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578B1 -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78B1
KR101596578B1 KR1020140059169A KR20140059169A KR101596578B1 KR 101596578 B1 KR101596578 B1 KR 101596578B1 KR 1020140059169 A KR1020140059169 A KR 1020140059169A KR 20140059169 A KR20140059169 A KR 20140059169A KR 101596578 B1 KR101596578 B1 KR 10159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eflector
spray
disk
water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840A (ko
Inventor
안병호
홍성호
배진욱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주) 엔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주) 엔케이텍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Priority to KR1020140059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7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분무기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spray-angle adjustable water mist nozzl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소방용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로서, 소방용 분사노즐은 화재현장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프링클러 설비, 물분무 설비 및 미분무수 설비로 나눌 수 있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다량의 물을 살수하여 필요 이상의 물이 가연물이나 그 주위에 침투하여 급속히 냉각ㆍ소화하는 시스템이고, 물분무 설비는 미리 정해놓은 형식, 입도, 속도와 밀도로 특별히 설계된 노즐에서 방사하는 것이다. 스프링클러 설비가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에 의해 화원에 침투한다면, 물분무 설비는 노즐에서 방사시 강제적인 힘을 물방울에 가해서 소방대상물이나 그 표면에 직접 분사한다.
한편, 미분무수 설비는 물의 미분무수 분사가 가능한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안개 형태로 분무시켜 적은 양의 물로 소화가 가능한 설비를 말하는데, 화재 공간 전체를 다량의 안개로 덮으며, 화재원에 둘러싸인 공기를 타고 화염에 침투하여 열을 받아 증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증발잠열과 증발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산소 농도의 희석과 질식효과를 병행하여 소화효과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3가지 설비 중 미분무수 설비에 사용되는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로서,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종래 기술의 예로, 특허등록 제10-0210033호, 특허등록 제10-0597692호, 특허등록 제10-0791937호, 특허등록 제10-1035019호 등이 있으나, 상기 특허들에서는 미분무수 분사를 위한 다양한 구조를 제시하기는 하나,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제어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등록 제10-0597692호에서는 유로 역할을 하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노즐바디, 어댑터, 링으로 이루어진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링을 통해서는 여전히 원하는 각도로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210033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0597692호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0-0791937호 [특허문헌 4] 등록특허 제10-1035019호
상기와 같은 종래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서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신규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즐바디 및 상기 노즐바디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되는 몸체내부; 상기 몸체의 내경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나사산;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무기는: 원판형몸체; 상기 원판형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나사산; 상기 원판형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분무유로; 상기 원판형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는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테이퍼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몸체의 내경 상부 또는 상기 몸체의 외경 상부에 상부나사산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수의 분무유로는 상기 원판형몸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샤프트의 말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디플렉터스커트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은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분무기를 통하여 미분무수의 방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드라이버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으로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방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각도로 사선으로 위치하는 분무유로를 통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미분무수화되기 때문에 미분무수화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노즐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분무기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플렉터를 구비하는 분무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에서 미분무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디플렉터(deflector, 편향기)를 구비하는 분무기의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상부" 및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보이는 그대로의 상부 및 하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100)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분사노즐(100)은 노즐바디(10)와 분무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분무기(20)는 노즐바디(10)의 내경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노즐바디 (1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노즐바디(10)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노즐바디(10)는 몸체(11), 몸체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되어 분무기(20)가 삽입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내부(16), 몸체(11) 내경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나사산(13) 및 분무기(20)의 샤프트(25)가 삽입되도록 바닥면(17)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바디(10)의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특히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몸체(11)를 다른 구조물에 결합시킨다면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갖되, 몸체(11)의 외부에 나사산을 더 가질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원통형 몸체(1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1)의 내부는 분무기(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고압의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몸체내부(16)를 갖는다.
상기 몸체(11) 내경의 하부에는 하부나사산(13)을 가지며, 상기 하부나사산(13)에 후술하는 분무기(20)의 측면나사산(24)이 암수나사 체결됨으로써 분무기(20)가 노즐바디(10)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11) 내경 상부 또는, 몸체(11)의 외경에 암나사산 형상의 상부나사산(12)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상부나사산(12)을 통해 외부의 소방용수 공급 호스(배관)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몸체(11)의 내경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나사산(12)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상기 상부나사산(12)과 하부나사산(13) 사이에 나사산이 없는 직선부(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부(18) 없이 몸체(11)의 내경 전체 또는 내경 대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편의상 외부의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을 상부나사산(12), 분무기(20)의 측면나사산(24)과 결합되는 부분을 하부나사산(13)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1)의 내부 바닥면(17), 특히, 바닥면(17) 중앙에는 분무기(20)의 샤프트(25)가 삽입되도록 내경 바닥면(17)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14)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14)는 후술하는 분무기(20)의 샤프트(25) 및 디플렉터(2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샤프트(25) 및 디플렉터(26)가 개구부(14)를 통과하여 하부로 노출 위치될 뿐만 아니라, 개구부(14)와 샤프트(25)의 직경 차이에 해당하는 여유 공간을 통하여 미분무수의 방사가 가능하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개구부(14)의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개구부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테이퍼부(15)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부(15)를 통해서 개구부(14)를 통과한 미분무수가 원활하게 분사노즐(100)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분무기(20)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플렉터(26)를 구비하는 분무기(20)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플렉터(26)를 구비하는 분무기(20)는 상부의 원판형몸체(21), 상기 원판형몸체(21)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소방용수의 유로 역할을 하도록 원판형몸체(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 개의 분무유로(22), 상기 원판형몸체(21)의 하부에 구비되는 봉 형상의 샤프트(25) 및 상기 샤프트(25)의 말단에 형성되는 디플렉터(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형몸체(21)는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전술한 노즐바디(10)의 하부나사산(13)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나사산(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몸체(21)의 중심에는 드라이버홀(23)이 십자 또는 일자의 홈 형상으로 구비되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분무기(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무기(20)가 노즐바디(10)의 하부나사산(13) 내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원판형몸체(21)의 드라이버홀(23)의 주위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소방용수의 유로 역할을 하도록 원판형몸체(2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 개의 분무유로(22)가 구비된다. 분무유로(22)는 드라이버홀(23)을 중심점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마다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90도 간격으로 4개의 분무유로(22)를 갖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상기 분무유로(22)들은 상기 원판형몸체(21)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α), 예를 들어, α= 1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사선 방향으로 분무유로(22)가 형성됨으로써 분무유로(22)를 통과한 물이 와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무유로(22)를 통과한 소방용수는 노즐바디(10)의 바닥면(17)에 부딪혀 미분무수화된다.
상기 원판형몸체(21)의 하부면에는 봉 형상의 샤프트(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25)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샤프트(25)는 전술한 노즐바디(10)의 개구부(14)를 통과하여 위치한다.
상기 샤프트(25)의 말단에는 디플렉터(26, deflector)가 구비되어 개구부(14)와 샤프트(25)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분사되는 미분무수가 디플렉터(26)에 막혀서 방사각도가 조절된다. 디플렉터(26)는 원판형, 사각판형, 오각판형 등이어도 무방하나, 미분무수의 진행방향을 고려하면, 원판형보다는 샤프트로부터 하부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부채꼴 단면(
Figure 112014046280863-pat00001
), 즉, 스커트(skirt) 형상의 디플렉터스커트(26a)를 갖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는 디플렉터(26)의 형상, 크기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며, 정해진 일정한 형상의 디플렉터(26)를 구비하는 분사노즐(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플렉터(26)의 높이(=분무기(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바디(10)와 분무기(20)의 결합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100)의 단면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서, 노즐바디(10)와 분무기(2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바디(10)의 몸체내부(16)에 분무기(2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된다. 노즐바디(10)의 몸체내부(16)에 분무기(2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노즐바디(10)의 상부나사산(12)의 직경은 분무기(20)의 원판형몸체(21)의 외경보다 커서 분무기(10)가 바로 상부나사산(12)을 나사결합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분무기(10)의 원판형몸체(21)가 노즐바디(10)의 상부나사산(12) 구간을 나사결합을 통하여 통과한 후 직선부(18)를 지나, 분무기(10)의 원판형몸체(21)가 노즐바디(10)의 하부나사산(13)에서 나사결합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용수는 분무기(20)의 분무유로(22)를 통과하면서, 노즐바디(10)의 바닥면(17)과 부딪혀 미분무수화된 후, 개구부(14)에서 샤프트(25)가 채워지지 않은 통로를 따라 화재 현장으로 방사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샤프트(25) 말단에 디플렉터(26)가 없다면 미분무수가 하부 방향으로 바로 직진하기 때문에 방사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방사각도 조절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디플렉터(26)를 구비하는 분무기(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상부 도면과 같이 분무기(20)의 높이가 높을 경우(h1)에는 노즐바디(10)의 테이퍼부(15)와 분무기(20)의 디플렉터스커트(26a)의 거리가 가까우며, 그에 따라 개구부(14)를 통과한 미분무수의 방사각도(β1)는 상대적으로 작아, 미분무수가 보다 수평 방향으로 퍼지면서 분무된다. 따라서, 넓은 면적에 분무할 때는 분무기(20)의 높이를 높여 수평 방향으로 미분무수의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하부 도면과 같이 분무기(20)의 높이를 낮출 경우(h2)에는 노즐바디(10)의 테이퍼부(15)와 분무기(20)의 디플렉터스커트(26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에 따라 개구부(14)를 통과한 미분무수의 방사각도(β2)는 상대적으로 커지며, 미분무수가 하부 방향으로만 직진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분무할 때는 분무기(20)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노즐(100)에서는 디플렉터(26)를 구비하는 분무기(20)의 노즐바디(10) 내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미분무수의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10 : 노즐바디 11 : 몸체
12 : 상부나사산 13 : 하부나사산
14 : 개구부 15 : 테이퍼부
16 : 몸체내부 17 : 바닥면
18 : 직선부 20 : 분무기
21 : 원판형몸체 22 : 분무유로
23 : 드라이버홀 24 : 측면나사산
25 : 샤프트 26 : 디플렉터(deflector)
26a : 디플렉터스커트 100 : 분사노즐

Claims (5)

  1. 노즐바디 및 상기 노즐바디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분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중공으로 형성되는 몸체내부; 상기 몸체의 내경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나사산;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무기는: 원판형몸체; 상기 원판형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나사산; 상기 원판형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분무유로; 상기 원판형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바디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미분무수의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무기의 측면나사산이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측면나사산과 하부나사산과의 나사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디플렉터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디플렉터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미분무수의 방사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2. 제1항에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는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테이퍼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3. 제1항에서, 상기 몸체의 내경 상부 또는 상기 몸체의 외경 상부에 상부나사산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분무유로는 상기 원판형몸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5. 제1항에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샤프트의 말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디플렉터스커트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KR1020140059169A 2014-05-16 2014-05-16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KR10159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69A KR101596578B1 (ko) 2014-05-16 2014-05-16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69A KR101596578B1 (ko) 2014-05-16 2014-05-16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40A KR20150131840A (ko) 2015-11-25
KR101596578B1 true KR101596578B1 (ko) 2016-02-22

Family

ID=5484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169A KR101596578B1 (ko) 2014-05-16 2014-05-16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12A (ko) * 2017-07-31 2019-02-11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US11904291B2 (en) 2020-09-22 2024-02-20 Lg Chem, Ltd. Apparatus for preparing oligo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65B1 (ko) * 2016-02-12 2017-01-06 이만금 소방노즐
CN106422133B (zh) * 2016-09-26 2022-05-20 西安新竹防灾救生设备有限公司 可调节喷射角度的超细干粉喷头
KR101951739B1 (ko) * 2018-09-06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430B2 (ja) * 1995-03-31 2001-06-04 三星電子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の電流感知増幅回路
KR200460044Y1 (ko) 2011-11-11 2012-04-27 김유겸 소화약제 분사헤드
KR101396123B1 (ko) * 2013-11-01 2014-05-19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소방용 미분무 소화노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176B2 (ja) * 1989-12-01 1996-07-03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工業化住宅における遮音構造
KR100210033B1 (ko) 1991-05-20 1999-07-15 괴란 순트홀름 소화장치
JPH11107888A (ja) * 1997-10-07 1999-04-20 Nippon Soken Inc 燃料噴射弁
KR100597692B1 (ko) 2004-10-21 2006-07-05 탱크테크 (주) 소방용 미분무수 노즐
KR100791937B1 (ko) 2006-04-20 2008-01-04 주식회사 윈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KR101035019B1 (ko) 2011-02-10 2011-05-17 탱크테크 (주) 화재진압용 미분무수 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430B2 (ja) * 1995-03-31 2001-06-04 三星電子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の電流感知増幅回路
KR200460044Y1 (ko) 2011-11-11 2012-04-27 김유겸 소화약제 분사헤드
KR101396123B1 (ko) * 2013-11-01 2014-05-19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소방용 미분무 소화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12A (ko) * 2017-07-31 2019-02-11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KR101978447B1 (ko) * 2017-07-31 2019-05-14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US11904291B2 (en) 2020-09-22 2024-02-20 Lg Chem, Ltd. Apparatus for preparing olig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40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578B1 (ko) 방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미분무수 분사노즐
RU2427402C1 (ru) Форсунка кочетова
AU2017290823B2 (en) A high pressure water mist nozzle device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irect and direct impingement of a fire
RU26788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тонкораспыленной водо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RU2660856C2 (ru) Модульные двухвекторные распылительные сопл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US11191985B2 (en) Water mist nozzle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693765B1 (ko) 소방노즐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RU2424835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KR101330803B1 (ko) 노즐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분무노즐
CN1852769A (zh) 用于灭火的具有双喷嘴系统的液体雾化单元
KR20190037654A (ko) 장단거리분사형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노즐장치
KR101048029B1 (ko) 자동소화기용 노즐용 노즐밴의 구조
RU2533108C1 (ru) Активный рассекатель для форсунки
US9327151B2 (en) Fire-fighting extinguisher nozzle; a method for fabricating such nozz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pray of fine-droplet mist
CA2679002A1 (en) Ambient mist head
KR101881533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1823556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JP2006191961A (ja) 側壁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RU2551067C1 (ru) Ороситель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огнетушащей жидкости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704175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дождеватель
CN215843668U (zh) 一种可调节的喷雾喷头
KR200386001Y1 (ko) 화재진압용 측벽형 미분무수 장치
RU26307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о спринклерными оросителями
RU2628967C2 (ru) Ороситель огнетушащей жидкости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асимметричной диаграммой распы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