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64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7064B1 KR102367064B1 KR1020150067165A KR20150067165A KR102367064B1 KR 102367064 B1 KR102367064 B1 KR 102367064B1 KR 1020150067165 A KR1020150067165 A KR 1020150067165A KR 20150067165 A KR20150067165 A KR 20150067165A KR 102367064 B1 KR102367064 B1 KR 102367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humidifying member
- flow path
- air
- washing tub
- wa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3—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다공성 제습부재를 이용하여 건조 에너지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습부재가 마련되는 건조 어셈블리,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제 1유로 및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우회하도록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너지 효율 및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과 같이 건조 기능이 요구되는 가전제품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의 표면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건조 기능이 구비되고,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는 젖어 있는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이 구비된다.
식기세척기를 예로 들면, 식기세척기는 식기 세척을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하는 가전제품으로서, 오염된 식기를 세척하고 식기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식기세척기의 건조 과정은 세척이 완료된 식기에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건조 과정은 최종 헹굼 시 식기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높여서 식기의 온도를 높이고, 식기에 묻은 물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과정과 증발된 수증기를 세척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냉각덕트에서 응축시키거나 제습제에 흡수시켜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수증기의 제거를 위하여 제습제를 사용하는 경우, 제습제가 다음 건조 과정에서 수증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습제를 건조시키는 재생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세척과정 또는 헹굼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히터로 제습제를 가열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제습제를 히터로 가열하여 제습제에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제습제를 재생시키고, 이후의 건조 과정에서 재생된 제습제가 다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에는 다공성 제습제가 사용되는데, 다공성 제습제에 흡수되는 수증기는 다공성 제습제의 기공 내에서 기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수용된다. 다공성 제습제를 재생하기 위하여는 기공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을 수증기로 변화시키기 위한 에너지(기화열)가 필요하고, 수증기를 기공에서 탈출시키기 위한 추가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습제의 재생에 많은 열에너지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공성 제습제의 양 또는 제습제의 크기를 늘릴수록 식기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제습부재를 이용하여 건조 에너지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제습부재의 히팅(재생)과, 세척 공간과 건조 어셈블리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의 히팅이 각각 별개로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건조모드만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식기의 건조과정에 있어서, 건조 어셈블리로부터 세척 공간으로 토출되는 지나친 고온의 공기에 의해 세척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식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습부재가 마련되는 건조 어셈블리,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제 1유로 및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우회하도록 마련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세척조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는 상기 제 1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흡착열이 부족한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열은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공기로부터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조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를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제습부재의 제습 및/또는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는 각각 폐(closed)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 변경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변경 댐퍼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상기 세척조 내부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토출구를 가지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덕트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히터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습부재가 수용되는 건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히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덕트 및 상기 건조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 및 상기 건조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덕트 및 상기 건조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재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를 거쳐 상기 제습부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공은 상기 제 1유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재는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제습부재,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히터, 상기 건조행정 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 1유로로써, 상기 제 1유로 상에는 상기 제습부재 및 상기 히터가 배치되는 제 1유로 및 상기 건조행정과정에서 추가적인 건조행정이 더 필요한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추가적인 건조행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 2유로로써, 상기 제 2유로 상에는 상기 히터가 배치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습부재를 우회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콜드 린스(cold rinse) 및 핫 린스(hot rinse)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재의 재생은 상기 핫 린스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히터 및 상기 제습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토출된 공기가 순환하여 상기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세척조 내부공기의 순환방향으로 상기 제습부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댐퍼 및 상기 제습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 변경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변경 댐퍼는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열 구동기(thermal actuator) 및 동기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로 변경 댐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행정만 단독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습부재가 마련되는 건조 어셈블리,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제 1유로 및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습부재에서 상기 제 1유로와 분기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제습부재의 제습 및 재생과 관계없이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흡입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세척조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케이스 및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가지는 제 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가이드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 1케이스의 일 부분 및 상기 가이드와 인접한 상기 제 2케이스의 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모세관현상(capillary phenomenon)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척조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흡입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부분 및 상기 제 1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제 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부분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할수록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제습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건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채널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유닛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1채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채널로서, 상기 제 2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제 2채널 및 상기 제 1채널 및 상기 제 2채널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1채널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 1채널에 연결되고, 내부에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하우징 및 상기 제 2채널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팬이 수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히터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습부재가 수용되는 제습부재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재는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습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제 1공간 및 제 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공간은 상기 히터 하우징에 인접하고, 상기 히터 하우징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 1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제 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 변경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덕트 및 상기 제 1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를 가열하여 세척조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를 건조시키는 대신, 세척조 및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식기를 건조시킴으로써 식기세척기의 건조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습부재의 제습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제 1유로와, 세척조와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유로를 분리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건조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 1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제습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을 이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고, 식기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흡착열이 부족한 경우에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공기로부터 부족한 열을 보충하는 건조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건조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습부재의 재생을 핫 린스(hot rinse)단계에서 수행함으로써 제습부재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재생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및 건조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가 덕트 및 건조유닛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의 덕트가 흡입덕트 및 연결덕트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흡입덕트, 댐퍼 및 연결덕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댐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건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행정과정에 따른 세척수 히터, 히터, 팬, 댐퍼 및 유로 변경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습부재의 배치 가능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및 건조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가 덕트 및 건조유닛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의 덕트가 흡입덕트 및 연결덕트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흡입덕트, 댐퍼 및 연결덕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댐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건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행정과정에 따른 세척수 히터, 히터, 팬, 댐퍼 및 유로 변경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습부재의 배치 가능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습부재(631)에 의해 세척조(30) 내부의 습기(수분)가 제거되는 것을 "제습부재(631)의 흡습 또는 제습"이라 칭하고, 제습부재(631)를 재생시키는 것을 "제습부재(631)의 재생"이라고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들(311,313,330,34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노즐들(311,313,330,34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장치(5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내측 상면(31)과, 내측 후면(32)과, 내측 좌면(33)과, 내측 우면(34)과, 바닥면(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들(311,313,330,34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노즐들(311,313,330,34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 노즐들(330,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회전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된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대략 세척조(30)의 내측 후면(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의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내측 좌면(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내측 우면(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노즐들(330,340)과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고정노즐(330)과,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고정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노즐들(311,313)과, 고정 노즐들(330,340)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고정노즐(330)과, 우측 고정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고정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식기 및 세척조(30)의 내부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과정이 진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및 건조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가 덕트 및 건조유닛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식기 및 세척조(30)의 내부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어셈블리(500)는 세척조(30)와 인접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어셈블리(500)는 세척조(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건조 어셈블리(500)의 위치는 본체(10)의 내부에 한정하지 않고, 세척조(30)와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기세척기(1)는 복수의 건조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건조 어셈블리(500)는 세척조(3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 1건조 어셈블리 및 제 2건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건조 어셈블리는 세척조(30)의 좌측면(38)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건조 어셈블리는 세척조(30)의 우측면(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건조 어셈블리 및 제 2건조 어셈블리는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척조(30)의 좌측면(38)에 위치하는 제 1건조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제 2건조 어셈블리가 생략된 도면이다.
건조 어셈블리(500)는 건조유닛(600), 덕트 및 댐퍼(540)(도6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어셈블리(500)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건조유닛(600)은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건조유닛(600)은 세척조(30)의 하면(37)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건조 어셈블리(500)의 내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부재(631)(도9참고)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부재(631)는 건조유닛(6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습기를 포함하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는 건조유닛(600)으로 흡입되어 건조유닛(600)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부재(631)에 의해 수증기가 제거된 후 다시 세척조(30) 내부로 배출된다. 세척조(30) 내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다시 세척조(30) 내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건조 어셈블리(500)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조(3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 및 세척조(30) 내부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세척조(3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가질 수 있다.
덕트는 흡입덕트(510) 및 연결덕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덕트(510)는 세척조(30)의 상면(36)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덕트(5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도6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는 세척조(30)의 상면(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0a)와 마주하도록 흡입덕트(510)에 형성될 수 있다.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흡입덕트(5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는 세척조(30)의 좌측면(38)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는 흡입덕트(510) 및 건조유닛(600)을 연결하도록 흡입덕트(510) 및 건조유닛(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의 일 단부는 흡입덕트(510)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덕트(520)의 다른 단부는 건조유닛(6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세척조(3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세척조(3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는 세척조(30)의 좌측면(38)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30b)과 마주하도록 연결덕트(520)에 마련될 수 있다. 세척조(30) 내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한 후,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건조유닛(600), 덕트 및 댐퍼(540)(도6참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의 덕트가 흡입덕트 및 연결덕트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흡입덕트, 댐퍼 및 연결덕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510) 및 연결덕트(5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흡입덕트(510) 및 연결덕트(5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흡입덕트(510) 및 연결덕트(52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덕트(510)는 제 1케이스(512) 및 제 2케이스(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스(512)는 세척조(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케이스(512)는 세척조(30)의 상면(36)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케이스(5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는 세척조(30)의 상면(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0a)와 마주하도록 제 1케이스(5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케이스(512)는 제 1부분(512a) 및 제 2부분(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512a)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부분(512b)은 제 1부분(512a)에서 연장되어 연결덕트(5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부분(512b)은 절곡되도록 제 1부분(512a)에서 연장되어 연결덕트(5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부분(512a)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부분(512a)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제 1부분(512a)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세척조(30)로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에 인접할수록 중력방향(G)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부분(512a)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에 인접할수록 중력방향(G)으로 2ㅀ이상 15ㅀ이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 2케이스(513)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1케이스(512)와 결합할 수 있다. 제 1케이스(512) 및 제 2케이스(513)는 서로 결합하여 흡입덕트(5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케이스(513)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514)는 제 1케이스(51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향하여 제 2케이스(51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14)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가이드(514)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세척조(30)로 배수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514a)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써, 가이드(514)는 제 2케이스(513)에 마련되는 밑면을 가지는 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514)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는 첨단(514a)(원뿔형상의 경우, 꼭지점)을 향하도록 모선을 따라 흘러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세척조(30)로 배수될 수 있다. 가이드(514)의 형상은 원뿔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흡입덕트(510)는 제 1케이스(512) 및 제 2케이스(513)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복수의 슬릿(slit)(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슬릿(515)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와 인접한 제 1케이스(512)의 일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514)와 인접한 제 2케이스(513)의 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515)이 제 1케이스(512) 및 제 2케이스(513)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 제 1케이스(512)에 마련되는 복수의 슬릿(515) 및 제 2케이스(513)에 마련되는 복수의 슬릿(515)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복수의 슬릿(515)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는 모세관현상(capillary phenomenon)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세척조(30)로 배수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는 서로 결합하여 연결덕트(5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522) 및 커버(5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23)는 흡입덕트(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커버(523)는 흡입덕트(5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는 베이스(522)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는 제 1채널(524) 및 제 2채널(5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채널(524)은 연결덕트(5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건조유닛(600)을 향하여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2채널(525)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와 연통되도록 연결덕트(5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건조유닛(600)을 통과한 공기는 제 2채널(525)을 따라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채널(525)에는 제 2채널(525)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유로(52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유로(527)는 베이스(522)와 함께 제 2채널(525)을 형성하는 커버(523)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유로(527)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가이드유로(527)가 베이스(52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덕트(520)는 제 1채널(524) 및 제 2채널(525)을 구획하는 격벽(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526)은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제 2채널(525)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523)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격벽(526)이 베이스(52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채널(524)에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52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528)는 제 1채널(524)의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528)는 제 1채널(524)의 너비방향으로 격벽(526)을 향할수록 중력방향(G)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520)로 유입된 응축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528)를 따라 흘러 격벽(526)으로 전달되고, 격벽(526)으로 전달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격벽(526)을 따라 중력방향(G)으로 흐른다. 격벽(526)을 따라 중력방향(G)으로 흐르는 응축수는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로 배수될 수 있다.
격벽(526)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제 1채널(524)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격벽(526)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1mm이상 10mm이하 높이를 가지도록 격벽(526)에서 제 1채널(52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의 높이 범위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와 인접하도록 격벽(526)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중력방향(G)으로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격벽(526)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는 서로 이격되도록 격벽(526)에 마련될 수 있다.
격벽(526) 및 복수의 가이드유로(527)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1채널(524)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해 세척조(30)로 배수될 수 있도록 응축수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채널(524)로 유입되거나, 제 1채널(524)에 맺힌 응축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528)를 따라 흘러 격벽(526)에 전달되고, 격벽(526)에 전달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격벽(526)을 따라 흐른다. 격벽(526)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529)에 의해 가이드되어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로 유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530)로 유입된 응축수는 최종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과하여 세척조(30) 내부로 배수된다.
건조 어셈블리(500)는 댐퍼(damper)(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540)는 덕트 및 건조유닛(6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댐퍼(540)는 히터(611)(도9참고) 및 제습부재(631)(도9참고) 중 적어도 하나에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540)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 및 히터(611)(도9참고) 사이에 위치하도록 덕트 및 건조유닛(6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어, 덕트 및 건조유닛(6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댐퍼(540)는 흡입덕트(5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540)는 흡입덕트(510)에 마련되는 댐퍼 홀더(541)에 장착될 수 있다. 댐퍼(540)는 흡입덕트(510)의 너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댐퍼 홀더(5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댐퍼(540)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와 인접하도록 흡입덕트(5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흡입덕트(510) 내부로 유입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는 댐퍼(540)에 의해 연결덕트(520) 내지 건조유닛(600)으로의 공급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댐퍼(540)는 세척조(30) 내부에서 토출된 공기가 순환하여 세척조(3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조(30) 내부공기의 순환방향으로 제습부재(631)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히터(611)는 댐퍼(540) 및 제습부재(6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54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댐퍼(540)는 회전 가능하도록 댐퍼 홀더(5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댐퍼(540)는 구동장치(5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댐퍼(540)의 구동장치(550)는 열 구동기(thermal 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550)는 흡입덕트(5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장치 안착공간(542)에 안착될 수 있다. 구동장치(550) 및 댐퍼(540)는 연결부재(5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댐퍼(540)의 작동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댐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540)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덕트로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540)는 제습부재(631)의 제습 내지 재생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댐퍼(540)는 제습부재(631)의 재생과정 내지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는, 제습부재(631)의 재생과정 내지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이외의 시기에,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통과하여 제습부재(631)에 전달될 경우, 제습부재(631)의 재생효율 내지 식기세척기(1)의 건조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a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거쳐 제습부재(63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댐퍼(540)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댐퍼(540)의 블레이드(543)는 흡입덕트(51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도 8b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거쳐 제습부재(631)로 전달될 수 있도록 댐퍼(540)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개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댐퍼(540)는 구동장치(55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댐퍼(540)의 블레이드(543)가 흡입덕트(5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는 댐퍼(540)의 블레이드(543)와 흡입덕트(5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틈(gap)을 통해 덕트를 거쳐 제습부재(631)에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건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어셈블리(500)는 내부에 제습부재(631)가 마련되고, 연결덕트(520)에 결합되는 건조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건조 어셈블리(500)는 덕트와 연통되도록 덕트에 결합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히터(611) 및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습부재(631)가 수용되는 건조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유닛(600)은 히터 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하우징(610)은 제 1채널(524)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 하우징(610)의 내부에는 히터(611)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히터(611)는 제습부재(631)와 마주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611)는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PTC히터는 풍량에 따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즉, PTC히터는 등온특성이 있으므로 안전하다. 바람직하게는, 히터(611)는 1000W 이하의 PTC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611)를 이용하여 제습부재(631)를 재생시키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재생열은 200Wh이하일 수 있다.
히터 하우징(610)의 재질은 내열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히터(611)와 인접한 히터 하우징(61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하우징(610)에는 응축수가 히터(61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응축수 유입방지구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유닛(600)은 팬 하우징(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620)은 제 2채널(525)에 연결될 수 있다. 팬 하우징(6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 1유로(700)(도10참고) 및 제 2유로(800)(도10참고)를 따라 순환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팬(621)이 수용될 수 있다. 팬(621)은 유로 변경 댐퍼(640)를 사이에 두고 제습부재(631)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621)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621)은 저항측면에서 유리한 고정압 시로코 팬(sirocco fan)을 포함할 수 있으나, 팬(621)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팬(621)은 팬 구동모터(622)로부터 구동원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팬 구동모터(622)는 팬 하우징(620)에 결합되는 모터 하우징(68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680)은 팬 하우징(62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팬 구동모터(622)는 팬 구동모터(622)와 마주하는 팬 하우징(620)의 일부를 관통하여 팬(621)과 연결되는 구동축(623)을 포함할 수 있다. 팬(621)은 구동축(6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 구동모터(622)는 BLDC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BLDC모터는 팬(621)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작동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팬(621)의 작동 RPM을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BLDC모터를 사용할 경우, 제습부재(631)의 제습 및 재생 시 필요한 풍량과,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때 필요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식기세척기(1)의 건조기능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건조에너지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팬(621)의 종류는 BLDC모터에 한정하지 않는다.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요구되는 팬(621)의 RPM은 제습부재(631)의 흡습 및 재생 시 요구되는 팬(621)의 RPM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습부재(631)의 면적을 작게 하여 흡습 및 재생 유량을 작게 만들 수 있다. 또는,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요구되는 팬(621)의 RPM은 제습부재(631)의 흡습 및 재생 시 요구되는 팬(621)의 RPM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요구되는 팬(621)의 RPM은 제습부재(631)의 흡습 및 재생 시 요구되는 팬(621)의 RPM보다 200rpm이상 700rpm이하로 더 높을 수 있다.
건조유닛(600)은 제습부재 하우징(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재 하우징(630)은 히터 하우징(610) 및 팬 하우징(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내부에는 제습부재(631)가 수용될 수 있다.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일 단부는 히터 하우징(610)에 연결되고,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다른 단부는 후술할 연결 하우징(6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일 단부는 히터 하우징(610)에 연결되고,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다른 단부는 팬 하우징(6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내부공간은 제습부재(631)에 의해 구획되는 제 1공간(633) 및 제 2공간(6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공간(634)은 히터 하우징(610)에 인접하고, 히터 하우징(610)과 연통될 수 있다. 제 1공간(633)은 제 1유로(700)(도10참고) 상에 마련되고, 제 2공간(634)은 제 2유로(800)(도10참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유로(700)는 제 1공간(633)을 통과하고, 제 2유로(800)는 제 2공간(634)을 통과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부재(631)는 넓은 제습영역을 확보하여 식기세척기(1)의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재질은 지올라이트(zeolite), 실리카(silica) 및 세라믹(ceram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형상은 실린더형(cylinder) 및 직사각형(rectangul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형상이 실린더형인 경우, 제습부재(631)의 밑면의 지름은 50mm이상 200mm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습부재(631)의 형상이 실린더형인 경우, 제습부재(631)의 높이는 20mm이상 200mm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제습부재(631)의 높이 및 제습부재(631)의 밑면의 지름의 범위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습부재(631)의 형상은 실린더형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형의 제습부재의 경우, 제습부재(631)의 형상이 팬(621)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팬(621)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사각지대, 즉, 팬(621)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는 부위가 작아 제습부재(631)의 높은 제습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는 프레임(636) 및 복수의 중공(63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636)은 제습부재(63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공(637)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히터(611)를 거쳐 제습부재(631)를 관통할 수 있도록 프레임(63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중공(637)은 제 1유로(7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프레임(636)은 공기가 복수의 중공(637)을 통해 제습부재(631)의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면(636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습부재(631)가 실린더형인 경우, 프레임(636)은 제습부재(631)의 옆면을 형성할 수 있고, 개방된 복수의 면(636a)은 제습부재(631)의 복수의 밑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복수의 중공(637)을 통해 제습부재(631)를 관통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공기가 프레임(636)을 통해 제습부재(631)를 관통하도록 이동하는 것은 어렵다.
건조유닛(600)은 유로 변경 댐퍼(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팬 하우징(62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유로 변경 댐퍼(640)는 연결 하우징(65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제습부재(63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 1유로(700)(도10참고) 및 제 2유로(800)(도10참고)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제 1유로(700) 및 제 2유로(8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원(641)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원(641)은 열 구동기(thermal actuator) 및 동기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9는 동기모터를 구동원(641)으로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동기모터를 구동원(641)으로 사용할 경우, 유로 변경 댐퍼(640)는 동기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기어(64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건조유닛(600)은 연결 하우징(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하우징(650)은 팬 하우징(62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하우징(650)의 일 단부는 팬 하우징(620)에 결합될 수 있고, 연결 하우징(650)의 다른 단부는 제습부재 하우징(63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하우징(65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사이에는 유로 변경 댐퍼(6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 변경 댐퍼(640)는 연결 하우징(65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결 하우징(650) 및 제습부재 하우징(6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하우징(650)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651)이 형성될 수 있다. 팬(621)과 제습부재(631)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제습부재(631)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부재(631)를 균일하게 통과하기 어렵다. 제습부재(631)로 유입된 공기가 제습부재(631)를 균일하게 통과하지 않고, 제습부재(631)의 일부만을 통과할 경우, 제습성능이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팬(621)과 제습부재(631) 사이의 충분한 거리 확보가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팬(621)과 제습부재(631) 사이의 거리는 30mm이상 200mm이하일 수 있다. 팬(621)과 제습부재(631) 사이의 충분한 거리는 연결 하우징(650)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제 1유로(700) 및 제 2유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로(70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제습부재(631)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유로(70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제습부재(631)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제습 및/또는 재생은 제 1유로(7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유로(80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제습부재(631)를 우회(bypass)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제습부재(631)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제습부재(631)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는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과정에서 세척조(30)의 내부 또는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데 독립적 또는 보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2유로(80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제습부재(631)를 관통하지 않도록 제습부재(631)에서 제 1유로(700)와 분기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과정에 있어서, 세척조(3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세척조(30)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유로(7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제습부재(6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착열에 의해 제거(건조)될 수 있다.
세척조(3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세척조(30)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흡착열이 부족한 경우, 세척조(3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세척조(30)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열은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공기로부터 보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는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조(3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세척조(30)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건조)시키고자 할 경우, 식기세척기(1)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를 제 2유로(800)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순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습부재(631)의 제습 및 재생과 관계없이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를 제 2유로(800)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순환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1유로(700)는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로써, 제 1유로(700) 상에는 제습부재(631) 및 히터(6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유로(800)는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과정에서 추가적인 건조행정이 더 필요한 경우,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추가적인 건조행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로써, 제 2유로(800) 상에는 히터(6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로(700) 및 제 2유로(800)는 각각 폐(closed)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유로(700) 및 제 2유로(800)를 각각 폐유로로 형성함으로써, 가열된 공기 내지 습기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 내지 습기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열에너지의 손실 및 온도에 민감한 주변 부품들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 1유로(7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순환과정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로(70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이하, 공기순환방향)으로 히터(611), 제습부재(631) 및 팬(621)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즉, 히터(611)는 공기순환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고, 팬(621)은 공기순환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는 히터(611) 및 팬(6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540)에 의해 제 1유로(700)가 개방되면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과하여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한다.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히터(611)에 전달되고, 히터(611)에 의해 가열된다. 히터(61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재(631)의 복수의 중공(637)을 따라 이동하여 제습부재(631)를 관통한 후,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1공간(633)으로 이동한다. 이 때, 유로 변경 댐퍼(640)는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1공간(633)을 열린(open) 상태로,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2공간(634)을 닫힌(closed) 상태로 유지한다. 제습부재(631)를 관통한 후 제 1공간(633)으로 이동한 공기는 연결 하우징(650)을 거쳐 팬(621)에 전달된다. 팬(621)에 전달된 공기는 제 2채널(525)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로(527)를 따라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배출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2유로(80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순환과정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유로(800) 상에는 공기순환방향으로 히터(611) 및 팬(621)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즉, 히터(611)는 공기순환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고, 팬(621)은 공기순환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댐퍼(540)에 의해 제 2유로(800)가 개방되면 세척조(30) 내부의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화하여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한다. 제 1채널(524)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히터(611)에 전달되고, 히터(611)에 의해 가열된다. 히터(61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재(631)를 관통하지 않고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2공간(634)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히터(61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재(631)를 우회하여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2공간(634)으로 이동한다. 이 때, 유로 변경 댐퍼(640)는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1공간(633)을 닫힌(closed) 상태로, 제습부재 하우징(630)의 제 2공간(634)을 열린(open) 상태로 유지한다. 제습부재(631)를 우회한 후 제 2공간(634)으로 이동한 공기는 연결 하우징(650)을 거쳐 팬(621)에 전달된다. 팬(621)에 전달된 공기는 제 2채널(525)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로(527)를 따라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521)를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제습부재(631)의 제습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제 1유로(700)와,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는 제 2유로(800)를 식기세척기(1)의 건조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제습부재(631)의 제습 시 발생하는 흡착열을 이용하여 세척조(30) 내부 및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건조)하고,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이차적으로 제 2유로(8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조(30) 내부 및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건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건조행정이 필요한 경우, 제습부재(631)의 제습 및 재생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이,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만을 가열하여 세척조(30) 내부 및 식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의 건조행정 시 요구되는 건조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행정과정에 따른 세척수 히터, 히터, 팬, 댐퍼 및 유로 변경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는 세척행정의 전(前)단계로서, 예비세척행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헹굼행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콜드 린스(cold rinse) 및 핫 린스(hot rinse)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재생은 핫 린스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습부재(631)는 히터(611)에 의해 공급되는 재생열(재생에너지)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재생을 핫 린스단계에서 수행할 경우, 세척조(30)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제습부재(631)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제습부재(631)를 재생시키는데 필요한 재생열(재생에너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제습과,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은 건조행정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습부재(631)의 일차적 제습과,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과, 제습부재(631)의 이차적 제습은 건조행정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을 수행할 경우, 제습부재(631)를 우회하는 제 2유로(800)에서도 열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제습부재(631)의 일부가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을 수행한 후, 제 2유로(800) 대신 제 1유로(700)를 개방하여 제습부재(631)의 이차적 제습을 수행하면 식기세척기(1)의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행정과정에 따른 세척수 히터(미도시), 히터(611), 팬(621), 댐퍼(540) 및 유로 변경 댐퍼(64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비세척행정단계에서는, 세척수 히터, 히터(611), 팬(621), 댐퍼(540) 및 유로 변경 댐퍼(640)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댐퍼(540)의 경우, 덕트 내부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한다.
세척행정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세척을 위해 세척수 히터가 작동할 수 있다. 세척수 히터의 작동에 의해 세척수는 가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척조(30) 내부에 존재하는 식기 세척에 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세척행정단계에서는, 히터(611), 팬(621), 댐퍼(540) 및 유로 변경 댐퍼(640)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댐퍼(540)의 경우, 예비세척행정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덕트 내부로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한다.
콜드 린스단계에서는, 예비세척행정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세척수 히터, 히터(611), 팬(621), 댐퍼(540) 및 유로 변경 댐퍼(640)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핫 린스단계, 구체적으로, 제습부재(631)의 재생단계에서는, 세척수 히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히터(611)는 제습부재(631)에 재생열(재생에너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팬(621)은 RPM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댐퍼(5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개방한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제 1유로(700)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제 1유로(700)를 개방하고, 제 2유로(800)를 차단한다.
건조행정단계, 구체적으로, 제습부재(631)의 일차적 제습단계에서는, 세척수 히터 및 히터(611)는 작동하지 않는다. 팬(621)은 RPM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댐퍼(5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개방한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제 1유로(700)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제 1유로(700)를 개방하고, 제 2유로(800)를 차단한다.
건조행정단계, 구체적으로, 세척조(30) 및 건조 어셈블리(500)를 순환하는 공기의 가열단계에서는, 세척수 히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히터(611)는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팬(621)은 RPM2로 회전할 수 있따. RPM1 및 RPM2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PM2가 RPM1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댐퍼(5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개방한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제 2유로(800)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제 2유로(800)를 개방하고, 제 1유로(700)를 차단한다.
건조행정단계, 구체적으로, 이차적 제습단계에서는, 세척수 히터 및 히터(611)는 작동하지 않는다. 팬(621)은 RPM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댐퍼(5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덕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덕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유로를 개방한다. 유로 변경 댐퍼(640)는 세척조(30) 내부의 공기가 제 1유로(700)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제 1유로(700)를 개방하고, 제 2유로(800)를 차단한다.
식기세척기(1)는 단독 건조모드를 가질 수 있다. 즉, 식기세척기(1)는 예비세척행정단계, 세척행정단계 및 헹굼단계를 생략하고, 건조행정단계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식기세척기(1)는 예비세척행정단계, 세척행정단계 및 헹굼단계를 생략하고, 제습, 재생 및 공기의 가열만을 단독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의 건조시간 및 건조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제습부재의 배치 가능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재(631)는 다양한 배치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재(631)는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하나는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고,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다른 하나는 세척조(3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재(631)는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하나는 세척조(30)의 좌측방향을 향하고,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다른 하나는 세척조(30)의 우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재(631)는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이 세척조(30)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습부재(631)는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하나는 세척조(30)의 상방을 향하고, 프레임(636)의 개방된 복수의 면(636a) 중 다른 하나는 세척조(30)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습부재(631)의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1: 도어 12a,12b: 바스켓
30: 세척조 31: 내측 상면
32: 내측 후면 33: 내측 좌면
34: 내측 우면 35: 바닥면
36: 상면 37: 하면
38: 좌측면 51: 순환 펌프
52: 배수 펌프 100: 섬프
311,313,330,340: 분사노즐 312,314,331,341: 분사홀들
400: 베인 500: 건조 어셈블리
510: 흡입덕트 511: 유입구
512: 제 1케이스 512a: 제 1부분
512b: 제 2부분 513: 제 2케이스
514: 가이드 514a: 첨단
515: 슬릿 520: 연결덕트
521: 토출구 522: 베이스
523: 커버 524: 제 1채널
525: 제 2채널 526: 격벽
527: 가이드유로 528: 가이드 리브
529: 리브 530: 개구
540: 댐퍼 541: 댐퍼 홀더
542: 구동장치 안착공간 543: 블레이드
550: 구동장치 560: 연결부재
600: 건조유닛 610: 히터 하우징
611: 히터 620: 팬 하우징
621: 팬 622: 구동모터
623: 구동축 630: 제습부재 하우징
631: 제습부재 633: 제 1공간
634: 제 2공간 636: 프레임
636a: 면 637: 중공
640: 유로 변경 댐퍼 641: 구동원
642: 기어 650: 연결 하우징
651: 중공 700: 제 1유로
800: 제 2유로 680: 모터 하우징
30a: 개구부 30b: 개구홀
11: 도어 12a,12b: 바스켓
30: 세척조 31: 내측 상면
32: 내측 후면 33: 내측 좌면
34: 내측 우면 35: 바닥면
36: 상면 37: 하면
38: 좌측면 51: 순환 펌프
52: 배수 펌프 100: 섬프
311,313,330,340: 분사노즐 312,314,331,341: 분사홀들
400: 베인 500: 건조 어셈블리
510: 흡입덕트 511: 유입구
512: 제 1케이스 512a: 제 1부분
512b: 제 2부분 513: 제 2케이스
514: 가이드 514a: 첨단
515: 슬릿 520: 연결덕트
521: 토출구 522: 베이스
523: 커버 524: 제 1채널
525: 제 2채널 526: 격벽
527: 가이드유로 528: 가이드 리브
529: 리브 530: 개구
540: 댐퍼 541: 댐퍼 홀더
542: 구동장치 안착공간 543: 블레이드
550: 구동장치 560: 연결부재
600: 건조유닛 610: 히터 하우징
611: 히터 620: 팬 하우징
621: 팬 622: 구동모터
623: 구동축 630: 제습부재 하우징
631: 제습부재 633: 제 1공간
634: 제 2공간 636: 프레임
636a: 면 637: 중공
640: 유로 변경 댐퍼 641: 구동원
642: 기어 650: 연결 하우징
651: 중공 700: 제 1유로
800: 제 2유로 680: 모터 하우징
30a: 개구부 30b: 개구홀
Claims (4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제습부재;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히터;
상기 제습부재가 수용되고, 그 내부 공간이 상기 제습부재에 의해 제 1공간 및 제 2공간으로 구획되는 제습부재 하우징;
상기 건조행정 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 1유로로써, 상기 제 1유로 상에는 상기 제습부재 및 상기 히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공간을 통과하는 제 1유로;
상기 건조행정과정에서 추가적인 건조행정이 더 필요한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추가적인 건조행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제 2유로로써, 상기 제 2유로 상에는 상기 히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공간을 통과하는 제 2유로; 및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유로 변경 댐퍼;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습부재를 우회하는 식기세척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콜드 린스(cold rinse) 및 핫 린스(hot rinse)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재의 재생은 상기 핫 린스단계에서 수행되는 식기세척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상기 제습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토출된 공기가 순환하여 상기 세척조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세척조 내부공기의 순환방향으로 상기 제습부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댐퍼 및 상기 제습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삭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댐퍼는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열 구동기(thermal actuator) 및 동기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로 변경 댐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행정만 단독적으로 실행 가능한 식기세척기. -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제습부재가 마련되는 건조 어셈블리;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제 1유로; 및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습부재를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습부재에서 상기 제 1유로와 분기되는 제 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제습부재를 수용하는 제습부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습부재에 의해 제 1공간 및 제 2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유로는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의 제 1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제 2유로는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의 제 2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제습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 변경 댐퍼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재의 제습 및 재생과 관계없이 상기 세척조 및 상기 건조 어셈블리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적어도 한 번 순환시키는 식기세척기.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유입구를 가지는 흡입덕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세척조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케이스; 및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가지는 제 2케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가이드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제 1케이스의 일 부분 및 상기 가이드와 인접한 상기 제 2케이스의 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모세관현상(capillary phenomenon)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슬릿(slit)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척조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는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흡입덕트에 연결되는 연결덕트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부분; 및
상기 제 1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제 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부분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할수록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식기세척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제습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건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채널로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건조유닛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1채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채널로서, 상기 제 2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제 2채널; 및
상기 제 1채널 및 상기 제 2채널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1채널에 맺힐 수 있는 응축수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세척조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 1채널에 연결되고, 내부에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 하우징; 및
상기 제 2채널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유로 및 상기 제 2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팬이 수용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은 상기 히터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부재는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간은 상기 히터 하우징에 인접하고, 상기 히터 하우징과 연통되는 식기세척기.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댐퍼는 상기 제습부재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덕트 내부로 상기 세척조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덕트 및 상기 제 1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165A KR102367064B1 (ko) | 2015-05-14 | 2015-05-14 | 식기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165A KR102367064B1 (ko) | 2015-05-14 | 2015-05-14 |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935A KR20160133935A (ko) | 2016-11-23 |
KR102367064B1 true KR102367064B1 (ko) | 2022-02-24 |
Family
ID=5754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7165A KR102367064B1 (ko) | 2015-05-14 | 2015-05-14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70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3181B1 (ko) * | 2017-05-26 | 2022-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KR102317049B1 (ko) * | 2020-02-21 | 2021-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용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건조 방법 |
KR102477666B1 (ko) * | 2021-07-13 | 2022-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016B1 (ko) * | 2013-05-29 | 2014-11-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제습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58304B2 (ja) * | 1995-02-22 | 2004-08-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食器洗浄機 |
KR101736435B1 (ko) * | 2010-06-23 | 2017-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
-
2015
- 2015-05-14 KR KR1020150067165A patent/KR1023670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016B1 (ko) * | 2013-05-29 | 2014-11-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제습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3935A (ko) | 2016-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8109B1 (ko) | 식기세척기 | |
KR101736435B1 (ko) |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 |
KR102094340B1 (ko) |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 |
JP6145637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101792513B1 (ko) |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 |
JP4778522B2 (ja) | 食器洗浄機 | |
JP2008522689A (ja) | 食器洗浄機 | |
KR20060031164A (ko) | 건조 세탁기 | |
KR102191960B1 (ko) | 식기 세척기 | |
KR102124926B1 (ko) |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 |
KR102367064B1 (ko) | 식기세척기 | |
EP2842475B1 (en) | Dish washer | |
KR20130087847A (ko) | 제습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
KR102639692B1 (ko) | 식기세척기용 터브,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US9914155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 |
JP5151894B2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130087849A (ko) | 제습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 |
JP2011200391A (ja) | 食器乾燥機 | |
KR20240153919A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40153908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896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739A (ko) | 식기세척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