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455B1 -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455B1
KR102316455B1 KR1020190106779A KR20190106779A KR102316455B1 KR 102316455 B1 KR102316455 B1 KR 102316455B1 KR 1020190106779 A KR1020190106779 A KR 1020190106779A KR 20190106779 A KR20190106779 A KR 20190106779A KR 102316455 B1 KR102316455 B1 KR 10231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beacon
disaster
emergency light
ligh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261A (ko
Inventor
김성태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김성태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4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된 비상등으로서,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 상기 구조 요청을 보내온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System for smart disaster safety}
본 발명은 재난안전 시스템으로서, 재난 안전 사고시 건물 내부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 활동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수신기의 원리는 감지기나 발신기의 작동시 화재수신기에 화재신호가 입력이 되고 그로 인하여 주경종 및 지구경종이 연동되어 경보음을 알리는 방식이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소화기 위치 알림장치는 축광도료를 이용한 스티커 부착방식으로서 대부분 소방대상물에는 축광도료를 이용한 소화기 위치알림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유흥주점 및 단란주점 등 다중이용시설에 규정된 현 소방법도 경보설비는 화재신호가 감지기나 발신기의 작동으로 인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알려주고 주경종, 지구경종을 명동시켜 대피시켜주는 기능과 소화설비는 각 구획된 실마다 수동식 또는 자동식소화기가 설치되도록 명시되어 있다.
기존의 자동화재속보설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작동하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외부접점에 의해 자동화재속보설비에 화재신호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자동화재속보설비는 자동으로 119에 전화를 걸고 미리 녹음한 주소정보를 소방관서에 통보하여 화재를 알리는 설비이다.
한편, 건물 등에는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위험한 상황시에 구비하고 긴급피난을 위한 비상문이 마련되어 있다. 비상문에는 통상 어떠한 긴급사태 통보장치가 부속되어 있다. 난방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위험이 높아지고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되면서 구조변경이 급증, 유일한 대피처인 옥상 개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비상문 자동 개폐시스템은 각종 공공건물 및 빌딩, 호텔, 아파트, 학교 등의 다중이용시설물에 대한 인명의 안전대피를 위해 소방법 제30조의 2항, 동법 31조에 따라 설치, 유지가 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 당황하여 비상문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상문 위치를 연속적으로 안내해 주어야 하나 화재발생으로 인한 매연발생으로 시계가 불량해 진다.
특히 1인 가맹점, 편의점 등의 다양한 매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손님 들이 우왕좌왕하며 대피 공간으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는 매장을 처음 방문한 고객의 경우, 대피로를 숙지하지 못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실내 벽체가 강화 유리면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사람 힘으로는 강화 유리면의 파괴가 어려워서 대피를 하지 못해 많은 인명 피해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실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초기에 긴급대피를 하지 않으면 유독성 매연으로 인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도 1에 도시된 자동화재속보설비는 화재 현장에 갇힌 조난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유독성 매연으로 인한 대형 인명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현장에 갇힌 조난자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구조시켜야 할 수단의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5436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난 안전 사고시 건물 내부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 활동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재난안전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된 비상등으로서,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 상기 구조 요청을 보내온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 비상등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구조 요청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 조사기; 주변의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는 비콘 기기; 상기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될 시에 상기 레이저빔 조사기를 통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은, 상기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와 비콘 통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여 직접 구조 요청하는 재난안전 앱이 설치된 구조 요청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재난안전 앱은, 구조 요청 시에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의 위치 정보와 함께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의 제어기는,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구호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재난안전 앱이 전송하는 환경 정보가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인 경우,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의 제어기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장비 종류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재난안전 앱이 전송하는 환경 정보가 주변 영상인 경우,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의 제어기는, 구조 요청자의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경로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의 제어기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1대피 안내 정보와, 구조 요청자의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제2대피 안내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바닥이나 벽에 설치된 햅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지센서, 연기센서와 비콘(Beacon)을 통한 WIFI 또는 Bluetooth망으로 피난구조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119구조상황실로 즉시 자동 전파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화재 신고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비상등 장치가 각 방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비상등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구호 정보의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대피 안내 정보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모듈의 자기 자극 원리를 설명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모듈의 구성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비상등 장치가 각 방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비상등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구호 정보의 예시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 요청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대피 안내 정보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모듈의 자기 자극 원리를 설명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된 비상등으로서,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100)와, 구조 요청을 보내온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은 재난안전 앱이 설치된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비콘 비상등 장치(100)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된 비상등으로서,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방, 통로 등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비콘 비상등 장치(100)는,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센서(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레이저빔 조사기(130), 비콘 기기(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10)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화염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의 다양한 화재 감지 센서(11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구조 요청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구조 요청자가 설정값에 따른 일정 거리안에 움직임이 포착됐을 시에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단순히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스쳐 지나가는 사람의 움직임과, 제자리에 멈춘 뒤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자가 비콘 비상등 장치(100) 앞에서 손을 흔드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 구조 요청 동작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구조 요청자가 해당 비콘 비상등을 스쳐 지나치는 경우에는 구조 요청 동작으로 감지하지 않는다.
레이저빔 조사기(130)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기기이다. 레이저빔은 빛보다 그 발광거리가 현저히 길고 빛 파장의 퍼짐이 없어 직선상, 측면 등의 거리에서 연기등으로 인한 방향감이 상실된 구조 요청자를 신속히 유도하며, 음성안내를 통한 구조 요청자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비콘 기기(140)는, 주변의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는 기기로서,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와 비콘 통신할 수 있다. 참고로, 비콘(beacon) 통신은 알려진 바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말하는데, 일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비콘은 블루투스 4.0 이상의 버전인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전력 소모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BLE는 기존 블루투스의 전력 소모량을 개선해 소형 배터리 하나로도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연결 수에도 제한이 없어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기기와 동시 연결이 가능하다. 비콘은 약 50~70m(최대 100m) 범위에 사용자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감지 및 교신한다. 또한, 5~10cm 단위로 기기별 구분도 가능해 한정된 공간에 여러 사용자가 있어도 개인별로 맞춤형 정보 송신을 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화재 감지 센서(11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며,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될 시에 레이저빔 조사기(130)를 통해 레이저빔을 비추며,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예컨대, 비상등 장치의 설치 구역, 비콘 고유번호, 비상등 장치 식별번호, GPS 위치 정보 등)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비콘(Beacon) 기능을 통한 구조 요청자의 위치 파악으로 비콘(Beacon)은 그 기능에 따라 구조 요청자가 일정 거리안에 움직임이 포착됐을시 이를 119 상황실과 같은 재난안전 관제센터로 구조자의 정확한 위치가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열감지센서, 연기센서, 동작센서 등의 화재 감지 센서(110)의 화재 감지가 있게 되면 재난 구조 모드로 활성화되고, 그 즉시 비콘(Beacon) 또한 활성화된다. 비콘(Beacon)이 감지되는 거리안으로 구조 요청자를 유도하기 위해 레이저빔이 활성화된다.
참고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콘 비상등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기를 구비하고 있어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는, 119상황실과 같은 재난안전 관제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는, 구조 요청을 보내온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화재진화 소방관은 즉시 구조 요청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구조 요청자 단말기는, 화재 발생시에 비콘 비상등 장치(100)를 통하여 구조 요청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콘 통신부(410), 단말기 저장부(420), 단말기 표시부(430), 단말기 입력부(440), 및 단말기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통신부(410)는,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비콘 기기(140)와 비콘 통신하는 모듈이다.
단말기 저장부(420)는, 본 발명의 재난안전 앱,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표시부(430)는, 대피화면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단말기 입력부(440)는,구조 요청자로부터 입력받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440)와 단말기 표시부(4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학습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450)는, 단말기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듈이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100)와 비콘 통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여 직접 구조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 비콘 비상등과의 비콘 연동되는 재난안전 앱(어플) 설치시 해당건물, 해당재난 주변에 있고, 그 사람이 구조요청을 직접 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해당재난안전 앱(어플)은 재난 당사자의 위치를 정확히 119 상황실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재난안전 앱은, 구조 요청자의 위치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조 요청자의 주변의 환경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여, 이에 맞는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의 재난안전 앱은, 구조 요청 시에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비콘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구호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의 재난안전 앱이 전송하는 환경 정보가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인 경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장비 종류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비콘 통신을 통해 수신된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가 임산부인 것으로 파악되면, 임산부에 대한 응급 처리가 가능한 의료장비를 구비할 것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비콘 통신을 통해 수신된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가 걷지 못하는 장애인 것으로 파악되면, 장애인의 이동수단인 휠체어가 구비된 의료장비를 구비할 것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의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하는 환경 정보가 주변 영상인 경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경로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주변 영상을 통해 화염이 가장 약한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에게 알려주어, 해당 위치를 통해 구조 요청자에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은, 구조 요청자의 위치 정보, 환경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조 요청자의 주변의 환경 정보에 맞는 맞춤형 구호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하여, 효율적인 당사자 스스로의 대피가 가능하게 하도록 구현한다.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대피 안내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에는 도 7과 같이 대피 안내 정보가 표시되어 구조 요청자는 스스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1대피 안내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자가 젊은 사람인 경우 옥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대피 안내 정보를 전송하며, 구조 요청자가 이동이 어려운 노인이나 어린이인 경우 해당 층의 대피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대피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조 요청자의 주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제2대피 안내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자의 주변 영상을 분석한 결과 화염이 약한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하는 제2대피 안내 정보를 비콘 통신을 통하여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은, 건물의 바닥이나 벽에 설치된 햅틱 모듈을 구비하며, 햅틱 모듈은, 화재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햅틱(진동) 모듈을 바닥이나 벽등에 설치하여 연기나 유독가스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고 이동이 힘든 상황에서 화재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나, 동작감시센서 등에 의해 활성화됨으로써, 화재 대피자들에게 물리적인 자극 또는 자기적 자극을 주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자기 자극을 이용하여 체성감각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자극 기반의 비접촉 촉감 기술이 적용되는 햅틱 모듈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극 코일에 의해 피부 조직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따라서 촉감 수용기 또는 신경 자극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햅틱 모듈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모듈, 제어모듈, 출력모듈, 자기촉감 코일을 구비하여, 자기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비콘 비상등 장치
200: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
300: 화재진화 소방관 단말기
400: 구조 요청자 단말기

Claims (5)

  1.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 마련된 비상등으로서,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구조 요청자의 구조 요청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100);
    상기 구조 요청을 보내온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비상등 장치(10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10);
    구조 요청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
    주변의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는 비콘 기기(140);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11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될 시에 구조 요청 움직임을 하는 구조 요청자가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는 제어기(150);를 포함하며,
    상기 비콘 비상등 장치(100)에는, 제어기(150)를 통해 제어되는 것으로, 화재 감지시에 활성화되어 재난 구조 모드로 전환되어 레이저빔을 비추며, 음성안내를 통한 구조 요청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레이저빔 조사기(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 구조 모드로 동작하는 비콘 비상등 장치(100)와 비콘 통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여 직접 구조 요청하는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며,
    건물의 바닥이나 벽에 설치된 햅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화재 감지 센서(110) 또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120)의 감지에 의해 활성화되어, 구조요청자들에게 물리적인 자극 또는 자기적 자극을 주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유도하는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의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은, 구조 요청 시에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비콘 비상등 장치(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구호 정보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구조 요청자 단말기(400)의 재난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하는 환경 정보가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인 경우,
    상기 재난안전 관제센터 서버(200)의 제어기(150)는, 구조 요청자의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장비 종류를 화재진화 소방관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5. 삭제
KR1020190106779A 2019-08-29 2019-08-29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KR10231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79A KR102316455B1 (ko) 2019-08-29 2019-08-29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79A KR102316455B1 (ko) 2019-08-29 2019-08-29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61A KR20210026261A (ko) 2021-03-10
KR102316455B1 true KR102316455B1 (ko) 2021-10-28

Family

ID=7514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79A KR102316455B1 (ko) 2019-08-29 2019-08-29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4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08B1 (ko) * 2005-07-15 2006-10-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634207B1 (ko) * 2015-11-20 2016-07-01 손제욱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6934A1 (en) 2006-12-12 2008-06-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lam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KR20160109516A (ko) * 2015-03-11 2016-09-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 대상 파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708B1 (ko) * 2005-07-15 2006-10-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634207B1 (ko) * 2015-11-20 2016-07-01 손제욱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61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2592B2 (en) Emergency resource location and status
US8228176B2 (en) Electronic guides, incident response methods, incident response systems, and incident monitoring methods
JP6694442B2 (ja) 自律走行式掃除機の動作方法
US9726503B2 (en) User-wor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user in an emergency
EP2924667A1 (en) Alarm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13138B1 (ko) 종합 재난 정보 경보 및 자동 방재 시스템
CN1910635B (zh) 用于火情检测和人员定位的自动音频系统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JP6929758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60034125A (ko) 건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대응방법
KR101831874B1 (ko) 증강현실 기반 재난현장 탈출안내장치 및 방법
CN111492414A (zh) 实时管理建筑物的疏散
KR102087071B1 (ko) 소화기 위치 알림 시스템
JP2017157061A (ja) 避難支援装置
KR20200003303A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JP2019219844A (ja) 無線による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方法
KR102316455B1 (ko)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KR20190098871A (ko) WiFi 및 Bluetooth등의 여러 네트워크 장치들과 다양한 센서 및 Application(또는 소프트웨어)을 사용하여, 화재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 사고발생의 위치 및 현재 상황등의 정보를 입수,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사용자와 대피장소(또는 출구)간의 가장 안전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정보로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사고장소에 설치된 소화장치를 동작시켜 스스로 소화하는 시스템
JP7149746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101980088B1 (ko)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97757B1 (ko) 화재분석을 통한 최적의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292562B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and auto flee guid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