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31B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631B1
KR102315631B1 KR1020200022605A KR20200022605A KR102315631B1 KR 102315631 B1 KR102315631 B1 KR 102315631B1 KR 1020200022605 A KR1020200022605 A KR 1020200022605A KR 20200022605 A KR20200022605 A KR 20200022605A KR 102315631 B1 KR102315631 B1 KR 10231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guide
gear
rotation
guide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501A (ko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동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산전자 filed Critical (주)동산전자
Priority to KR102020002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 사용이 편리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An Electric Plug}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 플러그는 전기 배선 기구의 한 종류로 전기기구에 연결된 코드 끝에 구비되어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에 들어오는 전기는 콘센트로 이어지며, 상기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이때, 플러그는 콘센트와의 연결 부분, 예컨대 플러그 몸체에 코드와 연결된 두 개의 핀(전기 접속봉)이 고정되어 있어, 이를 콘센트 구멍으로 삽입 및 고정시켜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가전제품과 같이 가정에서 수시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았다 뽑기를 반복하는 전기기구의 경우는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는 뽑아내는 것이 불편하고, 손으로 플러그 몸체를 잡고 뽑아 당기는 힘(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8kgf)을 크게 주어 분리해야 한다.
이때, 사람의 손으로 잡는 악력이 뽑는 힘보다 적게 드는데, 플러그를 뽑을때는 뽑는 힘을 더 크게 사용해야 하므로 손힘이 약한 여성과 어린이, 노약자의 경우는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뽑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콘센드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코드선을 잡아당겨 빼게 되므로 콘센트나 플러그가 고장 나거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에 고리 형상의 손잡이를 부착해 이를 잡아당겨 플러그를 뽑기 쉽게 설계한 제품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에는 전기 공급을 위해 플러그가 장착된 코드선이 연결되어 이를 콘센트에 꼽아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으나, 플러그의 핀이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거나 하는 경우 플러그를 뽑아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는 손으로 잡아 당기는 힘 만으로 분리해야 하므로 악력이 약한 여성과 어린이, 노약자의 경우는 뽑아내는 작업에 무리가 있다.
콘센트에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양 손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탈착 과정에서 플러그의 코드선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플러그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고리부(40)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도 있다.
이러한 플러그는 몸체(10)에 콘센트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핀(20), 코드선이 연결되는 스토퍼(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고리부(40)를 잡아당겨 뽑게 되면 코드선 자체에 고장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 몸체를 잡아서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고 고리부(40)에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겨야 하므로 손가락 힘을 많이 들여야 해서 사용자에게 무리가 가며,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수시로 플러그를 꽂았다 뽑는 경우 고리부가 끊어질 염려도 있다.
즉, 고리부를 가진 플러그 또한 뽑을 때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시 고리부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8958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 사용이 편리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제1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는,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는,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상호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제1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틱부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측면기어; 및 상기 헤드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측면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기어가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기어가 상기 제2기어부에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관형몸체;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 제1영역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 제2영역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며,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 사용이 편리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한 누름부의 가압을 통한, 상기 스틱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원리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므로, 사용자는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하부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하부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 및 스틱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에 의한 스틱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의 다른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 이하, "플러그"라 함)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300); 상기 본체부(200)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하부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200)는 복수개의 핀(310a, 310b)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핀(310a, 310b)의 제1핀(310a) 및 상기 제1핀(310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310b)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각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개수의 복수개의 핀을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핀(310a, 310b)이 콘센트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핀(310a, 310b)을 포함하는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에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양 손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탈착 과정에서 플러그의 코드선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플러그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탈거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도 2 내지 도 4의 전기 플러그에서 본체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 및 핀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즉,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의 전기 플러그에서 본체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부(300)는, 제1핀(310a); 및 상기 제1핀(310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310b)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핀(310a) 및 상기 제2핀(310b)을 지지하는 핀 지지체(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 지지체(310)는 상기 제1핀(310a)의 체결영역과 상기 제2핀(310b)의 체결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홀(330)을 포함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탈거부(400)의 스틱부(420)의 스틱(425)이 상기 관통홀(330)에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하부영역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핀부(300)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영역에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400)는, 상기 핀부(300)의 상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핀부(300)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거부(400)는, 누름부(410); 상기 누름부(410)의 가압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가이드부(430);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틱부(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틱부(420)는 스틱(425)을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틱(425)은 상기 핀 지지체(310)의 상기 관통홀(330)에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틱(425)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틱(425)의 끝단이 상기 관통홀(330)로부터 돌출됨에 의하여, 상기 스틱(425)은 콘센트를 밀어내게 되고, 이러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탈거부(4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영역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탈거부(400)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핀부(300)의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핀부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하부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하부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400)는, 누름부(410); 상기 누름부(410)의 가압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가이드부(430);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틱부(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는 상기 누름부(410)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스틱부(420)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하부영역에 위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4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누름부(410)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는 일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는 직선이동, 구체적으로 상하이동을 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틱부(420)의 직선이동, 구체적으로 상하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스틱(425)이 상하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40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한 누름부(410)의 가압을 통한,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일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운동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의 회전운동을 통한, 상기 스틱부(420)를 상하이동시키는 원리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의 구성, 즉, 누름부, 회전 가이드부 및 스틱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때,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회전 가이드부의 일부 구성인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도시하였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410)는, 누름부 몸체(411) 및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다만,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상기 누름부 몸체(411)가 원형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내부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412a); 및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내부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지지부(412b)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2지지부(412b)를 포함한다.
이때,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제1회전 가이드부의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제2회전 가이드부의 제2가이드 롤러(433b)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지지부(412a)는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의 기준점을 제시하고, 상기 제2지지부(412b)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의 기준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는 상기 제1지지부(412a)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는 상기 제2지지부(412b)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의 최초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 및 스틱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 가이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도 18 내지 도 20에서는 제1회전 가이드부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2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430)는, 제1회전 가이드부(430a); 및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430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는,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432a);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1기어부(434a)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부(434a)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1관통홀(435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는,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432b);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어부(434b);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434b)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2관통홀(435b)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가 마주보는 반대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가 마주보는 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마주보는 상황에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의 일정 간격의 이격에 의한 공간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2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의 일정 간격의 이격에 의한 공간이 위치하는 반대 영역을 제1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상측에 해당하며,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하측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상측에 해당하며,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하측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은 수평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어부(434b)는 상호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는 제1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는 후술하는 스틱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의 헤드부가 상하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헤드부(421); 및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스틱(425)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421)는, 상기 헤드부(4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측면기어(422a); 및 상기 헤드부(421)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측면기어(422b)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21)는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는데, 상기 제1측면기어(422a)가 상기 제1기어부(434a)에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기어(422b)가 상기 제2기어부(434b)에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상기 헤드부(421)는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측면기어(422a) 및 상기 제2측면기어(422b)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헤드부(42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스틱(425)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의 헤드부가 상하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에 의한 스틱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23은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전의 상태로 최초 상태를 나타내며, 도 24는 회전 가이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부(430)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의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제2회전 가이드부(430b)의 제2가이드 롤러(433b)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지지부(412a)는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의 기준점을 제시하고, 상기 제2지지부(412b)는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의 기준점을 제시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는 상기 제1지지부(412a)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는 상기 제2지지부(412b)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의 최초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4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외면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누름부 몸체(411)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 몸체(41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는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의 이동 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 및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가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 몸체(411)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한 길이만큼,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가 위치하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상측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가 위치하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상측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는 상기 제1관통홀(435a)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는 상기 제2관통홀(435b)을 포함하는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홀(435a)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 제1영역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230a)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435b)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 제2영역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230b)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관통홀(435a)에 상기 제1회전축(230a)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435b)에 상기 제2회전축(230b)이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는 상기 제1회전축(230a)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는 상기 제2회전축(230b)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롤러(433a)가 위치하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상측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기어부(434a)가 위치하는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1회전축(230a)이 삽입된 상기 제1관통홀(435a)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 롤러(433b)가 위치하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상측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위치하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2회전축(230b)이 삽입된 상기 제2관통홀(435b)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431a)의 하측 영역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위치하는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431b)의 하측 영역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된,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헤드부(42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스틱(425)이 하부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21)는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는데, 상기 제1측면기어(422a)가 상기 제1기어부(434a)에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기어(422b)가 상기 제2기어부(434b)에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상기 헤드부(421)는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434a) 및 상기 제2기어부(434b)가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측면기어(422a) 및 상기 제2측면기어(422b)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헤드부(42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스틱(425)이 하부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틱(425)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틱(425)의 끝단이 상기 관통홀(330)로부터 돌출됨에 의하여, 상기 스틱(425)은 콘센트를 밀어내게 되고, 이러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하는 제2방향 사시도이다.
다만, 도 25 및 도 2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200)에 핀부(300)의 핀 지지체(320)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200)는 내부공간(202)을 포함하는 관형몸체(201); 상기 관형몸체(201)의 내부 제1영역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230a); 및 상기 제1회전축(23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몸체(201)의 내부 제2영역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230b)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관형몸체(201)가 원통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관형몸체(201)는 삼각기둥 또는 육면체 등의 형상일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관형몸체(201)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는 상기 제1관통홀(435a)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는 상기 제2관통홀(435b)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관통홀(435a)에는 상기 제1회전축(230a)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435b)에는 상기 제2회전축(230b)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관통홀(435a)에 상기 제1회전축(230a)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435b)에 상기 제2회전축(230b)이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430a)는 상기 제1회전축(230a)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430b)는 상기 제2회전축(230b)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200)는, 각각 상기 관형몸체(201)의 내경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회전축(230a)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일측 단부 제1고정부(231a); 상기 제1회전축(230a)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타측 단부 제1고정부(232a); 상기 제2회전축(230b)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일측 단부 제2고정부(231b); 및 상기 제2회전축(230b)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타측 단부 제2고정부(23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회전축(230a)은, 상기 일측 단부 제1고정부(231a) 및 상기 타측 단부 제1고정부(232a)에 의해 상기 관형몸체(201)의 내부 제1영역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2회전축(230b)은, 상기 일측 단부 제2고정부(231b) 및 상기 타측 단부 제2고정부(232b)에 의해 상기 관형몸체(201)의 내부 제2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의 고정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의 다른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헤드부(421); 및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스틱(425)을 포함한다.
이때,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상기 스틱(425)이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421)에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탄성체(42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426)의 타측 단부는, 상술한 도 5 내지 도 8의 핀 지지체(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26)는 상기 스틱부(420)의 위치를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틱부(420)의 최초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외면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42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헤드부(421)의 하부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426)는 압축이 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 몸체(411)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42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헤드부(421)가 최초의 위치로 복원됨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는 최초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426)를 통해 상기 스틱부(420)를 복원시키는 것은 일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틱부(420)를 최초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 사용이 편리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한 누름부의 가압을 통한, 상기 스틱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원리에 의해,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므로, 사용자는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제1회전 가이드부; 및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는,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는,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 가이드부 가이드축;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가 돌출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러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 몸체 및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 몸체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상호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제1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측면기어; 및 상기 헤드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측면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기어가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2측면기어가 상기 제2기어부에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간격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관형몸체;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 제1영역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 제2영역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며,
    상기 제1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200022605A 2020-02-24 2020-02-24 전기 플러그 KR10231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05A KR102315631B1 (ko) 2020-02-24 2020-02-24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05A KR102315631B1 (ko) 2020-02-24 2020-02-24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501A KR20210107501A (ko) 2021-09-01
KR102315631B1 true KR102315631B1 (ko) 2021-10-22

Family

ID=7778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05A KR102315631B1 (ko) 2020-02-24 2020-02-24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6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315A (zh) 2017-08-17 2019-09-13 东山电子株式会社 电插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077U (ja) * 1992-02-05 1993-08-27 アイワ株式会社 電源プラグ
JP3393040B2 (ja) * 1997-07-10 2003-04-07 旭電機化成株式会社 プラグ
KR20060089582A (ko) 2005-02-05 2006-08-09 최경구 전기콘센트에서의 원터치 탈착 전기플러그
KR101797938B1 (ko) * 2015-07-31 2017-11-15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315A (zh) 2017-08-17 2019-09-13 东山电子株式会社 电插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501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013B2 (ja) 電気プラグ
CN105281124A (zh) 防连接器脱落的装置
KR102315631B1 (ko) 전기 플러그
KR102321355B1 (ko) 전기 플러그
KR102192575B1 (ko) 전기 플러그
KR20210107502A (ko) 전기 플러그
KR101567654B1 (ko) 전기 플러그
KR20130067434A (ko)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
CN215732474U (zh) 一种应用于洗地机手柄上的usb连接结构
KR101409383B1 (ko) 전기 기기용 파워 플러그
KR20050106723A (ko) 콘센트
CN219998558U (zh) 一种新型弯头连接器
CN220107141U (zh) 一种高频电刀附件转换插头
CN114532827B (zh) 一种刀具拆卸装置、榨汁机及刀具拆卸方法
EP3280009B1 (en) A plug
CN217823517U (zh) 一种防脱安全插座
CN202681665U (zh) 一种用于咖啡机的牛奶起泡装置
CN211057338U (zh) 一种提花机的弹性快速接头机构
KR20050106726A (ko) 콘센트
CN210123820U (zh) 一种防脱电连接器组件
CN105621127A (zh) 一种卷材固定装置及生产系统
CN209233087U (zh) 一种易于安装的插座
KR20090128592A (ko) 플러그
CN204859798U (zh) 壳体及电子设备
CN206640034U (zh) 一种插头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