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764B1 -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764B1
KR102317764B1 KR1020200159566A KR20200159566A KR102317764B1 KR 102317764 B1 KR102317764 B1 KR 102317764B1 KR 1020200159566 A KR1020200159566 A KR 1020200159566A KR 20200159566 A KR20200159566 A KR 20200159566A KR 102317764 B1 KR102317764 B1 KR 10231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ildren
wheels
occupant
t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일랜드스토리
장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일랜드스토리, 장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일랜드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15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64B1/ko
Priority to PCT/KR2021/017190 priority patent/WO20221147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8Combinations of handles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63H17/38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actu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2Automatic stopping or bra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몸체, 몸체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 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몸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공간, 및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손잡이는, 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하고, 몸체 외부로 유출 가능하고, 길이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함과 동시에, 트롤리가 이동하는 동안에 탑승자는 탑승부에 안정감있게 탑승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CAR-SHAPED TRAVEL TROLLEY FOR CHILDREN}
본 발명은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차 형상인 몸체에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가 마련되고, 자동차 형상인 몸체의 전면부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아동이 안전하게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여행용 트롤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수납하고 이동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 등은 일정한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복수의 바퀴를 가지며 가방을 끌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행용 러기지(luggage)는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여행객을 위하여 어린이가 착석할 수 있는 선반 형태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7세 미만의 미취학 아동의 경우, 등받이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선반 형태의 이러한 공간에 탑승할지라도 여행용 가방의 움직임에 쉽게 넘어질 수 있었다. 이에, 여행 등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에 아동 등의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으면서도 여행용 러기지와 같이 안전한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자동차 형상으로 제작하고, 아동이 안정감있게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몸체, 몸체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 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몸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공간, 및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손잡이는, 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하고, 몸체 외부로 유출 가능하고, 길이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건을 수납함과 동시에, 트롤리가 이동하는 동안에 탑승자는 탑승부에 안정감있게 탑승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트롤리에 다양한 물건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등받이 및 측벽을 포함하는 안정감있는 탑승부가 마련되어 아동이 안전하게 탑승한체로 이동할 수 있는 여행 트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는 탑승자(10)가 탑승 가능하며 수납공간(140)을 포함하여 짐을 수납할 수 있는 여행용 러기지(luggage)이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에 탑승할 수 있는 탑승자(10)는 예를 들면 아동일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는 몸체(110), 복수의 바퀴(120), 손잡이(130), 수납공간(1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몸체(110)는 자동차 형상일 수 있으며, 탑승부(111), 전면부(112) 및 후면부(113)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탑승부(111)는 탑승자(10)가 탑승할 수 있는 영역이다. 탑승부(111)는 몸체(110)의 외면에서 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간일 수 있고, 탑승자(10)가 앉은 상태일 경우의 하체 및 상체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탑승부(111)에는 탑승자(10)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가 배치될 수 있다. 탑승부(111)의 의자는 탑승자(10)의 등을 안정감있게 받칠 수 있는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111)는 의자의 측면을 가로막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측벽은 탑승부(111)에 착석한 탑승자(10)의 몸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몸체(110)의 전면부(112)는 탑승부(111)의 앞쪽에 배치된 영역으로서,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주행하는 전면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이다. 또한, 몸체(110)의 후면부(113)는 탑승부(111)의 뒤쪽에 배치된 영역으로서,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주행하는 전면 방향과 반대되는 후면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이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복수의 바퀴(120)는 몸체(110)와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자동차 형상의 바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바퀴(120)는 한 쌍의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퀴(120)는 회전 가능하며, 앞바퀴의 항햐는 방향은 조절될 수 있다. 앞바퀴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주행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손잡이(130)는 몸체(1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손잡이(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130)의 돌출된 길이는 조절가능할 수 있고, 이에, 손잡이(130)의 전체 길이는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30)는 몸체(110) 내부로 접혀져 유입 가능할 수 있고, 몸체(110)의 내부에 유입된 손잡이(130)는 다시 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펼쳐질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수납공간(140)은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몸체(110) 내부에 배치된 공간으로서,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수납공간(140)은 몸체(110)의 전면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12)의 상면은 개패가능한 문의 형상일 수 있다. 전면부(112)의 상면이 열릴 경우, 전면부(112)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4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공간(140)에는 다양한 물건이 넣어질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수납공간(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부(112)에 배치되지 않고, 후면부(11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공간(140)은 전면부(112) 및 후면부(113)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제어부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복수의 바퀴(1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바퀴(120)의 회전을 멈추게 하거나, 멈추었던 복수의 바퀴(1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120) 중 한 쌍의 앞바퀴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복수의 바퀴(120)는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130)를 잡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바퀴(120)는 회전하고, 한 쌍의 앞바퀴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는 탑승자(10)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111)를 가진 몸체(110)가 자동차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탑승부(111)는 탑승자(10)가 안정감있게 탑승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의자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주행하는 동안 탑승자(10)는 안정감있게 탑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아동을 의한 여행용 가방의 경우, 내부에 다양한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캐리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아동이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가지지 못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여행용 가방의 이동속도가 급격하게 변하거나, 보행자가 많아 혼잡한 공간에서 탑승한 아동이 추락하는 등, 부상에 노출될 위험이 존재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경우, 몸체(110)가 자동차의 형상을 가지며, 탑승부(111)는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탑승부(111)에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가 배치될 수 있고, 탑승부(111)의 측면에는 측벽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는 몸체(110)의 전면부(112)에 수납공간(140)을 포함함에 따라 물건을 수납하고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뿐만 아니라, 아동과 같은 탑승자(10)가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할지라도 탑승자(10)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탑승부(111)와 전면부(112) 사이의 유리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몸체(110)와의 연결부를 축으로 몸체(110)의 표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창은 펼쳐진 상태에서 몸체(110)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몸체(110)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리창이 배치됨으로써, 탑승부(111)에 탑승한 탑승자(10)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급정거하는 등 속도가 급변하는 경우에 탑승부(111)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탑승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부(111)에 탑승자(10)가 탑승하지 않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전체 부피를 작게 유지하여 특정한 공간, 예를 들면, 비행기의 짐 보관용 선반 등에 보관되어야 할 경우, 유리창은 탑승부(111)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유리창은 연결부에 의하여 몸체(110)과 연결될 수 있고, 유리창은 연결부를 축으로 몸체(110)의 표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리창이 완전히 접혀진 경우, 유리창은 몸체(11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탑승자(10)를 탑승시키지 않고 보관될 경우, 유리창이 완전히 접혀짐에 따라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유리창이 배치된 몸체의 표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탑승부(111)의 등받이 부분은 탑승부(111)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부(111)는 의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탑승자(10)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등받이를 가질 수 있다. 등받이 부분은 탑승자(10)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몸체(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몸체(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부(111)에 탑승자(10)가 탑승하지 않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전체 부피를 작게 유지하여 특정한 공간, 예를 들면, 비행기의 짐 보관용 선반 등에 보관되어야 할 경우, 탑승부(111)의 등받이는 탑승부(111)의 낸부 공간이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탑승부(111)의 등받이가 완전히 접혀진 경우, 탑승부의 등받이는 몸체(11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탑승부(110)의 내부 공간은 등받이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탑승자(10)를 탑승시키지 않고 보관될 경우, 탑승부(111)의 등받이가 완전히 접혀짐에 따라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탑승부(111)가 몸체(110)의 표면으로붙터 돌출되지 않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가 보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도면이다. 도 3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는 도 1 내지 도 2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100)와 비교하여 손잡이(230)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는 몸체(110)로부터 유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는 'T'형상의 손잡이(230)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손잡이(230)가 몸체(110)로부터 완전히 유출된 상태에서, 손잡이(230)는 몸체(110)와 연결되는 긴 바 형태의 연결부, 및 사용자의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손잡이(230)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와 손잡이(230)부는 서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의 일단은 몸체(110)와 연결되고, 연결부의 타단은 손잡이(230)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의 타단은 손잡이(230)부의 중심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와 손잡이(230)부는 'T'형상을 이룰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의 손잡이(230)는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손잡이(230)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몸체(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봉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가 변함에 따라, 연결부의 연장된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봉이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서로 최대로 중첩되는 경우, 연결부의 길이는 최소일 수 있다. 연결부의 길이가 최소일 경우, 연결부 전체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의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몸체(110)의 표면에는 연결부가 유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는 홈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가 유입될 수 있는 몸체(110)의 홈에는 손잡이(230)부가 유입될 수 있는 손잡이(230)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230)부의 전체 길이가 가장 짧을 경우, 연결부는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손잡이(230)부는 몸체(110)에 형성된 손잡이(230)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손잡이(230)부의 표면은 몸체(11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의 손잡이(230)가 'T'형상을 이루고, 연결부와 손잡이(230)부를 포함함에 따라, 아동용 여행 트롤리(200)의 손잡이(230)는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몸체(1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에, 손잡이(230)가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손잡이(230)부가 배치된 몸체(110)의 표면은 손잡이(230)부가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의 실시간 위치를 식별하고,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영역을 벗어난 위험영역에 있는 경우, 위험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의 신체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몸체 또는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고, 탑승자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탑승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머리, 몸, 팔, 다리 등의 탑승자의 신체의 실시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안전영역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바퀴를 정상모드로 작동하여 정상 회전시킬 수 있다. 안전영역은 탑승부와 인접한 공간으로서, 몸체와 가장 인접한 탑승부의 상부영역일 수 있다. 탑승자가 탑승부에 탑승하여 착석할 경우, 탑승자의 상체 일부는 몸체와 중첩되지 않고 탑승부의 상부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탑승자의 상체 일부가 노출된 탑승부의 상부영역은 안전영역일 수 있다. 탑승자의 신체가 안전영역에 있을 경우, 제어부는 탑승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정상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정상모드일 경우, 복수의 바퀴는 제어부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는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위험영역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바퀴를 위험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위험영역은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위험영역에 있을 경우, 탑승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위험영역은 안전영역의 상부영역, 지면과 인접한 몸체의 측면 영역, 및 복수의 바퀴와 인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탑승부의 의자에 착석하지 않고 일어선 경우, 탑승자의 신체 중 일부는 안전영역의 상부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 중인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서 일어선 탑승자는 넘어질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영역의 상부영역은 위험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팔을 뻣어 몸체의 측면을 따라 지면을 손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동 중인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서 지면을 손으로 접촉할 경우, 부상의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과 인접한 몸체의 측면 영역은 위험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는 팔을 뻣어 바퀴를 손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동 중인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서 바퀴를 손으로 접촉할 경우, 회전하는 바퀴에 손이 끼이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바퀴와 인접한 영역은 위험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위험영역에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위치할 경우, 위험모드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몸체가 이동중인 경우, 제어부는 위험모드에서 몸체를 서서히 감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는 특정한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수 있고, 위험모드가 작동될 경우, 미리 설정한 가속도 이하의 가속도로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이처럼 몸체가 서서히 감속되지 않고 급정지하는 등 빠르게 감속될 경우,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는 중심을 잃고 탑승부를 벗어나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위험모드에서 이동중인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몸체를 미리 설정한 가속도 이하로 감속시킬 수 있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서서히 멈출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한 가속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몸체가 정지중인 경우, 위험모드에서 몸체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정지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일어서는 등, 탑승자는 신체의 일부를 위험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급작스럽게 이동하는 경우, 탑승자는 탑승부에서 이탈하여 넘어지는 등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몸체가 정지중인 경우, 위험모드로서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중단한 상태를 유지하여 몸체를 정지중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위험모드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등을 발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위험영역에 위치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위험영역에 위치할 경우, 신체의 일부가 위치하는 위험영역에 대응되는 경고등을 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안전영역의 상부영역인 위험영역에 위치할 경우, 손잡이에 설치된 경고등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지면과 인접한 몸체의 측면 영역에 위치할 경우, 몸체의 측면 영역에 설치된 경고등이 발광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신체의 일부가 복수의 바퀴와 인접한 위험영역에 위치할 경우, 복수의 바퀴에 설치된 경고등이 발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험모드에서는 손잡이에 위치한 경고등만이 발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영역은 탑승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탑승자가 앉은 상태일 때 탑승부의 상부에 노출되는 탑승자의 상체의 일부의 길이는, 탑승자의 상체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탑승자의 신장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탑승자의 신장에 따른 안전영역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는 탑승자의 신장, 및 안전영역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는 제1 탑승자의 신장, 및 안전영역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탑승자와 상이한 제2 탑승자의 신장, 및 안전영역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저장부는 복수의 탑승자 각각의 신장, 및 안전영역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사용자로부터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탑승한 탑승자가 복수의 탑승자 중 제1 탑승자라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제어부는 안전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제1 탑승자의 안전영역에 대한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영역은 제1 탑승자의 안전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탑승부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고,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탑승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탑승자에 맞추어진 안전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는 탑승부에 앉은 탑승자를 촬영하여 탑승자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탑승자가 탑승부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의 탑승자의 머리의 최상단부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탑승자의 머리의 최상단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안전영역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에 맞추어진 안전영역의 높이에 기초하여 안전영역과 위험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이에, 탑승자의 신장에 따라 자동으로 안전영역과 위험영역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수납공간이 열린 경우,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이동을 멈추고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배치되는 수납공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열릴 수 있다. 수납공간이 열린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의 회전이 멈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몸체의 이동은 정지될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을 열어 물건을 넣거나 빼는 사용자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이동함에 따른 위험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의자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의자에 설치된 열선, 탑승부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온풍기, 탑승부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에어컨, 탑승부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순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사용자의 온도 조절 입력에 대응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손잡이에 설치된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를 입력하거나, 온도제어부의 실행 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탑승자, 예를 들면 제1 탑승자의 선호 온도에 대한 정보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탑승자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탑승부에 탑승하여 온도제어부를 이용할 수 있고, 특정한 온도로 온도제어부가 작동될 수 있다. 저장부는 제1 탑승자가 온도제어부를 이용할 때의 설정된 특정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1 탑승자의 선호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제1 탑승자가 재차 탑승부에 탑승한 경우, 저장부는 저장된 제1 탑승자의 선호 온도에 대한 정보를 온도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제1 탑승자의 선호 온도에 대응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온도제어부 이외에 외부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온도 측정부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외부온도 측정부는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외부온도에 대한 정보를 온도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외부온도 측정부로부터 전달받은 외부온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제어부는 외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의 실행여부를 묻고, 사용자로부터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의 실행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외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라는 정보, 및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의 실행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의 실행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온도제어부는 외부온도가 또 다른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의 실행여부를 묻고, 사용자로부터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의 실행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는 외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라는 정보, 및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의 실행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의 실행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에 탑승한 탑승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 및 외부온도 모두에 대응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는 탑승부에 탑승했던 특정 탑승자, 예를 들면, 제1 탑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제1 탑승자의 식별정보, 제1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의 복수의 외부온도에 대한 정보, 및 제1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의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되었던 탑승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1 탑승자는 탑승부에 탑승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이용할 수 있고, 서로다른 외부온도를 가진 복수의 장소를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탑승한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의 상황에서,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에 대응하여 탑승부는 복수의 탑승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탑승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제1 탑승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저장부는 온도제어부에 저장하였던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탑승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는 외부온도 측정부로부터 현재의 외부온도인 제1 외부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저장부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외부온도 중 현재의 외부온도인 제1 외부온도와 가장 인접한 특정 외부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저장부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외부온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탑승부의 온도 중 특정 외부온도에 대응되는 특정 탑승부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선택한 특정 탑승부의 온도에 따라 현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탑승자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재차 이용하면서 외부온도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직접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고, 온도제어부는 과거에 제1 탑승자가 온도제어부를 이용했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외부온도에 맞추어 자동으로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온도제어부 이외에 체온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온측정부는 탑승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체온측정부는 탑승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고, 탑승자의 체온에 대한 정보를 온도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는 탑승자의 체온이 제1 체온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자의 체온이 위험체온이라는 경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는 탑승자의 체온이 제1 체온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을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라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체온측정부는 탑승자의 체온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탑승자의 체온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온도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탑승자의 체온이 제1 체온보다 낮아진 경우, 온도제어부는 사용자에게 탑승자의 체온이 안전체온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온도제어부는 탑승자의 체온이 제1 체온보다 낮은 제2 체온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자의 체온이 저체온이라는 경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부는 탑승자의 체온이 제2 체온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을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라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온도제어부는 탑승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손잡이에 배치된 주행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버튼은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질 경우, 복수의 바퀴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는 구성이다. 주행버튼은 손잡이에 배치될 수 있고, 손잡이를 잡고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조정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주행버튼을 누르며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밀 수 있도록 손잡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주행버튼을 누르는 경우,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는 주행버튼이 눌러진 정도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주행버튼이 눌러질 수 있는 최대의 깊이와 주행버튼이 눌러진 깊이의 비율에 대응하여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는 산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손잡이의 내부에는 주행버튼과 인접하여 압력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는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복수의 바퀴에는 더 큰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손잡이에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미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누를 수 있는 주행버튼을 포함하고,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사용자가 미는 힘에 의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과 더불어 제어부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미는 힘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미는 힘에 비례하여 더 큰 추진력이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버튼은 지면에 평행하여 좌우로 연장된 긴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는 지면에 평행하여 좌우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된 손잡이를 따라 주행버튼은 긴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는 긴 바 형태의 주행버튼이 눌러지는 영역에 대응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주행할 수 있는 추진력 이외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긴 바 형태의 주행버튼의 가운데 부분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바퀴를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바퀴 중 한 쌍의 앞바퀴가 향하는 방향이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긴 바 형태의 주행버튼의 오른쪽 부분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바퀴를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바퀴 중 한 쌍의 앞퀴가 향하는 방향이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긴 바 형태의 주행버튼의 왼쪽 부분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바퀴를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바퀴 중 한 쌍의 앞퀴가 향하는 방향이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긴 바 형태의 주행버튼을 누르는 영역 및 누르는 힘의 세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바퀴의 회전력 및 복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 즉,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주행하는 방향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주행버튼의 누르는 영역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바퀴가 회전하는 세기, 즉, 복수의 바퀴의 회전력은 주행버튼을 누르는 세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버튼의 가운데 영역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주행버튼의 가운데 영역을 누르는 세기에 비례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앞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주행버튼의 오른쪽 영역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주행버튼의 오른쪽 영역을 누르는 세기에 비례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행버튼의 왼쪽 영역이 눌러지는 경우, 제어부는 주행버튼의 왼쪽 영역을 누르는 세기에 비례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제공하는 복수의 바퀴의 회전력, 즉,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제공하는 추진력은 손잡이를 밀며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가하는 사용자의 미는 힘과 동일한 세기일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미는 힘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미는 힘, 즉, 아동용 여행 트롤리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추진력과 동일한 세기의 힘을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미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을 아동용 여행 트롤리의 추진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사용자가 아동용 여행 트롤리를 미는 힘의 세기의 두배의 힘으로 주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한 새로운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몸체, 몸체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 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몸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공간, 및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손잡이는, 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하고, 몸체 외부로 유출 가능하고, 길이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탑승자의 머리, 몸, 팔, 다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식별 가능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카메라가 탑승부와 인접한 안전영역에서 탑승자를 식별한 경우, 복수의 바퀴를 정상 회전하고, 카메라가 안전영역을 벗어난 위험영역에서 탑승자를 식별한 경우, 복수의 바퀴를 위험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험영역은, 안전영역의 상부영역, 지면과 인접한 몸체의 측면 영역, 및 복수의 바퀴와 인접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몸체가 이동중인 경우, 제어부는 몸체의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가속도 이하로 감소시키며 복수의 바퀴를 위험모드로 작동하며, 몸체가 정지중인 경우, 제어부는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중단한 상태로 유지하며 복수의 바퀴를 위험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온도 입력에 대응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온도제어부는, 탑승자의 체온, 및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는 손잡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주행버튼을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 및 주행버튼을 누르는 영역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복수의 바퀴의 회전 및 복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탑승자
100, 200: 아동용 여행 트롤리
110: 몸체
111: 탑승부
112: 전면부
113: 후면부
120: 바퀴
130, 230: 손잡이
140: 수납공간

Claims (7)

  1.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바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상기 몸체는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공간;
    상기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온도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상기 탑승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및
    상기 손잡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주행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하고, 상기 몸체 외부로 유출 가능하고, 길이조절 가능하고,
    상기 체온측정부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탑승자의 체온이 제1 체온 이상이거나 상기 제1 체온보다 낮은 제2 체온 이하인 경우,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메시지 및 상기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을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의 수행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탑승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는 상기 주행버튼이 눌러질 수 있는 최대 깊이와 상기 주행버튼이 눌러진 깊이의 비율에 의하여 산출되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머리, 몸, 팔, 다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식별 가능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탑승부와 인접한 안전영역에서 상기 탑승자를 식별한 경우, 상기 복수의 바퀴를 정상 회전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안전영역을 벗어난 위험영역에서 상기 탑승자를 식별한 경우, 상기 복수의 바퀴를 위험모드로 작동하는, 자동자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영역은, 상기 안전영역의 상부영역, 상기 지면과 인접한 상기 몸체의 측면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바퀴와 인접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이동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가속도 이하로 감소시키며 상기 복수의 바퀴를 상기 위험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몸체가 정지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바퀴의 회전을 중단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복수의 바퀴를 상기 위험모드로 작동하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체온, 및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 및 상기 주행버튼을 누르는 영역 모두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바퀴의 회전력 및 상기 복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KR1020200159566A 2020-11-25 2020-11-25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KR10231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566A KR102317764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PCT/KR2021/017190 WO2022114706A1 (ko) 2020-11-25 2021-11-22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566A KR102317764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764B1 true KR102317764B1 (ko) 2021-10-27

Family

ID=7828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566A KR102317764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7764B1 (ko)
WO (1) WO20221147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706A1 (ko) * 2020-11-25 2022-06-02 장혜리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006A (ko) * 2009-06-29 2011-01-06 민경균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2488A (ko) * 2016-04-27 2017-11-06 자동차부품연구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탑승자용 시트 온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852292B1 (ko) * 2017-01-04 2018-04-25 최혁진 어린이 승용차 겸용 여행가방
KR20190136166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탑승자 신체 돌출 감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9970A1 (en) * 2008-09-06 2010-03-11 Scott Kyle C Multi-purpose carriage
KR102317764B1 (ko) * 2020-11-25 2021-10-27 주식회사 아일랜드스토리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006A (ko) * 2009-06-29 2011-01-06 민경균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2488A (ko) * 2016-04-27 2017-11-06 자동차부품연구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탑승자용 시트 온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852292B1 (ko) * 2017-01-04 2018-04-25 최혁진 어린이 승용차 겸용 여행가방
KR20190136166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탑승자 신체 돌출 감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706A1 (ko) * 2020-11-25 2022-06-02 장혜리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706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286B1 (en) Removable manual controls for an autonomous vehicle
TWI613114B (zh) 遠端致動型交通工具腳踏板
KR102317764B1 (ko) 자동차 형상의 아동용 여행 트롤리
JP2014227065A (ja) 手動推進車両
EP3608174B1 (en) Vehicle display system for vehicle
JP4506016B2 (ja) 移動体搭載用ロボ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移動体
JP2015047937A (ja) 手動推進車両
KR20170106712A (ko) 스마트 유모차
WO2021166317A1 (ja) 電動モビリティおよび施設内におけるシステム
EP3613638A1 (en) Vehicle display system for vehicle
JP2017213189A (ja) 電動車いす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CN112193249A (zh) 安全离车辅助系统
TW201509723A (zh) 智能手推車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KR101850108B1 (ko) 안전 유모차
KR102519133B1 (ko)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9311519A (zh) 包括辅助照明装置的机动车
KR20180078915A (ko) 유모차
JP6796499B2 (ja) 電動車いす
JP4178577B2 (ja) 自動ビークル及び自動ビークルの運行システム
KR20180073135A (ko) 유모차
WO2020085425A1 (ja) 自動運転車両
JP6815973B2 (ja) 移動装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