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401A -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401A
KR20240005401A KR1020220082452A KR20220082452A KR20240005401A KR 20240005401 A KR20240005401 A KR 20240005401A KR 1020220082452 A KR1020220082452 A KR 1020220082452A KR 20220082452 A KR20220082452 A KR 20220082452A KR 20240005401 A KR20240005401 A KR 2024000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nozzle
vacuum cleaner
main body
su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우
김성준
박희구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401A/ko
Publication of KR2024000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4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과, 상기 청소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되는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여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모듈 타입의 제공은 스틱 청소기의 본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청소 노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청소 노즐은 크게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의 흡입 노즐과 피청소면을 문질러 닦는 기능의 물걸레 노즐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 노즐은 다시 카펫 노즐, 침구 노즐, 플러피 노즐 등으로 그 용도가 세분화될 수 있다.
이때, 본체에 장착되는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인 경우 청소 작업 수행시 청소 노즐 뿐만 아니라 연장관, 흡입부, 먼지통 및 본체 내부까지 습기가 남아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문헌으로서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7049호에는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일부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를 통해 청소 모듈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 부재와 상기 흡습 부재를 지지 및 가열하는 발열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 구비되는 흡습 부재와 발열 부재는 기존의 청소기 시스템에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의 흡습 부재는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흡습성 물질로 이루어져 물걸레의 수분을 흡수하고, 발열 부재는 상기 흡습 부재를 가열하여 흡수한 수분을 증발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며, 본체에 장착되는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거나 구분된 청소 노즐의 종류에 따라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켜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효과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70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켜 이물질 등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체에 장착된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여 청소기의 내부의 건조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건조가 필요한 청소 노즐 장착시 이를 구분하여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시스템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과, 상기 청소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청소 노즐의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레를 포함하는 회전 청소부; 상기 걸레로 물을 공급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 청소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하여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충전 단자와 접속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시스템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과, 상기 청소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본체에 연결된 청소 노즐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여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기 청소 노즐의 종류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청소 노즐의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청소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 청소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구동부로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측정된 부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구동부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소기의 청소 노즐이 상기 청소기의 본체에 연결되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는 구분 단계; 상기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결합 단계; 및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구분 단계에서 구분된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노즐의 노즐 구동부로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측정된 부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청소 노즐의 노즐 구동부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켜 청소기 내부의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기의 충전을 위해 청소기를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시키는 경우 흡입 모터가 구동되어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장착된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여 특정 청소 노즐의 장착시 흡입 모터가 구동되어 청소기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걸레 노즐을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한 경우 흡입 모터가 구동되어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로 구성된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 노즐 장착 후 초기 구동시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전류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구분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로 구성된 청소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청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시스템(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며, 도 5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청소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청소기(2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흡입부(212)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에서 흡입부(212)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본체 하우징(211), 흡입부(212), 먼지 분리부(213), 흡입 모터(214), 공기 배출 커버(215), 핸들(216) 및 조작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청소기(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흡입 모터(214)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본체 하우징(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212)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연장관(25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흡입부(212)의 내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형성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2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213)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되며, 흡입부(212)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2차 싸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2차 싸이클론은 싸이클론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2차 싸이클론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
이때,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과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동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먼지 분리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으로 통칭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220초 이상 280초 이하의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장관(250)에 연결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청소 작업 수행시 물걸레 노즐(30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연장관(250), 흡입부(212), 먼지통(220) 및 본체(210)의 내부에도 습기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터(214)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경우 흡입 모터(214)를 구동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청소기(2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청소기(200)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단자(26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충전 단자(127)와 접속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의 충전을 위해 배터리 단자(260)를 충전 단자(127)에 접속시키는 경우 흡입 모터(214)는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되어 청소기(200)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것과 연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가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등과 같은 접촉 센서인 경우,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결합 센서(125)가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125)에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결합 센서(125)에서 청소기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하면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 센서(125)가 적외선 센서부(IR sensor) 등과 같은 비접촉 센서인 경우,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결합 센서(125)가 배치되는 측벽(124)을 지나 결합면(1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결합 센서(125)에서 청소기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하면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는 본체 하우징(211)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215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유동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공기 배출구(215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216)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2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16)은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 또는 먼지 분리부(213)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된 파지부, 파지부의 길이 방향(축 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흡입 모터(214)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파지부의 길이 방향(축 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먼지통(2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의 길이 방향(기둥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파지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파지부 관통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파지부 관통선은 원기둥 형태의 핸들(216) 내부에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고, 파지부의 외측면(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핸들(216)의 상면은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장부는 파지부에서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는 파지부에서 먼지통(2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8)를 통하여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작부(218)는 전원 버튼(218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2181)을 누르면 본체 제어부(410)에 의해 흡입 모터(214)가 회 전하기 시작하면서 청소기(200)가 초기 구동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2183, 218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입력 버튼(2182, 2183)은 제1 입력 버튼(2182)과 제2 입력 버튼(218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입력 버튼(2181, 2183)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흡입 모터(2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의 구동 중에 사용자가 제1 입력 버튼(2182)을 누르면 본체 제어부(410)에 의해 흡입 모터(214)의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의 구동 중에 사용자가 입력 버튼(2183)을 누르면 본체 제어부(410)에 의해 흡입 모터(214)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버튼(2182)과 제2 입력 버튼(2183)은 사용자의 직관적 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흡입 모터(214)의 속도 증가를 유도하는 제1 입력 버튼 (2182)은 '+'기호가 표시된 버튼이고, 흡입 모터(214)의 속도 감소를 유도하는 제2 입력 버튼(2183)은 '-'기호가 표시된 버튼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제1 입력 버튼(2182)과 제2 입력 버튼(2183)은 서로 상이한 이미지 또는 도형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으로 족하다.
본체 제어부(410)는 입력 버튼(2182, 2183)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청소 노즐(300, 130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은 노즐 제어부(4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먼지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본체(221), 배출 커버(222), 먼지통 압축 레버(223) 및 압축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는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22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내부 공간)를 관통하고,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원통 형태의 먼지통 본체(221)에서 축 방향을 의미함)을 따라 연장 형성된 가상의 먼지통 관통선을 형성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에는 하면 연장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 연장부(221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배출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커버 본체(222a) 및 힌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힌지부(22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22b)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22b)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에서 분리될 경우,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에서 힌지부(222b)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커버(222)는 결합 레버(222c)를 통해 먼지통(2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220)의 전방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력 인가 시, 결합 레버(222c)는 커버 본체(222a)와 먼지통 본체(221)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22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2)가 닫혀있는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 및 하면 연장부(221a)에 의하여 막힐(실링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3)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와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2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와 압축자(미도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는 먼지통(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240)가 탈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외부로 노출된 배터리 단자(2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b 참조) 배터리 단자(26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충전 단자(127)가 결합되면 배터리 단자(260)를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26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면에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 단자(260) 간의 이격 거리는 충전 단자(127) 간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배터리(24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를 포함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먼지통(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14)와 배터리(2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핸들(216)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14)가 핸들(216)의 전방에 배치되고, 무게가 가벼운 배터리(240)가 핸들(216)의 하방에 배치되므로, 청소기(200)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를 배터리 하우징(23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4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240)와 배터리 하우징(23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우징(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221)의 외주면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흡입부(212)는 결합부(120)의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220)의 중심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장관(25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연장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50)은 청소 노즐(300, 130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의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는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노즐(300, 13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14)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노즐(300, 13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노즐(300, 1300)과 연장관(25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가 거치되는 경우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바닥면(111), 외벽면(112) 및 상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111)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1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는 바닥면(111)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111)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외벽면(112)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111)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면(112)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112)은 제1 외벽면(112a), 제2 외벽면(112b),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200)가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제2 외벽면(112b)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112c)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112d)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200)의 형상에 대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외벽면(112a)에는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외벽면(112a)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노즐(300, 130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112b)은 제1 외벽면(112a)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외벽면(112b)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실내의 벽에 밀착시킬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외벽면(112b)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노즐(300, 130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은 제1 외벽면(112a)과 제2 외벽면(112b)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112c)이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112c)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노즐(300, 130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중력 방향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이라 함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3)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부면(113)은 외벽면(1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3)이 분리되면, 외벽면(11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청소기(200)에서 분리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고,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0)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본체(210),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면(121)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먼지통(2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먼지통(220)의 전방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가이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서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측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4)은 결합면(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결합면(12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측벽(124)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벽(124)은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결합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가이드 돌기(1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125)를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센서(12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측벽(124)을 지나 결합면(1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대향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과 함께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흡입부 가이드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은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은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에는 흡입부(212)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의 형상은 흡입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먼지통 가이드면(122), 가이드 돌기(123) 및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의해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충전 단자(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단자(127)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단자(127)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단자(260)와 접속하여 청소기(200)의 배터리(2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의 청소 노즐(300, 1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200)는 청소 노즐(300, 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노즐(300, 1300)은 청소를 위해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청소 노즐(300,1300)은 본체(2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250)을 통하여 본체(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청소 노즐(300, 1300)은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노즐(300, 1300)을 지나 청소기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노즐(300, 1300)과 본체(210)를 지나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 노즐(300, 1300)은 물걸레 노즐(300)과 흡입 노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기(200)의 연장관(250)에 물걸레 노즐(300)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 및 피청소면의 물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청소기(200)의 연장관(250)에서 물걸레 노즐(300)을 분리하고, 흡입 노즐(1300)을 연장관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방식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청소 노즐(300, 1300)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210)에 연결되는 청소 노즐은 물걸레 노즐(300)일 수 있다.
물걸레 노즐(300)은 청소를 위해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물걸레 노즐(300)은 본체(2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250)을 통하여 본체(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물걸레 노즐(300)은 본체(210)에 장착된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전원을 내부의 전력 소비부(미도시)로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방향을 정의하면, 물걸레 노즐(300)에서 연장관(250)이 연결되는 부분이 물걸레 노즐(300)의 뒷쪽이라고 할 수 있고, 연장관(250)의 반대편 부분이 물걸레 노즐(300)의 앞쪽이라고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물걸레 노즐(300)은 노즐 바디(311, 312), 회전 청소부(320), 노즐 구동부(330) 및 물 탱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바디(311, 312)는 물걸레 노즐(300)의 외형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바디(311, 312)는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 바디(311, 312)는 본체(2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250)을 통하여 본체(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노즐 바디(311, 312)에는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 개구(3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210)의 흡입 모터(214)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전방 개구(310a)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되는 공기는 유로 형성부(310b)를 거쳐 연장관(250)으로 이동하고 먼지통(220)에서 먼지가 분리된 이후 청소기(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걸레 노즐(300)은 노즐 바디(311, 31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청소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청소부(3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회전 청소부(32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320)는 노즐 구동부(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판(321)과, 회전판(321)의 하측에 부착되는 걸레(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판(3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회전판(321)은 제1 구동 장치(331)와 연결되고 하측에 제1 걸레(3221)가 부착되는 제1 회전판(3211)과, 제2 구동 장치(332)가 연결되고 하측에 제2 걸레(3222)가 부착되는 제2 회전판(321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레(322)는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회전 청소부(320)가 노즐 바디(311, 312)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레(322)의 일부는 물걸레 노즐(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물걸레 노즐(300)의 하방에 위치되는 피청소면 뿐만 아니라 물걸레 노즐(300)의 외측에 위치되는 피청소면도 청소할 수 있다.
노즐 구동부(330)는 제1 회전판(3211)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장치(331)와, 제2 회전판(3221)을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장치(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331)와 제2 구동 장치(332)는 노즐 바디(311, 312)의 내부에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장치(331, 332)의 각각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 장치(331)는 제1 노즐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제2 구동 장치(332)는 제2 노즐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장치(331, 332)는 회전 청소부(320)에 포함된 회전판(321)에 연결되어 회전판(32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장치(331, 332)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제1 및 제2 구동 장치(331, 332) 중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일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일부 회전 청소부(320)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물 탱크(340)는 노즐 바디(311, 31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 탱크(340)가 노즐 바디(311, 3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 탱크(310)의 물이 걸레(322)로 공급될 수 있다.
물 탱크(340)는 노즐 바디(311, 3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노즐 바디(311, 31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물 탱크(340)의 상측벽 전체가 노즐 바디(311, 312)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 탱크(340)가 장착된 것 또는 노즐 바디(311, 312)에서 물 탱크(340)가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 탱크(340)에 저장된 물은 내부의 유로를 통해 노즐 바디(311, 312)를 지나 회전 청소부(321, 322)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탱크(340)의 물은 회전판(321)을 관통하여 걸레(322)로 공급될 수 있다.
본체(210)에 연결되는 청소 노즐은 흡입 노즐(1300)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흡입 노즐(1300)은 본체(210)에 구비된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기능의 청소 노즐일 수 있다.
여기서, 먼지는 피청소면에 붙어있는 이물질, 예컨대, 머리카락, 보푸라기, 미세가루, 플라스틱 조각 및 작은 곤충의 사체 등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먼지부터 눈에 보이며 어느 정도 무게감을 갖고 있는 먼지까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먼지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해 본체(210)의 먼지통(220)으로 흡입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가리킬 수 있다.
흡입 노즐(1300)은 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흡입 노즐(1300)은 본체(2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250)을 통하여 본체(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입 노즐(1300)은 노즐 바디(1310), 회전 청소부(1320) 및 노즐 구동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바디(1310)는 흡입 노즐(13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회전 청 소부(1320) 및 노즐 구동부(1330)를 수용하는 수용 바디(1311)와, 본체(210) 또는 연장관(250)과 연결되는 연결 배관(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바디(1310)에는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전방 개구(13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210)의 흡입 모터(214)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전방 개구(1310a)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되는 공기는 회전 청소부(1320)를 거쳐 연결 배관(1312)으로 이동하고 먼지통(220)에서 먼지가 분리된 이후 청소기(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1320)는 수용 바디(1311)에 수용되며,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부(212)로 보낼 수 있다.
노즐 구동부(1330)는 회전 청소부(1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 청소부(1320)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 청소부(132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동력을 전달하는 일 예일뿐, 노즐 구동부(1330)가 회전 청소부(1320)의 일측에 삽입되지 않고 연결 배관(1312)의 방향에 있는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청소부(1320)와 앞뒤로 나란히 위치할 수도 있다.
노즐 구동부(13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노즐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구동부(1330)는 상기 노즐 모터의 동력을 회전 청소부(132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 예로 기어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부는 풀리 및 이를 연결하는 벨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노즐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기어비 나풀리의 반지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모터의 분당 회전수를 적절히 감속시켜 회전 청소부(1320)에 전달한다. 즉, 상기 동력 전달부에 구비되는 기어의 비에 따라 상기 노즐모터의 감속비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 회전 청소부(1320)의 분당 회전수가 정해지게 된다. 이는 피청소면에 따라 서로 다른 최적화된 분당 회전수 및 회전 토크(Torque)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용도의 플러피(Fluffy) 노즐과 카펫(Carpet) 청소를 위한 카펫 노즐의 경우 동일 종류의 동일한 크기의 노즐 모터를 사용하지만, 카펫 노즐의 감속비는 플러피 노즐의 감속비보다 작아 회전 청소부(132)의 분당 회전수가 클 수 있다. 이는 결국 구동시 필요한 전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청소부(1320)는 노즐 구동부(13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피청소면과 마찰됨으로써 오염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또한, 회전 청소부(1320)의 외주면은 융(絨)과 같은 직물 또는 펠트(fel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청소부(1320)의 회전시 피청소면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회전 청소부(1320)의 외주면에 끼임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흡입 노즐(1300)은 상술한 감속비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한 여러 종류의 흡입 노즐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속의 분당 회전수를 갖는 노즐 모터에 적절한 감속비를 갖게 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흡입 노즐(1300)은 상대적으로 낮은 감속비, 예컨대 3.3:1를 갖게 하여 카펫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감속비, 예컨대 13.5:1를 갖게 하여 일반 용도인 플러피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노즐 모터의 분당 회전수가 작고 피청소면을 통해 받는 반력이 작은 흡입 노즐(1300)은 침구 노즐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용도를 갖는 흡입 노즐(300, 1300) 중 어느 것이 본체(21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 나아가 흡입 노즐(1300)이 아닌 물걸레 노즐(300)이 본체(21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가 초기 구동시의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면 구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 노즐 장착 후 초기 구동시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전류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0)은 흡입 모터(214), 노즐 구동부(330, 1330)를 제어하는 청소기 제어부(410, 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제어부(410, 42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 제어부(410, 420)는 본체(210)에 구비되는 본체 제어부(410)와 청소 노즐(300, 1300)에 구비되는 노즐 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와 노즐 제어부(4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제어부(410)와 노즐 제어부(420)는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의 결합을 감지하면, 결합 센서(125)는 본체 제어부(410, 420)로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본체 제어부(410)는 결합 센서(1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켜 청소기(200)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부(128)에서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을 공급하면,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켜 청소기(200)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단자(26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충전 단자(127)와 접속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에는 흡입 모터(214)를 구동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가 연결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MCU에 연결되어 흡입 모터(214)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 제어부(410)는 흡입 모터(14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흡입 모터(214)의 속도를 증감(흡입력 증감) 제어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 노즐(300, 1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제어부(420)는 본체 제어부(410)로부터 청소 노즐(300, 1300)의 구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제어부(410)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청소 노즐(300, 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본체 제어부(410)는 배터리(240)가 제공하는 전압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 신호로 가변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노즐 제어부(420)는 노즐 구동부(330, 1330)를 구동하기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가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제어부(420)는 상기 MCU에 연결되어 노즐 구동부(330, 1330)에 구동 명령을 내리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200)는 청소 노즐(300, 1300)에 걸리는 부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500)는 청소 노즐(300, 1300)의 구동 시작시 나타나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전류는 청소 노즐(300, 1300)에 흐르는 전류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하여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변환하면 그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측정부(500)는 청소기 제어부(410, 4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청소기(200)는 메모리(41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1)는 청소 노즐(300, 1300)의 초기 구동시 측정부(500)에서 측정한 상기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저장하고, 청소기(200)의 구동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0)는 표시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12)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고 청소기(200)의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12)는 조작부(218)와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핸들(216)의 제1 연장부(216b)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의 충전 상황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412)를 제어할 수 있다.
청소기 제어부(410, 420)는 청소 노즐(300, 1300)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300, 13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 노즐(300, 1300)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300, 13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가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300, 1300)의 종류를 각각 어떻게 구별하여 감지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청소기 제어부(410, 420)는 청소 노즐(300, 1300)의 초기 구동시 청소 노즐(300, 1300)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청소 노즐을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제어부(410, 420)는 전류 프로파일을 통해 각 노즐을 구별할 수 있다.
전류 프로파일이란, 청소 노즐(300, 1300)에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된 전압 혹은 크기를 가변시킨 정전압에 대해 청소 노즐(300, 1300)에 구비된 노즐 구동부(330, 1330), PCB 및 노즐 제어부(420) 등에 따라 구동 시작시 나타나는 전류값의 변동을 나타낸 시간대 전류값(또는 ADC에 의해 변환된 값)의 그래프를 뜻한다. 즉, 전원을 온(On)하여 통하여 청소 노즐(300, 1300)에 펄스폭 변조로 제어된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감지 시간 내에서 전류의 변화 양상을 시간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전류 프로파일은 노즐 구동부(330, 1330)의 분당회전수 차이, 노즐 구동부(330, 1330) 혹은 동력전달부의 감속비 차이, 노즐 제어부(420)의 유무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면 동일한 타입의 노즐 구동부(330, 1330)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용도의 청소 노즐을 구별할 수 있다.
청소 노즐(300, 130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펄스폭 변조(PWM)방식으로 제어된 전압 혹은 전압의 크기를 가변시킨 정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는 펄스폭 변조(PWM)방식으로 제어된 전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펄스폭 변조(PWM)방식에서는 전압의 온(On)과 오프(Off)에 따른 스위칭 주기(Swithcing Period)를 일정하게 하고, 온(On)의 시간의 비율, 즉 듀티비(Duty Ratio) 혹은 듀티사이클(Duty Cycle)을 조절함으로써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주기(예를 들어, 15khz)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듀티비(Duty Ratio)를 가변하는 것으로 전압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스위칭 주기에서 온(On) 시간의 비율이 클수록 듀티비가 커지고 전압의 크기도 크게 조정된다.
이때, 본체 제어부(410)는 본체(210)가 연결되어 있는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부하 전류의 측정은 청소 노즐에 직렬로 연결되는 션트저항(Shunt Resistor)의 양단 전압을 측정한 후, 옴의 법칙에 의해 전류값으로 전환시켜 측정할 수 있다. 결국, 청소 노즐의 초기 구동시 나타나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0에는 노즐 구동부(330, 1330)의 분당 회전수, 동력전달부의 감속비 차이, 노즐 제어부(420)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는 전류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구동부(330, 1330)에 구비되는 노즐 모터의 일측에는 제어를 위한 MCU(Micro Controller Unit)이라는 제어용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 구동부(330, 1330)가 본체 제어부(410)에서 인가되는 PWM 제어가 된 전압신호를 받는 경우 상기 노즐 모터 및 PCB에 포함된 저항, 인덕터(Inductor) 및 캐피시터(Capacitor)에 따라 기동 전류 (Starting current)의 양상을 나타내는 기동 전류 프로파일(Starting current profile)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 캐퍼시턴스(Capacitance)에 따른 시상수(Time constant)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 모터의 분당 회전수 차이, 동력전달부의 감속비 차이, 노즐 제어부(420)의 장착 여부 등에 따라 다른 기동 전류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이때, 배터리(240)가 제어 신호 등에 의해 노즐 구동부(330, 1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노즐 구동부(330, 1330)로 유입되는 전류를 돌입 전류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40)가 노즐 구동부(330, 1330)를 구동시키기 위해 방전하는 전류의 크기는 배터리(240)의 전압 및 노즐 구동부(330, 1330)의 전압 차이, 노즐 구동부(330, 1330)와 배터리(240) 사이의 도선의 저항과 배터리(240)의 내부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즉, 노즐 구동부(330, 1330)를 구동시키기 위해 방전하는 전류의 크기는 배터리(240)의 전압에 노즐 구동부(330, 1330)의 전압을 뺀 값에서 상기 도선의 저항과 배터리(240)의 내부 저항의 합으로 나눈 값이 된다. 배터리(240)가 노즐 구동부(330, 1330)를 구동시키기 시작하는 시점에 노즐 구동부(330, 133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0V 근방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면, 배터리(240)의 전압이 6V이고 노즐 구동부(330, 1330)가 구동되기 전의 전압이 0V이고 상기 내부 저항 및 도선의 저항 합이 1.5Ω인 경우, 노즐 구동부(330, 1330)에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방전 전류(이를, 돌입 전류라 한다)의 크기는 6/1.5로 약 4A가 된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흡입 모터(214)가 구동하게 되면, 측정부(500)는 배터리(240)에서 노즐 구동부(330, 1330)의 노즐 모터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구동부(330, 1330)에 걸리는 부하 전류는 청소 노즐의 종류마다 상이한 돌입 전류값을 갖게 되므로, 본체 제어부(410)는 측정된 돌입 전류값을 기반으로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본체 제어부(410)는 노즐 구동부(330, 1330)로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측정된 부하 전류값(이하, '돌입 전류값'이라고 부를 수 있다.)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을 다른 청소 노즐과 구분되는 청소 노즐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감지 시간동안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을 제1 내지 제4 노즐 중에서 제1 노즐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감지 시간은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감지 시간(TD1)에서 제2 감지 시간(TD2)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는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전류값(CV1)과 제2 전류값(CV2) 사이의 전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가 물걸레 노즐(300)이 구비된 청소기(200)의 돌입 전류 범위인 3.8A 이상 4.2A 이하인 경우, 본체 제어부(410)는 제1 전류값(CV1)을 3.8A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전류값(CV2)은 4.2A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4A라면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을 물걸레 노즐(300)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메모리(411)에는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신호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 이후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면,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메모리(411)에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상기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가 구동되어 청소기(200)의 내부가 건조될 수 있다.
한편,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본체 제어부(410)는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을 다른 청소 노즐과 구분되는 청소 노즐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TA)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을 제1 내지 제4 노즐 중에서 제1 노즐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는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시간값(TV1)과 제2 시간값(TV2) 사이의 시간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가 물걸레 노즐(300)의 노즐 구동부(330)의 구동 시작 시간 범위인 38ms 이상 42ms 이하인 경우, 본체 제어부(410)는 제1 시간값(TV1)을 38ms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시간값(TV2)을 42ms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40)에서 노즐 구동부(330, 1330)로 전류가 유입된 이후 40ms가 경과하여 노즐 구동부(330, 1330)가 구동된다면 본체 제어부(410)는 현재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물걸레 노즐(300)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TA)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메모리(411)에는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신호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 이후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면,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메모리(411)에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상기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가 구동되어 청소기(200)의 내부가 건조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가 개시되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구분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며,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구분 단계(S100), 결합 단계(S200) 및 제어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 단계(S100)에서는 청소기(200)의 청소 노즐(300, 1300)이 청소기(200)의 본체(210)에 연결되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청소 노즐(300, 1300)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청소 노즐(300, 1300)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청소 노즐을 본체(210)에 연결한 후 전원 버튼(2181)을 누르면 본체 제어부(410)는 흡입 모터(214)를 구동시킬 수 있다.(S110)
이후, 본체 제어부(410)는 배터리(2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PWM 신호로 가변하여 본체(210)에 연결되어 있는 청소 노즐에 인가할 수 있다.(S120)
본체 제어부(410)는 청소 노즐에 적정 크기의 전압(예를 들어, 22V~23V)을 인가하기 위해 배터리 전압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여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위칭 주기(예를 들어, 15khz)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 서 듀티비(Duty Ratio)를 가변하는 것으로 청소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스위칭 주기에서 온(On) 시간의 비율이 클수록 듀티비가 커지고 전 압의 크기도 크게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부(500)는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S130)
본체 제어부(410)는,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흡입 노즐(1300)들 및 물걸레 노즐(300) 중에서 본체(210)에 연결된 특정 청소 노즐에 인가되는, PWM 방식으로 제어된 전압 신호에 따른 청소 노즐의 부하 전류값을 ADC 변환을 이용해 일정 샘플링간격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 제어부(410)는 돌입 전류값(IC) 및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 시작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S140)
본체 제어부(410)는, 돌입 전류값(IC) 및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 시작 시간에 따라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 제어부(410)는 부하 전류 측정값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체(210)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청소 노즐의 종류를 판단한다.(S150)
부하 전류 측정값의 분석 결과, 돌입 전류값(IC)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면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다른 청소 노즐과 구분되는 청소 노즐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감지 시간동안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제1 내지 제4 노즐 중에서 제1 노즐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감지 시간은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감지 시간(TD1)에서 제2 감지 시간(TD2)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는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전류값(CV1)과 제2 전류값(CV2) 사이의 전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가 물걸레 노즐(300)이 구비된 청소기(200)의 돌입 전류 범위인 3.8A 이상 4.2A 이하인 경우, 제1 전류값(CV1)은 3.8A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전류값(CV2)은 4.2A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4A라면 청소기(200)의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물걸레 노즐(300)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다른 청소 노즐과 구분되는 청소 노즐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구동부(330, 1330)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제1 내지 제4 노즐 중에서 제1 노즐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는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시 제1 시간값(TV1)과 제2 시간값(TV2) 사이의 시간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가 물걸레 노즐(300)의 노즐 구동부(330)의 구동 시작 시간 범위인 38ms 이상 42ms 이하인 경우, 제1 시간값(TV1)은 38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시간값(TV2)은 42ms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40)에서 노즐 구동부(330, 1330)로 전류가 유입된 이후 40ms가 경과하여 노즐 구동부(330, 1330)가 구동된다면 현재 본체(210)에 연결된 청소 노즐은 물걸레 노즐(300)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된 청소 노즐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411)에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S160)
측정된 돌입 전류값(IC)이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메모리(411)에는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신호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노즐 구동부(330, 1330)의 시작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메모리(411)에는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신호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메모리(411)에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관한 상기 명령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에 결합된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 모터(214)가 구동되어 청소기(200)의 내부가 건조될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결합 단계(S200)에서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S200)
제어 단계(S300)에서는 본체(210)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청소 노즐의 종류에 따라 흡입 모터(214)의 구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S300)
메모리(411)에 흡입 모터(214)의 제어에 관한 명령 신호가 저장된 경우(S310) 흡입 모터(214)는 소정 시간동안 구동될 수 있다.(S320)
따라서, 청소기(200)의 초기 구동 이후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면, 흡입 모터(214)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결합된 청소기(200)의 청소 노즐이 물걸레 노즐(300)인 경우 흡입 모터(214)의 구동에 의해 청소기(200) 내부의가 건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청소기 시스템 100: 청소기 스테이션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21: 결합면 122: 먼지통 가이드면
123: 가이드 돌기 124: 측벽
125: 결합 센서 126: 흡입부 가이드면
127: 충전 단자 200: 청소기
210: 본체 212: 흡입부
213: 먼지 분리부 214: 흡입 모터
216: 핸들 218: 조작부
220: 먼지통 222: 배출 커버
222c: 결합 레버 223: 먼지통 압축 레버
230: 배터리 하우징 240: 배터리
250: 연장관 260: 배터리 단자
300, 1300: 청소 노즐 410, 420: 제어부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과, 상기 청소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청소 노즐의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레를 포함하는 회전 청소부;
    상기 걸레로 물을 공급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 청소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하여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청소기의 배터리 단자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충전 단자와 접속된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4.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과, 상기 청소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청소기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본체에 연결된 청소 노즐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여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기 청소 노즐의 종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청소 노즐의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청소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회전 청소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동부로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측정된 부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동부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9. 청소기의 청소 노즐이 상기 청소기의 본체에 연결되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상기 청소 노즐에 걸리는 부하 전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청소 노즐의 종류를 구분하는 구분 단계;
    상기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결합 단계; 및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구분 단계에서 구분된 노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의 노즐 구동부로 전류가 유입되는 시점에 측정된 부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의 노즐 구동부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청소기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20082452A 2022-07-05 2022-07-05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05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2A KR20240005401A (ko) 2022-07-05 2022-07-05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2A KR20240005401A (ko) 2022-07-05 2022-07-05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401A true KR20240005401A (ko) 2024-01-12

Family

ID=8954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52A KR20240005401A (ko) 2022-07-05 2022-07-05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4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49B1 (ko) 2020-02-2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49B1 (ko) 2020-02-2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768324A (zh) 真空清洁器站和控制真空清洁器站的方法
US7356872B2 (en) Automated electronic vacuum system and method
EP3524113B1 (en) Cleaning device
KR102629747B1 (ko) 청소기의 제어 방법
EP4298975A1 (en) Cleaner
GB2313043A (en) An electric switch combined with an air purge valve for a vacuum cleaner
KR20240005401A (ko)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40008700A1 (en) Cleaner system
US7272871B1 (en) Dirt vessel equipped with cleaning plunger
KR20220122474A (ko) 청소기
KR101961664B1 (ko) 청소기
CN220275517U (zh) 一种吸尘器和清洁设备
KR20230108194A (ko)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9461030U (zh) 清洁器站
KR20230052932A (ko) 모듈형 청소기
KR20230082404A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4298976A1 (en) Cleaner
CN218943228U (zh) 一种使用方便的多功能表面清洁装置
KR2023008393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5260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40079621A (ko) 청소기 스테이션
EP4360526A1 (en) Cleaner station
CN117956936A (zh) 吸尘器、吸尘器系统以及吸尘器系统的控制方法
KR20230138352A (ko) 청소기
KR20230120210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