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49B1 -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49B1
KR102317049B1 KR1020200021694A KR20200021694A KR102317049B1 KR 102317049 B1 KR102317049 B1 KR 102317049B1 KR 1020200021694 A KR1020200021694 A KR 1020200021694A KR 20200021694 A KR20200021694 A KR 20200021694A KR 102317049 B1 KR102317049 B1 KR 10231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charging device
drying
cleaning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766A (ko
Inventor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 G01N27/60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8Refurbishing floor engaging tools, e.g. cleaning of beating bru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And Drying Method Of Robot Clea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닥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및 충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및 충전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청소 기기로서, 최근에는 물청소가 가능한 로봇 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1824호)에서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습식 청소 및 건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좌우 한 쌍의 청소 모듈들에 각각 걸레를 고정시킨 후, 상기 걸레에 대해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는 물청소 이후에 걸레를 건조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 및/또는 이를 충전시키기 위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습기가 차서 작동 불량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악취 발생, 세균 번식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1683호)에서는 로봇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에 바람을 토출 또는 흡입하여 신발을 건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물걸레는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또한 바람을 통한 건조는 모터, 프로펠러 등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하여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하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바람을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물걸레를 건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흡습 부재를 사용하여 수분을 흡수하고, 발열부를 작동시켜 상기 흡수된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로봇 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를 건조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흡습 부재를 사용하여 수분을 흡수하고, 발열부를 작동시켜 상기 흡수된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로봇 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를 건조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는, 본체의 하부에 흡습 부재 및 발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완료한 후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되었을 때, 상기 흡습 부재를 통해 상기 로봇 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부터 도킹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발열부를 이용하여 상기 흡습 부재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는,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는,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열판의 상면을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열판과 상기 발열부 사이에 흡습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은,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발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습 부재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을 위하여 위치될 수 있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 및 상기 배열판의 상면과 상기 발열부 사이에 구비되는 흡습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습 부재 및 상기 발열부에 의해 상기 로봇 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에 대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은,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청소 모듈의 건조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청소 모듈의 건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청소 모듈을 건조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발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을 위하여 위치될 수 있는 배열판, 및 상기 배열판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에 의해 상기 로봇 청소기에 부착된 물걸레에 대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건조 정보를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가 상기 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건조 정보를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가 상기 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물걸레가 장착 가능한 로봇 청소기가 습식 청소를 완료한 후 충전을 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되었을 때,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구비된 흡습 부재를 통해 상기 물걸레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부터 도킹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구비된 발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습 부재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는 상기 흡습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발열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물걸레의 건조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에서 본체에 물통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내지 도 6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걸레'는 직물이나 종이 재질 등 재질면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세척을 통한 반복 사용용 또는 일회용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내부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바디(110), 바디(110)를 지지하는 제1 청소 모듈(120) 및 제2 청소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디(110)는 제1 청소 모듈(120) 및 제2 청소 모듈(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120)은 바닥과 접촉하여 걸레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걸레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12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닥에 접촉하게 구비되는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은 각각의 회전에 의해 걸레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청소 모듈(120)의 구성 요소 중, 명칭 앞에 '좌측'이 붙는 구성 요소는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의미하고, 명칭 앞에 '우측'이 붙는 구성 요소는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의미한다. 제1 청소 모듈(120)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좌측' 및 '우측'의 구분이 없는 경우, 해당 설명은 '좌측' 및 '우측'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120)은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의 하측면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의 하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걸레(121) 및 회전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레(121)는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혹은 교체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걸레(121)는 벨크로 또는 후크 등에 의한 탈부착 가능하게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걸레(121)는 회전판(12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걸레(121)는 상기 스페이서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닥과 접촉하여 걸레질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디(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청소 모듈(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디(110)의 이동에 따라 바닥을 슬라이딩하며 걸레질하게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청소 모듈(130)은 회전 동작을 하며 걸레질하게 구비되거나, 흡입 청소(vacuum cleaning)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닥을 비질(sweeping)하는 브러쉬(brush)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나아가 상기 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청소 모듈(130)이 바닥을 슬라이딩하며 걸레질하는 경우를 기초로 기술하기로 한다.
로봇 청소기(100)는 바디(110)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스(112)는 바디(110)의 상측면, 전방면, 후방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바디(11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청소 모듈(120) 및 제2 청소 모듈(130)이 베이스(116)에 고정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100)를 들어 올리기 위한 손잡이(114), 및 바디(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범퍼(115)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115)는 제2 청소 모듈(130)보다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청소 모듈(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애물 감지센서부(113)는 복수의 장애물 감지센서들(113a, 113b, 113c)을 포함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센서부(113)는 바디(110)의 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낭떠러지 감지센서부(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낭떠러지 감지센서부(117)는 복수의 낭떠러지 감지센서들(117a, 117b)을 포함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센서부(117)는 제2 청소 모듈(130)의 전방에 낭떠러지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낭떠러지 감지센서부(117)는 범퍼(115)의 하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12) 및 베이스(116)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건식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 유로, 습식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청소 모듈(120) 또는 제2 청소 모듈(130)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조,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조 상에는 상기 수조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수조 개폐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조 및 상기 수조 개폐부는 함께 급수 모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은 제1 청소 모듈(120) 또는 제2 청소 모듈(130)의 걸레질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는 제1 청소 모듈(120)에 회전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되, 제2 청소 모듈(13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는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청소 모듈(120) 및 제2 청소 모듈(130) 모두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바디(110)는 바디(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로의 제1 말단(110a)은 바디(110)의 외표면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유로는 복수 개의 유로 말단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예를 들어, 제1 말단(110a)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이들 중 다른 일부, 예를 들어, 제2 말단(도시되지 않음)은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제1 말단(110a)은 로봇 청소기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말단은 로봇 청소기(10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청소 모듈(120)은 습식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청소 모듈(130)은 건식 걸레질을 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배터리를 바디(11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배터리 투입부(170), 및 전원 공급의 ON/OFF를 입력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의 각종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도시되지 않음) 및 외부의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감지센서부(113) 또는 낭떠러지 감지센서부(117) 각각의 감지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의 신호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디(110)의 이동에 따라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구비된다. 제2 청소 모듈(130)은 바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걸레질하게 구비된다. 제2 청소 모듈(130)은 건식 걸레질하게 구비된다.
제2 청소 모듈(130)은 하측에 배치되는 하면부(131)를 포함한다. 하면부(131)는 전방의 중간이 후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의 하측면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의 하측면은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좌측 청소 모듈(120a) 및 제1 우측 청소 모듈(120b) 각각의 경사각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는 바퀴가 없는 경우에도, 한 쌍의 회전하는 걸레면 즉, 제1 청소 모듈(120)를 통해 주행할 수 있으며, 제1 청소 모듈(120)에 부착된 걸레(121)를 통해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에서 본체에 물통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바디(210), 바디(210)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걸레가 부착되며, 내부에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 유닛(220), 및 로봇 청소기(200)의 이동을 위한 바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퀴(230)는 구동 바퀴(231)와 보조 바퀴(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바퀴(231)는 바디(210)의 주행을 위하여 구동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보조 바퀴(232)는 바디(210)의 주행에 의하여 구름 운동할 수 있다. 보조 바퀴(232)는 구동 바퀴(231)와 이격된 위치에서 바디(210)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물통 유닛(220)은 상측 부재(225) 및 하측 부재(227)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부재(225)는 물통 유닛(220)의 상측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물통이 형성되는 물통 형성부(221)와, 사용자가 물통 유닛(220)을 탈착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222)로 구분될 수 있다. 물통 형성부(221)와 하측 부재(277) 사이에는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는 채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채움 공간에 채워진 물은 물 공급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물걸레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유닛은 하측 부재에 장착되어 물의 공급 통로를 제공하는 차폐 부재(240) 및 상기 채움 공간 내부의 물을 흡수하여 물걸레로 전달하는 물 전달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00)는 바닥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은 바디(210)에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 노즐 케이스(203), 노즐 케이스(203)의 바닥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205), 및 흡입구(205)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는 에지테이터(207)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200)는 바퀴(230)를 통해 주행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물통 유닛(220)이 장착되어 이에 부착된 물걸레를 통해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100), 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200)를 충전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며, 도 7는 도 5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10), 및 본체(310)의 하부를 구성하며 로봇 청소기(100, 200, 도 1 내지 도 4 참조)가 충전을 위해 정지된 상태에 놓여있을 수 있는 배열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본체(3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체(310)는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본체(310) 내부에는 로봇 청소기(100, 200)의 충전을 위한 여러 가지 부품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센서, 가이드 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로봇 청소기(100, 200)의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도킹 확인부(도시되지 않음) 및 이후에 설명되는 발열부(3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배열판(320)은 편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열판(320)의 본체(310)에 인접한 부분은 본체(310)로부터 이격된 부분보다 높은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배열판(320)의 상면은 상기 본체(310)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본체(310)로부터 이격된 부분까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배열판(32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측벽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열판(320)의 측벽은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혹은 배열판(320)의 측벽 하부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측벽을 갖되, 측벽 상부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배열판(320) 상에는 외부로 노출되며, 로봇 청소기(100, 200)의 충전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접촉될 수 있는 충전 단자(3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충전 단자(330)가 배열판(320) 상에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전 단자(330)는 본체(310)의 측벽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300)가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전 단자(33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300)의 배열판(320) 상에는 적어도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건조부(340)는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을 위해 정지된 상태에 놓여있을 때, 물걸레가 부착되는 부분 즉, 예를 들어, 제1 청소 모듈(120, 도 1 내지 도 4 참조) 또는 물통 유닛(220, 도 5 및 도 6 참조)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조부(340)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부분(340a) 및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지 않은 제2 부분(34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부분들(340a)이 제2 부분(340b)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부(340)의 제1 부분(340a)는 배열판(320)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건조부(340)의 제2 부분(340b)은 배열판(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조부(340)는 제1 부분들(340a) 및 제2 부분(340b)이 벌집(honeycomb)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부(340)는 배열판(320)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건조부들(340)은 각각 제1 부분들(340a) 및 제2 부분(340b)이 벌집(honeycomb)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100)는 좌우 한 쌍의 제1 청소 모듈(120)에 각각 물걸레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충전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300)는 상기 한 쌍의 제1 청소 모듈(120)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건조부들(3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200)는 하나의 물통 유닛(220)에 물걸레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충전하기 위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300)는 상기 물걸레의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건조부(340)만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상에 형성되는 건조부(340)의 개수는 로봇 청소기(100, 200)에 장착되는 물걸레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부(340)의 면적은 로봇 청소기(100, 200)의 물걸레가 장착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배열판(320) 내부에는 발열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발열부(350)는 본체(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판 또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3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배열판(320) 내부에는 흡습 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흡습 부재(360)는 배열판(320)의 상면과 발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습 부재(360)는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흡습성 물질 예를 들어, 실리카겔(silica gel)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는 발열부(350) 및 흡습 부재(36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부(350)는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을 위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에 도킹된 상태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후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이 완료되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로부터 도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00, 200)가 도킹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흡습 부재(360)를 이용하여, 건조부(340)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 200)에 부착된 물걸레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로봇 청소기(100, 200)가 도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발열부(350)를 작동시킴으로써, 흡습 부재(360)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 또는 기화시킴으로써 건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을 위해 도킹이 완료된 상태에서 발열부(350)를 작동시켜 수분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는 발열부(350)만을 포함하고, 흡습 부재(36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부(350)는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을 위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에 도킹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후 로봇 청소기(100, 200)가 충전이 완료되어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로부터 도킹이 해제된 상태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00, 200)가 도킹이 완료된 상태에서 발열부(350)를 작동시킴으로써, 로봇 청소기(100, 200)의 물걸레가 부착된 부분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 또는 기화시킬 수 있으며, 이후 로봇 청소기(100, 200)가 도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발열부(35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흡습 부재 및 발열부를 모두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를 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10은 흡습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발열부만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를 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은, 로봇 청소기의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 흡습 부재를 통해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S110), 로봇 청소기의 도킹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 및 발열부를 작동시켜 흡습 부재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 및 S120 단계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로봇 청소기(100, 200)의 도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도킹 확인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10 단계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된 흡습 부재(3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S130 단계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열부(350)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S100 단계 이후에 로봇 청소기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의 함수율을 기초로 건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은, 로봇 청소기의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00), 로봇 청소기의 건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 발열부를 작동시키는 단계(S220), 로봇 청소기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0), 및 발열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S200 단계 및 S230 단계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로봇 청소기(100, 200)의 도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도킹 확인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S230 단계는 상기 도킹 확인부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건조 확인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S210 단계는 로봇 청소기(100, 200) 내부에 구비된 제1 건조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내부에 구비된 제2 건조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210 단계는 로봇 청소기(100, 200)의 물걸레가 부착된 부분에 대한 함수율(moisture content)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 200) 내부, 또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내부에 상기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 측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수율 측정부는 예를 들어, 정전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S210 단계가 로봇 청소기(100, 2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 200)와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사이에 상기 건조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S210 단계가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 200)와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사이에 상기 건조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S220 단계 및 S240 단계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3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S210 단계를 통해 수집된 상기 건조 정보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로봇 청소기 110: 바디
112: 케이스 113: 장애물 감지센서부
114: 손잡이 115: 범퍼
116: 베이스 117: 낭떠러지 감지센서부
120: 제1 청소 모듈 121: 걸레
122: 회전판 130: 제2 청소 모듈
131: 하면부 203: 노즐 케이스
205: 흡입구 207: 에지에이터
210: 바디 220: 물통 유닛
221: 물통 형성부 222: 조작부
225: 상측 부재 227: 하측 부재
230: 바퀴 231: 구동 바퀴
232: 보조 바퀴 240: 차폐 부재
250: 물 전달 부재 300: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310: 본체 320: 배열판
330: 충전 단자 340: 건조부
350: 발열부 360: 흡습 부재

Claims (21)

  1.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흡습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지지 및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판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배열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감소되고,
    상기 흡습 부재는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발열부 사이에서 상기 건조부의 하면과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판의 상기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청소 모듈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들은 상기 청소 모듈들의 위치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상면의 면적은 상기 청소 모듈 하부면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판 및 상기 건조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각각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분들이 벌집(honeycomb)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는 상기 배열판의 상면과 상기 발열부 사이에 배치된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도킹 확인부; 및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도킹이 해제된 이후에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moisture content)을 측정하는 함수율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수율 측정부는 정전식 센서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흡습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지지 및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판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배열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감소되고, 상기 흡습 부재는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발열부 사이에서 상기 건조부의 하면과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를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발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습 부재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구비되며, 각각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분들이 벌집(honeycomb)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상기 건조부를 통해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도킹이 해제된 이후에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17. 하부에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가 충전될 때 상기 건조부가 상기 청소 모듈에 중첩되어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배열판;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건조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 및 상기 배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흡습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흡습 부재를 지지 및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판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지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배열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지면에 대한 높이가 감소되고, 상기 흡습 부재는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발열부 사이에서 상기 건조부의 하면과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도킹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청소 모듈의 건조 정보를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청소 모듈의 건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청소 모듈을 건조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발열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2 단계 이후,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건조 정보를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 장치가 상기 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듈의 함수율 측정 단계는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KR1020200021694A 2020-02-21 2020-02-21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KR10231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94A KR102317049B1 (ko) 2020-02-21 2020-02-21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94A KR102317049B1 (ko) 2020-02-21 2020-02-21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66A KR20210106766A (ko) 2021-08-31
KR102317049B1 true KR102317049B1 (ko) 2021-10-25

Family

ID=7748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94A KR102317049B1 (ko) 2020-02-21 2020-02-21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401A (ko) 2022-07-05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8673B (zh) * 2022-05-26 2024-07-30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清洁基站的控制方法和清洁基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7305A (ja) * 2016-08-18 2018-02-22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湿式掃除機のためのサービス装置
KR102011827B1 (ko) * 2017-08-07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064B1 (ko) * 2015-05-14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7305A (ja) * 2016-08-18 2018-02-22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湿式掃除機のためのサービス装置
KR102011827B1 (ko) * 2017-08-07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401A (ko) 2022-07-05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66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83B1 (ko) 로봇 청소기
US8763200B2 (en) Robot cleaner
CN108024682B (zh) 机器人清洁器
KR102317049B1 (ko)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US10945578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30204B1 (en) Robot cleaner
US20170100007A1 (en) Autonomous travel-type cleaner
KR101647757B1 (ko) 군집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1897B1 (ko) 스위치형 센서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
US10048695B2 (en) Traveling device
KR102278584B1 (ko) 로봇 청소기
ITFI20010021A1 (it) Apparecchio pulitore aspirante automatico per pavimenti
KR20130037448A (ko) 로봇청소기
US20240324842A1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JP2003190064A (ja) 自走式掃除機
KR20060024202A (ko) 로봇 청소기
JP2018523533A (ja) ロボット掃除機
JP3724637B2 (ja) 掃除装置
JPH0351023A (ja) 自走式掃除機
KR20210086458A (ko)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KR100982383B1 (ko) 자동청소기의 주행제어방법
JP6509479B2 (ja) 電気掃除機
KR100631537B1 (ko) 로봇 청소기의 센서 건조장치
JP7215043B2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JP7539046B2 (ja) 自律走行型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