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795A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3795A KR20070103795A KR1020060035552A KR20060035552A KR20070103795A KR 20070103795 A KR20070103795 A KR 20070103795A KR 1020060035552 A KR1020060035552 A KR 1020060035552A KR 20060035552 A KR20060035552 A KR 20060035552A KR 20070103795 A KR20070103795 A KR 20070103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ay
- pipe
- fire
- passage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은 소방용수공급관로를 가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체결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내에 형성되며 상기 소방용수공급관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와, 상기 분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를 관통하여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를 폐쇄시키게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폐쇄된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되는 미분무연결유로 및 제 1, 2미분무연결유로와, 상기 분배관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2미분무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미분무파이프와, 상기 미분무파이프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분사파이프 및 상기 미분무파이프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미분무파이프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 토출시키는 미분무구와, 상기 분사파이프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 토출시키는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헤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분배관, 회전축, 미분무, 분사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에 끼워지는 유로개폐회전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
도 4a는 분배관에 결합된 유로개폐회전판의 동작으로 미분무 및 분사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
도 5a는 분배관에 결합된 유로개폐회전판의 동작으로 분사동작만 이루어지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
도 6a는 분배관에 결합된 유로개폐회전판의 동작으로 미분무동작만 이루어지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14: 소방용수공급관로
20: 분배관 22: 분사유로
24: 제 1미분무유로 26: 제 2미분무유로
30: 회전축 32: 분사연결유로
34: 제 1미분무연결유로 36: 제 2미분무연결유로
38: 노브 40: 미분무파이프
42: 분사파이프 44: 노즐헤드
본 발명은 소방노즐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방용수를 미분무 및 분사형태로 동시에 토출하거나 혹은 미분무나 분사형태로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소방노즐이라 함은 화재현장으로 고압의 소방용수를 분사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상기한 소방노즐의 종류로는 천정면에 배설된 소화배관들중 분기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직배관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스프링쿨러나 소방차나 소화전등에 마련된 소방호스에 연결되는 관창을 예로 들수 있다.
후자에 해당하는 관창(이하 소방노즐이라 칭함)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226925 호(명칭: 소방노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안내부와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플라스틱 제 1몸체,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에 삽입 고정되는 부시, 상기 안내부의 일단에 형성된 로드 체결공에 삽입되며 타단에 디스크 체결부를 구비한 로드, 상기 디스트 체결부에 체결되어 소방용수의 배출유량을 제어하는 디스크, 상기 제 1몸체가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중공의 제 2몸체로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구조로는 소방용수를 물줄기형태로만 분사시킬 수 밖에 없어, 유류화재등의 발생지역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류화재 발생시에는 물이 아닌 할론이나 탄산가스로 진압하게 되는 데, 상기 할론이나 탄산가스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특히 탄산가스는 기기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됨으로서 진압후에도 2차적인 문제를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용수를 미분무 및 분사형태로 동시에 토출하거나, 미분무 혹은 분사형태로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종류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의 조작으로 인한 회전축의 회전동작만으로 토출형태를 손 쉽게 변환시킬 수 있는 소바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소방용수공급관로를 가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선단에 체결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내에 형성되며 상기 소방용수공급관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와, 상기 분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를 관통하여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를 폐쇄시키게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폐쇄된 분사유로 및 제 1, 2미분무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되는 미분무연결유로 및 제 1, 2미분무연결유로와, 상기 분배관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2미분무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미분무파이프와, 상기 미분무파이프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로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분사파이프 및 상기 미분무파이프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미분무파이프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 토출시키는 미분무구와, 상기 분사파이프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 토출시키는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헤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을 제시한다.
상기 분사연결유로 및 제 1미분무연결유로는 회전축을 각각 직선형태로 관통하되, 그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미분무유로는 분배관내에 "ㄴ"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 2미 분무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 2미분무연결유로는 회전축을 "ㄴ"형태로 절곡되게 관통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노브의 조작으로 회전 동작하는 회전축을 통해 미분무 및 분사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가며 소방용수를 미분무 및 분사형태로의 동시에 토출하거나, 미분무 혹은 분사형태로만 토출시키도록 하여 화재의 종류에 맞도록 소방용수의 토출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될 미분무라는 용어는 포그(Fog)(혹은 물안개)형태로 물입자가 가늘고 넓게 퍼져나가며 토출되는 형태를 말하며, 분사라는 용어는 직사(혹은 물줄기)형태로 물입자가 한곳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되는 형태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100)은 손잡이(10), 분배관(20), 회전축(30), 노브(38), 미분무파이프(40), 분사파이프(42) 및 노즐헤드(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10)는 노즐(100)을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끝단에는 소방호스(12)가 연결되고, 선단에는 상기 소방호스(12)에서 공급된 소방용수를 분배관(20)으로 공급시키는 소방용수공급관로(1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0)에는 작동간(16)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간(16)은 소방용수공급관로(14)를 개 폐시켜 유입되는 소방용수를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 분배관(20)은 상기 손잡이(10)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분배관(20)의 상세구조는 첨부된 도 3에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관(20)의 내부에는 3개의 유로들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중앙에 형성되는 분사유로(22)와, 상기 분사유로(22)를 중심으로 상, 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 1, 2미분무유로(24, 26)로 나뉘어진다. 이때 상기 분사유로(22) 및 제 1미분무유로(24)는 직선형태를 가짐에 반해, 제 2미분무유로(26)는 "ㄴ" 형상의 절곡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는 분배관(20)이 손잡이(10)에 결합될 때, 상기 손잡이(10)에 형성된 소방용수공급관로(14)와 연통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 1, 2미분무유로(24, 26) 및 분사유로(22)로 공급된 소방용수는 회전축(30)의 회전동작에 따라 분배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미분무파이프 (40)및 분사파이프(42)로 각각 유입되어 진다.
상기 회전축(30)은 분배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배관(20)에 결합된 회전축(30)은 상기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를 관통하게 됨으로서 제 1, 2미분무유로(24, 26) 및 분사유로(22)를 폐쇄시켜 소방용수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0)에는 3개의 연결유로들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는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분사연결유로(32)와, 상기 분사연결유로(32)를 중심으로 상, 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2미분무연결유로(34, 36)로 나뉘어진다.
상기 분사연결유로(32)는 회전축(30)을 직선형태로 관통한 상태에서 전술한 분배관(20)의 분사유로(2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회전축(300의 회전동작에 따라 분사유로(22)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 제 1미분무연결유로(34)는 회전축(300을 직선형태로 관통한 상태에서 전술한 분배관(20)의 제 1미분무유로(3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회전축(3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제 1미분무유로(34)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미분무연결유로(34)와 분사연결유로(32)는 직선방향이 서로 "+"형태로 직교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회전축(30)의 회전으로 분사유로(22) 및 제 1미분무유로(24)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위함이다. 예를 들어 회전축(30)의 90°회전으로 제 1미분무연결유로(34)가 제 1미분무유로(24)를 연통시킨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 1미분무연결유로(34)와 직교하게 형성되는 분사연결유로(32)는 분사유로(22)와 연통하지 않게 되고, 회전축(30)이 180°로 회전하여야만 분사연결유로(32)는 분사유로(22)와 연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회전축(30)이 90°회전하면 제 1미분무유로(34)만 개방됨으로서 소방용수는 제 1미분무유로(34)쪽으로만 통과하게 되며, 회전축(30)이 180°회전하면 분사유로(22)만 개방됨으로서 소방용수는 분사유로(22)쪽으로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미분무연결유로(36)는 회전축(30)을 "ㄴ"형태로 절곡되게 관통한 상태에서 전술한 분배관(20)의 제 2미분무유로(26)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회전축(3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제 2미분무유로(26)와 연통하며 소방용수를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노브(38)와 미분무파이프(40), 분사파이프(42) 및 노즐헤드(44)는 다시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기술토록 한다.
상기 노브(38)는 분배관(20)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30)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축(30)을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미분무파이프(40)는 분배관(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 1, 2미분무유로(24, 26)와 연통하는 파이프이다. 상기 미분무파이프(40)는 제 1, 2미분무유로(24, 26)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노즐헤드(44)에 형성된 미분무구(48)쪽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분사파이프(42)는 미분무파이프(4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배관(20)에 형성된 분사유로(22)와 연통하는 파이프이다. 상기 분사파이프(42)는 분사유로(22)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노즐헤드(44)에 형성된 분사구(46)쪽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노즐헤드(44)는 미분무파이프(40) 및 분사파이프(42)의 선단에 결합되어 소방용수를 토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이 노즐헤드(44)의 앞쪽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미분무구(46)들이 형성된다. 상기 미분무구(46)들은 미분무파이프(40)로 유입된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헤드(44)의 중앙에는 분사구(48)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구(48)는 분사파이프(42)로 유입된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100)의 작용을 기술토록 한다.
첨부된 도 4a와 도 4b는 분배관(20)의 분사유로(22) 및 제 2미분무유로(26)를 개방시켜 소방용수가 미분무 및 분사형태로 동시에 토출되도록 한 것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관(20)에 회전축(30)이 결합되면 회전축(30)의 분사연결유로(32)가 분배관(20)의 분사유로(22)와 연통하게 되고, 또한 회전축(30)의 제 2미분무연결유로(36)가 분배관(20)의 제 2미분무유로(26)와 연통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0)의 제 1미분무연결유로(34)는 분배관(20)의 제 1미분무유로(24)와 연통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0)의 작동간(16)을 동작시켜 소방용수를 분배관(20)내에 형성된 분사유로(22) 및 제 1, 2분기유로(24, 26)로 공급하게 되면 소방용수는 폐쇄된 제 1미분무유로(24)를 제외한 분사유로(22)와 제 2미분무유로(26)쪽으로만 유입되어 진다.
상기 분사유로(22)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분사파이프(42)를 거쳐 노즐헤드(44)의 분사구(48)를 통과하며 분사형태로 토출되고, 또한 제 2미분무유로(26)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미분무파이프(40)를 거쳐 노즐헤드(44)의 미분무구(46)를 통과하며 미분무형태로 동시에 토출된다.
한편,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만 토출시키려고 할 때에는 분배관(20)의 제 1미분무유로(24)만 개방시켜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 토출시키게 되는 데, 이때에는 회전축(30)을 90°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제 1미분무유로(24)만 개방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관(2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30)을 90°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30)의 제 1미분무연결유로(34)는 분배관(20)의 제 1미분무유로(24)와 연통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0)의 제 2미분무연결유로 (36)및 분사연결유로(32)는 분배관(20)의 제 2미분무유로(26) 및 분사유로(22)와 연통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방용수를 분배관(20)내에 형성된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로 공급하게 되면 소방용수는 폐쇄된 제 2미분무유로(26)와 분사유로(22)로 쪽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제 1미분무유로(24)쪽으로만 유입되어 진다.
상기 제 2미분무유로(24)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미분무파이프(40)를 거쳐 노즐헤드(44)의 미분무구(46)를 통과하며 미분무형태로만 토출되어 진다.
한편,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만 토출시키려고 할 때에는 분배관(20)의 분사유로(22)만 개방시켜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 분사시키게 되는 데, 이때에는 회전축(30)을 180°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분사유로(22)만 개방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관(2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30)을 180°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30)의 분사연결유로(32)는 분배관(20)의 분사유로(22)와 연통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0)의 제 1미분무연결유로(34) 및 제 2미분무연결유로(36)는 분배관(20)의 제 1미분무유로(24) 및 제 2미분무유로(26)와 연통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방용수를 분배관(20)내에 형성된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 분무유로(24, 26)로 공급하게 되면 소방용수는 폐쇄된 제 1, 2미분무유로(24, 26)쪽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분사유로(22)쪽으로만 유입되어 진다.
상기 분사유로(22)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분사파이프(42)를 거쳐 노즐헤드(44)의 분사구(48)를 통과하며 분사형태로 토출되어 진다. 이때 제 2미분무연결유로(36)는 "ㄴ"형태로 절곡 구성된 특성상 회전축(30)이 180°회전할 경우에는 제 2미분무유로(26)와 연통하지 않게 됨으로서 소방용수는 분사유로(22)쪽으로만 유입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소방용수를 미분무 및 분사형태로 동시에 토출하거나, 미분무 혹은 분사형태로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방용수의 토출패턴을 조정해가며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의 회전동작만으로 소방용수의 토출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화재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 소방용수공급관로(14)를 가지는 손잡이(10)와;상기 손잡이(10)의 선단에 체결되는 분배관(20)과;상기 분배관(20)내에 형성되며 상기 소방용수공급관로(14)와 연통하는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와상기 분배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를 관통하여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를 폐쇄시키게 되는 회전축(30)과;상기 회전축(30)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30)의 회전동작에 따라 폐쇄된 분사유로(22) 및 제 1, 2미분무유로(24, 26)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되는 미분무연결유로(32) 및 제 1, 2미분무연결유로(34, 36)와;상기 분배관(2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2미분무유로(24, 26)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미분무파이프(40)와;상기 미분무파이프(40)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유로(22)를 통해 유입된 소방용수를 통과시키는 분사파이프(42) 및 ;상기 미분무파이프(4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미분무파이프(40)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미분무형태로 토출시키는 미분무구(46)와, 상기 분사파이프(42)를 통과한 소방용수를 분사형태로 토출시키는 분사구(48)가 형성된 노즐헤드(4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분사연결유로(32) 및 제 1미분무연결유로(34)는 회전축(30)을 각각 직선형태로 관통하되, 그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2미분무유로(26)는 분배관(20)내에 "ㄴ"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 2미분무유로(26)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 2미분무연결유로(36)는 회전축(30)을 "ㄴ"형태로 절곡되게 관통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5552A KR100791937B1 (ko) | 2006-04-20 | 2006-04-20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5552A KR100791937B1 (ko) | 2006-04-20 | 2006-04-20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3795A true KR20070103795A (ko) | 2007-10-25 |
KR100791937B1 KR100791937B1 (ko) | 2008-01-04 |
Family
ID=3881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5552A KR100791937B1 (ko) | 2006-04-20 | 2006-04-20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193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092Y1 (ko) * | 2008-11-04 | 2011-02-01 | 주식회사 나노이앤씨 |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
KR101951570B1 (ko) | 2017-11-22 | 2019-02-22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미분무 노즐 |
CN109731266A (zh) * | 2019-03-04 | 2019-05-10 | 郑州青松机电设备有限公司 | 电动转换多功能细水雾喷枪 |
KR20210126279A (ko) | 2020-04-10 | 2021-10-20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
KR102651741B1 (ko) * | 2023-07-11 | 2024-03-28 | (주)안국엔지니어링 | 직방사 전환형 분사노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946B1 (ko) * | 2008-12-31 | 2011-06-20 | 김민기 | 온수를 이용한 소화장치 |
KR100938935B1 (ko) | 2009-08-27 | 2010-01-27 |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 소방장치 |
KR101216022B1 (ko) * | 2012-04-30 | 2012-12-27 |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 소화용 워터 미스트건 |
KR200466128Y1 (ko) * | 2012-09-28 | 2013-04-03 |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 소화전 |
KR101596578B1 (ko) | 2014-05-16 | 2016-02-22 |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
KR200477563Y1 (ko) * | 2014-07-15 | 2015-06-24 | 이애순 | 안구세척기용 세척수 분배조절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1265U (ko) | 1981-02-28 | 1982-09-04 | ||
JPS59160964U (ja) | 1983-04-15 | 1984-10-27 | 株式会社 森田鉄工所 | 回転切替弁装置 |
KR100414726B1 (ko) * | 2001-12-05 | 2004-01-13 | 홍영기 | 소방용 분사건 |
-
2006
- 2006-04-20 KR KR1020060035552A patent/KR1007919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092Y1 (ko) * | 2008-11-04 | 2011-02-01 | 주식회사 나노이앤씨 |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
KR101951570B1 (ko) | 2017-11-22 | 2019-02-22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미분무 노즐 |
CN109731266A (zh) * | 2019-03-04 | 2019-05-10 | 郑州青松机电设备有限公司 | 电动转换多功能细水雾喷枪 |
KR20210126279A (ko) | 2020-04-10 | 2021-10-20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
KR102651741B1 (ko) * | 2023-07-11 | 2024-03-28 | (주)안국엔지니어링 | 직방사 전환형 분사노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1937B1 (ko) | 2008-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1937B1 (ko) |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 |
KR102075290B1 (ko) | 공기혼합기능을 갖는 폼방사 겸용 소방관창 | |
US20020023967A1 (en) | Effervescent liquid fine mist apparatus and method | |
KR101902124B1 (ko) | 하이브리드 미분무 소방관창 | |
KR102234900B1 (ko) |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 |
JP2008110318A (ja) | 液体散布ノズル | |
US10933265B2 (en) | Ambient mist sprinkler head | |
KR100938935B1 (ko) | 소방장치 | |
KR20210126279A (ko) |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 |
JP4361590B1 (ja) | 消火用ノズル装置 | |
KR20100074996A (ko) | 저압 대유량 분사노즐 | |
US20230321471A1 (en) | Smoke and toxic gas suction removal-type firefighting nozzle device | |
KR20200092011A (ko) | 안전 소방 관창 | |
KR102533980B1 (ko) | 소방 방제용 산불진화 살수 분무기 | |
JP3799573B2 (ja) | 消火用ヘッド | |
TWM610637U (zh) | 手提式細水霧滅火器噴霧裝置 | |
CN211659127U (zh) | 混合微喷雾消防水枪枪头 | |
KR101951570B1 (ko) | 미분무 노즐 | |
AU2015370671B2 (en) | Fluid dispensing apparatus | |
KR20100039474A (ko) | 소방노즐 | |
US7389951B2 (en) | Misting device | |
EP4209251A1 (en) | Smoke and toxic gas suction removal-type firefighting nozzle device | |
JP2005137742A (ja) | 消火用放水ノズル | |
JP2001070468A (ja) | 消防用噴霧ノズル | |
JP2001276259A (ja) | 消防用放水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