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374A - 전원 공급 어댑터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374A
KR20180069374A KR1020160171496A KR20160171496A KR20180069374A KR 20180069374 A KR20180069374 A KR 20180069374A KR 1020160171496 A KR1020160171496 A KR 1020160171496A KR 20160171496 A KR20160171496 A KR 20160171496A KR 20180069374 A KR20180069374 A KR 2018006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s
contact
power supply
electro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숙
Original Assignee
조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숙 filed Critical 조진숙
Priority to KR102016017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374A/ko
Publication of KR2018006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374A/ko
Priority to KR1020180096686A priority patent/KR10247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어댑터에 관한 것이고, 레일 전극에 배치되는 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레일 전극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전원 공급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부터 유입되는 전력 공급용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 전도체(CS11, CS21) 및 레일 전극에 배치된 전송 도체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가 배치된 하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0)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레일 전극의 내부로 삽입되는 접촉 기판(12)을 가진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어댑터{An Adapter for Supplying a Electrical Power}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어댑터에 관한 것이고, 레일 전극에 배치되는 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레일 전극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전원 공급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조명 기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전극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레일 전극은 어댑터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의하여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야 하고, 레일 전극에 설치되는 조명기기, 스피커, 영상 기기, 공기 청정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는 어댑터를 통하여 레일 전극에 배치된 배선 전극에 의하여 전송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08163호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면서 전면과 양측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면서 +/- 전원을 소통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레일 소켓;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하우징의 전방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기판 위에 다수 개의 엘이디가 설치된 엘이디 램프가 결합되고, 보조 하우징의 후방에 상기 레일 소켓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플러그가 결합되며, 보조 하우징 내부에 제2 플러그와 엘이디 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판 형태의 안정기 회로가 결합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등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90593호는 천정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벽과, 조명 기구가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개구부와, 개구부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연결된 걸림 턱과, 밀폐 벽의 양측 하면에 연장되며 양측 면을 밀폐하는 외측 벽과, 외측 벽의 내측 면에 정해진 만곡 형상으로 연장된 내측 벽과, 내측 벽의 일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대향되고 내측으로 요입된 한 쌍의 전극 삽입 홈으로 이루어진 레일 본체와; 전극 삽입 홈에 삽입되며 양측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일체형 전원 공급용 조명 레일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레일에 결합되는 조명 소자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플러그와 같은 커넥터를 배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플러그 또는 다른 커넥터가 배치되는 경우 레일의 일부에 구조적 변형이 가해져야 하고, 조명 레일의 배치 설계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레일 전극 또는 조명 레일에 간단하게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어댑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08163호(주식회사 린노, 2014년01월21일 공개) 라인 타입의 엘이디 조명등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90593호(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2015년08월06일 공개) 일체형 전원공급용 조명 레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결합이 가능하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레일 구조의 전극 유닛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부터 유입되는 전력 공급용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 전도체 및 레일 전극에 배치된 전송 도체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촉 전도체가 배치된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레일 전극의 내부로 삽입되는 접촉 기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기판의 위쪽에 배치되면서 한 쌍의 접촉 전도체를 고정시키도록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탄성 전도체의 일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기기가 결합이 되는 레일 전극에 결합이 되어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레일 전극이 설치된 이후 레일 전극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레일 전극 또는 그와 관련된 배선 설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 전선의 연결이 간단하도록 하면서 레일 전극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에 전선이 연결되는 구조의 실시 예에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가 레일 전극에 결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부터 유입되는 전력 공급용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 전도체(CS11, CS21) 및 레일 전극에 배치된 전송 도체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가 배치된 하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0)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레일 전극의 내부로 삽입되는 접촉 기판(12)을 가진다.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된 배선 또는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부품이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10); 하부 케이스(10)의 위쪽에 고정되어 전도성 부품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모듈(20); 및 하부 케이스(10)의 위쪽에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10)에 배치된 부품을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 어댑터는 레일 전극의 끝 부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기판(11) 및 베이스 기판(11)과 일체로 연장되면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연장되는 접촉 기판(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모듈(20)과 상부 케이스(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기판(11)은 레일 전극의 외부에 위치하고, 접촉 기판(12)은 레일 전극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접촉 기판(12)은 레일 전극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의 일부에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 홀(H)은 공기 순환 기능 또는 와이어 유입 통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접촉 기판(12)의 앞쪽 끝 부분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 유도 블록(13)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 유도 블록(13)으로부터 날개 분리 블록(131)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 분리 블록(131)은 삽입 유도 블록(13)의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접촉 기판(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 분리 블록(131)에 삽입 제한 블록(13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날개 분리 블록(131) 또는 삽입 제한 블록(132)은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 및 각각 접촉 전도체(15a, 15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전도체(CS1, CS2)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한 쌍의 고정 전도체(CS1, CS2)는 날개 분리 블록(131) 및 삽입 제한 블록(132)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날개 분리 블록(131) 및 삽입 제한 블록(132)의 양쪽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배치되면서 이와 동시에 각각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각각의 고정 전도체(CS1, CS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 전도체(15a, 15b) 각각의 한쪽 끝은 베이스 기판(11)과 접촉 기판(12)의 경계 면 부근에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날개 분리 블록(131)과 삽입 제한 블록(13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삽입 유도 블록(13)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좁은 폭으로 연장되는 다리 부분, 다리 부분에 넓은 폭을 가지면서 레일 전극에 배치된 전극 부분에 접촉되는 접촉 부분 및 마무리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전도체(15a, 15b)는 다리 부분은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탄성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에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의 앞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제한 블록(132)으로부터 벽 형상으로 연장되는 분리 벽(141)이 배치되고, 분리 벽(141)은 안정 결합 블록(14)과 연결될 수 있다. 안정 결합 블록(14)은 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체결 홀이 형성되어 고정 모듈(20) 또는 상부 케이스(30)가 하부 케이스(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분리 벽(141)은 베이스 기판(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분리 벽(141)의 양쪽으로 분리 벽(14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받침 블록(17a, 17b)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받침 블록(17a, 17b)의 분리 벽(141)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분리 벽(141)과 각각의 받침 블록(17a, 17b) 사이에 탄성 전도체(CS11, CS2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전도체(CS11, CS21)는 띠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전도체(CS11, CS21)는 분리 벽(141)에 접촉하는 1 접촉 부분(CP1), 받침 블록(17a, 17b)에 접촉하는 2 접촉 부분(CP2) 및 연결 부분(CP3)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경사진 연결 부분을 가진 U자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벽(141)에 접촉되는 1 접촉 부분(CP1)은 길게 연장되고, 받침 블록(17a, 17b)에 접촉되는 2 접촉 부분(CP2)은 짧게 연장되고, 연결 부분(CP3)에 의하여 경사진 형태로 1, 2 접촉 부분(CP1, CP2)의 한쪽 끝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1 접촉 부분(CP1)은 적절한 매개 전도체를 통하여 고정 전도체(CS1, CS2) 또는 접촉 전도체(15a, 1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전도체(CS11, CS21)는 가압 수단(16)에 의하여 탄성 변형이 될 수 있다. 가압 수단(16)은 누름 버튼과 같은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받침 블록(17a, 17b)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 수단(16)에 의하여 탄성 전도체(CS11, CS21)에 변형 방향(EP)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탄성 전도체(CS11, CS21)의 한쪽 부분은 탄성 변형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받침 블록(17a, 17b)과 탄성 전도체(CS11, CS21)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외부 와이어가 유입될 수 있다. 다만 가압 수단(16)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부 와이어 자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전도체(CS11, CS21)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탄성 전도체(CS11, CS21)가 변형이 되고, 이후 외부 와이어가 고정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탄성 전도체(CS11, CS21)는 외부 와이어의 한쪽 끝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 케이스(10)에 배치된 각각의 부품은 고정 모듈(20)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정해진 형태로 변형 또는 복원될 수 있다. 고정 모듈(20)은 베이스 기판(11)의 위쪽에 결합되는 안정 기판(22) 및 접촉 기판(12)의 위쪽에 배치되는 밀폐 기판(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정 기판(22)은 분리 벽(141) 및 받침 블록(17a, 17b)의 위쪽 면에 결합되어 탄성 전도체(CS11, CS21) 및 가압 수단(16)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폐 기판(21)의 아래쪽 면은 접촉 기판(12)에 위쪽에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폐 기판(21)의 아래쪽 면에 체결 블록(24)이 형성되어 끼움 방식으로 분리 블록(131)과 삽입 제한 블록(1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블록(24)의 양쪽으로 L자 형상으로 한 쌍의 고정 날개(23a, 23b)가 형성되어 고정 모듈(20)이 하부 케이스(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접촉 전도체(15a, 15b)가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고정 모듈(20)은 베이스 기판(11)과 접촉 기판(12)에 배치된 각각의 블록 또는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 전기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기판(11)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부 케이스(30)가 결합되어 베이스 기판(11)이 밀폐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30)는 덮개 판(31), 덮개 판(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둘레 벽을 형성하는 밀폐 벽(32), 밀폐 벽(32)의 뒤쪽 부분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베이스 기판(11)의 내부로 전력 공급을 위한 와이어의 끝 부분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구(33) 및 입구(3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벽면에 형성되어 고정 모듈(20)의 밀폐 기판(21)이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 터널(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케이스(30)의 구조로 인하여 하부 케이스(10)의 베이스 기판(11)이 밀폐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 모듈(20)의 밀폐 기판(21)에 의하여 접촉 기판(12)이 밀폐되면서 밀폐 기판(2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30)의 앞쪽 또는 뒤쪽에 체결 홀(35)이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 기판(21)의 위쪽 면에 고정 돌기(25)가 형성되어 전원 공급 어댑터가 안정적으로 레일 전극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서 전원 공급 어댑터가 레일 전극에 결합되면 상부 케이스(30)는 레일 전극의 외부에 노출되고, 고정 모듈(20)의 밀폐 기판(21)과 하부 케이스(10)의 접촉 기판(12)에 해당되는 부분이 레일 전극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 전도체(15a, 15b)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레일 전극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촉 전도체(15a, 15b)는 탄성 변형 방식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및 복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전도체(15a, 15b)는 레일 전극에 형성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 케이스(30)의 내부로 외부 와이어의 끝 부분이 유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촉 전도체(15a, 15b)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에 전선이 연결되는 구조의 실시 예에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와이어(31a, 31b)의 끝 부분은 피복이 벗겨진 나선 와이어(311)가 될 수 있다. 받침 블록(17a, 17b)의 안쪽 면에 연결 전도체(32a, 32b)가 배치될 수 있고, 연결 전도체(32a, 32b)는 탄성 전도체(CS11, CS21)에 비하여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가압 수단(16)은 연결 전도체(32a, 32b)의 위쪽에서 탄성 전도체(CS11, CS21)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 전도체(CS11, CS21)는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와 다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탄성 전도체(CS11, CS21)의 한쪽 부분이 경사 연결 부분(CS111, CS2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전도체(CS1, CS2)는 접촉 기판(12)에서 접촉 전도체(15a, 15b)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압 수단(16)에 의하여 탄성 전도체(CS11, CS21)가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연결 전도체(32a, 32b)와 탄성 전도체(CS11, CS21) 사이에 틈이 만들어지고, 나선 와이어(311)가 틈으로 유입되어 가압 수단(16)의 아래쪽 부분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후 가압 수단(16)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 나선 와이어(311)가 탄성 전도체(CS11, CS2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접촉 전도체(15a, 15b)의 한쪽 끝 부분은 탄성 전도체(CS11, CS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접촉 전도체(15a, 15b)의 다른 부분은 고정 전도체(CS1, CS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고정 전도체(CS1, CS2)는 활 형상을 가지고 접촉 전도체(15a, 15b)에 대하여 외부를 향하는 압력을 발생시키면서 접촉 전도체(15a, 15b)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촉 전도체(15a, 15b)가 탄성 변형 방식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접촉 전도체(15a, 15b)가 레일 전극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가 레일 전극(40)에 결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어댑터는 레일 전극(40)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레일 전극(40)에 형성된 전극 스트립(44a, 44b)을 통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레일 전극(40)은 판 형상으로 선형 연장 구조를 가지는 천정 기판(42); 천정 기판(42)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양쪽 벽을 형성하는 측면 받침 벽(41a, 41b); 측면 받침 벽(41a, 41b)의 아래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제한된 길이로 연장되어 레일 전극(40)의 아래쪽 부분에 개방 입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입 벽(411a, 411b); 천정 기판(42)의 안쪽 및 유입 벽(411a, 411b)의 안쪽 면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돌기 판(412a, 412b)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받침 벽(41a, 41b)에 돌기 판(412a)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 베이스(43a, 43b)가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전극 베이스(43a, 43b)에 한 쌍의 전극 스트립(44a, 44b) 또는 두 쌍의 전극 스트립(44a, 44b)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천정 기판(42)의 양쪽 끝 부분을 따라 행거 연장 훅(421a, 421b)이 배치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어댑터에서 고정 모듈(2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레일 전극(4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 과정에서 접촉 전도체(15b)가 수평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되어 전극 스트립(44a, 44b)에 접촉되고 결합된 이후 탄성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전극 스트립(44a, 44b)은 두 쌍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전극 스트립(44a, 44b)은 한 쌍 또는 두 쌍이 될 수 있고, 전극 스트립(44a, 44b)의 개수에 따라 접촉 전도체(15b)의 수 또는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어댑터의 상부 케이스(30)에 형성된 입구(33)를 통하여 외부 와이어가 전력 공급 어댑터의 하부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접촉 전도체(15b)를 경유하여 전극 스트립(44a, 4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어댑터는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레일 전극(40)에 결합되거나, 상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 전극(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또는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레일 전극(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는 외부 와이어의 연결을 위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돌기(25)에 의하여 개방 입구가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와이어는 미리 전력 공급 어댑터에 고정되거나, 전력 공급 어댑터가 레일 전극에 결합된 이후 하부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30)를 하부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고 외부 와이어를 하부 케이스(10)에 고정한 이후 상부 케이스(30)를 결합하고 이후 전력 공급 어댑터가 레일 전극(40)에 결합되는 것이 시공 관점에서 유리하다.
레일 전극(40)에 다양한 전기기기가 결합되며 전력 공급 어댑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기기기가 결합이 되는 레일 전극에 결합이 되어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레일 전극이 설치된 이후 레일 전극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레일 전극 또는 그와 관련된 배선 설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어댑터는 외부 전선의 레일 전극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하부 케이스 11: 베이스 기판
12: 접촉 기판 13: 삽입 유도 블록
14: 안정 결합 블록 15a, 15b: 접촉 전도체
16: 가압 수단 17a, 17b: 받침 블록
20: 고정 모듈 21: 밀폐 기판
22: 안정 기판 23a, 23b: 고정 날개
24: 체결 블록 25: 고정 돌기
30: 상부 케이스 31: 덮개 판
31a, 31b: 전력 공급 와이어 32: 밀폐 벽
32a, 32b: 연결 전도체 33: 입구
34: 관통 터널 35: 체결 홀
40: 레일 전극 41a, 41b: 측면 받침 벽
42: 천정 기판 43a, 43b: 전극 베이스
44a, 44b: 전극 스트립 131: 날개 분리 블록
132: 삽입 제한 블록 141: 분리 벽
311: 나선 와이어 411a, 411b: 유입 벽
412a, 412b: 돌기 판 421a, 421b: 행거 연장 훅
CS1, CS2: 고정 전도체 CS11, CS21: 탄성 전도체
CS111, CS211: 경사 연결 부분 CP1, CP2: 1, 2 접촉 부분
CP3: 연결 부분 EP: 변형 방향
H: 관통 홀

Claims (3)

  1. 외부부터 유입되는 전력 공급용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 전도체(CS11, CS21) 및 레일 전극에 배치된 전송 도체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가 배치된 하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10)를 밀폐시키는 상부 케이스(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레일 전극의 내부로 삽입되는 접촉 기판(1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촉 기판(12)의 위쪽에 배치되면서 한 쌍의 접촉 전도체(15a, 15b)를 고정시키도록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고정 모듈(20)을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어댑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탄성 전도체(CS11, CS21)의 일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가압 수단(16)을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어댑터.
KR1020160171496A 2016-12-15 2016-12-15 전원 공급 어댑터 KR20180069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96A KR20180069374A (ko) 2016-12-15 2016-12-15 전원 공급 어댑터
KR1020180096686A KR102479632B1 (ko) 2016-12-15 2018-08-20 전원 공급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96A KR20180069374A (ko) 2016-12-15 2016-12-15 전원 공급 어댑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86A Division KR102479632B1 (ko) 2016-12-15 2018-08-20 전원 공급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374A true KR20180069374A (ko) 2018-06-25

Family

ID=6280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496A KR20180069374A (ko) 2016-12-15 2016-12-15 전원 공급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37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09U (ko) * 2007-08-16 2009-02-19 이명우 파워레일 및 접지형 터미널프러그
JP2009200023A (ja) * 2008-01-21 2009-09-0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導電装置
KR100982013B1 (ko) * 2010-02-11 2010-09-13 (주)포스 엘이디 등기구
JP2012243716A (ja) * 2011-05-24 2012-12-10 Koizumi Trading:Kk ダクトレール
KR101678108B1 (ko) * 2015-05-12 2016-11-21 유대현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09U (ko) * 2007-08-16 2009-02-19 이명우 파워레일 및 접지형 터미널프러그
JP2009200023A (ja) * 2008-01-21 2009-09-0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導電装置
KR100982013B1 (ko) * 2010-02-11 2010-09-13 (주)포스 엘이디 등기구
JP2012243716A (ja) * 2011-05-24 2012-12-10 Koizumi Trading:Kk ダクトレール
KR101678108B1 (ko) * 2015-05-12 2016-11-21 유대현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58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RU2018128868A (ru) Модульные соединител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сборе
WO2016169312A1 (zh) 一种分离式开关插座
WO2022228206A1 (zh) 一种磁吸导电轨道及照明设备
KR20090061622A (ko) 램프용 소켓 및 이 소켓을 구비한 등기구
WO2020233365A1 (zh) 接线装置及空调器
KR100965367B1 (ko) 전원 연결 기구
CN110137708A (zh) 一种接线器
WO2016192485A1 (zh) 一种具有线束转接组件的条形灯及条形灯组合
KR20200039146A (ko) 전극 레일에 삽입 가능한 모듈 디바이스
KR20180095491A (ko) 전원 공급 어댑터
KR20180069374A (ko) 전원 공급 어댑터
CN217882024U (zh) 电连接装置及轨道灯组件
CN115064890A (zh) 电连接装置及轨道灯组件
CN203690634U (zh) 一种快速电接头
KR20200125521A (ko) 전기 연결 조립체 및 전기 장치
KR102004281B1 (ko) 전극 레일용 전원 연결 디바이스 및 전원 연결 구조의 전극 레일
KR101901259B1 (ko) 소비전력 측정장치가 구비된 조명레일 시스템
KR200412939Y1 (ko)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US7066745B1 (en) Power supply connector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TWI607602B (zh) 集成閥組的端子連接裝置
CN204333447U (zh) 用于连接手机电池的电池连接器
CN220122130U (zh) 线缆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