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687B1 -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687B1
KR102316687B1 KR1020190177839A KR20190177839A KR102316687B1 KR 102316687 B1 KR102316687 B1 KR 102316687B1 KR 1020190177839 A KR1020190177839 A KR 1020190177839A KR 20190177839 A KR20190177839 A KR 20190177839A KR 102316687 B1 KR102316687 B1 KR 10231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hole
din rai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127A (ko
Inventor
이훈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19017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687B1/ko
Priority to CN202011597933.5A priority patent/CN113133260B/zh
Publication of KR2021008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디바이스는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딘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 홈과, 상기 장착 홈과 연통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홀에 배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소정 각도를 이룬다.

Description

디바이스{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함이나 통신 장치와 같은 전기전자장비에는 다수의 전기전자기구들을 배열 장착하기 위한 부착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부착 방식에는 딘 레일(Din Rail) 취부 방식이 있다.
딘 레일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앵글 형상의 부재로서, 양측에 플랜지가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딘 레일 취부 방식은 전기전자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딘 레일 장착 홈 및 딘 레일 홀더에 의해 딘 레일에 간편하게 취부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딘 레일에 대한 전기전자기구들의 고정은 한 번 고정하게 될 경우 그 해체가 쉽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여 성형 및 가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기전자기구를 딘 레일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4800호(1998.06.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공구 없이 딘 레일에 착탈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디바이스는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딘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 홈과, 상기 장착 홈과 연통되는 제1 홀과,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홀에 배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소정 각도를 이룬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타단은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딘 레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딘 레일을 향하여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딘 레일을 상기 장착 홈에 배치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본체를 원 위치시켜 상기 딘 레일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영역은 상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기울기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알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알림 부재는 상기 돌기부와 일면과 타면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상기 알림 부재의 단부는 상기 돌기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별도의 공구 없이 딘 레일에 착탈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알림 부재의 동작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알림 부재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는 하우징(100)과,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디바이스(10)는 DIN(Deutsche Industrie Normen; 독일 공업 규격)을 따르는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구조물(2)에 고정된 딘 레일(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컨트롤러 유닛,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유닛, 인버터(Inverter) 유닛, 서보(Servo) 유닛, 전원 유닛, 입출력(I/O) 유닛, 센서 유닛, 스위치 유닛, 안전(Safety) 유닛, 릴레이(Relay) 유닛 등의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제외하지 않는다.
디바이스(10)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바이스(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딘 레일(3)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브라켓(200)을 통해 딘 레일(3)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장착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홈(110)은 하우징(100)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0)은 하우징(100) 중 구조물(2) 또는 딘 레일(3)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0)은 하우징(100)의 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0)의 형상과 크기는 딘 레일(3)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10)은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연장되며 서로 바라보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고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하우징(10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장착 홈(11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장착 홈(110)의 제1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제1 면의 중앙 영역에서 제2 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딘 레일(3)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은 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30)는 하우징(100)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0)에는 브라켓(200)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제1 홀(132)과, 제2 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32)과, 제2 홀(13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홀(132)은 장착 홈(11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132)은 장착 홈(110)의 제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32)에는 브라켓(200)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132)은 브라켓(200)의 타단(21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홀(132)은 장착 홈(110)의 제1 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홀(134)은 하우징(100)의 안착홈(130)이 배치되는 면과 연결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134)은 브라켓(20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134)은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브라켓(200)의 본체(210)와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의 형상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0)의 본체(210)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브라켓(200)의 본체(210)와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의 영역은 브라켓(200)의 외측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브라켓(2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제1 가이드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제2 홀(13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제2 홀(13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하우징(100) 중 제2 홀(134)이 형성되는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이드 유닛(140)은 본체(210)의 일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라켓(200)의 본체(210)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 가이드 유닛(14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의 하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이드 유닛(140)이 본체(210)의 일면을 가이드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제1 스토퍼 부재(2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와 접촉하는 제1 면과, 제1 면에서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40)의 제2 면은 제1 스토퍼 부재(2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브라켓(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제2 가이드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제2 홀(13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제2 홀(13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하우징(100) 중 제2 홀(134)이 형성되는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2 가이드 유닛(140)은 본체(210)의 타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라켓(200)의 본체(210)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 가이드 유닛(15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의 하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2 가이드 유닛(150)이 본체(210)의 타면을 가이드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제2 스토퍼 부재(24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은 제2 홀(124)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닛(150)의 상방으로 연장된 단부는 제2 스토퍼 부재(2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브라켓(2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제3 가이드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유닛(160)은 제1 홀(13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가이드 유닛(160)은 제1 홀(132)과 이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3 가이드 유닛(160)은 제1 홀(132)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가이드 유닛(16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유닛(16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유닛(160)은 하우징(100) 중 장착 홈(110)이 형성되는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3 가이드 유닛(160)은 본체(210)의 일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라켓(200)의 본체(210)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3 가이드 유닛(16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일면의 상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3 가이드 유닛(160)이 본체(210)의 일면을 가이드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는 제4 가이드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가이드 유닛(170)은 제1 홀(13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4 가이드 유닛(170)은 제1 홀(132)과 이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4 가이드 유닛(170)은 제1 홀(132)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4 가이드 유닛(17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4 가이드 유닛(17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4 가이드 유닛(170)은 하우징(100) 중 장착 홈(110)이 형성되는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4 가이드 유닛(170)은 본체(210)의 일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라켓(200)의 본체(210)가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4 가이드 유닛(170)은 브라켓(200)의 본체(210)의 타면의 상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2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제4 가이드 유닛(170)이 본체(210)의 타면을 가이드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유닛(140)과 제2 가이드 유닛(150)은 제1 가이드 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 유닛(160)과 제4 가이드 유닛(170)은 제2 가이드 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 부재의 기울기와 제2 가이드 부재의 기울기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는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에서의 브라켓(2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돌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80)는 하우징(100)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8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80)는 알림 부재(250)와 접촉할 수 있다. 돌기부(180)는 일면(180a)과 타면(180b)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이 이동하는 경우, 알림 부재(250)가 돌기부(180)의 일면(180a)과 타면(180b)을 이동하며 청각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걸리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었다는 느낌을 주어 제품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하우징(100)의 안착부(130)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딘 레일(3)을 향하여 하우징(100)을 가압하는 경우 하우징(100)과 딘 레일(3)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딘 레일(3)을 향하여 하우징(100)을 가압하는 경우, 브라켓(200)의 타단(212)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딘 레일(3)을 장착 홈(110)에 배치시키고, 탄성 부재(300)가 브라켓(200)을 원 위치시켜 딘 레일(3)을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브라켓(200)의 타단(212)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딘 레일(3)과 접촉하는 브라켓(200)의 타단(212)의 일 영역은 라운드(round)지거나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과 딘 레일(3)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외력을 가해 브라켓(200)의 일단(214)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브라켓(200)의 타단(212)은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딘 레일(3)을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때, 브라켓(200)은 스토퍼(230, 240)에 의해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하우징(100)에 대해 브라켓(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브라켓(200)에는 탄성 부재(220)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타단(212)이 원 위치로 복귀하여 딘 레일(3)을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의 소정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딘 레일(3)이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외력을 가해 브라켓(20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브라켓(200)의 타단(212)은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딘 레일(3)과 하우징(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딘 레일(3)과 하우징(100)이 분리된 후, 브라켓(200)은 탄성 부재(220)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공구 없이도 딘 레일(3)과 디바이스(1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브라켓(200)은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일단(214)은 제2 홀(134)을 관통할 수 있다. 본체(210)의 일측 또는 하부 영역은 제2 홀(134)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타단(212)은 제1 홀(132)을 관통할 수 있다. 본체(210)의 타측 또는 상부 영역은 제1 홀(132)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일단(214)과 타단(212)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210)는 브라켓(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10)의 일단(214)과 타단(212)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0)의 일단(214)과 타단(212)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체(210)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210)는 일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는 구조물(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210)의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210)의 일 영역에서 일단(214)은 제1 직선으로 형성되고, 본체(210)의 일 영역에서 타단(212)이 제2 직선으로 형성되며, 제1 직선과 제2 직선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
본체(210)의 타단(212)은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210)의 타단(212)은 장착 홈(11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하우징(100)을 딘 레일(3)에 착탈시킬 수 있다.
본체(210)는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와 접촉할 수 있다. 본체(210)는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에 의해 하우징(100)에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본체(210)의 일면은 제1 가이드 유닛(140)과 제3 가이드 유닛(16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본체(210)의 타면은 제2 가이드 유닛(150)과 제4 가이드 유닛(17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탄성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의 일단은 본체(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하우징(100)에 대하여 본체(2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20)는 본체(210)가 이동하는 경우, 본체(210)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0)의 단면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본체(210)가 볼록한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 부재(220)는 본체(210)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본체(210)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220)의 단부(220a)는 라운드(r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부재(220)의 단부(220a)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하우징(100) 내에서 탄성 부재(220)의 유동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스토퍼(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30, 240)는 본체(21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230, 240)는 본체(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230, 240)는 가이드 부재(140, 150, 160, 17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230, 240)는 하우징(100) 내에서 본체(2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본체(21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30, 240)는 제1 스토퍼(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30)는 본체(210)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30)는 제1 가이드 유닛(140)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30)의 하부는 제1 가이드 유닛(14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일단(214)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경우, 제1 스토퍼(230)는 제1 가이드 유닛(14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과도한 힘을 제공하는 경우에, 하우징(100)에 대한 브라켓(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30, 240)는 제2 스토퍼(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240)는 본체(210)의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40)는 제2 가이드 유닛(15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스토퍼(240)의 하부는 제2 가이드 유닛(15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일단(214)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스토퍼(240)는 제2 가이드 유닛(15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브라켓(200)의 일단(214)에 과도한 힘을 제공하는 경우에, 하우징(100)에 대한 브라켓(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알림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부재(250)는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다. 알림 부재(25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본체(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알림 부재(250)는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알림 부재(250)는 하우징(10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알림 부재(250)는 하우징(100)의 돌기부(180)와 접촉할 수 있다. 본체(210)의 일단(214)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알림 부재(250)는 하우징(100)의 돌기부(180)의 일면과 타면을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 부재(250)가 청각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걸리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었다는 느낌을 주어 제품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기부(180)와 접촉하는 알림 부재(250)의 단부(252, 254)는 돌기부(18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알림 부재(250)는 돌기부(180)의 일면(180a)과 접촉하는 일면(254)과, 돌기부(180)의 타면(180b)과 접촉하는 타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 부재(250)가 돌기부(180)의 일면(180a)과 타면(180b)을 이동하며 청각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걸리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었다는 느낌을 주어 제품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는 하우징(100)과, 브라켓(200)과, 탄성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에서 탄성 부재(300)는 브라켓(200)과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탄성 부재(300)는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300)의 일측은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브라켓(200)과 접촉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는 하우징(100)과, 브라켓(200)과, 탄성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에서 탄성 부재(400)는 브라켓(200)과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탄성 부재(400)는 하우징(100)과 브라켓(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400)는 하우징(100)의 제1 가이드 유닛(140)과 브라켓(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성 부재(40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브라켓(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의 경우 탄성 부재(400)를 하우징(100) 및 브라켓(200)과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하므로, 제품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 구조물 3: 딘 레일
10: 디바이스 100: 하우징
200: 브라켓 300: 탄성 부재
400: 탄성 부재

Claims (13)

  1. 딘 레일(Din Rail)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딘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 홈과, 상기 장착 홈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길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제2 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 사이를 이동하는 브라켓;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딘 레일과 마주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그리고,
    상기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3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홀에 슬라이딩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단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딘 레일을 분리시키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딘 레일을 향하여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의 타단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딘 레일을 상기 장착 홈에 배치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원 위치시켜 상기 딘 레일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슬롯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슬롯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슬롯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굽어지며 연장되어 형성된 변곡부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타단과 상기 본체에 대하여 대향하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영역은 상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하는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기울기는 다르게 형성되는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알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알림 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일면과 타면을 이동하고,
    상기 돌기부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는 상기 알림 부재의 단부는 상기 돌기부를 향해 돌출되는 디바이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는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디바이스.

KR1020190177839A 2019-12-30 2019-12-30 디바이스 KR10231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39A KR102316687B1 (ko) 2019-12-30 2019-12-30 디바이스
CN202011597933.5A CN113133260B (zh) 2019-12-30 2020-12-29 可拆装地结合到din导轨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39A KR102316687B1 (ko) 2019-12-30 2019-12-30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27A KR20210085127A (ko) 2021-07-08
KR102316687B1 true KR102316687B1 (ko) 2021-10-25

Family

ID=7677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39A KR102316687B1 (ko) 2019-12-30 2019-12-30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6687B1 (ko)
CN (1) CN11313326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33261A (zh) * 2002-01-14 2003-07-30 施耐德电器工业公司 可拆卸地固定电气装置的装置和配有这种装置的电气装置
JP2006521673A (ja) * 2003-03-26 2006-09-21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01647164A (zh) * 2007-03-30 2010-02-10 西门子公司 用于固定外壳的卡扣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929U (ja) 1993-03-31 1994-10-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素子の製造装置
JP4844911B1 (ja) * 2011-02-17 2011-12-28 株式会社安川電機 Dinレール取付型機器
JP2016072451A (ja) * 2014-09-30 2016-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nレール取付機器の取付装置
DE102015218108B4 (de) * 2015-09-21 2017-06-01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altgerät
JP2019079887A (ja) * 2017-10-23 2019-05-2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器具のdinレール取付部構造及び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33261A (zh) * 2002-01-14 2003-07-30 施耐德电器工业公司 可拆卸地固定电气装置的装置和配有这种装置的电气装置
JP2006521673A (ja) * 2003-03-26 2006-09-21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01647164A (zh) * 2007-03-30 2010-02-10 西门子公司 用于固定外壳的卡扣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33260B (zh) 2022-08-23
CN113133260A (zh) 2021-07-16
KR20210085127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31B1 (ko)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JP6178423B2 (ja) 接触式のドアスイッチ、特に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用接触式ドアスイッチ
WO2016051654A1 (ja) Dinレール取付装置、漏電検出ユニット、開閉器ユニット及び遮断機
WO2015104679A1 (en) Connector
KR102316687B1 (ko) 디바이스
US10499518B2 (en) Fixation bracket and control device
JP6228717B1 (ja) 支持装置
EP2849550B1 (en) Adjustment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EP3273756B1 (en) Board guide member and housing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JP2013013203A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EP3659870A1 (en) Wire harness
WO2019134386A1 (zh) 电子器件的安装座和电子设备
KR101682396B1 (ko) 스위칭 디바이스들, 특히 저전압 스위칭 디바이스들을 위한 전자 하우징
EP2876803B1 (en) Inverter device
KR100828847B1 (ko) 배터리 고정 구조
KR100712725B1 (ko) 칸막이 조립체
JP2017119994A (ja) 吊構造、吊装置、及び振れ止め装置
KR101683136B1 (ko) 케이블 하네스 거치지그 조립체
JP6004542B2 (ja) Dinレール取付構造
CN106653415B (zh) 开关接线装置
KR101091946B1 (ko) 와이어 하네스 거치지그
JP200534329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固定構造
KR102060649B1 (ko) 복수의 와이어링 번들을 포함하는 밴드 케이블
JP201603894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