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500B1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500B1
KR102316500B1 KR1020200002690A KR20200002690A KR102316500B1 KR 102316500 B1 KR102316500 B1 KR 102316500B1 KR 1020200002690 A KR1020200002690 A KR 1020200002690A KR 20200002690 A KR20200002690 A KR 20200002690A KR 102316500 B1 KR102316500 B1 KR 10231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tread
support
side space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484A (ko
Inventor
신미진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5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트레드 대응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대응부 및 상기 내측부를 지지하는 스포크부, 상기 스포크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비공기입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공기압에서 자유로운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연구 및 사용이 활발한데 비공기입 타이어는 압축 공기에 대한 주입등의 공정이 축소될 수 있어 안전성 및 제조 편의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비공기입 타이어의 구조 상 주행 중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특성, 내구성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트레드 대응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대응부 및 상기 내측부를 지지하는 스포크부, 상기 스포크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중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이와 다른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포크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는 비공기입 타이어의 노면에 대한 주행 특성, 내구성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110), 내측부(120), 스포크부(130), 공간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110)는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110)는 비공기입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11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11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11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미도시)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의 개수 및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110)는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11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시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110)의 외측에 보호층 또는 보강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110)의 외측에 별도의 트레드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대응부(1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트레드부(미도시)에 그루브 등의 패턴이 형성되고 트레드 대응부(110)의 외면에는 별도의 그루브 등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내측부(120)는 트레드 대응부(110)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12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120)의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1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부(120)는 림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림이 생략된 채 내측부(120)는 차량의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120)는 가급적 내구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120)는 속이 빈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1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110)와 상기 내측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1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110) 및 내측부(1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130)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110)와 상기 내측부(120)는 서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1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131)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110) 및 내측부(120)가 차량의 주행중에도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스포크부(130)의 스포크 연결 부재(131)들은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130)의 스포크 연결 부재(131)들은 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각형을 이루고, 구체적 예로서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130) 및 후술할 공간부(140)는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은 복수 개로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130)는 스포크 중간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중간 부재(132)는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연결되고 스포크부(130)의 높이를 정의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132)는 트레드 대응부(110)와 내측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130)의 내측에, 예를들면 스포크 중간 부재(132), 스포크 연결 부재(131) 및 트레드 대응부(11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132), 스포크 연결 부재(131) 및 내측부(12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포크 중간 부재(132)가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1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트레드 대응부(110) 및 내측부(1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132)가 트레드 대응부(110) 및 내측부(120)의 사이에 중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1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공간부(140)는 상기 스포크부(1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140)는 제1 측 공간부(141) 및 제2 측 공간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141)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142)는 비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3 기준).
한편,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의 일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110)와 스포크 중간 부재(132)의 사이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포크 연결 부재(131)의 일 영역을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지지부(150)는 상기 공간부(1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50)는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51)는 제1 측 공간부(1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51)는 제1 측 공간부(141)에 형성되어 제1 측 공간부(1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1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51)는 제1 측 공간부(1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1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1 측 공간부(141)로부터 제2 측 공간부(142)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51)는 제1 부재(151a) 및 제2 부재(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51a) 및 제2 부재(1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151a) 및 제2 부재(151b)는 각각 제1 측 공간부(141)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151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151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130)의 스포크 중간 부재(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151a)와 제2 부재(151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1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141)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151a)와 제2 부재(1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151a)와 제2 부재(1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151a)와 제2 부재(151b)는 트레드 대응부(1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1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151a)와 제2 부재(151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52)는 제2 측 공간부(1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52)는 제2 측 공간부(142)에 형성되어 제2 측 공간부(1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1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52)는 제2 측 공간부(1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1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2 측 공간부(142)로부터 제1 측 공간부(141)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52)는 제1 부재(152a) 및 제2 부재(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52a) 및 제2 부재(1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152a) 및 제2 부재(1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1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152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152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130)의 스포크 중간 부재(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152a)와 제2 부재(152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 공간부(1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142)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152a)와 제2 부재(1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152a)와 제2 부재(1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1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152a)와 제2 부재(152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52)는 제1 지지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가 견고하게 트레드 대응부(110)와 스포크 중간 부재(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지지부(152)는 제1 지지부(151)와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51)와 제2 지지부(15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151)의 제1 부재(151a)와 제2 지지부(152)의 제1 부재(152a)의 사이에 중간 공간부(140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51)의 제2 부재(151b)와 제2 지지부(152)의 제2 부재(152b)의 사이에 중간 공간부(14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51a)와 제1 부재(152a)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부(140c)는 제2 부재(151b)와 제2 부재(152b)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부(140c)와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포크부(130)의 상하,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110)와 내측부(120) 또는 트레드 대응부(110)와 스포크 중간 부재(132)의 사이의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비공기입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는 도 3을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110)와 스포크 중간 부재(1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 예를들면 도 3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132)와 내측부(1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151) 및 제2 지지부(1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2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210), 내측부(220), 스포크부(230), 공간부(240) 및 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210)는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210)는 비공기입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21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21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21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미도시)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의 개수 및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210)는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21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시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210)의 외측에 보호층 또는 보강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210)의 외측에 별도의 트레드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대응부(2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220)는 트레드 대응부(210)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22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220)의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2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부(220)는 림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림이 생략된 채 내측부(220)는 차량의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220)는 가급적 내구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220)는 속이 빈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2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210)와 상기 내측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2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210) 및 내측부(2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230)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210)와 상기 내측부(220)는 서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2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210) 및 내측부(220)가 차량의 주행중에도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스포크부(230)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들은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230)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들은 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각형을 이루고, 구체적 예로서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230) 및 후술할 공간부(240)는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은 복수 개로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230)는 스포크 중간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중간 부재(232)는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연결되고 스포크부(230)의 높이를 정의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232)는 트레드 대응부(210)와 내측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230)의 내측에, 예를들면 스포크 중간 부재(232), 스포크 연결 부재(231) 및 트레드 대응부(21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232), 스포크 연결 부재(231) 및 내측부(22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포크 중간 부재(232)가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2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트레드 대응부(210) 및 내측부(2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232)가 트레드 대응부(210) 및 내측부(220)의 사이에 중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2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공간부(240)는 상기 스포크부(2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240)는 제1 측 공간부(241) 및 제2 측 공간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241)는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242)는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7 기준).
지지부(250)는 상기 공간부(2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50)는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51)는 제1 측 공간부(2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51)는 제1 측 공간부(241)에 형성되어 제1 측 공간부(2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2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251)는 제1 측 공간부(2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2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1 측 공간부(241)로부터 제2 측 공간부(242)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251)는 제1 부재(251a) 및 제2 부재(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51a) 및 제2 부재(2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51a) 및 제2 부재(251b)는 각각 제1 측 공간부(241)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251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251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230)의 스포크 중간 부재(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51a)와 제2 부재(251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2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241)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251a)와 제2 부재(2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251a)와 제2 부재(2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251a)와 제2 부재(251b)는 트레드 대응부(2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2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251a)와 제2 부재(251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252)는 제2 측 공간부(2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52)는 제2 측 공간부(242)에 형성되어 제2 측 공간부(2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2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252)는 제2 측 공간부(2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2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2 측 공간부(242)로부터 제1 측 공간부(241)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252)는 제1 부재(252a) 및 제2 부재(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52a) 및 제2 부재(2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52a) 및 제2 부재(2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2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252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252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230)의 스포크 중간 부재(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252a)와 제2 부재(252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 공간부(2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242)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252a)와 제2 부재(2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252a)와 제2 부재(2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252a)와 제2 부재(252b)는 트레드 대응부(2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2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2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252a)와 제2 부재(252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252)는 제1 지지부(251)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51)와 제2 지지부(2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240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공간부(240c)는 트레드 대응부(210)와 스포크 중간 부재(232)의 사이에 제1 지지부(251)와 제2 지지부(252)의 사이에 연결된 연장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비공기입 타이어(200)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고, 비공기입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에 대한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는 도 7을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210)와 스포크 중간 부재(2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 예를들면 도 7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232)와 내측부(2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251) 및 제2 지지부(2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비교하여 2개의 스포크 중간 부재(232')가 도시된 것이 상이하다.
제1 지지부(251')는 제1 측 공간부(241')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지지부(252')는 제1 측 공간부(2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51')와 제2 지지부(2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240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공간부(240c')는 트레드 대응부(210')와 스포크 중간 부재(232')의 사이에 제1 지지부(251')와 제2 지지부(252')의 사이에 연결된 연장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간 공간부(240c')는 두 개의 스포크 중간 부재(232')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232')와 내측부(2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스포크 중간 부재(232')를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스포크 중간 부재(232')사이의 간격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간 공간부(240c')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드 대응부(210')와 내측부(220')의 사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 공간부(241') 및 제2 측 공간부(242')의 높이를 감소하여 돌과 같은 이물의 유입을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고, 유입된 이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 및 후술할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가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된 구조를 갖게 되어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3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310), 내측부(320), 스포크부(330), 공간부(340) 및 지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310)는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310)는 비공기입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31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31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31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미도시)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의 개수 및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310)는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31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시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310)의 외측에 보호층 또는 보강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310)의 외측에 별도의 트레드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대응부(3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320)는 트레드 대응부(310)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32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320)의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3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부(320)는 림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림이 생략된 채 내측부(320)는 차량의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320)는 가급적 내구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320)는 속이 빈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3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310)와 상기 내측부(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3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310) 및 내측부(3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330)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310)와 상기 내측부(320)는 서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3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310) 및 내측부(320)가 차량의 주행중에도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스포크부(330)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들은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330)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들은 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각형을 이루고, 구체적 예로서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330) 및 후술할 공간부(340)는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은 복수 개로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330)는 스포크 중간 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중간 부재(332)는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연결되고 스포크부(330)의 높이를 정의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332)는 트레드 대응부(310)와 내측부(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330)의 내측에, 예를들면 스포크 중간 부재(332), 스포크 연결 부재(331) 및 트레드 대응부(31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332), 스포크 연결 부재(331) 및 내측부(32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포크 중간 부재(332)가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3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트레드 대응부(310) 및 내측부(3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332)가 트레드 대응부(310) 및 내측부(320)의 사이에 중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3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공간부(340)는 상기 스포크부(3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340)는 제1 측 공간부(341) 및 제2 측 공간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341)는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342)는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11 기준).
지지부(350)는 상기 공간부(3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350)는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51)는 제1 측 공간부(3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51)는 제1 측 공간부(341)에 형성되어 제1 측 공간부(3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3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351)는 제1 측 공간부(3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3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1 측 공간부(341)로부터 제2 측 공간부(342)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351)는 제1 부재(351a) 및 제2 부재(3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51a) 및 제2 부재(3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351a) 및 제2 부재(351b)는 각각 제1 측 공간부(341)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351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351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330)의 스포크 중간 부재(3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3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341)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는 트레드 대응부(3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3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352)는 제2 측 공간부(3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52)는 제2 측 공간부(342)에 형성되어 제2 측 공간부(3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3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352)는 제2 측 공간부(3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3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2 측 공간부(342)로부터 제1 측 공간부(341)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352)는 제1 부재(352a) 및 제2 부재(3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52a) 및 제2 부재(3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352a) 및 제2 부재(3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3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352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352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330)의 스포크 중간 부재(3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 공간부(3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342)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는 트레드 대응부(3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3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3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 연결 부재(353)가 제2 지지부(352)와 제1 지지부(3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연결 부재(353)는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연결 부재(353)를 통하여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비공기입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트레드 대응부(310) 및 내측부(320)의 사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지지 연결 부재(353)는 상측으로 인접한 부재 및 하측으로 부재와 이격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3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33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51)와 제2 지지부(3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340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공간부(340c)는 트레드 대응부(310)와 스포크 중간 부재(332)의 사이에 제1 지지부(351)와 제2 지지부(3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 공간부(340c)는 지지 연결 부재(353)로 분할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공간부(340c)를 통하여 비공기입 타이어(300)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고, 비공기입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에 대한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340c)를 분할하도록 지지 연결 부재(353)가 형성될 수 있어 중간 공간부(340c)의 전체적인 크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탄성력 향상을 통한 충격 완화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트레드 대응부(310)와 내측부(320) 사이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는 도 11을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310)와 스포크 중간 부재(3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 예를들면 도 11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332)와 내측부(3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351) 및 제2 지지부(3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가 형성되어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공간부를 분할하도록 지지 연결 부재가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탄성력을 향상한 충격 완화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비공기입 타이어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4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410), 내측부(420), 스포크부(430), 공간부(440) 및 지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410)는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410)는 비공기입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41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4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41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41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미도시)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의 개수 및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410)는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41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시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410)의 외측에 보호층 또는 보강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410)의 외측에 별도의 트레드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대응부(4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420)는 트레드 대응부(410)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4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42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420)의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4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부(420)는 림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림이 생략된 채 내측부(420)는 차량의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420)는 가급적 내구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420)는 속이 빈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4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410)와 상기 내측부(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4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410) 및 내측부(4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430)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410)와 상기 내측부(420)는 서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4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410) 및 내측부(420)가 차량의 주행중에도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스포크부(430)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들은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430)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들은 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각형을 이루고, 구체적 예로서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430) 및 후술할 공간부(440)는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은 복수 개로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430)는 스포크 중간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중간 부재(432)는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연결되고 스포크부(430)의 높이를 정의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432)는 트레드 대응부(410)와 내측부(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430)의 내측에, 예를들면 스포크 중간 부재(432), 스포크 연결 부재(431) 및 트레드 대응부(41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432), 스포크 연결 부재(431) 및 내측부(42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포크 중간 부재(432)가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4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트레드 대응부(410) 및 내측부(4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432)가 트레드 대응부(410) 및 내측부(420)의 사이에 중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4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공간부(440)는 상기 스포크부(4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4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440)는 제1 측 공간부(441) 및 제2 측 공간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441)는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442)는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14 기준).
지지부(450)는 상기 공간부(4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50)는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51)는 제1 측 공간부(4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451)는 제1 측 공간부(441)에 형성되어 제1 측 공간부(4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4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451)는 제1 측 공간부(4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4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1 측 공간부(441)로부터 제2 측 공간부(442)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451)는 제1 부재(451a) 및 제2 부재(4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51a) 및 제2 부재(4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451a) 및 제2 부재(451b)는 각각 제1 측 공간부(441)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451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451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430)의 스포크 중간 부재(4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451a)와 제2 부재(451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4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441)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451a)와 제2 부재(4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451a)와 제2 부재(4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451a)와 제2 부재(451b)는 트레드 대응부(4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451a)와 제2 부재(451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452)는 제2 측 공간부(4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52)는 제2 측 공간부(442)에 형성되어 제2 측 공간부(4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4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452)는 제2 측 공간부(4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4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2 측 공간부(442)로부터 제1 측 공간부(441)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452)는 제1 부재(452a) 및 제2 부재(4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52a) 및 제2 부재(4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452a) 및 제2 부재(4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4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452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452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430)의 스포크 중간 부재(4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 공간부(4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442)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는 트레드 대응부(4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4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452a)와 제2 부재(452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452)는 제1 지지부(4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가 견고하게 트레드 대응부(410)와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지지부(452)는 제1 지지부(451)와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451)와 제2 지지부(4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440c)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공간부(440c)는 트레드 대응부(410)와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에 제1 지지부(451)와 제2 지지부(4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451)의 제1 부재(451a)와 제2 지지부(452)의 제1 부재(452a)의 사이에 중간 공간부(440c)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부(451)의 제2 부재(451b)와 제2 지지부(452)의 제2 부재(452b)의 사이에 중간 공간부(44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포크부(430)의 상하,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410)와 내측부(420) 또는 트레드 대응부(410)와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의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비공기입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한 개 이상의 슬릿부(459)가 제1 지지부(451) 또는 제2 지지부(45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부(459)는 유체가 연통할 수 있는 개구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슬릿부(459)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440c)와 제1 측 공간부(441)간에 유체가 연통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중간 공간부(440c)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슬릿부(459)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슬릿부(459)는 제1 지지부(451)의 제1 부재(451a) 또는 제2 부재(451b)에 각각 한 개 이상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부(459)는 제2 지지부(452)의 제1 부재(452a) 또는 제2 부재(452b)에 각각 한 개 이상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중간 공간부(440c)와 제1 측 공간부(441)의 연통, 중간 공간부(440c)와 제2 측 공간부(442)의 연통 또는 제1 측 공간부(441)와 제2 측 공간부(442)간의 연통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의 형성될 수 있고, 배수 특성 및 소음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의 무게를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4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슬릿부(459)의 구조를 전술한 실시예들 및 후술할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는 도 14를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410)와 스포크 중간 부재(4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 예를들면 도 11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432)와 내측부(4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451) 및 제2 지지부(4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가 형성되어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에 추가적으로 한 개 이상의 슬릿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슬릿부는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의 일 영역이 제거된 개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슬릿부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불필요한 유체가 중간 공간부에 잔류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5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510), 내측부(520), 스포크부, 공간부(540) 및 지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5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5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540)는 제1 측 공간부(541) 및 제2 측 공간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541)는 비공기입 타이어(5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542)는 비공기입 타이어(5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16 기준).
한편,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6의 일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510)와 스포크 중간 부재(532)의 사이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포크 연결 부재(531)의 일 영역을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지지부(550)는 상기 공간부(5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550)는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51)는 제1 측 공간부(541)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551)는 제1 부재(551a) 및 제2 부재(5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551a) 및 제2 부재(5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51)의 제1 부재(552a) 및 제2 부재(5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5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52)는 제2 측 공간부(542)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552)는 제1 부재(552a) 및 제2 부재(5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52)의 제1 부재(552a) 및 제2 부재(5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552a) 및 제2 부재(5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5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51)와 제2 지지부(5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540c1, 540c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공간부(540c1, 540c2)는 트레드 대응부(510)와 스포크 중간 부재(532)의 사이에 제1 지지부(551)와 제2 지지부(5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 및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는 트레드 대응부(510)와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540c1) 및 중간 공간부(540c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는 서로 인접한 양측의 스포크 연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540c1) 및 중간 공간부(540c2)는 서로 구획되지 않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는 서로 인접한 양측의 스포크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는 일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는 스포크 중간 부재(532)와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540c1) 및 중간 공간부(540c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는 서로 인접한 양측의 스포크 연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540c1) 및 중간 공간부(540c2)는 서로 구획되지 않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는 서로 인접한 양측의 스포크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는 일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 및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는 서로 적어도 일 영역에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세로 지지 부재(455U) 및 제2 세로 지지 부재(455D)를 통하여 중간 공간부(540c1, 540c2)에서의 트레드 대응부(510)와 스포크 중간 부재(532)간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는 도 16을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510)와 스포크 중간 부재(5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 예를들면 도 16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532)와 내측부(5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가 형성되어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제1 세로 지지 부재 또는 제2 세로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변형이나 파손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세로 지지 부재 또는 제2 세로 지지 부재는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일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대응부(610), 내측부(620), 스포크부(630), 공간부(640) 및 지지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610)는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610)는 비공기입 타이어(6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61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r)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대응부(610)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미도시)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미도시)의 개수 및 형태는 비공기입 타이어(미도시)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는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시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의 외측에 보호층 또는 보강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의 외측에 별도의 트레드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드 대응부(610)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620)는 트레드 대응부(610)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6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620)는 예를들면 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갖고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620)의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6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내측부(620)는 림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림이 생략된 채 내측부(620)는 차량의 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620)는 가급적 내구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부(620)는 속이 빈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6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610)와 상기 내측부(6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630)는 상기 트레드 대응부(610) 및 내측부(6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630)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610)와 상기 내측부(620)는 서로 지나치게 가까워져 서로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6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610) 및 내측부(620)가 차량의 주행중에도 접촉하지 않고 거리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스포크부(630)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들은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포크부(630)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들은 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다각형을 이루고, 구체적 예로서 육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포크부(630) 및 후술할 공간부(640)는 하나의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은 복수 개로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포크부(630)는 스포크 중간 부재(6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 중간 부재(632)는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연결되고 스포크부(630)의 높이를 정의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스포크 중간 부재(632)는 트레드 대응부(610)와 내측부(6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포크부(630)의 내측에, 예를들면 스포크 중간 부재(632), 스포크 연결 부재(631) 및 트레드 대응부(61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632), 스포크 연결 부재(631) 및 내측부(620)로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포크 중간 부재(632)가 없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6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트레드 대응부(610) 및 내측부(6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스포크 중간 부재(632)가 트레드 대응부(610) 및 내측부(620)의 사이에 중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포크부(630)의 내측의 공간의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공간부(640)는 상기 스포크부(6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6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간부(640)는 제1 측 공간부(641) 및 제2 측 공간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641)는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측 공간부(642)는 비공기입 타이어(6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도 20 기준).
지지부(650)는 상기 공간부(640)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650)는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51)는 제1 측 공간부(6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51)는 제1 측 공간부(641)에 형성되어 제1 측 공간부(6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6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651)는 제1 측 공간부(641)의 영역 중 제2 측 공간부(642)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1 측 공간부(641)로부터 제2 측 공간부(642)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651)는 제1 부재(651a) 및 제2 부재(6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51a) 및 제2 부재(651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651a) 및 제2 부재(651b)는 각각 제1 측 공간부(641)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651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6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651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630)의 스포크 중간 부재(6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 공간부(6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641)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는 트레드 대응부(6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6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는 각각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연장 지지부(651')가 제1 지지부(651)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측 공간부(641)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651a)와 제2 부재(651b)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제1 부재(651a)가 연장된 제1 연장 부재(651a') 및 제2 부재(651b)가 연장된 제2 연장 부재(6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부재(651a') 및 제2 연장 부재(651b')는 각각 스포크 중간 부재(632) 및 트레드 대응부(6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52)는 제2 측 공간부(64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52)는 제2 측 공간부(642)에 형성되어 제2 측 공간부(6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6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652)는 제2 측 공간부(642)의 영역 중 제1 측 공간부(641)를 향하는 영역에 형성 시 제2 측 공간부(642)로부터 제1 측 공간부(641)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652)는 제1 부재(652a) 및 제2 부재(6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52a) 및 제2 부재(652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652a) 및 제2 부재(652b)는 각각 제2 측 공간부(642)의 상부 및 하부 경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부재(652a)의 일 영역은 트레드 대응부(6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652b)의 일 영역은 스포크부(630)의 스포크 중간 부재(6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의 사이의 거리는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 공간부(6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642)는 개방된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연결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는 각각 양측의 서로 마주하는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전체적으로 접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는 트레드 대응부(610) 및 스포크 중간 부재(632)의 사이에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스포크 연결 부재(631)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는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는 각각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장 지지부(652')가 제2 지지부(652)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 측 공간부(642)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652a)와 제2 부재(652b)가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제1 부재(652a)가 연장된 제1 연장 부재(652a') 및 제2 부재(652b)가 연장된 제2 연장 부재(6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부재(652a') 및 제2 연장 부재(652b')는 각각 스포크 중간 부재(632) 및 트레드 대응부(6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서 세로 지지부(65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세로 지지부(656)는 트레드 대응부(610)와 스포크 중간 부재(6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트레드 대응부(610)와 스포크 중간 부재(632)에 연결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로 지지부(656)는 제1 연장 지지부(651')와 제2 연장 지지부(6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로 지지부(656)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510)와 스포크 중간 부재(532)간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부(551) 및 제2 지지부(552)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51)와 제2 지지부(652)의 사이 및 제1 연장 지지부(651')와 제2 연장 지지부(652')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640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공간부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측 공간부(641)와 가까운 영역에서 중간 공간부(640C)는 제1 지지부(651)의 제1 부재(651a), 제2 연장 부재(651b') 및 트레드 대응부(6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부(651)의 제2 부재(651b), 제1 연장 부재(651a') 및 스포크 중간 부재(6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장 부재(651a'), 제2 연장 부재(651b') 및 세로 지지부(65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는 도 20을 기준으로 상측의 것을 설명하였다. 즉 트레드 대응부(610)와 스포크 중간 부재(632)의 사이의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를 참고로 설명하였다.
하측의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 예를들면 도 11을 기준으로 스포크 중간 부재(632)와 내측부(620)의 사이에 배치된 의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는 전술한 제1 지지부(651) 및 제2 지지부(652)와 동일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공기입 타이어는 제1 측 공간부에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제2 측 공간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스포크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 대응부와 스포크 중간 부재 사이의 공간 및 스포크 중간 부재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제1 측 공간부에서 제2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고, 제2 지지부를 통하여 제2 측 공간부에서 제1 측 공간부로의 이물, 예를들면 돌 등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돌과 같은 이물이 끼이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고 끼인후에도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연결되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부터 돌이 끼어오더라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의 접촉을 통한 하중으로 인하여 돌과 같은 이물이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나 빗길에서의 주행중에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연결된 곳까지 진입 후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중 용이하게 제1 측 공간부의 개방된 영역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의 설명은 제2 지지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 공간부 또는 제2 측 공간부를 통하여 돌과 같은 이물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끼이는 것, 또는 끼인 채 유지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여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성능을 향상하여 승차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물등의 존재로 인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손상을 감소하여 비공기입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안정적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공간부가 형성되어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영역에서의 탄성력을 향상하여 충격 완화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와 연장된 제1 연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지지부와 연장된 제2 연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연장 지지부 및 제2 연장 지지부는 각각 제1 측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상측 및 하측의 면과 연결될 수 있어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통한 주행 중 노면과 접하여 하중이 가해질 때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공간에서의 하중 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서 세로 지지부를 통하여 트레드 대응부와 내측부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비공기입 타이어
110, 210, 310, 410, 510, 610: 트레드 대응부
120, 220, 320, 420, 520, 620: 내측부
130, 230, 330, 430, 530, 630: 스포크부
150, 250, 350, 450, 550, 650: 지지부
140, 240, 340, 440, 540, 640: 공간부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시 노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트레드 대응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대향하고 트레드 대응부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
    상기 트레드 대응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대응부 및 상기 내측부를 지지하는 스포크부;
    상기 스포크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공간부의 높이를 정의하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중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이와 다른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비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포크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200002690A 2020-01-08 2020-01-08 비공기입 타이어 KR10231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90A KR102316500B1 (ko) 2020-01-08 2020-01-08 비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90A KR102316500B1 (ko) 2020-01-08 2020-01-08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84A KR20210089484A (ko) 2021-07-16
KR102316500B1 true KR102316500B1 (ko) 2021-10-25

Family

ID=7715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90A KR102316500B1 (ko) 2020-01-08 2020-01-08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5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659A (en) * 1992-03-18 1993-11-30 Uniroyal Goodrich Licensing Services, Inc. Non-pneumatic tire with ride-enhancing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84A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4973C (zh) 充气轮胎
EP3560733B1 (en)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JPS6038212A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KR960015017B1 (ko) 중하중용 공기 유입 레이디얼 타이어
KR10231650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6945347B2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RU2758560C1 (ru) Сплошная шина с особыми амортизирующими отверстиями, разработанная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CN117355424A (zh) 轮胎
JPH0524415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4218408A (ja) 重荷重用タイヤ
JP201118385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57884B1 (ko) 타이어
JP68122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709675B2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KR10233589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149241B1 (ko) 트레드 웨이빙 및 고주파 노이즈가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
JP680726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00028167A (ko) 공기입 타이어
KR102598512B1 (ko) 타이어
JP555290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77251B1 (ko) 타이어
KR10265663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JPH04100702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2372898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304422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