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575B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575B1
KR102192575B1 KR1020190108494A KR20190108494A KR102192575B1 KR 102192575 B1 KR102192575 B1 KR 102192575B1 KR 1020190108494 A KR1020190108494 A KR 1020190108494A KR 20190108494 A KR20190108494 A KR 20190108494A KR 102192575 B1 KR102192575 B1 KR 10219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stick
hinge shaft
pi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동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산전자 filed Critical (주)동산전자
Priority to KR1020190108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575B1/ko
Priority to PCT/KR2019/011605 priority patent/WO20210452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운동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 본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An Electric Plug}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 플러그는 전기 배선 기구의 한 종류로 전기기구에 연결된 코드 끝에 구비되어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에 들어오는 전기는 콘센트로 이어지며, 상기 콘센트에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이때, 플러그는 콘센트와의 연결 부분, 예컨대 플러그 몸체에 코드와 연결된 두 개의 핀(전기 접속봉)이 고정되어 있어, 이를 콘센트 구멍으로 삽입 및 고정시켜 전기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가전제품과 같이 가정에서 수시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았다 뽑기를 반복하는 전기기구의 경우는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는 뽑아내는 것이 불편하고, 손으로 플러그 몸체를 잡고 뽑아 당기는 힘(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8kgf)을 크게 주어 분리해야 한다.
이때, 사람의 손으로 잡는 악력이 뽑는 힘보다 적게 드는데, 플러그를 뽑을때는 뽑는 힘을 더 크게 사용해야 하므로 손힘이 약한 여성과 어린이, 노약자의 경우는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뽑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콘센트에 강하게 꽃혀있는 플러그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콘센드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코드선을 잡아당겨 빼게 되므로 콘센트나 플러그가 고장 나거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에 고리 형상의 손잡이를 부착해 이를 잡아당겨 플러그를 뽑기 쉽게 설계한 제품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에는 전기 공급을 위해 플러그가 장착된 코드선이 연결되어 이를 콘센트에 꼽아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으나, 플러그의 핀이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거나 하는 경우 플러그를 뽑아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콘센트에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는 손으로 잡아 당기는 힘 만으로 분리해야 하므로 악력이 약한 여성과 어린이, 노약자의 경우는 뽑아내는 작업에 무리가 있다.
콘센트에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양 손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탈착 과정에서 플러그의 코드선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플러그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고리부(40)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도 있다.
이러한 플러그는 몸체(10)에 콘센트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핀(20), 코드선이 연결되는 스토퍼(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고리부(40)를 잡아당겨 뽑게 되면 코드선 자체에 고장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 몸체를 잡아서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고 고리부(40)에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겨야 하므로 손가락 힘을 많이 들여야 해서 사용자에게 무리가 가며,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수시로 플러그를 꽂았다 뽑는 경우 고리부가 끊어질 염려도 있다.
즉, 고리부를 가진 플러그 또한 뽑을 때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시 고리부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8958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은 힘으로도 콘센트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해 사용이 편리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힌지운동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 본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 배치되되, 상기 핀 배치공간에 위치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탈거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본체부;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탈거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부품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 및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1배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는,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부품 제1삽입부는,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부품 제1삽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커버는, 부품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 및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2배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는,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부품 제2삽입부는, 부품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부품 제2삽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구획벽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2구획벽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거부는, 힌지운동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 본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본체부;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획벽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힌지축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획벽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힌지축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부는, 제1핀; 상기 제1핀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 및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을 지지하는 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핀 지지체는 상기 제1핀의 체결영역과 상기 제2핀의 체결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의 상기 스틱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핀 배치공간에 상기 제1핀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수의 누름부 손잡이를 구성하더라도, 상기 보조 플레이트를 지탱점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누름부 손잡이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2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제2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탈거부의 스틱부와 체결된 핀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 이하, "플러그"라 함)는, 본체부(200, 300); 상기 본체부(200, 300)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110); 상기 본체부(200, 300)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부(110)는 복수개의 핀(120a, 120b)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의 제1핀(120a) 및 상기 제1핀(120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120b)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각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개수의 복수개의 핀을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이 콘센트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을 포함하는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에 강하게 꽂힌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콘센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잡아 양 손을 사용하여 플러그를 위아래로 흔들어서 빼거나, 탈착 과정에서 플러그의 코드선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플러그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탈거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2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부품 제1삽입부(210);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1삽입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에는 각종 배선 또는 회로기판과 같은 부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복수개의 핀(120a, 120b)과 연결되는 배선 또는 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d1)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1배치공간(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2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획벽(250)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1삽입부(230)를 포함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 및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된다함은,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의 공간과,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의 공간 및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타측 단부의 공간이 상호 연통됨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d1)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까지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2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는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221)를 포함하여 탈거부 제1삽입부(220)를 구성하고,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는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211)를 포함하여 부품 제1삽입부(210)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의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의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핀부의 핀 지지체(도 12 및 도 13의 130)가 체결되는 핀 지지체 제1체결부(231)를 포함하며, 즉,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은 상기 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핀 지지체가 상기 핀 지지체 제1체결부(2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핀부(110)가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핀부(110)가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에 위치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은 상술한 콘센트에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로 돌출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획벽(250)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구획벽(250)에 의하여,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부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획벽(250)의 일정 영역에는 후술하는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는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221) 및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222)를 포함하여 탈거부 제1삽입부(22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222)에는 후술하는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를 포함한다.
즉,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상기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에 체결되고,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상기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버(300)는 부품 제2삽입부(310);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2삽입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에는 각종 배선 또는 회로기판과 같은 부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복수개의 핀(120a, 120b)과 연결되는 배선 또는 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d2)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버(300)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2배치공간(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 및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가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부품 삽입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가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탈거부 삽입부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 손잡이 제1배치공간(260) 및 상기 누름부 손잡이 제2배치공간(360)이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누름부 손잡이 배치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버(300)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350)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획벽(350)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버(300)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2삽입부(330)를 포함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는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된다함은,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의 공간과,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의 공간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타측 단부의 공간이 상호 연통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제1구획벽(250) 및 상기 제2구획벽(350)이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구획벽을 구성하며, 또한,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 및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가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핀부 삽입부를 구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핀부의 핀 지지체(도 12 및 도 13의 130)가 체결되는 핀 지지체 제2체결부(331)을 포함하며, 즉,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은 상기 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핀 지지체가 상기 핀 지지체 제2체결부(3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핀부(110)가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핀 지지체 제1체결부(231) 및 상기 핀 지지체 제2체결부(331)가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핀 지지체 체결부를 구성하게 된다.
다만, 상기 핀부(110)가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에 위치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은 상술한 콘센트에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핀부 제2삽입부(330)로 돌출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커버(300)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구획벽(350)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구획벽(350)에 의하여, 상기 부품 제2삽입부(310)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의 일부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획벽(350)의 일정 영역에는 후술하는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320)는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321)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322)를 포함하여 탈거부 제2삽입부(32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322)에는 후술하는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를 포함한다.
즉,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상기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에 체결되고,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상기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상기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에 체결되고,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상기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이 상기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에 체결되고,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이 상기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은, 상기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 및 상기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은 상기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 및 상기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거부(400)는, 힌지운동하는 누름부(410); 및 상기 누름부(410)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4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누름부(410)는 누름부 본체부(411);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412);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힌지축부(413); 및 상기 힌지축부(413)로부터 연장되는 제1기어부(4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부(413)는 상기 힌지축부(41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413a) 및 상기 힌지축부(41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41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은, 상기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 및 상기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누름부의 제2힌지축(도 12의 413b)은 상기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 및 상기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에 체결됨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는 힌지운동을 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누름부(410)는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며,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누름(누름부 손잡이의 직선운동)으로써,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상기 제1기어부(414)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누름부(410)는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200) 및 상기 제2커버(300)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 손잡이 제1배치공간(260) 및 상기 누름부 손잡이 제2배치공간(360)이 마주보게 되며, 이에 의하여 누름부 손잡이 배치공간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누름부 손잡이 배치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커버(200)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22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부품 제1삽입부(210)의 일측 단부까지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240)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상기 제1기어부(414)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눌러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킴에 있어서, 한 손가락은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가압하고, 다른 한 손가락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에 위치시켜,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가압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를 지탱점으로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수의 누름부 손잡이(412)를 구성하더라도, 상기 보조 플레이트(240)를 지탱점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가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틱부(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410)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며, 상기 스틱부(420)가 수평이동한다 함은, 상기 탈거부(400)가 배치되는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내에서,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스틱부 본체부(421);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422);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42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23); 상기 수평연장부(42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424); 및 상기 수직 연장부(424), 예를 들면,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42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425)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410)는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며, 상기 누름부 손잡이(412)를 누름(누름부 손잡이의 직선운동)으로써,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상기 제1기어부(414)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누름부(410)는 상기 힌지축부(413)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410)의 상기 제1기어부(414)는,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제2기어부(422)와 맞물려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제1기어부(414)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제2기어부(422)는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2기어부(422)의 직선 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스틱(425)도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누름부(410)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는,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스틱(425)도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d3)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의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배치공간(42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탈거부의 스틱부와 체결된 핀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부(110)는, 제1핀(120a); 및 상기 제1핀(120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120b)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핀(120a) 및 상기 제2핀(120b)을 지지하는 핀 지지체(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 지지체(130)는 상기 제1핀(120a)의 체결영역과 상기 제2핀(120b)의 체결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홀(131)을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스틱(425)는 상기 관통홀(131)에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도 14의 탈거부의 스틱부와 체결된 핀부의 구동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관통홀(131)에 삽입된 스틱(425)은 상기 관통홀(131)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스틱(425)의 끝단이 상기 관통홀(1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도 15의 탈거부의 스틱부와 체결된 핀부의 구동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410)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는,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틱부(420)의 상기 스틱(425)도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스틱(425)의 직선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틱(425)의 끝단이 상기 관통홀(131)로부터 돌출됨에 의하여, 상기 스틱(425)는 콘센트를 밀어내게 되고, 이러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용/반작용의 힘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의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배치공간(426)은, 상기 스틱부(420)가,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핀(120a)의 단부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틱부(420)가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핀(120a)의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가 가까워지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핀 배치공간(427)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1핀(120a)의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420)의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426)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틱부(420)가, 상기 탈거부 삽입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핀 배치공간(426)에 상기 제1핀(120a)의 단부를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핀 배치공간(426)의 확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의 구성으로, 스틱부 본체부(421);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23); 상기 수평연장부(42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424)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틱부(420)의 구성으로, 수평연장부(423) 및 수직연장부(424)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스틱부(420)의 스틱(425)이 콘센트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예를 들면, 상기 수평연장부(423)와 상기 수직연장부(424)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부(42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 플레이트(42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427)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까지 배치되되, 상기 핀 배치공간(426)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핀 배치공간(426)에 상기 제1핀(120a)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427)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427)를, 상기 스틱부 본체부(4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424)의 타측 단부까지 배치되되, 상기 핀 배치공간(426)에 위치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수평연장부(423)와 상기 수직연장부(424)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제2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부(413)는 상기 힌지축부(41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413a) 및 상기 힌지축부(41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41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의 제1힌지축(도 8의 413a)은, 상기 제1힌지축 제1체결부(251) 및 상기 제1힌지축 제2체결부(351)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누름부의 제2힌지축(413b)은 상기 제2힌지축 제1체결부(223) 및 상기 제2힌지축 제2체결부(323)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의 타측에는 핀부의 핀 지지체(130)가 체결되는 핀 지지체 제1체결부(231)을 포함하며, 즉, 상기 복수개의 핀(120a, 120b)은 상기 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핀 지지체가 상기 핀 지지체 제1체결부(2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핀부(110)가 상기 핀부 제1삽입부(2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만 사용하여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탈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수의 누름부 손잡이를 구성하더라도, 상기 보조 플레이트를 지탱점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누름부 손잡이를 가압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힌지운동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 본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 배치되되, 상기 핀 배치공간에 위치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탈거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본체부;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탈거부.
  5.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결합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부품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1삽입부; 상기 부품 제1삽입부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벽; 및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1배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는,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부품 제1삽입부는,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부품 제1삽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탈거부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부품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부품 제1삽입부 제1플레이트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부품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상단영역에 위치하는 탈거부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타측 단부의 일부 영역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핀부 제2삽입부; 상기 부품 제2삽입부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벽; 및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제2배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부품 제2삽입부의 내측 상단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는,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부품 제2삽입부는, 부품 제2삽입부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부품 제2삽입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구획벽은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2구획벽은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일측 단부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는, 힌지운동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는 스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틱부는, 스틱부 본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기어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기어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누름부 본체부;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부 손잡이; 상기 누름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벽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1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힌지축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획벽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체결되는 제1힌지축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 제2삽입부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힌지축이 체결되는 제2힌지축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제1핀; 상기 제1핀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핀; 및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을 지지하는 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핀 지지체는 상기 제1핀의 체결영역과 상기 제2핀의 체결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의 상기 스틱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는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틱부는, 상기 스틱부 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는 핀 배치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핀 배치공간에 상기 제1핀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190108494A 2019-09-02 2019-09-02 전기 플러그 KR10219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4A KR102192575B1 (ko) 2019-09-02 2019-09-02 전기 플러그
PCT/KR2019/011605 WO2021045282A1 (ko) 2019-09-02 2019-09-09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4A KR102192575B1 (ko) 2019-09-02 2019-09-02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575B1 true KR102192575B1 (ko) 2020-12-17

Family

ID=7408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94A KR102192575B1 (ko) 2019-09-02 2019-09-02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575B1 (ko)
WO (1) WO202104528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932A (ko) * 1995-12-14 1997-07-31 김광호 분해와 결합이 용이한 플러그
KR200252613Y1 (ko) * 2001-07-16 2001-11-17 장순탁 플러그
KR20060089582A (ko) 2005-02-05 2006-08-09 최경구 전기콘센트에서의 원터치 탈착 전기플러그
KR20170014685A (ko) * 2015-07-31 2017-02-08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US20180159285A1 (en) * 2015-05-22 2018-06-07 Zhaoyong Zhu Straight insertion self-locking anti-explosio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lug and socket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932A (ko) * 1995-12-14 1997-07-31 김광호 분해와 결합이 용이한 플러그
KR200252613Y1 (ko) * 2001-07-16 2001-11-17 장순탁 플러그
KR20060089582A (ko) 2005-02-05 2006-08-09 최경구 전기콘센트에서의 원터치 탈착 전기플러그
US20180159285A1 (en) * 2015-05-22 2018-06-07 Zhaoyong Zhu Straight insertion self-locking anti-explosio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lug and socket thereof
KR20170014685A (ko) * 2015-07-31 2017-02-08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282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7493B2 (en) Electric plug
KR102177757B1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TWM379909U (en) Replaceable module for socket and socket with replaceable module
US20060211289A1 (en) Ejecting device for power socket
KR102192575B1 (ko) 전기 플러그
US20030203682A1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KR101179290B1 (ko)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KR20060007702A (ko)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0318891B1 (ko) 전원 플러그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102315631B1 (ko) 전기 플러그
CN105514727B (zh) 一种连接器的插拔结构
TWI639283B (zh) 配接器及其使用方法
TW201626665A (zh) 電源擴充裝置
KR100924597B1 (ko)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CN219321335U (zh) 一种集成电路封装外壳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TWI732638B (zh) 補強式的導電連接器
EP4376231A1 (en) Adapter, electrical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3280009B1 (en) A plug
CN218472476U (zh) 一种插线板
KR20190057737A (ko)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CN212011524U (zh) 可转换插头组件和电源适配器
CN215732474U (zh) 一种应用于洗地机手柄上的usb连接结构
KR20210107502A (ko)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