 바디(1110)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1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고, 그 일단이 커버 바디(11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부(1210)는 도어부(110)에 연결된 타단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부(110)에서 전로 쪽 또는 전로 쪽에서 도어부(110) 쪽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개폐 장치로 개폐시키고자 하는 대상이며, 용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클린 하우스로 예를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개폐가 필요한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조업 단계, 전로 및 클린 하우스의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클린 하우스 내 전로(10)에서 정련이 종료되면, 상기 전로(10)부터 용강을 출강시킨다. 전로(10) 내 용강은 별도로 마련된 수강 래들(미도시)로 출강되며, 용강이 수강된 수강 래들은 다음 조업을 위해 이동된다.
출강이 종료되면, 다음 조업을 위해 전로(10) 내부로 고철 및 용선을 장입한다. 그런데, 고철 및 용선이 클린 하우스로 이동되는데 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거나, 조업 이상으로 고철 및 용선을 바로 전로로 장입시키지 못할 수 있다.
이렇게 전로(10) 내부가 비어 있는 대기 시간 동안에 전로(10) 내부의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그리고 전로(10) 내부의 온도가 낮을 수록, 이후 장입되는 고철 및 용선을 정련하여 용강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다음 조업에 필요한 온도로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대기 시간 동안에 전로(10) 내부 온도 하락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로(10) 노구(11)를 폐쇄시켜 보온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3의 (a)와 같이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에서, 용강의 출강이 종료된 전로(10)를 경동시키고, 커버부(1100)를 전로(10) 방향으로 기울여 노구(11)를 폐쇄시킨다. 즉, 구동원(1220)을 통해 회전부(1210)를 회전시켜, 커버부(1100)의 타단이 전로(10)와 가까워지도록 상기 커버부(11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커버부(1100)는 회전부(1210)에 의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커버부(1100)의 내면이 전로(10)의 상부면(11a)과 접촉될 때까지 커버부(1100)를 회전시키면, 노구(11)가 폐쇄된다. 이렇게 노구(11)가 폐쇄됨에 따라, 대기 시간 동안에 전로(10) 내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고철 및 용선을 전로(10)로 투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노구(11)를 개방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원(1220)을 통해 회전부(1210)를 회전시켜, 타단이 전로(10)와 멀어지도록 상기 커버부(1100)를 회전시키면, 노구(11)가 개방된다. 이때, 커버부(1100)가 직립 상태가 되도록 또는 도어부(110)에 마련된 수용홈(111)에 수용되도록 상기 커버부(1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구(11)가 개방되면, 도어부(110)를 연다. 그리고, 경동되어 있는 전로(10)의 노구(11)를 통해 고철 및 용선을 장입한다. 고철 및 용선의 장입이 종료되면, 다시 도어부(110)를 닫고, 전로(10)를 직립시킨다. 전로(10)가 직립되면, 상기 전로(10) 내부로 랜스를 삽입시킨 후 산소를 취입하는 정련을 실시한다.
상기에서는 대기 시간 동안에 커버부(1100)를 통해 전로(10)를 보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 시간 동안에 커버 장치(1000)를 이용하여 전로(10)의 내벽을 코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부(110)가 닫혀있고, 전로(10)가 경동되어 있으며, 커버부(1100)에 의해 노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 13의 (b)와 같이 커버부(1100)에 마련된 삽입부(1120)로 분사부(200)를 삽입시킨다. 즉, 분사부(200)의 선단으로 커버부(1100)에 마련된 삽입구(1121)와 마주보게 위치된 개폐 부재(1122)를 밀어낸다. 이에, 개폐 부재(1122)가 밀려 올라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121)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 13의 (b)와 같이 분사부(200)의 선단이 노구(11)를 통과하여 전로(10) 내부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이후, 분사부(200)로 제 1 분사물을 공급하면, 상기 분사부(200)의 선단을 통해 제 1 분사물이 분사된다. 따라서, 제 1 분사물이 전로(10) 내벽에 코팅되며, 이에 전로(10) 내벽이 보수된다.
전로(10) 내벽 코팅이 종료되면, 분사부(200)를 다시 커버부(1100) 외측으로 반출시키며, 이때 개폐 부재(1122)에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어, 삽입구(1121)가 폐쇄된다(도 11 참조). 다음으로, 고철 및 용선을 전로로 투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로(10) 내로 고철 및 용선을 장입시킨다. 그리고, 도어부(110)를 닫고, 전로(10)를 직립시켜, 전로(10) 내 용선을 정련한다.
이렇게, 실시예에서는 노구(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부(1100)를 통해 분사부(200)를 삽입시켜 전로(10) 내부를 코팅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전로(10) 내 고열에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로 전로(10) 내부를 코팅할 수 있다.
한편, 전로(10) 내로 산소를 취입하여 정련을 실시하는 중에, 클린 하우스 내부에 분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부(1100)에 마련된 복수의 노즐(1140)을 통해 제 2 분사물 즉, 물을 분사시켜 분진을 포집한다. 즉, 도 13의 (c)와 같이 도어부(110)를 닫혀있고, 커버부(1100)가 직립되어 수용홈(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부(1100)에 마련된 복수의 노즐(1140)을 통해 제 2 분사물을 분사한다. 이에, 클린 하우스의 공중에 분산되어 있는 분진이 제 2 분사물에 의해 포집되어 바닥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분진에 의해 클린 하우스 내부 및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시간 동안 전로(10)가 경동되어 커버부(110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일 때, 필요시 도어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대기 시간 동안, 전로(10) 내 내화물의 침식 여부를 확인하거나, 전로(10)의 출강구를 교환시키는 작업을 하거나, 클린 하우스 내부에 설치된 설비 예컨대 배가스 회수 설비 등의 보수 작업을 실시할 때, 도어부(110)를 열었다가, 작업 완료 후 도어부(110)를 다시 닫는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100)에 의해 전로(10) 상부면(11a)에 형성된 지금(D)이 제거된다. 즉, 별도로 지금 제거 장치를 이용하거나, 지금 제거 작업을 별도로 실시하지 않고도, 필요시 도어부(110)를 개폐하는 동작만으로 전로(10) 상부면(11a)의 지금(D)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D)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장치 및 작업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D)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1100: 커버부 1110: 커버 바디
1110a: 제 1 덮개 1110b: 제 2 덮개
1121: 삽입구 1122: 개폐 부재
1123: 지지 부재 1140: 노즐
1210: 회전부 1220: 구동원

Claims (18)

  1.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용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장치로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이 상기 용기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단이 상기 하우스를 개폐하는 도어부에 연결된 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위치된 방향 및 상기 용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부에 장착된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커버 바디; 및
    분사부가 삽입될 수 있게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마련된 삽입부;
    를 포함하는 커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분사물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하우스를 향하는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커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커버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노즐은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커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로 분사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커버 바디 내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분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배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노즐 중, 상기 유입구와 가까운 노즐일 수록 그 내경이 작은 커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도어부 중,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도어 각각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1 덮개에 결합된 제 1 회전부 및 상기 제 2 덮개에 결합된 제 2 회전부를 포함하는 커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각각은, 두께 방향의 양면인 외면 및 내면, 상기 외면과 내면 사이의 면이며, 마주보는 면인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각각의 측면은 경사면인 커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는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장치.
  11. 하우스의 전방에 위치된 도어부를 닫는 과정;
    상기 하우스 내에 위치된 용기의 개구가 상기 도어부를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는 과정;
    일단이 상기 도어부에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용기 폐쇄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를 폐쇄한 후, 상기 용기 내부에 제 1 분사물을 분사하여 상기 용기 내부를 보수하는 용기 보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보수 과정은,
    분사부의 선단이 상기 용기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부로 상기 분사부를 관통시키는 분사부 삽입 과정; 및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부로 제 1 분사물을 분사시켜 상기 용기 내부를 코팅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폐쇄 과정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용기 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처리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를 닫은 후, 상기 하우스 내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 과정은,
    상기 커버부 내에 마련된 노즐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커버부 외부로 제 2 분사물을 분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제 2 분사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경동시키기 전에 실시하거나,
    상기 커버부로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전에 실시하거나,
    상기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커버부를, 그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측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용기를 개방시킨 후에 실시하는 처리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를 여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를 열거나 닫는데 있어서, 상기 도어부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도어부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커버부를 상기 도어부와 함께 수평 이동시키는 처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로 용기의 개구가 폐쇄된 후에, 상기 도어부를 여는 과정; 및
    상기 도어부를 다시 닫아, 상기 도어부에 설치된 상기 커버부로 상기 용기 개구 주변에 형성된 지금을 긁어 제거하는 지금 제거 과정;
    을 포함하는 처리 방법.
  18. 청구항 11, 청구항 12,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는 클린 하우스를 포함하는 처리 방법.
KR1020200055981A 2020-05-11 2020-05-11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231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81A KR102318508B1 (ko) 2020-05-11 2020-05-11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81A KR102318508B1 (ko) 2020-05-11 2020-05-11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508B1 true KR102318508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81A KR102318508B1 (ko) 2020-05-11 2020-05-11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968U (ko)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전로의 노전 도어 장치
KR20070047507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포스코 살수식 전로 냉각장치
KR20170124877A (ko) * 2016-05-03 2017-11-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렉트로 슬래그 재용해로
KR20190069089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KR102045380B1 (ko) * 2018-09-10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개폐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968U (ko)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전로의 노전 도어 장치
KR20070047507A (ko) * 2005-11-02 2007-05-07 주식회사 포스코 살수식 전로 냉각장치
KR20170124877A (ko) * 2016-05-03 2017-11-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일렉트로 슬래그 재용해로
KR20190069089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KR102045380B1 (ko) * 2018-09-10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개폐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315B1 (ko) 고온 고상 강 슬래그의 처리 장치
JP2012102998A (ja) 直接製錬装置
JPH0711391B2 (ja) 炉のルーフ装置
KR101921229B1 (ko) 슬래그 급속 배제 시스템
KR102318508B1 (ko) 커버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585678B1 (ko) 래들 수강대차
US3013789A (en) Mobile apparatus for oxygen refining of metal
KR101597262B1 (ko) 원료 처리장치
KR0128482B1 (ko) 노즐 브릭에 대한 보수용 조성물 처리장치
CN211546580U (zh) 熔渣收送设备及熔渣处理系统
KR101987654B1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KR20170072324A (ko) 용융 장치 및 용융 방법
KR101623312B1 (ko) 고로 대탕도의 보수준비용 처리장치
KR101818511B1 (ko) 부착물 제거방법
JP2000271733A (ja) 溶融金属用取鍋の清掃装置
KR101502424B1 (ko) 전로의 용강 이송용 장치
RU2818157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зливочного ковш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манипулятором
KR100931354B1 (ko) 고로 출선구 연삭장치
KR100727109B1 (ko) 전로의 부원료공 지금 제거장치
JPH11279619A (ja) 溶融金属精錬用ランスの付着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3174810B2 (ja) 溶解炉装置
KR101204438B1 (ko) 전로 출강구 보강 장치
JPH1150117A (ja) 高炉における傾注樋部の集塵方法
JP3767223B2 (ja) 高炉の補修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炉内耐火物の吹き付け方法と高炉ステーブの回収方法
KR101242992B1 (ko) 배재구 깊이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