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176B1 -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 Google Patents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176B1
KR102317176B1 KR1020200055700A KR20200055700A KR102317176B1 KR 102317176 B1 KR102317176 B1 KR 102317176B1 KR 1020200055700 A KR1020200055700 A KR 1020200055700A KR 20200055700 A KR20200055700 A KR 20200055700A KR 102317176 B1 KR102317176 B1 KR 10231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insertion hole
nozzle tip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경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경인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경인프라
Priority to KR102020005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공급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작동손잡이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유로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개폐홀이 형성된 소켓과; 후단이 상기 작동손잡이와 연결되어 작동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홀을 개폐하는 샤프트와; 상기 소켓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소켓의 개폐홀과 연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후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물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다수의 경사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와류형성링과; 상기 삽입구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와류형성링을 통과한 물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격벽이 상기 통과홀을 따라 구비된 노즐팁과; 상기 바디 외부로 돌출된 소켓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삽입구와 결합되는 회전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캡의 일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에 의해 노즐팁이 구속되어 물이 직진 분사되고, 타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에 의해 노즐팁의 구속이 해제되어 중앙홀 내에서 노즐팁이 회전하면서 물이 나선 형태로 분사되므로, 직진 형태와 나선 형태로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Water gun capable of direct and spiral water spray}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워터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조작을 통해 물을 직진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나선형으로 분사할 수 있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에 관한 것이다.
워터건은 차체에 물을 분사하여 세차를 하거나 더러워진 벽면이나 물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을 하거나 또는 건조한 날씨에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건은 호스를 연결한 후 작동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면 전방을 향하여 물이 분사되는 것이 통상적인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워터건은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 전방을 향하여 직진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그 사용상에 불편함과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워터건을 사용할 때는 직진으로 물이 분사되어 지면의 좁은 포인트에 물이 닿는 것보다는 지면에 닿을 때 물이 좀 더 넓게 퍼지는 형태로 분사되면 효율적이고, 벽면이 더러워져서 벽면을 세척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좁은 포인트로 물이 벽면에 닿는 것보다는 벽면에 닿을 때 물이 좀 더 넓게 퍼진 상태로 닿는 것이 좀 더 효율적이지만, 종래의 워터건으로는 요구하는 형태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20-0427112 (출원번호: 20-2006-0018595, 고안의 명칭: 물분사기의 스위치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이 직진으로 분사되게 하거나 나선 형태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은 물이 공급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작동손잡이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유로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개폐홀이 형성된 소켓과; 후단이 상기 작동손잡이와 연결되어 작동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홀을 개폐하는 샤프트와; 상기 소켓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소켓의 개폐홀과 연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후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물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다수의 경사날개가 내부에 구비된 와류형성링과; 상기 삽입구의 중앙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와류형성링을 통과한 물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격벽이 상기 통과홀을 따라 구비된 노즐팁과; 상기 바디 외부로 돌출된 소켓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삽입구와 결합되는 회전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캡의 일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에 의해 노즐팁이 구속되어 물이 직진 분사되고, 타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에 의해 노즐팁의 구속이 해제되어 중앙홀 내에서 노즐팁이 회전하면서 물이 나선 형태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팁은 선단 외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는 선단 내측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구속되고, 상기 회전캡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끼움홈에서 상기 끼움돌기가 이탈되어 구속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과 삽입구의 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내부 후단에 상기 샤프트의 후단부분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벽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에 거치되는 거치블록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치블록과 샤프트의 선단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팁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구의 중앙홀 사이에는 상기 와류형성링을 통과한 물을 상기 노즐팁의 통과홀로 안내하는 차수링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링의 중앙에는 구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팁의 후단에는 상기 구형홈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레버가 작동손잡이의 상단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소켓의 개폐홀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의 내측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외측면에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은 회전캡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물을 직진 형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고 나선 형태로 분사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버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작동손잡이의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면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외형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소켓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삽입구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노즐팁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직진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나선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직진 분사하고 나선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외형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소켓을 보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삽입구를 보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의 노즐팁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을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직진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나선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으로 물을 직진 분사하고 나선 분사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은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설치되는 소켓(20)과,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소켓(20) 내부에 설치되는 삽입구(40)와, 상기 소켓(2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삽입구(40)의 후단측에 설치되는 와류형성링(50)과, 상기 삽입구(40)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팁(60)과, 상기 소켓(20)의 선단에 설치되는 회전캡(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워터건의 외형 대부분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유로(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작동손잡이(12)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유로(11)는 바디(1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바디(10)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유로(11)에 본 발명의 구성요소 대부분이 설치된다.
상기 작동손잡이(12)는 바디(10)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작동손잡이(12)를 눌러 바디(10) 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후술할 소켓(20)의 개폐홀(22)이 개방되어 물이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바디(10)의 외측면에는 레버(13)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레버(13)는 작동손잡이(12)의 상단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소켓(20)의 개폐홀(22)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작동손잡이(12)를 눌러 소켓(20)의 개폐홀(22)이 개방된 상태에서 레버(13)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작동손잡이(12)의 상측부분이 레버(13)의 끝부분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개폐홀(22)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레버(13)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작동손잡이(12)의 회동점을 중심으로 작동손잡이(12)의 상측부분이 바디(1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작동손잡이(12)의 하측부분이 바디(10)의 외측면에서 이격됨으로써 개폐홀(22)이 폐쇄된다.
상기 소켓(20)은 외측면이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바디(10)의 유로(11)에 삽입된다. 소켓(20)은 바디(10)의 선단에 삽입되되 외측면에 환형(環形)의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21) 바로 뒤쪽까지만 바디(10)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소켓(20)은 선단부분은 바디(10)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소켓(20)은 중앙 부분에 개폐홀(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폐홀(22)은 바디(10)의 유로(11)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샤프트(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샤프트(30)는 후단이 작동손잡이(12)와 연결되어 작동손잡이(12)의 조작에 따라 개폐홀(22)을 개폐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바디(10)의 내부 후단에 샤프트(30)의 후단부분이 관통하는 관통홀(14a)이 형성된 내벽(14)이 구비되고, 관통홀(14a)에 거치되는 거치블록(31)이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거치블록(31)과 샤프트(30)의 선단 사이에 탄성스프링(32)이 설치된다.
작동손잡이(12)의 하측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작동손잡이(12)의 하측부분이 바디(1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분사되지 않는데, 이때 샤프트(30)는 탄성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선단 부분이 소켓(20)의 개폐홀(22)을 폐쇄하고 있고, 거치블록(31)은 바디(10) 내벽(14)의 관통홀(14a)에 삽입되어 거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2)의 하측부분을 누르면 작동손잡이(12)의 상측부분에 의해 샤프트(30)가 후방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소켓(20)의 개폐홀(22)이 개방되어 물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거치블록(31)은 관통홀(14a)에 삽입되어 거치된 상태이고, 탄성스프링(32)은 거치블록(31)에 의해 후단이 지지되면서 압축된다.
상기 삽입구(40)는 소켓(20)의 개폐홀(22)과 연통되는 중앙홀(41)이 형성되고, 소켓(20) 내부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구(40)는 외측면에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됨과 아울러 리브(43)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끼움홈(4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2)는 소켓(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3)에 삽입된다. 소켓(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3)은 약간 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23)에 가이드돌기(42)가 끼워짐으로써 회전캡(80)과 삽입구(40)가 회전할 때 가이드돌기(42)가 회전하지 않는 소켓(20)의 가이드홈(23) 내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리브(43)는 회전캡(80)의 내측면에 형성된 그루브(81)에 삽입된다. 회전캡(80)의 내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그루브(81)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이 그루브(81)에 삽입구(40)의 리브(43)가 삽입됨으로써 회전캡(80)을 회전시키면 삽입구(4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끼움홈(44)은 삽입구(40)의 내측면 선단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구(40)의 선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깊어지면서 좁아지는 형태, 즉 삽입구(40)의 선단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더 얕아지면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노즐팁(60)의 끼움돌기(64)가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류형성링(50)은 소켓(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삽입구(40)의 후단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와류형성링(50)은 내부에 다수의 경사날개(51)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날개(51)는 소켓(2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날개(51)는 물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물은 와류 형태로 변환된다.
상기 노즐팁(60)은 삽입구(40)의 중앙홀(41)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물을 직진 형태로 분사하거나 와류(또는 회오리) 형태로 분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즐팁(60)은 내부에 길이방향의 통과홀(61)이 형성되고, 통과홀(61)을 따라 다수의 격벽(62)이 구비되며, 후단에 회전볼(6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다수의 끼움돌기(6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61)은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와류 형태의 물이 통과되는 곳이다.
상기 격벽(62)은 통과홀(61)을 형성시키는 노즐팁(60)의 내벽면에 90도 간격으로 하나씩 형성된다.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와류 형태의 물은 통과홀(61) 내부로 유입된 후 격벽(62)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 회전볼(63)은 노즐팁(60)의 후단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와류형성링(50)의 중앙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구형홈(52) 내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즉 회전볼(63)은 구(球) 형태로 만들어져 구형홈(52) 내에 삽입되는데, 이렇게 구형홈(52)에 삽입된 회전볼(63)은 구형홈(5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 중심 역할을 하여 노즐팁(60)은 후단의 회전볼(63)을 중심으로 삽입구(40)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끼움돌기(64)는 노즐팁(60)의 선단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구(40)의 선단 내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44)에 끼워진다.
부연하면, 물을 직진 형태로 분사하기 위하여 회전캡(8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끼움돌기(64)가 끼움홈(44)에 끼워져 구속되고, 물을 와류 형태로 분사하기 위하여 회전캡(8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끼움홈(44)에서 끼움돌기(64)가 이탈되어 끼움돌기(64)의 구속이 해제된다.
한편, 삽입구(40)의 중앙홀(41)과 노즐팁(60)의 외주면 사이에는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물을 노즐팁(60)의 통과홀(61)로 안내하는 차수링(70)이 설치된다. 나선 형태로 물을 분사할 때에는 노즐팁(60)이 삽입구(40) 내부에서 회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차수링(70)은 노즐팁(60)의 후단 끝부분에 설치된다.
삽입구(40)의 내경은 노즐팁(6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물이 노즐팁(60)과 삽입구(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노즐팁(60)의 후단 외측면에 차수링(70)을 설치한다. 이러한 차수링(70)은 노즐팁(60)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진다.
상기 회전캡(80)은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소켓(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삽입구(4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노즐팁(60)의 통과홀(61)과 연통되는 배출홀(8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캡(80)의 일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40)에 의해 노즐팁(60)이 구속되어 물이 배출홀(82)을 통해 직진 분사되고, 타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40)에 의해 노즐팁(60)의 구속이 해제되어 삽입구(40)의 중앙홀(41) 내에서 노즐팁(60)이 회전하면서 물이 배출홀(82)을 통해 나선 형태로 분사된다.
본 더 자세히 설명하면, 회전캡(8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구(40)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삽입구(40)의 끼움홈(44)에 노즐팁(60)의 끼움돌기(64)가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캡(80)의 일방향 회전시 노즐팁(60)은 양단이 와류형성링(50)의 구형홈(52)과 삽입구(40)의 끼움홈(44)에 의해 구속된다. 이러한 상태이므로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와류 형태의 물이 노즐팁(60)의 통과홀(61) 내에 공급되더라도 노즐팁(60)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물은 회전캡(80)의 배출홀(82)을 통해 직진 분사된다.
그리고, 회전캡(8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구(40)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삽입구(40)의 끼움홈(44)에 끼워져 있던 노즐팁(60)의 끼움돌기(64)가 끼움홈(44)에서 빠져 나온다. 따라서 회전캡(80)의 타방향 회전시 노즐팁(60)은 후단 부분만이 와류형성링(50)의 구형홈(52)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속되고 노즐팁(60)의 선단 부분은 구속되지 않은 자유단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이므로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와류 형태의 물이 노즐팁(60)의 통과홀(61) 내에 공급되면 이 와류는 노즐팁(60)의 격벽(62)에 부딪히게 되어 노즐팁(60)은 후단 끝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노즐팁(60)의 통과홀(61)을 통과한 물은 회전캡(80)의 배출홀(82)을 통해 나선 형태(또는 소용돌이 형태, 회오리 형태)로 배출된다.
10: 바디 11: 유로
12: 작동손잡이 13: 레버
14: 내벽 14a: 관통홀
20: 소켓 21: 걸림턱
22: 개폐홀 23: 가이드홈
30: 샤프트 31: 거치블록
32: 탄성스프링 40: 삽입구
41: 중앙홀 42: 가이드돌기
43: 리브 44: 끼움홈
50: 와류형성링 51: 경사날개
52: 구형홈 60: 노즐팁
61: 통과홀 62: 격벽
63: 회전볼 64: 끼움돌기
70: 차수링 80: 회전캡
81: 그루브 82: 배출홀

Claims (8)

  1. 물이 공급되는 유로(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작동손잡이(12)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유로(11)에 삽입되고, 중앙에 상기 유로(11)와 연통되는 개폐홀(22)이 형성된 소켓(20)과;
    후단이 상기 작동손잡이(12)와 연결되어 작동손잡이(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홀(22)을 개폐하는 샤프트(30)와;
    상기 소켓(20)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소켓(20)의 개폐홀(22)과 연통되는 중앙홀(41)이 형성된 삽입구(40)와;
    상기 삽입구(40)의 후단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물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다수의 경사날개(51)가 내부에 구비된 와류형성링(50)과;
    상기 삽입구(40)의 중앙홀(4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물이 통과되는 통과홀(61)이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격벽(62)이 상기 통과홀(61)을 따라 구비된 노즐팁(60)과;
    상기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소켓(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삽입구(40)와 결합되는 회전캡(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캡(80)의 일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40)에 의해 노즐팁(60)이 구속되어 물이 직진 분사되고, 타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삽입구(40)에 의해 노즐팁(60)의 구속이 해제되어 중앙홀(41) 내에서 노즐팁(60)이 회전하면서 물이 나선 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60)은 선단 외측면에 끼움돌기(6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40)는 선단 내측면에 상기 끼움돌기(64)가 끼워지는 끼움홈(44)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80)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끼움돌기(64)가 상기 끼움홈(44)에 끼워져 구속되고, 상기 회전캡(80)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끼움홈(44)에서 상기 끼움돌기(64)가 이탈되어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2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4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80)과 삽입구(40)의 회전시에 상기 가이드돌기(42)가 상기 가이드홈(23)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후단에 상기 샤프트(30)의 후단부분이 관통하는 관통홀(14a)이 형성된 내벽(14)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14a)에 거치되는 거치블록(31)이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치블록(31)과 샤프트(30)의 선단 사이에 탄성스프링(3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60)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구(40)의 중앙홀(41) 사이에는 상기 와류형성링(50)을 통과한 물을 상기 노즐팁(60)의 통과홀(61)로 안내하는 차수링(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링(50)의 중앙에는 구형홈(52)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팁(60)의 후단에는 상기 구형홈(52)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볼(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레버(13)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레버(13)가 작동손잡이(12)의 상단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소켓(20)의 개폐홀(22)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80)의 내측면에는 그루브(8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40)의 외측면에는 상기 그루브(81)에 삽입되는 리브(4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KR1020200055700A 2020-05-11 2020-05-11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KR10231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0A KR102317176B1 (ko) 2020-05-11 2020-05-11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0A KR102317176B1 (ko) 2020-05-11 2020-05-11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176B1 true KR102317176B1 (ko) 2021-10-25

Family

ID=7825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00A KR102317176B1 (ko) 2020-05-11 2020-05-11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182B1 (ko) * 2021-10-29 2022-05-3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액을 이용한 가시박 및 환삼덩굴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848U (ko) * 1985-10-30 1987-05-13
CN2750651Y (zh) * 2004-09-16 2006-01-11 欣大园艺喷水工具有限公司 喷水枪
KR200427112Y1 (ko) 2006-07-10 2006-09-22 이덕신 물분사기의 스위치구조
US20150034740A1 (en) * 2013-08-01 2015-02-05 Ningbo Daye Garden Industrial Co., Ltd. Water spray gun
KR101963515B1 (ko) * 2017-11-16 2019-03-28 김열희 안개 분사를 용이하게 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자동 분무기 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4848U (ko) * 1985-10-30 1987-05-13
CN2750651Y (zh) * 2004-09-16 2006-01-11 欣大园艺喷水工具有限公司 喷水枪
KR200427112Y1 (ko) 2006-07-10 2006-09-22 이덕신 물분사기의 스위치구조
US20150034740A1 (en) * 2013-08-01 2015-02-05 Ningbo Daye Garden Industrial Co., Ltd. Water spray gun
KR101963515B1 (ko) * 2017-11-16 2019-03-28 김열희 안개 분사를 용이하게 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자동 분무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182B1 (ko) * 2021-10-29 2022-05-3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액을 이용한 가시박 및 환삼덩굴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8469B2 (ja) 洗浄機
JP5020320B2 (ja) 流体噴出ガン
US9539591B2 (en) Shower head
JP4778296B2 (ja) 回転ヘッド付き散水ノズル
KR102317176B1 (ko) 직진 및 나선 물분사가 가능한 워터건
CN104941836B (zh) 压缩空气喷枪
JP2009504366A (ja) 着色液を噴霧するための装置
KR20070103795A (ko)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KR101274225B1 (ko)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KR101780221B1 (ko) 소방 관창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JP5646243B2 (ja) 流体噴出ガン
CA1303563C (en) Spray gun with adjustment of the shape of the jet
JP6757301B2 (ja) 液体噴射装置
JP2004329991A (ja) トリガー式噴出器
JP2008114211A (ja) 流体噴出装置
KR20200001933A (ko) 도장작업용 스프레이 건
KR200445783Y1 (ko) 샤워기
KR20130115014A (ko) 수용성 스프레이 건
CN112004608A (zh) 喷洒设备
KR200331621Y1 (ko) 액체분사기
KR200423106Y1 (ko) 살수기용 헤드
KR20200030270A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JP2015029919A (ja) 噴霧器
JP3122670U (ja) エア噴射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