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597B1 -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597B1
KR100924597B1 KR1020070076563A KR20070076563A KR100924597B1 KR 100924597 B1 KR100924597 B1 KR 100924597B1 KR 1020070076563 A KR1020070076563 A KR 1020070076563A KR 20070076563 A KR20070076563 A KR 20070076563A KR 100924597 B1 KR100924597 B1 KR 10092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nnector
button
jack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10A (ko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주)나래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래컴 filed Critical (주)나래컴
Priority to KR102007007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5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과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가 일차적인 결합을 하고, 커넥터의 재킷과 후크에 의하여 형성된 래치가 기기 본체에 구비된 걸림홈에 수용되는 이차적인 결합이 이루짐으로써,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크의 버튼의 가압에 따라 후크의 래치가 승, 하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에서 커넥터의 장, 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에 의하여 감싸인 제1출입공과, 제2출입공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 상기 재킷의 제1출입공에 배열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을 드나드는 래치(latch)로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넥터, 재킷, 후크, 가이드슬리브, 래치

Description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CONNECTOR EQUIPPED WITH HOOK}
본 발명은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등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에 오디오/비디오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과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가 일차적인 결합을 하고, 커넥터의 재킷과 후크에 의하여 형성된 래치가 기기 본체에 구비된 걸림홈에 수용되는 이차적인 결합이 이루짐으로써,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크의 버튼의 가압에 따라 후크의 래치가 승, 하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에서 커넥터의 장, 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에 의하여 감싸인 제1출입공과, 제2출입공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 상기 재킷의 제1출입공에 배열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을 드나드는 래치(latch)로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라고 함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유닛간, 외부 유닛간 또는 외부 유닛과 내부 유닛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도선 및 기타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데이터 선을 갖게 된다.
특히,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데이터나 음성/영상신호가 입출력되도록 입출력단자가 마련되며, 이렇게 구성된 입출력단자와 커넥터의 연결을 통해 내부 및 외부의 데이터나 음성/영상신호가 입력되거나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입출력단자는 음성/영상신호가 만들어지는 피씨비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이러한 피씨비에는 단자판이 고정되어 있어 입출력단자가 단자판에 형성되고, 음성/영상신호의 데이터를 외부와 교환하기 위해 핀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입출력단자에 삽입시키면 커넥터의 핀부와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외부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커넥터와 입출력단자와의 고정구조는 일반적인 이어폰 잭과 같은 구조를 사용하거나, 그 측면 또는 상면 또는 하측면에 걸림턱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걸림고리를 구성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버튼으로 이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데, 수커넥터의 상부에 걸림턱이 구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암커넥터의 상부에 걸림고리가 구성되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시에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구조로서의 이어폰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달리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탈찰시 암커넥터를 빼내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소정 간격보다 지나치게 삽입 결합되어 핀에 손상이 올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90355호(2005.07.11) "커넥터 구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는 커넥터의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연결시 수커넥터의 상부에 2개의 걸림턱을 구성하고 대응하여 2개의 암커넥터의 상부에 걸림고리를 구성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탈착이 용이한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제안되었으나, 상기 선행기술1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유리한 점은 있으나, 수커넥터에 구비된 2개의 걸림턱이 대응하는 암커넥터에 구비된 2개의 걸림고리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이물질 등이 커넥터에 유입되게 되면, 암수 커넥터가 고착되어 그 장탈이 쉽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294591호(2002.10.29) "힌디 노래방기기의 입·출력 커넥터장치"(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는 핸디 노래방기기에 하단에 커넥터가 결합되게 구비된 잭을 이어폰잭으로 채택함으로써,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상기 선행기술2는 이오폰잭을 사용하여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한 이점은 있으나, 그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결합상태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이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과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가 일차적인 결합을 하고, 커넥터의 재킷과 후크에 의하여 형성된 래치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요홈에 수용되는 이차적인 결합이 이루짐으로써,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후크의 버튼의 가압에 따라 후크의 래치가 승, 하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에서 커넥터의 장, 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통형의 재킷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하여, 롤링된 재킷의 양 접합부에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가공의 편의성과 이에 더불어 원통형 재킷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에 의하여 감싸인 제1 출입공과, 제2출입공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 상기 재킷의 제1출입공에 배열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을 드나드는 래치(latch)로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원통형 재킷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가이드슬리브를 포함하는 제1출입공, 상기 제2출입공을 일체로 성형하고, 롤링공정을 거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롤링된 재킷의 양 접합부에는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원통형 재킷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의 버튼은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튼 수용홈에 삽입 배열되어 상기 후크의 버튼을 가압 후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재킷의 내측으로 가압 돌출된 결합방향 특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에는 상기 후크를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재킷과 소켓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에서, 절곡 형성된 상기 래치는 하나의 판상 연결부재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버튼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버튼은 상기 연결부재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단부의 면적은 나머지 상부 면적보다 작고, 상기 버튼 결합단부의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 결합공 둘레의 두께보다 높으며, 상기 버튼 결합단부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공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소켓은 플러그를 이루는 복수의 핀과, 상기 핀과 동수의 잭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구비된 소켓과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가 일차적인 결합을 하고, 커넥터의 재킷과 후크에 의하여 형성된 래치가 기기 본체에 구비된 요홈에 수용되는 이차적인 결합이 이루짐으로써,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의 버튼의 가압에 따라 후크의 래치가 승, 하강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기기 본체의 입출력단자에서 커넥터의 장, 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형의 재킷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되고, 롤링된 재킷의 양 접합부에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가공의 편의성과 이에 더불어 원통형 재킷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10); 상기 소켓(10)을 수용하는 중공(22)과, 상기 중공(22)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25)에 의하여 감싸인 제1출입공(24)과, 제2출입공(25)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20);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에 배열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26)을 드나드는 래치(latch)(32)로 이루어진 후크(30); 및 상기 후크(30)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재킷(20)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가이드슬리브(25)를 포함하는 제1출입공(24), 상기 제2출입공(26)을 일체로 성형하고, 롤링공정을 거쳐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링된 재킷(20)의 양 접합부에는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27)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원통형 재킷(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은 내부에 수용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버튼(40) 수용홈(42)에 삽입 배열되어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을 가압 후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킷(20)의 내측으로 가압 돌출된 결합방향 특정돌기(28)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소켓(10)에는 상기 후크(30)를 위한 수용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30)에서, 절곡 형성된 상기 래치(32)는 하나의 판상 연결부재(34)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고, 상기 연결부재(34)에는 상기 버튼(40)을 위한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40)이 수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40)은 상기 연결부재(34) 결합공(36)에 삽입되는 결합단부(44)의 면적은 나머지 상부 면적보다 작고, 상기 버튼(40) 결합단부(44)의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34) 결합공(36) 둘레의 두께보다 높으며, 상기 버튼(40) 결합단부(44)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소켓(10)은 플러그를 이루는 복수의 핀(14)과, 상기 핀(14)과 동수의 잭(1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공지의 기술이나 구성요소는 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의 각 구성의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은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원통형 재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은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5는 후크의 연결부재의 결합공에 버튼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는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10); 상기 소켓(10)을 수용하는 중공(22)과, 상기 중공(22)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25)에 의하여 감싸인 제1출입공(24)과, 제2출입공(25)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20);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에 배열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26)을 드나드는 래치(latch)(32)로 이루어진 후크(30); 및 상기 후크(30)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10)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데이터나 음성/영상신호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입출력단자(미도시)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기 소켓(10)은 플러그를 이루는 복수의 핀(14)를 가지며, 상기 핀과 동수의 잭(16)이 구비되어 있다.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10)은 원기둥형상을 이루며, 상기 소켓(10)은 사출금형에 의해 성형되며, 사출금형의 성형시 소켓의 외주면에는 결합축선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재킷(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방형의 결합요홈(11)이 적어도 1개 이상 성형된다. 또한, 상기 재킷(20)에는 상기 소켓(10)의 형성된 결합요홈(11)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결합돌기(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21)는 상기 재킷(20)과 소켓(10)이 결합되는 재킷(2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재킷(20)의 내측으로 가압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켓(10)의 결합요홈(11)과 재킷(20)의 결합돌기(21)가 결합되어 소켓(10)과 재킷(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10)은 상기 재킷(20)의 중공(22)에 수용되되, 상기 소켓(10)이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의 외주면는 단턱(1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재킷(20)은 상기 소켓(10)을 수용하는 중공(22)과, 상기 중공(22)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출입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출입공(24)를 감싸는 가이드슬리브(25)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22)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출입공(24)과 동일선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제2출입공(26)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원통형 재킷(20)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가이드슬리브(25)를 포함하는 제1출입공(24), 제2출입공(26)을 일체로 형성하게 되고, 롤링공정을 거쳐 원통형의 재킷(20)이 성형되며, 상기 롤링된 재킷(20)의 양 접합부에는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2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재킷(20)의 중공(22)은 판상의 부재를 롤링공정을 거쳐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형성되며, 이렇게 롤링된 재킷(20)의 양 접합부에는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27)가 형성되어 원통형 재킷(20)이 그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요철결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롤링공정을 거쳐 원통형의 재킷(20)이 성형되고, 이에 의해 중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22)은 상기 소켓(10)을 수용하게 된다. 이렇게 수용된 소켓(10)은 그 외주면에 단턱(18)이 구비되어, 상기 소켓(10)을 수용하는 재킷(20)의 일측에 구비된 중공(22)에 상기 소켓(10)이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 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은 상기 중공(22)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25)에 의하여 감싸지게 되어,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출입공(24)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성형하게 되고, 상기 프레스 가공시 일정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슬리브(2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리브(25)는 재킷(20)의 외주면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크(30)의 버튼(40)이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에 승, 하강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이는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과 후크(30)의 버튼(40)은 선접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그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재킷(20)의 제2출입공(26)은 상기 중공(22)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과 동일선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출입공(26)은 제1출입공(24)과 일체로 프레스 가공 의해 성형되며, 이때 판상의 부재를 사각홈을 가지도록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재킷(20)의 제2출입공(26)에는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후크(30)에 구비된 래치(32)가 드나들면서,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수용되어 입출력단자(미도시)와 커넥터(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이탈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는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 공(24)에 배열되는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26)을 드나드는 래치(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은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에 배열되며,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은 내부에 수용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버튼(40)의 수용홈(42)에 삽입 배열되게 한다. 즉,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은 상기 재킷(20)의 제1출입공(24)의 가이드슬리브(25)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 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승, 하강을 위한 탄성을 주기 위해 지지하는 것이 상기 스프링(50)이며, 이에 상기 스프링(50)을 수용하는 수용홈(42)이 상기 후크(30)의 버튼(40)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30)의 버튼(40)은 상단부가 패쇄되도록 형성되고, 그 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4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버튼 내부로 스프링(5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42)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버튼(40)의 수용홈(42)에 삽입 배열되게 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0)의 래치(32)는 절곡 형성되는데, 이는 하나의 판상의 연결부재(34)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4)의 일단에 대칭되게 낫모양으로 절개하고 이를 윗방향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0)의 래치(32)가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26)에 형성된 사각홈을 드나들면서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홈(미도시)에 수용되어 입출력단자(미도시)와 커넥터(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이탈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4)는 상기 버튼(40)을 위한 결합공(36)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40)에는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에 삽입되는 결합단부(4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부(44)의 면적은 상기 버튼(40)의 나머지 상부 면적보다 적으며, 상기 버튼(40) 결합단부(44)의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 둘레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버튼(40)의 결합단부(44)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4)에는 버튼(40)을 수용하는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40)에는 상부의 면적보다 작은 결합단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에 선접촉하게 되고, 상기 버튼(40)의 결합단부(44)는 상기 연결부제(34)의 결합공(36) 둘레의 두께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상기 버튼(40) 결합단부(44)가 연결부재(34)의 결합공(36)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리벳팅을 통하여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후크(30)를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후크(30)의 버튼(40)에 구비된 수용홈(42)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40)의 가압에 따라 압축/인장하게 되어, 상기 후크(30)의 래치(32)가 상기 제2출입공(26)에 형성된 사각홈을 드나들게 하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 등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홈(미도시)에 상기 후크(30)의 래치(32)가 수용되어 입출력단자(미도시)와 커넥터(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이탈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10)에는 상기 후크(30)를 위한 수용홈(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소켓(10)의 수용홈(12)은 상기 중공(22)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30)의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수용홈(42)에 삽입되는 스프링(50)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0)의 버튼(40)과 상기 버튼(40)의 수용홈(42)에 삽입된 스프링(50)이 탄성을 갖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킷(20)의 내측으로 가압 돌출된 결합방향 특정돌기(2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의 내측에는 돌출된 탄성핀(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특정돌기의 외측 홈에 수용되어 상기 재킷(20)과 입출력단자(미도시)와의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의 각 구성의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원통형 재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은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후크의 연결부재의 결합공에 버튼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는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커넥터 10 : 소켓
11 : 결합요홈 12 : 수용홈
14 : 핀 16 : 잭
18 : 단턱 20 : 재킷
21 : 결합돌기 22 : 중공
24 : 제1출입공 25 : 가이드슬리브
26 : 제2출입공 27 : 도브테일 요, 철부
28 : 특정돌기 29 : 고정홈
30 : 후크 32 : 래치
34 : 연결부재 36 : 결합공
40 : 버튼 42 : 수용홈
44 : 결합단부 50 : 스프링

Claims (9)

  1. 전기적 연결을 위한 원기둥형 소켓;
    상기 소켓을 수용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리브(sleeve)에 의하여 감싸인 제1출입공과, 제2출입공을 구비한 원통형 재킷;
    상기 재킷의 제1출입공에 배열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2출입공을 드나드는 래치(latch)로 이루어진 후크; 및
    상기 후크의 탄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형 재킷은 판상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가이드슬리브를 포함하는 제1출입공, 상기 제2출입공을 일체로 성형하고, 롤링공정을 거쳐 형성되며,
    상기 롤링된 재킷의 양 접합부에는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의 버튼은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튼 수용홈에 삽입 배열되며,
    상기 재킷의 내측으로 가압 돌출된 결합방향 특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에서 절곡 형성된 상기 래치는 하나의 판상 연결부재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버튼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은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단부의 면적은 나머지 상부 면적보다 작고, 상기 버튼의 결합단부 높이는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공 둘레의 두께보다 높으며,
    상기 버튼의 결합단부는 리벳팅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공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상기 후크를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플러그를 이루는 복수의 핀과, 상기 핀과 동수의 잭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KR1020070076563A 2007-07-30 2007-07-30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2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63A KR100924597B1 (ko) 2007-07-30 2007-07-30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63A KR100924597B1 (ko) 2007-07-30 2007-07-30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0A KR20090012610A (ko) 2009-02-04
KR100924597B1 true KR100924597B1 (ko) 2009-10-30

Family

ID=4068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563A KR100924597B1 (ko) 2007-07-30 2007-07-30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716A (zh) * 2018-11-20 2019-02-15 东莞市类行星照明科技有限公司 灯管连接器及灯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876A (en) 1983-03-08 1986-12-23 Grunberg Robert Michael Electrical connector
US6006945A (en) * 1993-12-22 1999-12-28 Kirkland; Mark R. Vendable container
KR200337383Y1 (ko) * 2003-09-30 2003-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단자
US7128590B1 (en) 2005-05-27 2006-10-31 Joymax Electronics Co., Ltd. Sign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876A (en) 1983-03-08 1986-12-23 Grunberg Robert Michael Electrical connector
US6006945A (en) * 1993-12-22 1999-12-28 Kirkland; Mark R. Vendable container
KR200337383Y1 (ko) * 2003-09-30 2003-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단자
US7128590B1 (en) 2005-05-27 2006-10-31 Joymax Electronics Co., Ltd. Sign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0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0369B1 (en) Terminal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7467971B2 (en) Retractable extension socket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01196133A (ja) 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この嵌合方法によるコネクタ
WO2020006798A1 (zh) 可更换接口的安全电连接器
CN102244321B (zh) Usb连接线
KR20140136392A (ko) 전기 커넥터
KR100548432B1 (ko)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0924597B1 (ko) 후크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064995A (ko) 커넥터 결합장치
KR100677336B1 (ko) 리셉터클과 충전커넥터의 결합구조
KR100924596B1 (ko) 조립이 용이한 커넥터
KR1006199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용 공용플러그, 이를 구비한충전기 및 데이타 케이블
TWM632275U (zh) 可插接防脫落的車用電源線接頭
CN215601585U (zh) 电控盒及电器设备
KR101725928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101081747B1 (ko)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JP3144643U (ja) プラグ抜け防止装置
KR1014626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KR200484263Y1 (ko) 전자기기용 플러그 커넥터
KR101151229B1 (ko) 결합 고정성이 향상된 단자대
CN204088675U (zh) 微型显卡连接器
CN217039988U (zh) 一种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