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737A -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737A
KR20190057737A KR1020170155043A KR20170155043A KR20190057737A KR 20190057737 A KR20190057737 A KR 20190057737A KR 1020170155043 A KR1020170155043 A KR 1020170155043A KR 20170155043 A KR20170155043 A KR 20170155043A KR 20190057737 A KR20190057737 A KR 2019005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furniture
female
bloc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학성
Original Assignee
유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학성 filed Critical 유학성
Priority to KR102017015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7737A/ko
Priority to PCT/KR2018/007156 priority patent/WO2019098481A1/ko
Publication of KR2019005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모듈로 된 가구 블록과 다른 가구 블록이 서로 연결될 때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육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구가 내장된 가구 블록과, 상기 가구 블록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홈에 연결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연결구를 통해 결합된 타 가구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와, 가구 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부에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측접속부가 구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가구 블록에 연결구를 통한 타 가구 블록의 연결 시 타 가구 블록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Power-accessible 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 모듈로 된 가구 블록과 다른 가구 블록이 서로 연결될 때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가구와 가구 또는 파티션과 파티션 등의 면과 면을 접촉 시에만 돌출되어 접촉되는 면과 면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를 특허출원하여 2016년 08월 08일(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56190(발명의 명칭 :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습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한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가구와 가구를 연결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가구에 LED 조명등이 설치되는 등 가구에서의 전기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전기 공급을 받고 있는 가구에 다른 가구가 면 접촉으로 연결될 때 전기가 함께 연결되어 별도의 배선 없이도 연결되는 모든 가구에 전원을 공급하고자하는 필요가 발생되어 인용발명을 개선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5619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에는 돌출되지 않고 면과 면의 접촉 시 돌출되어 접촉되는 면과 면을 전원과 함께 연결 및 고정시키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구가 내장된 가구 블록과, 상기 가구 블록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홈에 연결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연결구를 통해 결합된 타 가구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와, 가구 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부에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측접속부가 구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가구 블록에 연결구를 통한 타 가구 블록의 연결 시 타 가구 블록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를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가구 블록의 일면에 수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를 내장하고, 상기 가구 블록의 일면에 맞접 되는 타 가구 블록의 일면에 암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를 내장하여 상기 가구 블록과 타 가구 블록의 밀접 시 상기 수놈 자착구가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수놈 자착구의 일부가 암놈 몸체의 자착공간에 삽입된 후 암놈 몸체 내부의 암놈 자착구에 자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연결구의 수놈 접속부가 자력에 의해 이동된 수놈 자착구에 연결되고 수놈 자착구가 암놈 자착구에 자착되면서 수놈 자착구가 암놈 접속부에도 연결되어 상기 가구 블록과 타 가구 블록이 서로 연결, 고정 되면서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므로 별도의 전기 배선이나 공구 등이 없이도 가구 블록과 타 가구 블록의 면과 면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결합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면 접촉 연결 전과 후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전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전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연결구용 내측접속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전기기기용 내측접속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구성간의 결합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저면도.
도10은 도8의 측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는 육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구(30)가 내장된 가구 블록(10)과, 상기 가구 블록(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30)가 삽입되는 홈에 연결되는 요홈(20)과, 상기 요홈(20)에 삽입되어 연결구(30)를 통해 결합된 타 가구 블록(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와, 가구 블록(10)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부에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측접속부(700)가 구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가구 블록(10)에 연결구(30)를 통한 타 가구 블록(10)의 연결 시 타 가구 블록(10)에도 전원이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30)는 도 2와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암놈 자착구(200)를 고정시켜 내장한 암놈 몸체(100)와, 상기 암놈 자착구(200)에 자착되는 수놈 자착구(400)와, 상기 수놈 자착구(400)의 일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수놈 자착구(400)를 내장하는 수놈 몸체(300)와, 상기 암놈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수놈 몸체(300)로부터 돌출되는 수놈 자착구(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암놈 자착구(200)에 자착되도록 하는 자착공간(110)과, 상기 수놈 몸체(300)에 구성되어 수놈 자착구(400)의 돌출 시 수놈 자착구(400)에 전기를 연결시키는 수놈 접속부(350)와, 상기 암놈 자착구(200)에 전기가 연결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 시 수놈 자착구(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암놈 접속부(21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놈 몸체(300)는 연결되는 가구 블록(10)의 일면에 매립될 수 있으며, 자력에 이끌려 이동 가능한 수놈 자착구(400)가 내장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놈 몸체(300)의 내부에 상기 수놈 자착구(400)가 이동 가능한 작동공간(310)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310)의 일단에 수놈 자착구(40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320)에는 수놈 자착구(400)의 일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320)와 수놈 자착구(400) 사이에 구성되어 돌출된 수놈 자착구(400)를 원위치 시키는 탄성체(330)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성체(330)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놈 자착구(400)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 밴드, 고무 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놈 몸체(300)에 내장되는 수놈 자착구(400)는 도 2 내지 도 3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수놈 몸체(300) 내부의 내경과 같은 형상 및 수놈 몸체(300) 내부의 내경에 근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놈 몸체(300) 내부에서 비틀어짐 없이 일방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기초부(410)와, 상기 기초부(410)로부터 돌출되어 기초부(410)가 이동함에 따라 이탈방지부(320)의 출입구를 출입하여 밀접된 암놈 몸체(100)의 자착공간(110)에 삽입 가능한 자착부(420)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놈 자착구(400)가 근접되는 암놈 자착구(200)에 자력에 의해 자착될 때 수놈 자착구(400)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수놈 접속부(35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놈 접속부(350)는 수놈 몸체(300)와 수놈 자착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500)이 접속된 코어가 결합된 형태로 수놈 접속부(350)가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수놈 몸체(300)의 외부로 일부가 핀 형태로 돌출되어 전선(500)과 연결되고 타부가 수놈 몸체(300)의 내부 중 이탈방지부(320)의 주면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어 수놈 자착구(400)의 승강 시 수놈 자착구(400)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놈 접속부(350)가 코어의 형태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구성된 경우 수놈 자착구(400) 전체를 도전체로 구성하지 않고도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자착부(420)보다 돌출되어 자력에 의해 수놈 자착구(400)가 암놈 자착구(200)에 자착 되는 힘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속 및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수놈 접속부(350)가 수놈 몸체(300) 내부의 이탈방지부(320) 주면에 구성될 경우 수놈 자착구(400) 전체를 도전체로 구성하더라도 상시에는 통전되지 않아 안전하고 자력에 의해 수놈 자착구(400)가 승강 시에만 수놈 몸체(300) 내부에 구성된 수놈 접속부(350)와 수놈 자착구(400)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암놈 몸체(100)에 구성되는 암놈 접속부(210)로 전기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암놈 몸체(100)는 강한 자력이 있는 암놈 자착구(200)를 내장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놈 몸체(300)에 밀접되는 위치의 타 가구 블록(10)에 매립되는 것이며,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돌출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가 삽입되고, 삽입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가 암놈 자착구(200)와 자착 되도록 하며, 암놈 자착구(200)와 자착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가 삽입된 방향 이외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자착부(420)의 외경 형상과 크기에 유사하도록 형성된 자착공간(110)이 구성되고,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수놈 접속부(350)와 연결된 수놈 자착구(400)와 암놈 자착구(200) 사이에 수놈 자착구(400)를 통해 수놈 접속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놈 접속부(2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놈 접속부(210)는 도 2와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암놈 몸체(100)의 외부로 일부가 핀 형태로 돌출되어 전선(500)과 연결되고, 타부는 암놈 자착구(200)의 표면에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놈 접속부(350)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암놈 접속부(210)는 일부가 핀 형태로 암놈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선(500)과 연결되고 타부는 암놈 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어 암놈 자착구(200)에 자착된 수놈 자착구(400)에 접속되는 단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 블록(10)은 상면에 수놈 자착구(400)가 구성된 연결구(30)가 내장되고, 하면에는 암놈 자착구(200)가 구성된 연결구(30)가 내장된 것일 수 있고, 상기 가구 블록(10)의 좌면과 우면 중 어느 하나에 암놈 자착구(200)가 구성된 연결구(30)의 내장 시 반대면에는 수놈 자착구(400)가 구성된 연결구(30)가 내장된 것일 수 있어서 가구 블록(10)의 각 방향의 면에 타 가구 블록(10)을 연결구(3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가구 블록(10)의 일면에 다수개의 연결구(30)가 구성되어 가구 블록(10)의 일면에 각각의 연결구(30)를 통해 다수의 가구 블록(10)이나 연결구(30)가 설치된 다수의 전기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력부는 가구 블록(10) 내부에 형성된 요홈(20) 내에 배선되는 전선(500)으로 구성되어 가구 블록(1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SMPS 등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각 연결구(30)의 수놈 접속부(350) 또는 암놈 접속부(210)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는 연결구(30)의 연결을 통해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이 결합과 함께 전기적인 연결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부는 도 4와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500) 대신에 레일(600)의 내부에 전원과 연결된 전극판(610)과, 상기 레일(6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전극판(610)에 접속하기 위해 레일(600)에 삽입된 장치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걸림턱(620)이 구비되고, 가구 블록(10) 내부의 요홈(20)에 매립되는 레일(6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는 이러한 레일(600)의 전극판(610)과 연결구(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 6으로 예시한 것과 같은 연결구(30)용 내측접속부(700)와, 도 7로 예시한 것과 같은 가구 블록(10)에 내장되는 전기기기가 가구 블록(10) 내부 레일(600)의 전극판(61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용 내측접속부(7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속부(700)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다양한 방향 및 단면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레일(600)의 전극판(610)에 접촉되는 단자(710)와, 상기 단자(710)로부터 전기가 연결구(30) 또는 전기기기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커넥터(720)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레일(600)의 걸림턱(620)에 걸림 고정 될 수 있는 고정날개(7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720)는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기기의 콘센트가 접속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연결구(30) 전용의 커넥터(72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연결구(30)용 내측접속부(700)의 경우 내측접속부(700)를 회전시켜 내측접속부(700)의 단자(710)가 레일(600)의 전극판(610)과의 접속이 떨어지면 연결구(30)에 전원 공급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구(30)에 의한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의 연결 시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On/Off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는 도 2 내지 도 3를 통해 그 작동을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놈 몸체(300)가 매립된 가구 블록(10)의 일면에 암놈 몸체(100)가 매립된 타 가구 블록(10)의 일면을 접속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수놈 자착구(400)와 암놈 자착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어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가 암놈 몸체(100)의 자착공간(110)에 삽입되면서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와 암놈 몸체(100) 내부에 고정된 암놈 자착구(200)가 자착되고, 상기 자착부(420)의 측면이 자착공간(110)의 벽면에 지지되므로 자착부(420)의 삽입 방향(도 3에서는 상방) 이외의 방향으로는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의 이동이 차단되어 안정적인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연결된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을 분리시키는 것은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와 암놈 자착구(200)가 자착된 자력보다 강한 힘으로 자착부(420)의 삽입 방향으로 가구를 이동시키면 상기 자착부(420)와 암놈 자착구(200)가 분리되면서 탄성체(330)에 의해 수놈 자착구(400)가 원위치 되어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이 분리됨과 동시에 수놈 자착구(400)는 수놈 몸체(300) 내부에 내장되므로 연결을 위한 돌출부분이 없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을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작업만으로 수놈 몸체(300)의 수놈 자착구(400)가 이동되어 암놈 몸체(100) 내부의 자착공간(110)에 삽입되고, 고정된 암놈 자착구(200)에 상기 수놈 자착구(400)의 자착부(420)가 자착 되거나 떨어짐에 따라 가구 블록(10)과 타 가구 블록(10)의 연결 및 분리가 반복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구 블록(10)의 연결 및 분리가 간편하게 되고,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며, 돌출 가능한 수놈 자착구(400)는 분리 시 수놈 몸체(300) 내부에 내장되어 가구 블록(10)의 표면에 연결을 위한 돌출부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은 수놈 자착구(400)가 자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놈 접속부(350)와 암놈 접속부(210)에 수놈 자착구(400)가 연결되면서 수놈 접속부(350)와 암놈 접속부(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어 어느 한쪽의 전원이 다른 한쪽에까지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면과 면을 접속하는 것만으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어서 별도의 전선 연결 공정 및 공구가 없어도 용이하게 연결 분리 및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의 연결 시 전기적 연결됨을 표시하는 부저나 LED, 발광 소자 등으로 구성 가능한 표시부가 가구 블록(10)에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AC 또는 DC 전원과 접속될 수 있어서, DC 전원과 접속될 경우 두 쌍의 전원 접속이 가능한 연결구(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 때 DC 전원의 극을 나타내도록 암놈 몸체(100), 암놈 자착구(200), 수놈 몸체(300), 수놈 자착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채색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30)가 일반 가전기기에 설치되면 가구 블록(10)과 가전기기가 연결구(30)를 통해 결합되면서 전원 공급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레인지를 내장한 가구 블록(10), 오디오를 내장한 가구 블록(10), 냉장고를 내장한 가구 블록(10), 전기밥솥을 내장한 가구 블록(10) 등이 상기 연결구(30)를 통해 서로 결합과 함께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시스템 가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가구 블록 20:요홈 30:연결구
100:암놈 몸체 110:자착공간 200:암놈 자착구
210:암놈 접속구 300:수놈 몸체 310:작동공간
320:이탈방지부 330:탄성체 350:수놈 접속구
400:수놈 자착구 410:기초부 420:자착부
500:전선 600:레일 610:전극판
620:걸림턱 700:내측접속부 710:단자
720:커넥터 730:고정날개

Claims (5)

  1. 육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구가 내장된 가구 블록과, 상기 가구 블록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홈에 연결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연결구를 통해 결합된 타 가구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와, 가구 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부에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측접속부가 구성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가구 블록에 연결구를 통한 타 가구 블록의 연결 시 타 가구 블록에도 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내부에 암놈 자착구를 고정시켜 내장한 암놈 몸체와, 상기 암놈 자착구에 자착되는 수놈 자착구와, 상기 수놈 자착구의 일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수놈 자착구를 내장하는 수놈 몸체와, 상기 암놈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수놈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수놈 자착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암놈 자착구에 자착되도록 하는 자착공간과, 상기 수놈 몸체에 구성되어 수놈 자착구의 돌출 시 수놈 자착구에 전기를 연결시키는 수놈 접속부와, 상기 암놈 자착구에 전기가 연결된 수놈 자착구의 자착 시 수놈 자착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암놈 접속부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는 레일의 내부에 전원과 연결된 전극판과, 상기 레일의 내부로 돌출되어 전극판에 접속하기 위해 레일에 삽입된 장치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블록은 상면에 수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가 내장되고, 하면에는 암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블록은 좌면과 우면 중 어느 하나에 암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의 내장 시 반대면에는 수놈 자착구가 구성된 연결구가 내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KR1020170155043A 2017-11-20 2017-11-20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KR20190057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43A KR20190057737A (ko) 2017-11-20 2017-11-20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PCT/KR2018/007156 WO2019098481A1 (ko) 2017-11-20 2018-06-25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43A KR20190057737A (ko) 2017-11-20 2017-11-20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37A true KR20190057737A (ko) 2019-05-29

Family

ID=6654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043A KR20190057737A (ko) 2017-11-20 2017-11-20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7737A (ko)
WO (1) WO2019098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9A1 (ko) * 2022-07-04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190B1 (ko) 2015-07-10 2016-09-08 유학성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268B2 (ja) * 1997-11-04 2006-12-27 株式会社システムワット 玩具用組立ブロック
JP2011147667A (ja) * 2010-01-22 2011-08-04 Kokuyo Co Ltd 家具及びオプション部材
DE102010045092B4 (de) * 2010-09-13 2013-07-04 Oliver Melhaff Stromversorgungssystem für Beleuchtung von Möbeln
KR101171070B1 (ko) * 2011-01-10 2012-08-29 오토커넥터주식회사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190B1 (ko) 2015-07-10 2016-09-08 유학성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9A1 (ko) * 2022-07-04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481A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657B2 (ja) 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JP4508658B2 (ja) 電気アダプター
US10312651B2 (en) Electronic device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CN201983025U (zh) 一种led灯及其灯体连接结构
KR20190057737A (ko)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WO2014090190A1 (zh) 灯具及其背板装置
KR101898467B1 (ko) 전기기기용 어댑터
KR20150017635A (ko) 연결용 컨넥터와 그 접속단자
JP6990875B2 (ja) 照明装置、照明器具並びに照明システム
CN101388518B (zh) 一种恒流型led灯分线器
KR100993480B1 (ko) 전원 접속 기구
KR101110232B1 (ko) 전원 전등선
KR20190046573A (ko) 전원 접속이 가능한 접촉면 연결 고정 장치
CN213753364U (zh) 一种连接器和连接结构
TW202020368A (zh) 照明器具用接頭、照明器具及照明器具套件
JP2011081963A (ja) 配線装置
KR102479632B1 (ko) 전원 공급 어댑터
KR200416259Y1 (ko) 배전용 분할 접속구
TW202023134A (zh) 照明器具用接頭、照明器具及照明器具套件
KR100645025B1 (ko) 분리형 램프의 접속장치
CN204962464U (zh) 一种格栅灯
WO2005027277A1 (en) Patch cable sockets and adapters
JP2022135726A (ja) 照明器具用アダプタ
KR20180069374A (ko) 전원 공급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