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88B1 -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588B1
KR102315588B1 KR1020200093827A KR20200093827A KR102315588B1 KR 102315588 B1 KR102315588 B1 KR 102315588B1 KR 1020200093827 A KR1020200093827 A KR 1020200093827A KR 20200093827 A KR20200093827 A KR 20200093827A KR 102315588 B1 KR102315588 B1 KR 10231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iaphragm
magnets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승
제용준
이상근
송근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588B1/ko
Priority to US17/155,809 priority patent/US11632630B2/en
Priority to EP21153188.4A priority patent/EP394573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마그넷; 상기 한쌍의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빈; 상기 보빈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변에 고정되고,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 상기 한쌍의 마그넷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판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스피커 엣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본 개시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에 부합하며, 높은 음질을 제공하는 스피커 어셈블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음압을 유지하면서 슬림한 구조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의 진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마그넷; 상기 한쌍의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빈; 상기 보빈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변에 고정되고,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 상기 한쌍의 마그넷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판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스피커 엣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은 음압을 유지하면서 슬림한 구조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의 진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볼 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 또는 수평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 또는 수직방향(DR2)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은 전후방향(DR3) 또는 두께방향이라 할 수 있다. 전후방향(DR3)은 좌우방향(DR1) 및/또는 상하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프레임(120) 그리고 스피커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10)는 메인 프레임(120)의 하단에 인접하여 메인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방향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는 길게 연장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플레이트(22)와 나란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리어 플레이트(rear plate, 20)라 칭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플레이트(20)의 하측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댐퍼(30)라 칭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센터 플레이트(31), 브릿지들(32,33,34), 그리고 서클들(35,36,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30)는 금속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탄성부재(30)는 합성 수지일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31)는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 플레이트(31)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하방향에서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브릿지들(32,33,34)은 센터 플레이트(3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센터 플레이트(31)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서클들(35,36,37)은 서로 대향하면서 브리지(32,33,34)의 양단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클들(35,36,37)은 타원형일 수 있다. 서클들(35,36,37)은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서클들(35,36,37)의 상면은 플레이트(2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브릿지(32)는 센터 플레이트(31)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클(35a)은 제1 브릿지(32)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서클(35b)은 제1 브릿지(32)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브릿지(34)는 센터 플레이트(31)의 타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5 서클(37a)은 제3 브릿지(34)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6 서클(37b)은 제3 브릿지(34)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브릿지(33)는 제1 브릿지(32)와 제3 브릿지(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서클(36a)은 제2 브릿지(36b)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서클(36b)은 제2 브릿지(33)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서클들(35,36,37)은 브릿지들(32,33,34)에 연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서클(34a)은 제2 서클(35b)과 센터 플레이트(31)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고, 제3 서클(36a)은 제4 서클(36b)과 센터 플레이트(31)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고, 제5 서클(37a)은 제6 서클(37b)과 센터 플레이트(31)에 대하여 대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30)의 가동범위를 스피커 어셈블리(10)의 사이즈 대비하여 증가시키거나 최대로할 수 있다. 댐퍼(30)의 가동범위는 스피커 어셈블리(10)에서 제공하는 재생대역에 상관될 수 있으므로, 스피커의 소리 재생 대역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어셈블리(10)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마그넷(40)은 리어 플레이트(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40)은 길게 연장된 사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제1 마그넷(41)은 제1 리어 플레이트(21)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제2 마그넷(42)은 제2 리어 플레이트(22)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그넷(41)은 센터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제2 마그넷(42)과 대향할 수 있다.
플레이트(5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50)는 마그넷(40)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50)는 프런트 플레이트(front plate, 50)라 칭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플레이트(51)는 제1 마그넷(4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프런트 플레이트(52)는 제2 마그넷(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플레이트(51)는 제1 마그넷(41)에 대하여 제1 리어 플레이트(21)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플레이트(52)는 제2 마그넷(42)에 대하여 제2 리어 플레이트(22)와 대향할 수 있다.
보빈(bobbin, 81)은 길게 연장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81)은 PCB 기판일 수 있다. 보이스 코일(82)은 보빈(81)에 권선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82)은 보빈(81)의 일면 및/또는 양면에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며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82)은 보빈(81)에 프린트될 수 있다. 보이스 코일(82)의 상하 폭(Bw)은 마그넷(40)의 상하 폭(Mw) 보다 클 수 있다. 보빈(81)은 제1 마그넷(41)과 제2 마그넷(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82)에 전류가 흐르면 보빈(81)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보빈(81)의 하단은 센터 플레이트(31)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60)은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프레임(60)은 프런트 플레이트(50)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61)은 제1 프런트 플레이트(5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프레임(62)은 제2 프런트 플레이트(5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 엣지(70)는 프레임(60)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 엣지(70)는 탄성력을 지닐 수 있다. 스피커 엣지(70)는 길게 연장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스피커 엣지(70)는 반으로 절단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엣지(70)는 U 형상의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제1 스피커 엣지(71)는 제1 프레임(61)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제2 스피커 엣지(72)는 제2 프레임(62) 상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피커 엣지(71)는 제2 스피커 엣지(72)에 대하여 볼록할 수 있고, 제2 스피커 엣지(72)는 제1 스피커 엣지(71)에 대하여 볼록할 수 있다.
진동판(90)은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진동판(90)은 보빈(8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진동판(90)의 일 장변(90LS1)은 제1 스피커 엣지(71)에 결합되거나 고정되고, 진동판(90)의 타 장변(90LS2)은 제2 스피커 엣지(72)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90)의 면적이 스피커 어셈블리(10)의 두께 대비 최대가 될 수 있고,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넷(41)의 외면과 제2 마그넷(42)의 외면은 스피커 어셈블리(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그넷(41)의 외면으로부터 제2 마그넷(42)의 외면까지의 제1 거리(D1)는 스피커 어셈블리(10)의 두께일 수 있다. 플레이트들(20,60)의 외면은 마그넷들(40)의 외면에 대하여 정렬될 수 있다. 프레임들(60)의 외면은 마그넷들(40)의 외면에 대하여 정렬될 수 있다.
제1 리어 플레이트(21)의 외면과 제2 리어 플레이트(22)의 외면의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플레이트(51)의 외면과 제2 프런트 플레이트(52)의 외면의 제3 거리(D3)는 제1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프레임(61)의 외면과 제2 프런트 프레임(62)의 외면의 제4 거리는 제1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리어 프레임(63)의 외면과 제2 리어 프레임(64)의 외면의 제5 거리(D5)는 제1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판(90)의 일장변과 타장변의 제6 거리(D6)는 제1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6 거리(D6)는 스피커 어셈블리(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90)에서 생성하는 음압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보빈(81)은 프런트 프레임(61,62)으로부터 리어 프레임(63,6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81)이 이동하면서 진동판(90)은 프런트 프레임(61,62)에 가까워질 수 있고, 스피커 엣지(70)는 압축될 수 있다. 동시에, 댐퍼(30)의 서클(37a,37b)은 보빈(81)의 길이방향에서 신장될 수 있다. 댐퍼(30)의 서클(37a,37b)의 가동범위가 증가하여 진동판(90)의 진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빈(81)은 리어 프레임(63,64)으로부터 프런트 프레임(61,6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81)이 이동하면서 진동판(90)은 프런트 프레임(61,62)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스피커 엣지(70)는 신장될 수 있다. 동시에, 댐퍼(30)의 서클(37a,37b)은 보빈(81)의 길이방향에서 압축될 수 있다. 댐퍼(30)의 서클(37a,37b) 및 스퍼커 엣지(70)의 가동범위가 증가하여 진동판(90)의 진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스피커 어셈블리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마그넷(40); 상기 한쌍의 마그넷(40) 사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빈(81); 상기 보빈(81)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코일(82); 상기 보빈(81)의 일변에 고정되고, 상기 보빈(8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90); 상기 한쌍의 마그넷(40)과 상기 진동판(90)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60); 그리고, 상기 프레임(60)과 상기 진동판(90)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6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판(90)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81)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스피커 엣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마그넷(4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60)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보빈(81)의 일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빈(81)의 타변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8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퍼(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30)는: 상기 보빈(81)의 타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보빈(81)의 타변에 고정되는 센터 플레이트(31); 상기 센터 플레이트(31)를 가로지르며 상기 센터 플레이트(31)에 고정되는 브릿지(32,33,34); 그리고, 상기 브릿지(32,33,34)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서클(35,36,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마그넷(40)과 상기 복수개의 서클(35,36,37)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마그넷(40)과 상기 복수개의 서클(35,36,37)에 고정되는 리어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엣지(70)는: 일단이 상기 진동판(90)의 일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60)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81)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제1 스피커 엣지(71); 그리고, 일단이 상기 진동판(90)의 일변과 대향하는 진동판(90)의 타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60)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81)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제2 스피커 엣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엣지(71)는 상기 보빈(81)에 대하여 상기 제2 스피커 엣지(72)와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20)는: 상기 한쌍의 마그넷(40) 중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서클(35,36,37) 중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리어 플레이트(21); 그리고, 상기 한쌍의 마그넷(40)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서클(35,36,37) 중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리어 플레이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어 플레이트(21)는: 상기 한쌍의 마그넷(40) 중 하나가 결합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서클(35,36,37) 중 하나가 결합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과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90)은: 상기 제1 스피커 엣지(71)가 결합되는 제1 장변; 상기 제2 스피커 엣지(72)가 결합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의 일단과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장변의 타단과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단변과 대향하는 제2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되는 프레임(120);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항의 스피커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9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지니고, 두께방향으로 폭을 지닐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마그넷;
    상기 한쌍의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고,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빈;
    상기 보빈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일변에 고정되고, 상기 보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
    상기 한쌍의 마그넷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진동판과 마주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판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스피커 엣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마그넷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보빈의 일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빈의 타변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보빈의 타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보빈의 타변에 고정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를 가로지르며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릿지; 그리고,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서클을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마그넷과 상기 복수개의 서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마그넷과 상기 복수개의 서클에 고정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엣지는:
    일단이 상기 진동판의 일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제1 스피커 엣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진동판의 일변과 대향하는 진동판의 타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보빈을 향해 볼록하게 굽어지는 제2 스피커 엣지를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엣지는 상기 보빈에 대하여 상기 제2 스피커 엣지와 대칭인 스피커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마그넷 중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서클 중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리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한쌍의 마그넷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서클 중 다른 하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마그넷 중 하나가 결합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서클 중 하나가 결합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과 서로 대향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스피커 엣지가 결합되는 제1 장변;
    상기 제2 스피커 엣지가 결합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의 일단과 상기 제2 장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장변의 타단과 상기 제2 장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단변과 대향하는 제2 단변을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9.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항의 스피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지니고, 두께방향으로 폭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00093827A 2020-07-28 2020-07-28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1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27A KR102315588B1 (ko) 2020-07-28 2020-07-28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155,809 US11632630B2 (en) 2020-07-28 2021-01-22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EP21153188.4A EP3945730A1 (en) 2020-07-28 2021-01-25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27A KR102315588B1 (ko) 2020-07-28 2020-07-28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588B1 true KR102315588B1 (ko) 2021-10-20

Family

ID=7421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27A KR102315588B1 (ko) 2020-07-28 2020-07-28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2630B2 (ko)
EP (1) EP3945730A1 (ko)
KR (1) KR102315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49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91A (ja) * 1995-06-20 1997-01-10 Kenwood Corp 反発磁気回路型スピーカ
KR20060106472A (ko) * 2005-04-08 2006-10-12 한국음향 주식회사 스피커
KR101259399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93A (ja) 2000-12-08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TW507465B (en) * 2000-12-28 2002-10-21 Tai-Yan Kam Transparent planar speaker
JP2002223495A (ja) 2001-01-29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6681026B2 (en) 2001-11-30 2004-01-20 Tai-Yan Kam Rectangular transducer for panel-form loudspeaker
EP1950998B1 (en) 2007-01-29 2014-03-26 Sony Corporation Speaker unit and speaker apparatus
JP4534173B2 (ja) * 2008-04-15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ボイスコイ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4252B1 (ko) * 2010-11-29 2012-06-13 주식회사 엑셀웨이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의 가이드
CN204392554U (zh) * 2015-01-07 2015-06-10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
CN104883650A (zh) 2015-06-05 2015-09-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振动发声装置
US9942663B1 (en) * 2016-12-22 2018-04-10 Apple Inc. Electromagnetic transducer having paired Halbach arrays
US10469954B1 (en) 2019-01-21 2019-11-05 Zylux Acoustic Corporation Thin speaker with a voice coil having a damper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91A (ja) * 1995-06-20 1997-01-10 Kenwood Corp 反発磁気回路型スピーカ
KR20060106472A (ko) * 2005-04-08 2006-10-12 한국음향 주식회사 스피커
KR101259399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49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5730A1 (en) 2022-02-02
US20220038822A1 (en) 2022-02-03
US11632630B2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693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9296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649131B2 (en)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KR2023000222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825758A1 (en) Display device
CN204348262U (zh) 一种显示装置及其框体组件
US10545361B2 (en) Display device housing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210127189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15588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917364B2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6233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4773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20027709A (ko) 액정 표시 장치
US1018507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8928836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10345028A1 (en) Display apparatus
US10082615B2 (en) Planar illumination apparatus
CN104808387A (zh) 光源组件、背光模块及液晶显示器
KR10239317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5717704A (zh) 一种双面显示屏及其led灯条
US20230204997A1 (en) Spliced display screen
KR20230000200A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3002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9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