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692B1 - 교합 스플린트 장치 - Google Patents

교합 스플린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692B1
KR102316692B1 KR1020167028486A KR20167028486A KR102316692B1 KR 102316692 B1 KR102316692 B1 KR 102316692B1 KR 1020167028486 A KR1020167028486 A KR 1020167028486A KR 20167028486 A KR20167028486 A KR 20167028486A KR 102316692 B1 KR102316692 B1 KR 10231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means
splint
miniplast
occlus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315A (ko
Inventor
콘라트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콘라트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라트 호프만 filed Critical 콘라트 호프만
Publication of KR2016014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수면 무호흡 치료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에 관한 것으로, 치아의 상악 열에 배열될 수 있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및 치아의 하악 열에 배열될 수 있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을 포함하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 각각은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의 상대적인 위치가 길이 방향(X)으로 정의될 수 있는 수단에 의하는 포지셔닝 수단(05, 22)을 구비한다. 간단한 위치의 조정을 위해, 중심핀(15)에 장착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은 두 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 중의 하나에 사용된다. 중심핀(15)에 각각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의 단단한 부착은 래칭 연결에 의해 구현된다.

Description

교합 스플린트 장치{Occlusal splint arrang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문에 따르는 상악 및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포함하는 특히 수면 무호흡 치료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면 무호흡 치료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최신식의 기술로부터 알려져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하부 턱에 상대적인 상부 턱의 위치에 영향을 끼치는 것에 목표를 두고, 깊은 수면 동안에 기도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혀 근육 및 연구개(soft palate) 뿐만 아니라 하부 턱이 적절한 정도로 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런 과제를 위한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문서 WO 2013/143511 A1에 개시된다. 이는 치아의 상악 열에 배열을 위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및 치아의 하악 열에 배열을 위한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포함한다. 두 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각각은 서로를 향해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위치를 정의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포지셔닝 수단을 구비한다. 두 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은 서로 고정되지 않고; 대신에, 사용자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착용하는 동안 가능한 최대 범위로 자유롭게 하부 턱을 이동시킬 수 있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마주하는 접촉면들이 만날 때,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상대적인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원하는 포지셔닝은 각각의 포지셔닝 수단들의 도움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각각의 경우에서 제시된 좌, 우측 어금니 영역 내에서 일체의 포지셔닝 수단들, 외측에 마주하는 가이딩면 및 전방에 마주하는 접촉면을 갖춘다. 대응되는 위치에서, 비교하여보면,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접촉면에 위치된 지느러미 형상의 포지셔닝 수단들을 구비한다. 다른 일반적인 수면 무호흡 치료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와 비교하여 보면, 앞에서 서술된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포지셔닝 수단들의 교체 가능성이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서, 접촉면의 위로 돌출되는 중심핀은 어금니 영역에서 좌측 및 우측에 부착된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은 각각의 경우에 교체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이전의 유리한 실시예는 포지셔닝 수단들의 빠르고 복잡하지 않은 변화를 허용하고, 따라서 길이 방향(X)으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상대적인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위치 변화를 가능케 한다.
알려진 실시예는 편안한 착용 행동을 보여주고 수면 무호흡 치료법에 효과적인, 특히 유리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이미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그것의 이행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에 존재하는 중심핀 및 상보적인 중심 리세스의 매칭과 특히 관련하여, 조립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의 단단한 결합의 구현에 대해 판명된 문제를 가진다. 알려진 실시예들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이 취급되는 동안에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중심핀에 충분히 결합되지 못하고 의도적이지 않게 떨어져버리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반대의 경우에는, 중심핀과 중심 리세스 사이의 선택된 마찰력이 제어될 수 없는 방식의 과도한 값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의 제거가 때때로 대단히 복잡하였던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포지셔닝 수단의 고정에 관하여 알려진 실시예 보다 개선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설정된 목적은 청구항 1의 교시를 추구하는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의 내용(subject-matter)이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occlusal splint arrangement)는 특히 수면 무호흡 료법(sleep apnoea therapy)을 위해 특히 사용된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따라서 주로 수면 무호흡 증후군(sleep apnoea syndrome)의 처리를 위해 제공되지만, 이는 다르게 사용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위해 더욱 채용된 것으로부터의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막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 대해서,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치아 위치 이상의 치료를 위해 또는 밤에 이갈이(grinding of the teeth)를 방지하는 물기 스플린트(bite splint) 등으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총칭의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치아의 상악 열에 배열될 수 있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maxillary miniplast splint) 및 치아의 하악 열에 배열될 수 있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mandibular miniplast splint)를 포함한다. 의도된 사용에 따르면,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접하여 지지될(bear against)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은 교합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는 마주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접촉면들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일면으로는, 잎이 닫혀질 때 치아 배열들 사이에서 작은 구조적인 높이가 달성되고, 다른 일면으로는, 접촉면(contact surface)의 면(plane) 내에서 서로를 향하여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서로를 향하여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포지셔닝을 위해,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적어도 하나의 상악 포지셔닝 수단(maxillary positioning means)을 구비하고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적어도 하나의 하악 포지셔닝 수단(mandibular positioning means)을 구비한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포지셔닝 수단의 유형, 디자인 및 배열은 처음에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포지셔닝은 상악 및 하악 포지셔닝 수단들 사이에서 맞춤을 형성(form fit)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길이 방향 및/또는 횡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서 정의될 수 있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점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치아 배열에 배치 전에 입의 외부에서 맞춤을 형성(form fit)하는 것이 형성되는지 여부 또는 맞춤을 형성하는 것은 입이 닫혀지는 것에 의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치아 배열에 단지 배치되기만 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지 여부는 역시 처음에 중요하지 않다. 포지셔닝 수단들 사이에 대응되는 맞춤을 형성하는 것은, 늦어도 서로에 접하여 지지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에 의해 치아가 닫혀질 때, 형성되어서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정의된다. 상대적인 위치는 길이 방향, 즉 환자의 관점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연장, 또는 대체 가능하게 또는 동시에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포함한다. 이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약간의 동작(play)이 제공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언급된 방향들에 대하여, 환자의 관점으로부터, 길이 방향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선을 따라 연장되고, 수직방향은 교합면과 대략 수직이고, 또한, 횡방향은 수직 방향과 수직이고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대응되게 즉, 환자의 관점으로부터 좌측에서 우측(및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닝 수단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어금니 영역에 좌측 및 우측의 각각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에 배열되도록 의도된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수단이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포지셔닝 수단을 위해 요구되는 구조적인 공간 또는 어금니 영역에 대응되는 요구되는 공간이 착용하는 환자의 어느 특별한 손상없이 확보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점과 관련하여, 포지셔닝 수단이 치아 배열의 외측에 위치된다면 유리하다(그러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는 포지셔닝 수단이 치아 및 볼 사이에 있는 볼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길이 방향으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포괄적인(generic) 실시예는 상악 및/또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중심핀을 포함한다는 실질적인 특징을 수반한다.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또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중심핀들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처음에 중요하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만약 중심핀들이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배열된다면 유리하다. 중심핀들은 어금니 영역 우측 및 좌측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고정된다. 접촉면의 상부로, 중심핀은 수직 방향으로 대략 연장된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중심핀에 상보적인 중심 리세스를 구비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좌측 중심핀 및 우측 중심핀의 존재에 대응하여,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좌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하나의 우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요구된다. 알려진 실시예에 따르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있는 중심핀에 부착 가능하게 되도록 디자인된다. 이점과 관련하여, 연관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접촉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제공된다. 상악 및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사이의 다양한 상대적인 위치를 허용하도록, 중심핀에 부착된 포지셔닝 수단이 다른 지오메트리(geometry)를 갖는 다른 포지셔닝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는 중심핀에 부착되도록 의도된 각각의 포지셔닝 수단이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개별의 상대적인 위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단하고 유리한 실시예에서, 접촉면들은 교합면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위한 접촉면을 더욱 구성하도록 완전히 평평하게 디자인되어 한다. 하지만, 이는 의무적인 실시예는 아니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서 접촉 영역의 평평한 형상으로부터 시작된 접촉면을 약간 틸팅하는 것도 동등하게 가능하여, 예를 들면, 수직축을 향하여 경사되는 방식으로 방향되는 중심핀과 연결로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영역 내의 접촉면은 나머지 접촉면에 대하여 국소적인 각도 편차(local angular deviation)를 갖는다. 이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영역에서의 접촉면이 수직 방향을 따르는 중심핀의 각도 편차에 대응하는 횡방향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중심핀에 부착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옵션(option)에 대응하여, 단지 가능한 결과는 단 하나의 포지셔닝 수단이 원칙적으로 교체되는 각각의 중심핀에 제시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하지만 두 개의 다른 포지셔닝 수단이 대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핀(centring pin)은 래치러그(latch lug)를 구비하고 중심 리세스(centring recess)는 래칭 오목부(latching depression)를 구비하는데, 래치러그는 래칭 오목부 내부로 래칭되는 것에 의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고정시키는 점에서 알려진 실시예는 대단히 개선된다.
중심핀을 구비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및 중심 리세스를 구비하는 포지셔닝 수단 사이의 래칭 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단단한 부착이 달성된다. 이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분해하는 것을 이전에 알려진 실시예에서 보다 정교한 작업이 되게 하지만, 중심핀 및 중심 리세스 사이의 매칭되는 이전의 문제점이 가능한 최대의 범위(largest possible extent)로 해결된다. 여기에서, 래칭 결합의 사용을 통해서 제어된 상태가 가능해져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결합력(holding forces)을 래칭 결합의 디자인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중심핀은 거의 여유가 없는 공차(tight tolerances) 내에서 절차적으로 신뢰할만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중심 리세스도, 역시, 마찰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중심 리세스의 이전의 거의 여유가 없는 공차를 갖는 포지셔닝 수단에서의 경우 보다 래칭 리세스의 관련 영역에서 제어된 공차 내에서 보다 훨씬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점이 발견된다. 이점과 관련하여, 지금 요구되는 모든 것은 래치러그의 접촉면 영역에서의 래칭 오목부의 정확한 공차이다.
래치러그를 구비하는 중심핀을 구현할 때, 특히 경제적인 이유에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게다가, 제조를 위해 레이저 커팅에 의해 유리하게 처리된 금속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유리하다. 따라서, 고 정밀도의 중심핀이 제조될 수 있는데, 특히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서 사용을 위한 중심핀의 작은 치수가 고려된다. 또한, 중심핀에 의해 래칭 기능이 유리하게 실현되도록 금속 시트가 스프링 스틸이면 특히 유리한데, 래칭력에서 손실 없는 사용의 오래-지속되는 유지가 보장될 수 있다.
중심핀을 구현하고 이를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부착하기 위해, 알려진 실시예에 따라서 만약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케스팅되는 베이스부 및 접촉면의 위로 견고히 돌출되는 조임부를 구비한다면 유리하다. 게다가, 래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만약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가 조임부로 몰딩되고,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에 래치러그가 위치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포지셔닝 수단 및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결합할 때 연결부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고, 연결부의 변형이 부분적으로 또는 광범위하게 복구되는 동안, 래치러그는 이어서 래칭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에 의해 래칭 기능이 구현된다.
특히, 특별히 스프링 스틸로 만들어진 금속 시트의 사용으로 연결된다면, 특별하게 신뢰할만한 래칭 기능이 탄성 연결부의 구현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이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래칭 오목부를 포함하는 중심 리세스의 변형되지 않는 디자인이 선택될 수 있다.
하지만,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중심 리세스를 중심핀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결합될 때 래치러그가 변형되지 않고 길을 주지 않도록 중심핀을 전반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디자인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래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래치러그가 중심 리세스의 영역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일시적 변형에 따라서 래칭 오목부로 맞물리도록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변형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 실시예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단지 매우 드물게 또는 단지 한번 분해될 수 있거나 쓰고 버릴 수 있는 구성요소로 디자인되고 동일한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자주 교체되는 경우에 단지 특별한 흥미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로 대체 가능하도록, 중심핀으로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부착은 중심핀이 래칭 오목부를 구비하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이 래치러그를 래치러그를 구비하는 래칭 기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중심핀에서 래칭 오목부는 측면 또는 중심 리세스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중심 리세스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중심 리세스의 영역에 있는 래치러그를 요구한다. 상기 래치러그는 플라스틱 인젝션-몰딩 부분, 예를 들면, 툴 내에서 스크래퍼의 도움으로 제조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내에서 쉽게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점과 관련하여, - 이전의 실시예로서 -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결합될 때,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탄성 변형이 중심 리세스로 돌출되는 래치러그를 통해 전체로서 발생하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구현하기 위해, 제1변형례에서는, 접촉면 바로 위에서 견고한 조임부로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응 가능하게, 래치러그는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된 중심핀의 단부에 위치한다. 하지만,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결합할 때, 이런 변형은 접속부가 변형하고 따라서 조립과정이 복잡하게 되는 동안에 래치러그가 중심 리세스로 깊게 삽입되도록 요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만약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가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된 견고한 조임부의 끝에 연결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는 기본적으로 중심핀의 자유단에서 시작한다. 그 후,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는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임부를 따라서 연장한다. 이런 유리한 실시예는, 이런 경우에 래치러그가 접촉면에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조립을 쉽게하고 따라서, 중심 리세스 및 중심핀을 결합할 때, 래치러그는 래치러그가 관련된 래칭 오목부로 삽입되기 전에 연결부의 탄성 변형으로 단지 짧은 부분만을 통과해야 한다.
중심 리세스로 삽입될 때 래치러그의 충분히 큰 오버랩에 의해 연결부의 탄성적인 변형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변형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 연결부가 가능한 한 길게 디자인된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만약 탄성 연결부가 170° +/- 10°의 반원으로 프리 아이(free eye) 주변에서 우선 연장되는 방식으로 견고한 조임부에 인접하다면 또한 특히 유리하다. 연결부가 175° +/- 5° 의 각도에서 프리 아이 주변에서 우선 가이드되고 그 후 조임부와 대략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형상은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의 길이는 중심핀의 길이의 상당한 확장의 요구 없이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언래치된 상태에서 조임부 및 조임부의 끝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부 사이에서 간격이 넓혀진다면 유리하다. 연결부가 반원으로 우선 가이드되는 유리한 실시예에서, 간격은 프리 아이로부터 시작되어 연결부의 끝까지 연장된다. 연결부 및 조임부 사이의 간격이 넓혀지는 것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결합될 때 조임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연결부의 탄성적인 변형을 보장한다.
래칭 기능에 주의하는 동안에 조임부를 따르는 연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의 유리한 디자인은 언래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임부까지 중심핀의 넓혀진 형상을 야기한다. 이는 유리한 실시예에서, 중심핀이 접촉면의 방향으로 자유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넓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결합되는 포지셔닝 수단으로서, 조임부의 전면 및 연결부의 후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유리하게 뻗어있는데, 탄성적인 변형 부분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대응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래치러그는 래칭 오목부에서 텐션되는(tensioned) 방식으로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보적인 중심 리세스는 기본적으로 접촉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직선의 포켓이다. 1° 내지 2°의 약간의 각도 편차는, 예를 들면, 중심 리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제조 때문에 요구되는 초안의 각도를 계산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이 점에 관해서는 관계가 없다.
래치된 상태에서 중심 리세스(래칭 오목부는 고려하지 않는다) 및 중심핀의 굽지 않는 디자인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포지셔닝 수단의 단단한 고정을 특히 용이하게 한다.
대체 가능한 실시예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는 조임부의 끝으로부터 시작되는 곡선으로 디자인되지는 않고, 하지만 조임부의 끝으로부터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접 연장된다. 이 점에 관해서는, 만약, 언래치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횡방향으로 조임부의 끝에서의 시작하는 조임부의 상부에서 점점 상승하게 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연결부가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어느 측으로 편향이 발생하는지는 초기에 중요하지 않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위한 중심핀의 중심 기능 및 조임부의 안정성은 만약 연결부가 중심핀에서 중심으로 배열된다면, 즉 양 측에서 조임부에 의해 둘러쌓인다면 유리하게 보장된다. 따라서, 조임부의 형상은 연결부의 변형 및 형상에 관계없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서 중앙에 놓이도록 요구되는 중심 리세스를 결정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특히 인체 공학적인 이유, 즉 최대의 착용 편안함을 보장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동일한 부품들로 디자인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된다. 하지만, 중심핀의 위치를 고려하여, 두 개의 다른 포지셔닝 변화를 생각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해법이 제공될 수 있다.
첫번째 해결책으로, 동일한 부품으로 디자인되는 포지셔닝 수단이 좌측 및 우측 모두 동일한 방향(identical orientation)에서 사용된다. 이런 경우에, 일 면으로는 중심 리세스를 통해 뻗은 중심면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영역에서 접촉면에 수직하도록 디자인되고, 접촉면 및 중심핀의 대응되는 디자인 및 포지셔닝은 포지셔닝 수단의 영역에서 요구되는데, 상기 다자인은 교합 장치의 중심면에 대해서 대칭이다. 반면에, 횡방향으로 보여지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두 개의 외측 면들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이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하여서, 포지셔닝 수단이 양 측에서 사용될 때, 횡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중심 기능은 보장될 수 있다. 래치러그 및 래칭 오목부의 요구되는 디자인 및 포지셔닝 또는 가능한 결과는 명백하다.
두번째 해결책으로, 동일한 부품으로 디자인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대칭되도록 디자인된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180° 회전된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에서 사용된다. 이런 경우에, 일면으로는 전면의 포지셔닝 면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후면 포지셔닝 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대칭되게 디자인되어서 길이 방향으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위치를 정의한다. 또한, 포지셔닝 수단의 180° 회전된 위치를 위해, 중심핀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관찰되거나 적어도 교합 장치의 중심면에 대한 대칭 편차의 경우, 길이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만 경사지도록 관찰되어야 한다. 이는 중심핀이 수직 방향과 좌, 우측 같은 각도만큼 횡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 중 하나로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래치러그 및 래칭 오목부의 포지셔닝 및 요구되는 디자인 또는 가능한 결과가 동등하게 명백하다.
알려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중심핀으로부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제거하는 것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만약 분해 툴이 이런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상기 분해 툴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분해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분해 핀을 구비한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분해 리세스 내부로 분해 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이제 분해 툴의 수단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게될(pushed off) 수 있다. 따라서, 제거를 위한 손가락들에 의해 발휘되는 높은 조이는 힘을 요구하는 두 손가락으로 잡는 것에 의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그 이외의 일반적인 제거는 불필요해진다. 쉬운 취급을 위해, 만약 분해 리세스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양측으로부터 분해 핀을 분해 리세스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히 유리하다. 하지만, 연속적인 분해 리세스의 실질적인 장점은 제거하기 어려운 먼지 입자의 퇴적을 방지하는데 있다.
분해 리세스를 구현할 때, 만약 후자가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중심 리세스로 횡단하여 연장된다면 더욱 유리하다. 분해 리세스를 중심 리세스에 직접 배열하는 것은 분해 핀을 직접 삽입하는 것이 래칭 오목부로부터 래치러그의 언래칭을 직접 야기시키는 것을 더욱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분해 핀을 분해 리세스에 삽입하는 것은 중심핀의 탄성적인 연결부의 변형을 야기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만약 분해 리세스가 래칭 오목부의 영역에서 중심 리세스와 오버랩되면 특히 유리하다. 더욱이, 만약 래칭 오목부(latching depression)가 분해 리세스(disassembly recess)의 부분에 의해 직접 형성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삽입된 분해 핀 래치러그에 대하여 직접 견뎌질 수 있고 매우 작은 힘으로 래치러그가 래칭 오목부로부터 언래칭하도록 하여서, 그 결과,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부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쉬운 제거가 가능해진다.
경사진 면을 따라서 기본적으로 분해 핀 내에서 미는 것이 탄성의 연결부의 변형을 야기하도록 만약 분해 핀이 자유 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단면을 갖는다면 탄성적인 연결부를 변화시키기 위한 분해 핀의 분해 리세스로의 삽입은 유리하게 촉진된다.
만약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분해 하기 위해 분해 툴이 회전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면 분해 툴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분해는 더욱 특히 향상된다. 분해 툴은 삽입된 분해 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분해 툴의 슬라이딩 면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접촉면에 접하여 지지된다(bear against). 분해 툴이 분해 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슬라이딩 면은 접촉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중심핀을 밀게되도록 한다.
이전에 알려진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이 실시예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의 사용에 의해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상대적인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빠르고 적당한 포지셔닝을 허용함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특히 길이방향으로 만약 다른 조정이 가능하다면, 유리하다. 이런 목적으로, 다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중심핀 없는)에는 길이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포지셔닝 수단이 제공된다. 그들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과 함께, 좌측 및 우측에 대응되도록 배열되고, 그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포지셔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초기 형태로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의해 견고하게 형성되지 않고, 하지만 대신에 조정 가능하게 배열된다. 이런 경우에, 조정은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관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와 함께 그들의 위치의 조정으로 제한된다. 조정을 위해, 조정 스크류가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연관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사이에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점에 관하여, 만약 잠재적으로 제시되는 분해 툴이 조정 스크류를 조정하는 추가적인 조정 핀을 포함한다면 더욱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어떻게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분해 툴은 또한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의 변화의 방법에 의해 밀리미터 단계로 수행될 수 있고, 반면에 밀리미터 이내의 조정은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알려진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모두에서, 일단 그들이 중심핀에 끼워지면 실수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사용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좌측 및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우측에서의 사용을 위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가능한 혼란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에게 어느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좌측 및 우측의 두 개의 중심핀들 중 어디에 장착되는지 힌트가 주어진다면 유리하다. 이점에 관하여, 두 개의 다른 디자인에 라벨링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
제1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에는 두 개의 다른 심볼이 유리하게 제공되는데 “L” 및 ”R” 표시인 명백한 방법으로 유리하게 라벨이 붙여진다. 따라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의 사용자는 각각의 포지셔닝 수단이 조립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측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손에 쥐어질 때 어느 남아있는 의심을 방지하고자, 좌측 및 우측의 중심핀에는 또한 유리하게 두 개의 다른 심볼이 제공되고,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적어도 중심핀의 영역에서 반투명하다(translucent). 이런 방식으로, 심볼들은 그들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로 캐스팅되는 중심핀의 베이스 부에 배열될 때 직접 보여져서 조립되는 포지셔닝 수단과의 연합이 가능하게 된다. “L” 및 ”R”의 표시를 심볼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은 명확하고, 중심핀 및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는 더욱 유리하게 매칭되는 심볼들이 제공된다.
대응되는 심볼들을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 위치시키는 것은 -만약 제시된다면- 주로 같은 가치를 갖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조립하는 동안에 양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모두 서로에게 정확한 위치에서 공간적으로 가깝게 접근한 상태에 있어야 하도록 고려된다.
예를 들면, 장착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아래에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심볼들을 직접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들에서, 툴을 제조하고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형성화하는데 잠재적인 추가 비용이 드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관련 기능은 길이 방향으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상대적인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위치의 변화를 허용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각각은 중심핀의 다양한 위치를 갖는다. 다양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혼란(mix-up)을 피하기 위해, 따라서, 만약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 심볼들이 제공된다면 더욱 유리하고, 만약 그룹을 이룬다면, 동일한 위치에서 중심 리세스를 운반하는 우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연관된 좌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동일한 심볼들을 구비하고, 반면 중심 리세스의 다양한 위치들을 각각 갖는 좌측의 다양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마찬가지의, 우측의 다양한 포지셔닝 수단에 다양한 심볼들이 제공된다. 단순한 방법으로, 숫자들이 심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숫자 1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제1 가능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숫자 2는 가능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그 다음의 가능 위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심볼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신에, 만약 색 라벨링이 사용된다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연합을 라벨링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 좌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은 적어도 일부 구역들에서 다른 색으로 유리하게 디자인된다.
다음에는, 만약 좌측 및 우측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이 적어도 일부 구역들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에 대응하는 색을 갖는다면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조립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선택할 때,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사용자는 조립될 각각의 포지셔닝 수단의 측, 즉 좌측 또는 우측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구역들의 착색의 경우에서, 만약 각각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외측 및 각각의 조립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외측이 같은 색을 갖게되어서 포지셔닝 수단이 조립될 때 나란히 놓인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색 및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색이 동일하다면 특히 유리하다.
그룹을 이루지 않는 좌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과 그룹을 이루지 않는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구별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중심핀의 일치하는 위치를 갖는 좌측 및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구별하기 위해, 만약 그룹을 이루는 포지셔닝 수단이, 구역들에서, 대응되는 색을 갖는 반면에, 그룹을 이루지 않는 포지셔닝 수단이 다른 색을 갖는다면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포지셔닝 수단의 조립 이후에, 만약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및 좌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내측에 유리하게 놓인 색들이 대응된다면 정확한 매치가 인지되고, 반면에 만약 색들이 다르다면 실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의 다른 유리한 특징들에 다하여, 서두에 언급된 문서 WO 2013/143511 A1에서 명시적으로 참조가 이루어지는데, 그러한 유리한 실시예들은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된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래칭 기능을 갖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를 위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보여준다.
도 5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6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도 1의 실시예의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보여준다.
도 7은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중심핀을 보여준다.
도 9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중심핀을 보여준다.
도 10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도 11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분하하고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분해 툴을 보여준다.
도 12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14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측면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일례의 교합 스플린트 장치(occlusal splint arrangement)가 도시된다.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를 포함하고, 하측에,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포함하는 구조가 보여진다.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는 치아의 상악 열에 배치를 위한 대응되는 치아 수용부(03)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는 치아의 하악 열에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배치를 위한 치아 수용부(13)(아래가 숨겨지도록 누워있음)를 대응되도록 구비한다. 이런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각각은 어금니 영역 내의 양측에서 포지셔닝 수단들(05, 22)을 각각 구비한다. 우측상 및 좌측의 상악 포지셔닝 수단들(05r, 05l)은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에 조정 가능한-하지만 쉽게 변하지는 않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대조적으로, 하악 포지셔닝 수단들(22)은 좌측 및 우측을 위한 변화하는 포지셔닝 수단들(22r, 22l)로 구체화된다. 상기 포지셔닝 수단들(22)은 중심핀들(15r, 15l)의 형태로 조립 수단들에 각각 장착된다.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 내측으로 마주하는 가이딩면들(24)을 더 구비하고, 반면에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보적인 포지셔닝 수단들은 그들의 외부면들에서 가이딩면들(07)로서 또한 형성된다. 상기 가이딩면들(07, 24)은 중심을 제공하고 횡방향(Y)으로 서로를 향하여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을 가이드 한다. 길이 방향(X)으로의 위치는 포지셔닝 수단들(22)에서 위치면(23)과 상호작용하는 반대 측 및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의 위치면(06)에 의하여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일단에 래치러그(19)가 위치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18)를 포함하는 중심핀(15)이 도시된다. 후자는 분해 리세스(27)에 의해 차례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을 관통하는 래칭오목부(26) 내로 래칭된다.
도 2에서, 도 1의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이 측면도로 도시된다.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접촉면(14)의 반대측의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접촉면들(04)의 배열이 도시되는데, 치아가 닫힐 때, 상기 접촉면들은 교합면(09)에 실질적으로 놓이게 된다. 더욱이,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악 포지셔닝 수단(05)은 전체적으로 접촉면(04)의 상부에 위치되고, 반면에 하악 포지셔닝 수단들(22)이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의 대응되는 접촉면(14)의 상부에 배열되는 것이 보여진다. 더욱이, 무엇보다, 수직방향(Z)으로 앞으로 기울이도록 디자인된 위치 면들(06, 23)의 디자인이 보여진다. 하악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이 외부 및 상악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의 앞에 위치되는 점이 더욱(도 1과 비교하여) 주목된다. 따라서, 치아가 닫혀질 때,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및 하부 턱은 효과적인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해 전방으로 당겨지는 점이 확실해진다.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의 조정은 옮겨길 수 있도록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에 장착되는 것 의해 가능해지는데, 상기 포지셔닝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고 조정을 위해서 조정 스크류(08)가 제공된다.
도 3은 추가적으로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의 단면을 도시하는데, 후자는 좌측에서 분해도로 그리고 우측에서 결합된 배열로서 도시된다. 다시말해서, 치아 수용부(03)를 포함하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및, 반대 측 에 대응되는 치아 수용부(13)를 포함하는 하악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배열이 보여진다.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들 각각은 치아가 닫힐 때 교합면(09)에 접촉하는 접촉면들(04, 14) 각각을 포함한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의 내측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딩면들(24)과 접촉하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딩면들(07)의 수단에 의해, 횡방향(Y)으로 상대적인 가이딩이 보장된다. 상기 가이딩면들(07, 24)은 수직방향(Z)에 대해 경사(19)의 각도 외부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접촉면(04) 에 충돌하는 하악 포지셔닝 수단들(22) 없이 치아가 닫혀질 때 가이딩면들(07, 24)은 합쳐지는 점이 보장된다.
또한, 중심핀(15)에 중심 리세스(25)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이 부착되는 방식이 도시된다.
도 4에서, 다시, 이 점에 관해서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이 도시된다. 한번 더, 환자의 상악 치열에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배치를 위한 치아 수용부(03)의 배열이 도시된다. 또한, 위치면(06)들을 포함하는 어금니 영역의 포지셔닝 수단들(05r, 05l)이 보여진다. 횡방향으로 가이딩하는 포지셔닝 수단들은 가이딩면들(07l, 07r)을 포함하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외측에 의해 실현된다. 하부 측에는(숨겨지도록 놓여진다), 각각 다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대하여 접하여 지지되도록 의도되고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접촉면(04)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추가적으로, 횡방향(Y)과 수직 방향(Z)으로 향하게 되는 상악 포지셔닝 수단들(05)의 위치면(06) 및 길이방향(X)과 수직 방향(Z)으로 향하게 되는 가이딩면(07)을 포함하는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가 측면도로서 다시 도시된다.
도 6은 도 1로부터 치아 수용부(13)(도 1에 도시)가 바닥(숨겨짐)에 위치되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이 도시된다. 도시된 상측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악 접촉면(04)에 대하여 접하여 지지되도록 의도되는 접촉면(14)을 형성한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사이의 상대 위치는 여기에서 각각이 상악 포지셔닝 수단들(05)에 상보적인 가이딩면(24) 및 대응되는 상보적인 위치면(23)을 구비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 22r)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포지셔닝 수단들(22)을 부착하는 도시된 방식이 보여지는데, 이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기저 바디에 고정되는 중심핀들(15l, 15r)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런 점에 관하여,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은 지느러미의 형상으로 제시되고, 중심을 향해서 마주하는 면은 가이딩면(24)을 형성하고 뒤를 향해 누워있는 지느러미의 앞 가장자리는 위치면(23)을 형성한다.
도 6에 부가하여, 도 7은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연관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은 도시되지 않는다. 접촉면(14)을 지나서 돌출되고 베이스부(16)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서 고정되는 중심핀(15)이 보여진다.
알려진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이 중심핀(15)은 접촉면(14)의 위로 돌출되는 조임부(17)를 구비하고, 연결부(18)는 중심핀(15)의 상부 자유단에 인접한다. 연결부(18)는 프리 아이 주변에서 반원으로 연장되고 접촉면(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임부(17)에 대략 평행하게 뻗게된다. 연결부(18)의 자유단에서 튀어나오는 래치러그(19)가 있다.
도 8에서, 길이 방향 단면으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에 조립된 중심핀(15)이 도시된다. 중심핀(15)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설명이 도 9를 참조하여 이루어지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이 분리된 단면으로 도 10b에서 도시된다.
무엇보다도,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서 고정된 베이스 부(16)를 포함하는 중심핀(15)의 구조가 보여진다. 견고하게 배열된 조임부(17)는 접촉면(14)으로부터 돌출되고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이 결합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18)는 접촉면(14)으로부터 이격된 조임부(17)의 끝에 인접하는데, 연결부(18)는 프리 아이 주변에서 약 175°의 반원으로 연장된다. 그 후,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18)는 접촉면(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임부(17)에 거의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연결부(18)의 자유단에는, 중심 리세스(25)의 래칭오목부(26)로 삽입되는 래치러그(19)가 있다.
포지셔닝 수단들(22)이 조립되기 전에는, 중심핀(15)은 접촉면(14)을 향하는 방향의 자유단으로부터 시작되어 다소 넓혀지게 되나, 반면에, 포지셔닝 수단들(22)이 조립되면, 중심핀(15)은 조임부(17)의 전면 가장자리가 연결부(18)의 뒤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18)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리 아이에서 시작된 갭은 연결부(18)의 끝을 향해서 넓혀진다. 따라서, 연결부(18)의 변형성은 래칭 기능을 구현하도록 중심 리세스(25)로 삽입되는 때와 같을 때 보장된다. 중심 리세스(25)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의 위치면(23)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음을 도면들로부터 더욱 취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의 위치면(23)의 경사에 대응하여, 중심 리세스(25) 및 따르는 중심핀(15)이 수직축(Z)에 따라서 다소 경사진다.
이런 유리한 실시예에서, 도 10a 및 도 10b의 결합하여서 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리세스(25)의 래칭오목부(26)는 연속의 분해 리세스(27)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a 및 10c의 비교로부터, 길이 방향(X)으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포지셔닝 수단들(22)의 다른 위치들이 분명해진다. 이 점에 관해서는, 두 개의 예로서 도시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r.1 및 22r.2)은 위치면(23)과 비교하여 각각 다른 위치에서의 중심 리세스(25)의 배열을 보여준다.
도 8 내지 10에는, 대응되는 심볼들(28)의 도움으로 인한 중심핀(15) 및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의 라벨링이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우측에서 사용되도록 “R”이 표시된다. 또한, 다른 심볼들(28)은 도 10a 및 10b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데, 다른 포지셔닝 수단들(22)의 연속으로 제1 포지셔닝 수단(22r.1)을 예시하도록 이용되는 표시 “1” 및 제2 포지셔닝 수단(22r.2)을 위한 표시 “2”가 제공된다.
도 11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을 분해하고 조정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을 유리하게 조정하는데 특히 유리한 방법 도움을 주는 분해 툴(31)의 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분해 툴(31)은 핸들(32)에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분해 핀(33)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해 핀(33)은 자유단을 향해서 테이퍼진다. 분해 핀(33)은 분해 툴(31)이 사용되는 동안 핸들(32)에서 회전될 수 있는 중심축(35)을 형성한다. 핸들(32)의 피벗은 슬라이딩면(34)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과 관련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접촉면(14)에 접촉하게 한다.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핸들(32)이 회전하는 동안,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중심핀(15)을 밀게 된다. 이것 때문에, 슬라이딩면(34) 및 중심축(35) 사이의 거리는 접촉면(14)에 접촉하는 중심축(35)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에 멀어지는 것이 명백하게 요구된다.
도 8 및 도 11의 결합하여 살펴보면, 분해 툴(31)의 더욱 유리한 기능이 명백해진다. 분해 핀(33)이 분해 리세스(27)로 삽입될 때, 래칭오목부(26) 내에 위치된 래치러그(19)는 분해 핀(33)에 의해 이탈되고 따라서 언래칭(unlatch)를 야기시킨다.
이런 유리한 실시예에서, 분해 툴(31)은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을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08)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정 핀(36)을 더 포함한다.
도 12에서,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62)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가 개시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전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은 여기에서 동일한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대칭적으로 디자인된다. 대응하여,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은 후방 가장자리에서 위치면(73) 뿐만 아니라 전방 가장자리에서 위치면(7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예시된 실시예는 내측을 향하는 면 및 외측을 향하는 측면에서 가이딩면(74)을 구비한다.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62)로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회전 가능하게 대칭되는 부착을 구현하기 위해,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의 영역에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배치를 위한 넓게 평탄한 접촉면(64a)으로부터 시작하는 접촉면(64b)과 같이 접촉면(64)은 다소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경사진 접촉면(64b)의 경사는 평탄한 접촉면(64a)과는 대조적으로 수직축(Z)에 따라서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62)에 단단히 결합된 중심핀(65)의 각도 편차에 대응된다.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중심핀(65)의 변경된 실시예에서 이전의 예시된 실시예와 다른 또 다른 차이점을 보여준다.
도 13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핀(65)은 베이스 부(66) 및 인접하는 접촉면(64)의 조임부(67)에 의해 또한 형성된다. 조임부(67)의 상단에 인접한 연결부(68)는 접촉면(64)의 방향을 또한 향하도록 되고, 여기에서는, 하지만, 연결부(68)는 중심핀(65)의 중앙에 배치되고 조임부(67)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연결부(68)의 하단에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을 고정하기 위한 래치러그(69)가 이번에도 있게 된다.
이 점에 관해서, 다음의 도 14는 한번 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을 포함하는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62)의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중심핀(65)은 접촉면(64), 즉 교합면에 대하여 다소 경사지게 이루어진 점이 보여진다. 접촉면(64b)은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다. 접촉면(64b)의 경사는 단지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을 회전 가능하게 대칭하기 위한 임의적인 포지셔닝을 구현하기 위해 제공되어서 두 위치에서 그것(72)의 바닥측은 각각의 경우에 접촉면(64b)에 평평하게 있게된다. 이런 특별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은 그것(72)이 중심핀(65)에서 좌측 및 우측 어느 방향으로, 즉 각 경우에서 180°회전된 위치될 수 있는 효과를 지니도록 구체화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래칭오목부(76)는 각각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72)에서 중심의 중심 리세스(75)의 양 측들에 배열되고, 상기 래칭오목부(76)는 분해 리세스(27)에 의해 예시된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비슷하게 형성된다.
01 : 교합 스플린트 장치
02 :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03 : 치아 수용부
04 : 접촉면
05 :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06 : 포지셔닝 면
07 : 가이딩면
08 : 조정 스크류
09 : 교합면
12, 62 :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13, 63 : 치아 수용부
14 : 접촉면
64a :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접촉면
64b :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의 접촉면
15, 65 : 마운팅 수단/중심핀
16, 66 : 베이스부
17, 67 : 조임부
18, 68 : 연결부
19, 69 : 래치러그
72 : 회전 가능하게 대칭되는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22l : 우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22r : 좌측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
23, 73 : 포지셔닝 면
24, 74 : 가이딩면
25, 75 : 중심 리세스
26, 76 : 래칭 오목부
27, 77 : 분해 리세스
31 : 분해 툴
32 : 핸들
33 : 분해 핀
34 : 슬라이딩 면
35 : 분해 핀의 중심축
36 : 조정 핀
X : 길이 방향
Y : 횡 방향
Z : 수직 방향

Claims (21)

  1. 수면 무호흡 치료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01)로서,
    치아의 상악 열에 배열 가능한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상기 상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는 평평한 제1 접촉면(0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04)은 교합면에서만 연장되도록 구성됨 -; 및 치아의 하악 열에 배열 가능한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 상기 하악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는 평평한 제2 접촉면(14, 64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면(14, 64a)은 상기 교합면에서만 연장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면들(04, 14, 64a)은 상기 교합면에서 서로에 대해 접하여 지지되며, 상기 교합면의 상기 제2 접촉면들(14, 64a)에서 돌출되는 중심핀(15, 65)은 어금니 영역의 좌측 및 우측 모두의 일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에 고정되고, 좌측 및 우측의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 22r, 72)은 각각의 중심핀(15, 65)과 상보적인 중심 리세스(25, 75)를 구비하고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에 교체되도록 부착되며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의 상기 교합면에서 상기 제2 접촉면(14, 64b)에 접하여 지지되고(bear against), 서로를 향하는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62)의 상대 위치는 다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의 포지셔닝 수단(05, 07) 및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 72) 사이에서 맞춤을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길이 방향(X) 및/또는 횡 방향(Y)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중심핀(15, 65)은 래치러그(19, 69)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 리세스(25, 75)는 래칭 오목부(26, 76)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러그(19, 69)는 상기 래칭 오목부(26, 76)로 래칭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에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 72)의 고정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15, 65)은 하나의 부재(one piece)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중심핀(15, 65)은, 레이저 커팅에 의해, 금속 시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15, 65)은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로 캐스팅(cast)되는 베이스 부(16, 66) 및 상기 제2 접촉면들(14, 64)을 넘어서 견고히 돌출되는 조임부(17, 67)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러그(19, 69)가 배열된 자유단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연결부(18, 68)가 몰딩되는(being moul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면(14, 64)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견고한 조임부(17, 67)의 끝으로부터 시작하되,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18, 68)는 상기 제2 접촉면(14, 6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임부(17, 67)를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부(18)는 상기 견고한 조임부(17)에 인접하도록 이루어지고, 및 상기 조임부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연결부는 175° ± 5° 만큼 프리 아이 주변에서 구부러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래칭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17)의 끝으로부터 시작하되, 상기 프리 아이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조임부(17) 및 상기 연결부(18) 사이의 간격이 넓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래칭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17)의 전면 및 상기 연결부(18)의 후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래칭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68)는 상기 조임부(67)의 끝으로부터 시작하는 횡방향(Y)으로 상기 조임부(67)에 대하여 점점 상승하게(rise)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 72)은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로부터 상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 72)을 제거하기 위해 분해 툴(31)의 분해 핀(33)이 삽입될 수 있는 연속의 분해 리세스(27, 77)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리세스(27, 77)는 상기 중심 리세스(25, 75)와 수직한 방향을 이루고, 삽입된 분해 핀(33)은 상기 래치러그(19, 69)가 상기 래칭 오목부(26, 76)로부터 이탈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리세스(27, 77)는 상기 래칭 오목부(26, 76)의 영역에서 상기 중심 리세스(25, 75)와 교차하고, 상기 래칭 오목부(26, 76)는 연속의 분해 리세스(27, 77)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삽입된 분해 핀(33)은 상기 래치러그(19, 69)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래칭 오목부(26, 76)로부터 이탈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핀(33)의 자유단은 테이퍼진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핀(33) 상기 분해 리세스(27, 77)로 삽입된 후에, 상기 분해 툴(31)은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62)의 상기 제2 접촉면들(14, 64)에 마주하는 슬라이딩면(34)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 72)은 상기 삽입된 분해 핀(33)의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분해 툴(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심핀(15, 65)을 밀게되는(pushed off)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4. 제1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다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는 길이 방향(X)으로 실질적으로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은 조정 스크류(08)의 수단에 의해 수행 가능하고, 상기 조정 스크류(08)를 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정 핀(36)은 상기 분해 툴(31)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6. 제1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의 상기 중심핀들(15)에는 두 개의 다른 심볼들로서 “L” 및 ”R” 표시가 제공되고,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는 적어도 상기 중심핀(15)의 영역에서 반투명한(translucent)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7. 제1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의 상기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 72r)에는 두 개의 다른 심볼들로서 “L” 및 ”R” 표시가 상기 중심핀(15)에 매칭되는 심볼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리세스(25, 75)의 매칭 위치를 갖는 좌측 및 우측의 연관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 22r, 72)에는 매칭 심볼들(28)로서 동일한 숫자들이 제공되고, 및 상기 중심 리세스(25, 75)의 다른 위치를 갖는 우측의 다른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r.1, 22r.2, 72)과 좌측의 다른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1, 22l.2, 72)에는 다른 심볼들(28)로서 다른 숫자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9.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영역들에서인 외측을 향하는 각각의 측면에서, 좌측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l) 및 우측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r)에는 다른 색들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2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영역들에서인 외측을 향하는 각각의 측면에서, 좌측 및 우측의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22l, 22r)에는 다른 색들로서, 조정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05l, 05r)을 매칭하는 색들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2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영역들에서인 내측을 향하는 각각의 측면에서, 좌측 및 우측의 연관된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 22r, 72)에는 매칭하는 색들이 주어지고, 및 적어도 영역들에서인 내측을 향하는 각각의 측면에서, 좌측의 다른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l.1, 22l.2, 72)과 우측의 다른 교체 가능한 포지셔닝 수단들(22r.1, 22r.2, 72)에는 다른 색들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KR1020167028486A 2014-03-28 2015-02-24 교합 스플린트 장치 KR102316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4408 2014-03-28
DE102014104408.8 2014-03-28
PCT/EP2015/053792 WO2015144374A1 (de) 2014-03-28 2015-02-24 Okklusionsschienen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315A KR20160142315A (ko) 2016-12-12
KR102316692B1 true KR102316692B1 (ko) 2021-10-22

Family

ID=5267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486A KR102316692B1 (ko) 2014-03-28 2015-02-24 교합 스플린트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660783B2 (ko)
EP (1) EP3122294B9 (ko)
JP (1) JP6437567B2 (ko)
KR (1) KR102316692B1 (ko)
AU (1) AU2015238742B2 (ko)
CA (1) CA2942082C (ko)
DK (1) DK3122294T5 (ko)
ES (1) ES2709383T3 (ko)
HK (1) HK1232115A1 (ko)
HU (1) HUE041937T2 (ko)
NZ (1) NZ723763A (ko)
PL (1) PL3122294T3 (ko)
PT (1) PT3122294T (ko)
TR (1) TR201820423T4 (ko)
WO (1) WO2015144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3328A4 (en) * 2015-11-30 2020-03-18 Selane Products, Inc. ADJUSTABLE ORAL APPARATUS FOR SLEEP APNEA
US20190105191A1 (en) * 2016-01-29 2019-04-11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Fin sleeves for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65213B2 (en) * 2016-03-25 2019-04-23 Jae Il Lim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on apparatus with exchangeable adjustor
WO2018003637A1 (ja) * 2016-06-28 2018-01-04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ウスピース
IT201600082134A1 (it) * 2016-08-04 2018-02-04 Leone Spa Dispositivo di avanzamento mandibolare, processo per la realizzazione di un apparecchio per l’avanzamento mandibolare e relativo apparecchio realizzato.
US11389322B2 (en) 2016-10-05 2022-07-19 Panthera Dental Inc.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WO2018123602A1 (ja) * 2016-12-27 2018-07-05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ウスピース
KR101959537B1 (ko) * 2017-04-21 2019-03-18 남관우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AU2018299419B2 (en) * 2017-07-11 2023-05-18 Stewart Culle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US20210186663A1 (en) * 2018-06-15 2021-06-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ppliance for Malocclusion Correction
KR102066677B1 (ko) * 2019-07-02 2020-01-15 이창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CA3157092A1 (en) * 2019-11-15 2021-05-20 Raghavendra Vitthalrao GHUGE Dynamic mandibular and lingual repositioning devices, controller station, and methods of treating and/or diagnosing medical disorders
USD932626S1 (en) 2020-05-13 2021-10-05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comfort bumps
RU2751970C1 (ru) * 2021-01-29 2021-07-21 Павел Евгеньевич Михальч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храпа
USD1019956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USD1019955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921A (en) * 1977-07-15 1978-12-26 Melvin Wallshein Method of making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replaceable tooth engaging means
US4571187A (en) * 1983-04-29 1986-02-18 Ipco Corporation Dental post for retention of a prosthetic superstructure
US6174162B1 (en) * 1999-12-27 2001-01-16 American Tooth Industries Instrument for adjusting orthodontic expander
US20040072117A1 (en) * 2002-08-19 2004-04-15 Ormco Corporation Aesthe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050028826A1 (en) * 2001-03-07 2005-02-10 Palmisano Richard Georg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070015105A1 (en) * 2005-07-13 2007-01-18 Campanello John E Dental sleeve
US20100016908A1 (en) * 2008-04-15 2010-01-21 Martin Ruth E Swallowing Air Pulse Therapy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10270166A1 (en) * 2010-03-04 2011-11-03 Martin Ruth E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10294088A1 (en) * 2010-05-25 2011-12-01 Juergen Bathen Tool for orthodontic appliance
US20130112210A1 (en) * 2011-11-03 2013-05-09 Ivan F. STEIN Oral Sleep Apnea Device
US20130298916A1 (en) * 2010-06-23 2013-11-14 Ramiro Michael Alvarez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WO2015143043A1 (en) * 2014-03-19 2015-09-24 Michael Gelb Apparatus and kit for a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975A (en) 1984-03-19 1985-07-09 Joseph Ghafari Cosmetic orthodontic device
US4654026A (en) * 1984-12-26 1987-03-31 Underwood Mara Z Intravascular tube assembly
AUPP450598A0 (en) * 1998-07-06 1998-07-30 Palmisano, Richard George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T411800B (de) * 2002-04-03 2004-05-25 Silhouette Int Schmied Ag Formschlüssige verbindung zwischen einem drahtstück und einem aus kunststoff gespritzten formkörper, insbesondere für eine brille
US7520281B1 (en) * 2004-05-06 2009-04-21 Group 3 Solutions, L.L.C. Fixed therapeutic oral appliance
US7090490B2 (en) * 2004-07-26 2006-08-15 Brian Keith Graham Attachable orthodontic hook system
US20090099664A1 (en) * 2007-10-16 2009-04-16 Forrester Perry C Subtalar implant and kit
DE112012006109A5 (de) 2012-03-26 2014-12-18 Konrad Hofmann Okklusionsschienenanordnung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921A (en) * 1977-07-15 1978-12-26 Melvin Wallshein Method of making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replaceable tooth engaging means
US4571187A (en) * 1983-04-29 1986-02-18 Ipco Corporation Dental post for retention of a prosthetic superstructure
US6174162B1 (en) * 1999-12-27 2001-01-16 American Tooth Industries Instrument for adjusting orthodontic expander
US20050028826A1 (en) * 2001-03-07 2005-02-10 Palmisano Richard Georg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040072117A1 (en) * 2002-08-19 2004-04-15 Ormco Corporation Aesthe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070015105A1 (en) * 2005-07-13 2007-01-18 Campanello John E Dental sleeve
US20100016908A1 (en) * 2008-04-15 2010-01-21 Martin Ruth E Swallowing Air Pulse Therapy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10270166A1 (en) * 2010-03-04 2011-11-03 Martin Ruth E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110294088A1 (en) * 2010-05-25 2011-12-01 Juergen Bathen Tool for orthodontic appliance
US20130298916A1 (en) * 2010-06-23 2013-11-14 Ramiro Michael Alvarez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US20130112210A1 (en) * 2011-11-03 2013-05-09 Ivan F. STEIN Oral Sleep Apnea Device
WO2015143043A1 (en) * 2014-03-19 2015-09-24 Michael Gelb Apparatus and kit for a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2294B1 (de) 2018-12-12
AU2015238742B2 (en) 2019-05-09
AU2015238742A1 (en) 2016-09-22
ES2709383T3 (es) 2019-04-16
PL3122294T3 (pl) 2019-04-30
TR201820423T4 (tr) 2019-01-21
US10660783B2 (en) 2020-05-26
WO2015144374A1 (de) 2015-10-01
EP3122294A1 (de) 2017-02-01
EP3122294B9 (de) 2019-04-17
DK3122294T3 (en) 2019-02-25
HK1232115A1 (zh) 2018-01-05
NZ723763A (en) 2020-01-31
ES2709383T9 (es) 2019-08-22
CA2942082C (en) 2022-04-19
CA2942082A1 (en) 2015-10-01
US20180168845A1 (en) 2018-06-21
KR20160142315A (ko) 2016-12-12
HUE041937T2 (hu) 2019-06-28
DK3122294T5 (da) 2019-05-13
JP6437567B2 (ja) 2018-12-12
JP2017508567A (ja) 2017-03-30
PT3122294T (pt)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692B1 (ko) 교합 스플린트 장치
US20200069457A1 (en)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CN108882990B (zh) 牙套
US7819660B2 (en) Reusable multi-piece orthodontic appliances
US20180221114A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with torque-adjusting drums
JP6650536B2 (ja) マウスピース
US11911235B2 (en) Occlusal splint arrangement with a fixing band
JP6267124B2 (ja) 口腔内装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調節方法
TW201632955A (zh) 眼鏡鏡片附接總成
KR20050004256A (ko) 부착가능한 상하 절반부를 갖는 치과기구, 및 부정교합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JP2015512307A5 (ko)
ES2877428T3 (es) Soporte de tubo de vía respiratoria
BR112016023605B1 (pt) Cabo para um aparelho para barbear, aparelho para barbear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cabo
JP2015511513A (ja) 咬合スプリント装置
JP2005052652A5 (ko)
CA2674656A1 (en) Removable bite plane appliance
CA2520733A1 (en) Orthodontic tool
US20160038259A1 (en) Dental applian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jaw of a patient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thereof
CN112770693B (zh) 咬合器
EP2486891A1 (en) Articulator
US20130164704A1 (en) Dental articulator and dental model fixing pin used for the same
CN116367791A (zh) 牙列矫正装置
CN214679045U (zh) 一种推离牙齿的矫正器
JP3429231B2 (ja) 歯科用印象トレー
WO2017084088A1 (zh) 关节支架可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