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22B1 -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22B1
KR102317022B1 KR1020200117985A KR20200117985A KR102317022B1 KR 102317022 B1 KR102317022 B1 KR 102317022B1 KR 1020200117985 A KR1020200117985 A KR 1020200117985A KR 20200117985 A KR20200117985 A KR 20200117985A KR 102317022 B1 KR102317022 B1 KR 10231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esign
raw material
dimensional desig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022B9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20011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22B1/ko
Publication of KR1023170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은, 원자재 패널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여 평면 디자인을 형성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 평면 디자인이 형성된 원자재 패널을 건조기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및 강화 단계; 상기 건조 및 강화 단계 후, 원자재 패널을 소정 크기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패널 절단 단계; 상기 평면 디자인과 대응되고, 양면에 컬러 인쇄층이 형성된 입체 디자인편을 준비하는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 및 상기 입체 디자인편을 절단된 패널의 상부에 거치한 후, 가열로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는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디자인편을 원자재 패널의 상부면에 열융착시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무늬가 표면상에 구현된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Decorative Glass Panel And Decorative Tile Panel Having Three Dimensional Pattern On The Surface}
본 발명은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기법을 이용한 장식재는 주로 유리 재질의 피인쇄체에 특정한 색채 및 패턴을 표현하였다.
종래 장식재에 이용한 인쇄 기법에는 유리에 적용되는 특수 잉크를 사용하여 실크 스크린인쇄(줄여서 스크린인쇄라고도 한다)와 오프셋 인쇄방식이 있다.
상기 실크 스크린인쇄는 일반적으로 비단이나 화학섬유의 천을 팽팽하게 하여 스크린으로 하고, 비화선부(非畵線部)가 되는 부분을 형지(型紙) 또는 아교재(材)로 덮어씌운 다음, 그 위에서 잉크를 부여하면 화선부(畵線部)에만 잉크가 스크린을 통하여 인쇄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인쇄용 잉크로는 건조가 빠르고 고착성(固着性)이 좋은 것을 사용하는데, 인쇄가 끝나면 소성로(燒成爐)에 옮겨 가열 냉각시키며, 그러면 잉크 속의 기름성분이 제거되면서 유리질 안료가 유리 표면에 융착된다.
인쇄는 스퀴지(squeegee)라는 밀대로 잉크를 밀어내는 손인쇄가 많으나, 실크 스크린인쇄 전용의 인쇄기도 사용되고 있다. 이 인쇄의 특색으로는 잉크층이 매우 두꺼워 형광잉크 등에 적합하며, 색수(色數)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점이다. 포스터나 천 또는 대형 입간판(立看板) 따위의 적은 부수의 인쇄에 이용된다. 또한 유리 도자기 금속 등 어떤 피인쇄물에도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작업시 칼라도수의 표현이 한정이 되어 있으며, 내쇄력(耐刷力)이 작고, 패턴개발의 한계성과, 대량생산위주, 사용되는 잉크계열의 약한 견뢰성 때문에 건축내, 외장재로서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그리고 2-3도 내,외의 제한적 패턴으로 이미지나 디자인을 구현하는 장식유리보다는 예술적 가치구현이 제한적이다, 또한 섬세한 화선이나 망점(網點)의 표현의 한계로, 많은 부수나 정밀인쇄물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오프셋인쇄의 경우 판에서 직접 피인쇄물(被印刷物)에 인쇄를 하지 않고, 중개 구실을 하는 고무 블랭킷에 일단 전사인쇄(轉寫印刷)한 다음, 용지에 인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오프셋인쇄는 전사인쇄 단계를 더 거치므로, 작업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둘째, 직접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는 경우 마찰계수가 작은 유리 등의 재질의 피인물에는 인쇄물이 완벽히 접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피인쇄물과 인쇄 부위가 박리되거나 물리적 충격을 가할 경우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셋째, 프린트 부위에 용제(신나 성분)를 가할 경우 인쇄 부위가 녹거나 쪼그라들어 인쇄 형체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즉, 인쇄 후 피인쇄물의 마감 작업을 위하여 신나 성분(용제)이 포함된 도료를 가할 경우 용제의 성분 때문에 프린트 부위가 변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물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후 피인쇄물층에 강한 부착력이 유지되도록 처리된 프리이머의 상단표면에 U.V 경화 인쇄된 이미지 및 디자인이 프라이머 상단표면에도 강한 점착성을 유지시켜 프라이머를 통한 피인쇄물과 인쇄부분의 표면을 강한 점착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인쇄부분은 단순히 평면 구조로서, 입체구조를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유리 제품에 적용되는 인쇄 가공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그라비아 필름 인쇄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라비아 필름 인쇄 기술의 경우, 햇볕 노출 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변색될 수 있고, 화재에 취액하며, 컬러는 2도 이상 상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94825호 (등록일자: 2010년11월10일)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디자인편을 원자재 패널의 상부면에 열융착시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무늬가 표면상에 구현된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은, 원자재 패널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여 평면 디자인을 형성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 평면 디자인이 형성된 원자재 패널을 건조기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및 강화 단계; 상기 건조 및 강화 단계 후, 원자재 패널을 소정 크기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패널 절단 단계; 상기 평면 디자인과 대응되고, 양면에 컬러 인쇄층이 형성된 입체 디자인편을 준비하는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 및 상기 입체 디자인편을 절단된 패널의 상부에 거치한 후, 가열로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는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는, 세라믹 무기원료를 이용하여 원자재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직접 스크린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는,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를 함유한 컬러 인쇄조성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컬러 인쇄조성물은, 각각의 색을 발현하는 착색 안료와, 세라믹 분말과, 원적외선 방출 광물분말의 혼합물을 페이스트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오일; 및 스크린인쇄시에 기판상에 인쇄된 패턴을 유지시키기 위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인쇄조성물에 포함되는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는, 견운모, 불석, 맥반석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광물을 600도 내지 700도로 소성한 다음 22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강화 단계는, 섭씨 930 내지 950 도 범위 내의 온도 환경으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절단 단계는, 기 설정된 소정 크기의 형상을 따라 레이저 절단기 또는 워터제트 절단기로 원자재 패널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는, 원자재 패널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투명한 재질의 장식 패널의 표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세라믹 무기원료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하여 장식 패널의 양면에 인쇄층을 형성한 후,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장식 패널로부터 입체 디자인편을 잘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는, 상기 절단된 패널의 상부에 인쇄된 평면 디자인이 입체 디자인편의 표면과 접촉하여 보호되도록, 입체 디자인편을 평면 디자인과 합치시켜 절단된 패널 상부면에 부착하는 거치단계; 및 입체 디자인편이 부착된 절단된 패널을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여 입체 디자인편이 절단된 패널의 표면에 융착시키는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체 디자인편은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 건조 및 강화 단계, 패널 절단 단계,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 및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디자인편을 원자재 패널의 상부면에 열융착시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무늬가 표면상에 구현된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성분의 바인더 오일, 바인더 수지 및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컬러 인쇄조성물을 이용하여 원자재 패널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직접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인쇄된 디자인이 쉽게 변색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내변색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원자재 패널을 건조하여 인쇄 후 재차 건조시킴으로써, 일반유리보다 대략 6배 이상 강한 특성을 가지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에 비해 저원가를 실현할 수 있으며, 건축 자재 시장의 원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세라믹코팅을 적용하고 있어, 건축물의 경우 내외장재 적용 시 변색이 안되고, 반영구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어 건축 인테리어 재시공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컬러 디자인이 가능하고, 세계시장에서도 환경 규제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자원 재활용 제품 수요가 증가하여 수출 증대가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유의 단점을 극복하여 무변색이 가능하며,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제품보다 5 내지 6배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가지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존 컬러유리 전면인쇄 방식은 유성잉크로 했을 시 스크래치에 취약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 배면인쇄를 많이 하던 부분을 전면과 배면 양면인쇄로 변환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질감과 느낌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으며, 컬러 인쇄에 있어 2 내지 6도까지 인쇄 가능하여 보다 고급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높고 화려하며 화재시에도 강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외장재에 포커스를 맞추고 가전제품까지 두루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향후 지속적인 설비확충을 통하여 자동화 및 대량생산체제를 갖추어 다양한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모든 디자인을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군의 형성과 지속적인 제품 개발을 통하여 건축용내, 외장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적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식 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식용 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S10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패널 절단 단계(S130),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 및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S100)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패널 절단 단계(S130),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 및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디자인편(121)을 원자재 패널(110)의 상부면에 열융착시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무늬가 표면상에 구현된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S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 패널(110)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여 평면 디자인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에서는, 세라믹 무기원료를 이용하여 원자재 패널(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직접 스크린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세라믹 무기원료는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이다. 원자재 패널(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직접 스크린 인쇄할 경우 사용되는 인쇄 조성물에는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가 함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컬러 인쇄조성물은 바인더 오일, 바인더 수지 및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인더 오일은, 각각의 색을 발현하는 착색 안료와, 세라믹 분말과, 원적외선 방출 광물분말의 혼합물을 페이스트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성물이다. 바인더 수지는, 스크린인쇄시에 기판상에 인쇄된 패턴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물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조성물에 포함되는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는, 견운모, 불석, 맥반석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광물을 600도 내지 700도로 소성한 다음 22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성분의 바인더 오일, 바인더 수지 및 원적외선 방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컬러 인쇄조성물을 이용하여 원자재 패널(110)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직접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인쇄된 디자인이 쉽게 변색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내변색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 및 강화 단계(S1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디자인이 형성된 원자재 패널(110)을 건조기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강화 단계(S120)는, 섭씨 930 내지 950 도 범위 내의 온도 환경으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강화시킴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원자재 패널(110)을 건조하여 인쇄 후 재차 건조시킴으로써, 일반유리보다 대략 6배 이상 강한 특성을 가지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패널 절단 단계(S1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후, 원자재 패널(110)을 소정 크기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패널 절단 단계(S130)는, 기 설정된 소정 크기의 형상을 따라 레이저 절단기 또는 워터제트 절단기로 원자재 패널(110)을 절단할 수 있다.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는, 도 4의 (d-1) 및 (d-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디자인과 대응되고, 양면에 컬러 인쇄층이 형성된 입체 디자인편(12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는, 원자재 패널(110)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투명한 재질의 장식 패널(120)의 표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세라믹 무기원료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하여 장식 패널(120)의 양면에 인쇄층을 형성한 후,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장식 패널(120)로부터 입체 디자인편(121)을 잘라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는, 도 5의 (e-1) 및 (e-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디자인편(121)을 절단된 패널(111)의 상부에 거치한 후, 가열로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거치단계(S151) 및 융착단계(S15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의 거치단계(S151)는, 절단된 패널(111)의 상부에 인쇄된 평면 디자인이 입체 디자인편(121)의 표면과 접촉하여 보호되도록, 입체 디자인편(121)을 평면 디자인과 합치시켜 절단된 패널(111) 상부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입체 디자인편(121)은 폴리카보네이트 판재, 유리 판재 또는 투명 아크릴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 구성되는 입체 디자인편(121)은 절단된 패널(111)의 상부에 접착제로 가접합된다.
또한,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의 융착단계(S152)는, 입체 디자인편(121)이 부착된 절단된 패널(111)을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여 입체 디자인편(121)이 절단된 패널(111)의 표면에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입체 디자인편(121)이 폴리카보네이트 판재로 구성될 경우, 가열로는 섭씨 80 내지 120 도의 온도 범위 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입체 디자인편(121)을 투명 아크릴 판재로 구성할 경우, 가열로는 섭씨 180 내지 300 도의 온도 범위 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식용 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S100)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패널 절단 단계(S130),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 및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디자인편(121)을 원자재 패널(110)의 상부면에 열융착시켜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입체 무늬(121)가 표면상에 구현된 장식용 유리(11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0: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S110: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
S120: 건조 및 강화 단계
S130: 패널 절단 단계
S140: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
S150: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
S151: 거치단계
S152: 융착단계
110: 원자재 패널
111: 절단된 패널
112: 스크린 인쇄된 평면 디자인
120: 장식 패널
121: 입체 디자인편
122: 컬러 인쇄층
D: 건조기
H: 가열기

Claims (5)

  1. 원자재 패널(110)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컬러 인쇄조성물로 스크린 인쇄하여 평면 디자인을 형성하는 평면 디자인 인쇄단계(S110);
    평면 디자인이 형성된 원자재 패널(110)을 건조기에 삽입시킨 후, 섭씨 930 내지 950 도 범위 내의 온도 환경으로 소정 시간동안 건조하여 강화시키는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상기 건조 및 강화 단계(S120) 후, 원자재 패널(110)을 소정 크기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패널 절단 단계(S130);
    상기 평면 디자인과 대응되고, 양면에 컬러 인쇄층이 형성된 입체 디자인편(121)을 준비하는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 및
    상기 입체 디자인편(121)을 절단된 패널(111)의 상부에 거치한 후, 가열로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는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
    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인쇄조성물은,
    각각의 색을 발현하는 착색 안료;
    세라믹 분말;
    견운모, 불석, 맥반석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광물을 600도 내지 700도로 소성한 다음 22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하여 획득한 원적외선 방출 광물분말;
    상기 착색 안료, 세라믹 분말, 원적외선 방출 광물분말의 혼합물을 페이스트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오일; 및
    스크린인쇄 시 기판 상에 인쇄된 패턴을 유지시키기 위한 바인더 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자인편 준비단계(S140)는,
    원자재 패널(110)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투명한 재질의 장식 패널(120)의 표면에, 기설정된 디자인을 세라믹 무기원료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하여 장식 패널(120)의 양면에 인쇄층을 형성한 후,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장식 패널(120)로부터 입체 디자인편(121)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자인편 융착단계(S150)는,
    상기 절단된 패널(111)의 상부에 인쇄된 평면 디자인이 입체 디자인편(121)의 표면과 접촉하여 보호되도록, 입체 디자인편(121)을 평면 디자인과 합치시켜 절단된 패널(111) 상부면에 부착하는 거치단계(S151); 및
    입체 디자인편(121)이 부착된 절단된 패널(111)을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여 입체 디자인편(121)이 절단된 패널(111)의 표면에 융착시키는 융착단계(S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KR1020200117985A 2020-09-14 2020-09-14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KR10231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85A KR102317022B1 (ko) 2020-09-14 2020-09-14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85A KR102317022B1 (ko) 2020-09-14 2020-09-14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022B1 true KR102317022B1 (ko) 2021-10-25
KR102317022B9 KR102317022B9 (ko) 2022-09-20

Family

ID=7825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85A KR102317022B1 (ko) 2020-09-14 2020-09-14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69A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디에스엠컴퍼니 입체 유리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4825B1 (ko) 2008-04-07 2010-11-17 허래윤 인쇄 전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용 및 가전제품몸체 치장을 위한 장식 유리와 그 제작방법
KR20130112321A (ko) *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휴먼스 입체패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5876A (ko) * 2013-06-14 2014-12-24 지티월드(주) 표면에 입체무늬를 가진 장식용 유리패널 및 그 유리패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25B1 (ko) 2008-04-07 2010-11-17 허래윤 인쇄 전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건축내.외장용 및 가전제품몸체 치장을 위한 장식 유리와 그 제작방법
KR20100021269A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디에스엠컴퍼니 입체 유리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321A (ko) *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휴먼스 입체패턴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5876A (ko) * 2013-06-14 2014-12-24 지티월드(주) 표면에 입체무늬를 가진 장식용 유리패널 및 그 유리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022B9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504B2 (en) Decorative sticker sheet
CN106029595A (zh) 在玻璃上印刷的方法
CA2361546A1 (en) Partial imaging of a substrate with superimposed layers
KR102317022B1 (ko) 입체무늬 표면을 가진 장식용 유리와 타일의 패널 제조방법
CN1928710A (zh) 弱溶剂数码彩喷相纸
KR101472487B1 (ko) 유리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949B1 (ko) 양면 무늬를 갖는 데코 글라스 및 그 제조 방법
PL190115B1 (pl) Kalkomania odbłyskowa, sitodrukowa oraz sposób wytwarzania kalkomanii odbłyskowej, sitodrukowej i jej zastosowanie
JP6901730B2 (ja) 無機材料用転写シート
KR100575117B1 (ko) 재귀반사용 착색제 조성물
KR101450132B1 (ko) 재귀반사 필름을 이용한 열전사용 컬러 전사지
US20160039236A1 (en) Decal printing paper for ceramics
JP2903547B2 (ja) 陶磁器絵付け用転写シート
ES2302646B1 (es) Primer certificado de adicion a la patente n. 200.601.306: lapida ceramica de diseño.
KR101527097B1 (ko) 표면에 입체무늬를 가진 장식용 유리패널 및 그 유리패널 제조방법
KR20010003565A (ko) 컬러판유리의 제조방법
KR101211935B1 (ko) 입체화상의 인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화상 인쇄물
JP6867007B2 (ja) 床用化粧材
KR101667790B1 (ko) 이미지 및/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칠보 장식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507879A (zh) 數位印刷水轉印花紙
KR102422855B1 (ko)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US20160325575A1 (en) Decal Printing Paper For Ceramics
JPH0218148B2 (ko)
JP3120563U (ja) 転写紙
JP2004358940A (ja) 立体意匠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