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00A -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00A
KR20230000200A KR1020210082311A KR20210082311A KR20230000200A KR 20230000200 A KR20230000200 A KR 20230000200A KR 1020210082311 A KR1020210082311 A KR 1020210082311A KR 20210082311 A KR20210082311 A KR 20210082311A KR 20230000200 A KR20230000200 A KR 2023000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speaker
slot
speak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용준
황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200A/ko
Priority to EP21947261.0A priority patent/EP4362493A1/en
Priority to PCT/KR2021/008895 priority patent/WO2022270671A1/ko
Priority to US17/845,540 priority patent/US20220417628A1/en
Publication of KR2023000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스피커 어셈블리는,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진다.

Description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본 개시는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OLED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OLED 패널은 휘거나 펼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어셈블리는 전기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기로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는 음역대에 따라 우퍼, 미드레인지, 트위터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최근, 커브드 혹은 밴더블 디스플레이 구조에 부합하며, 사용자에게 높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평평한 형태에서 굽어진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굽어진 형태에서 스피커의 용적을 증가시켜 스피커의 재생대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굽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강한 화면 몰입감을 제공하고, 굽어진 스피커 어셈블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개선된 현장감과 높은 음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좌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우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 각각은: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은 플렉서블(flexible)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평평한 형태에서 굽어진 형태로 전환이 가능한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굽어진 형태에서 스피커의 용적을 증가시켜 스피커의 재생대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굽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강한 화면 몰입감을 제공하고, 굽어진 스피커 어셈블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개선된 현장감과 높은 음질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제1 방향(DR1)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 또는 제2 방향(DR2)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전후방향 또는 제3 방향(DR3)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D)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좌측(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우측(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을 제1 코너(C1)라 칭할 수 있다.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을 제2 코너(C2)라 칭할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을 제3 코너(C3)라 칭할 수 있다.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을 제4 코너(C4)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프레임(20)과 스피커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을 덮는 평판부(21, a flat plate portion)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덮는 사이드부(22, a side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패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평판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0)의 상변은 제1 장변(LS1)을 형성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하변은 제2 장변(LS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의 좌변은 제1 단변(SS1)을 형성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우변은 제2 단변(SS2)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프레임(20)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는 프레임(20)의 상기 좌변, 즉 제1 단변(SS1)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하측에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스피커(101a)와 제2 스피커(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a)은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스피커(101a)는 제1 하우징(110a)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a)은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a)는 제2 하우징(120a)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a)은 제2 하우징(12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a)의 내부 공간과 제2 하우징(120a)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좌측 내부 공간(100S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피커(102a)는 제1 스피커(101a)보다 프레임(20)의 상기 좌변, 즉 제1 단변(SS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101a)는 저음 또는 중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a)는 고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피커(101a)는 우퍼(woofer)일 수 있고, 제2 스피커(102a)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101a)는 제1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a)는 제2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는 프레임(20)의 상기 우변, 즉 제2 단변(SS2)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하측에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스피커(101b)와 제2 스피커(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b)은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스피커(101a)는 제1 하우징(110b)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b)은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b)는 제2 하우징(120b)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b)은 제2 하우징(120b)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b)의 내부 공간과 제2 하우징(120b)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우측 내부 공간(100S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피커(102b)는 제1 스피커(101b)보다 프레임(20)의 상기 우변, 즉 제2 단변(SS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101b)는 저음 또는 중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b)는 고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피커(101b)는 우퍼(woofer)일 수 있고, 제2 스피커(102b)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101b)는 제1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b)는 제2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즉,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의 제1 스피커(101a), 제2 스피커(102a), 제1 하우징(110a), 및 제2 하우징(120a) 각각에 대한 설명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의 제1 스피커(101b), 제2 스피커(102b), 제1 하우징(110b), 및 제2 하우징(120b)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101a)와 제1 스피커(101b)는 제1 스피커(101) 또는 제1 스피커 유닛(101)으로 통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102a)와 제2 스피커(102b)는 제2 스피커(102) 또는 제2 스피커 유닛(102)으로 통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0a)과 제1 하우징(110b)은 제1 하우징(110)으로 통칭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a)과 제2 하우징(120b)은 제2 하우징(120)으로 통칭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스피커 어셈블리(200)는 프레임(20)의 하변에 인버할 수 있고,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후방과 하측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20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200a)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200a)는 프레임(20)의 상기 좌변, 즉 제1 단변(SS1)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후방에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200a)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스피커(201a)와 제2 스피커(2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은 프레임(2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스피커(201a)는 제1 하우징(210a)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0a)은 프레임(2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a)는 제2 하우징(220a)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은 제2 하우징(22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10a)의 내부 공간과 제2 하우징(220a)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좌측 내부 공간(200S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피커(202a)는 제1 스피커(201a)보다 프레임(20)의 상기 좌변, 즉 제1 단변(SS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201a)는 저음 또는 중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a)는 고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피커(201a)는 우퍼(woofer)일 수 있고, 제2 스피커(202a)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201a)는 제1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a)는 제2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200b)는 프레임(20)의 상기 우변, 즉 제2 단변(SS2)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20)의 후방에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200b)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스피커(201b)와 제2 스피커(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b)은 프레임(2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스피커(201b)는 제1 하우징(210b)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0b)은 프레임(2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b)는 제2 하우징(220b)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b)은 제2 하우징(220b)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10b)의 내부 공간과 제2 하우징(220b)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우측 내부 공간(200S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피커(202b)는 제1 스피커(201b)보다 프레임(20)의 상기 우변, 즉 제2 단변(SS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201b)는 저음 또는 중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b)는 고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피커(201b)는 우퍼(woofer)일 수 있고, 제2 스피커(202b)는 트위터(tweeter)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201b)는 제1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b)는 제2 스피커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200a)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200b)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즉,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200a)의 제1 스피커(201a), 제2 스피커(202a),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20a) 각각에 대한 설명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200b)의 제1 스피커(201b), 제2 스피커(202b), 제1 하우징(210b), 및 제2 하우징(220b)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201a)와 제1 스피커(201b)는 제1 스피커(201) 또는 제1 스피커 유닛(201)으로 통칭할 수 있고, 제2 스피커(202a)와 제2 스피커(202b)는 제2 스피커(202) 또는 제2 스피커 유닛(202)으로 통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210a)과 제1 하우징(210b)은 제1 하우징(210)으로 통칭할 수 있고, 제2 하우징(220a)과 제2 하우징(220b)은 제2 하우징(220)으로 통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피커(101; 201)와 제2 스피커(102; 202) 각각은 다음과 같은 스피커 구성들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은 상기 스피커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은 후술하는 상기 스피커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2)을 포함한 상기 스피커의 구성들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110; 210) 또는 제2 하우징(120; 2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및 3 참조).
바텀 플레이트(3a)는 상기 스피커의 일측을 형성할 수 있다. 폴피스(3b, pole piece)는 바텀 플레이트(3a)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스피커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중실의 실린더(solid cylinder)로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3c)는 바텀 플레이트(3a)로부터 상기 스피커의 상기 타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폴피스(3b)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이때, 공극(air gap, 미부호)은 탑 플레이트(3c)와 폴피스(3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4, magnet)은 바텀 플레이트(3a)와 탑 플레이트(3c)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폴피스(3b)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보빈(5, bobbin)은 상기 공극에 설치될 수 있고, 보이스 코일(6)이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입력단자(7c)와 금사선(7d)은 증폭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를 보이스 코일(6)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을 지니는 스파이더(8, spider)는 보빈(5)과 프레임(2) 사이에서 보빈(5)과 프레임(2)에 결합될 수 있고, 보빈(5)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스파이더(8)는 댐퍼(damper)라 칭할 수 있다.
진동판(7, diaphragm)은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진동판(7)의 일측은 보빈(5)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진동판(7)의 타측은 탄성을 지니는 엣지(7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개스킷(7b, gasket)은 엣지(7a)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진동하는 진동판(7)에 대한 주변 기구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더스트 캡(9, dust cap)은 진동판(7)의 중앙부를 덮을 수 있고, 자기회로 내부에 대한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극에 마그넷(4)에 의한 자력선이 형성될 수 있고, 보이스 코일(6)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로렌츠 힘(Lorentz force)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로렌츠 힘의 크기는 자력선(자속밀도)의 크기, 전류의 양, 및 권선된 코일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고, 힘의 방향은 자속밀도와 전류가 이루는 평면의 직각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진동판(7)은 상기 스피커의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진동판(7)이 상기 스피커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 음압이 발생할 수 있고, 진동판(7)이 상기 스피커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 음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판(7)의 진동에 따라서 제1 하우징(110; 210)의 내부 공간 또는 제2 하우징(120; 22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도 공진하며 그 압력이 변화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피커 어셈블리(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위 설명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피커 어셈블리(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평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위 설명은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와 대칭되는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은 제2 하우징(120)을 향하는 방향, 즉 제1 하우징(110)의 좌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너비(w1)는 좌우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두께(t)는 전후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0)의 높이는 상하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0)은 제1 프런트 포션(110a, a first top portion), 제1 리어 포션(110b, a first rear portion), 제1 탑 포션(110c, a first top portion, 도 14 참조), 제1 바텀 포션(110d, a first bottom portion, 도 15 참조), 그리고 제1 사이드 포션(110e, a first side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포션(110e)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우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포션(110a)은 제1 사이드 포션(110e)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전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어 포션(110b)은 제1 사이드 포션(110e)의 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후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탑 포션(110c)은 제1 사이드 포션(110e)의 상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상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텀 포션(110d)은 제1 사이드 포션(110e)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하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포션(110a), 제1 리어 포션(110b), 제1 탑 포션(110c), 제1 바텀 포션(110d), 그리고 제1 사이드 포션(110e)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이드 포션(110e)은 대략 절반으로 분리되거나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피커홀(110H)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프런트 포션(110a)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피커(101)는 제1 스피커홀(110H)에 장착될 수 있고,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말단에서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11)를 가질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의 일단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프런트 슬롯(111)의 타단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제1 스피커홀(110H)이 형성되는 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말단에서 제1 리어 포션(11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12)를 가질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의 일단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l12)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l11)와 같을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0S)은 제1 하우징(110)을 향하는 방향, 즉 제2 하우징(120)의 우측으로 개구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의 너비(w2)는 좌우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두께(t)는 전후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20)의 높이는 상하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하우징(120)의 두께(t) 및 상기 높이는 제1 하우징(110)의 두께(t) 및 상기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하우징(120)의 너비(w2)는 제1 하우징(110)의 너비(w1)와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120)은 제2 프런트 포션(120a, a second front portion), 제2 리어 포션(120b, a second rear portion), 제2 탑 포션(120c, a second top portion, 도 14 참조), 제2 바텀 포션(120d, a second bottom portion, 도 15 참조), 그리고 제2 사이드 포션(120e, a second side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포션(120e)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좌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포션(120a)은 제2 사이드 포션(120e)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전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리어 포션(120b)은 제2 사이드 포션(120e)의 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후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탑 포션(120c)은 제2 사이드 포션(120e)의 상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상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텀 포션(120d)은 제2 사이드 포션(120e)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의 하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포션(120a), 제2 리어 포션(120b), 제2 탑 포션(120c), 제2 바텀 포션(120d), 그리고 제2 사이드 포션(120e)은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0S)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이드 포션(120e)은 대략 절반으로 분리되거나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피커홀(120H)은 제2 하우징(120)의 제2 프런트 포션(120a)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피커(102)는 제2 스피커홀(120H)에 장착될 수 있고,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말단에서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21)를 가질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의 일단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프런트 슬롯(121)의 타단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제2 스피커홀(120H)이 형성되는 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말단에서 제2 리어 포션(12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22)를 가질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의 일단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프런트 슬롯(121)과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l22)는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l21)와 같을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 a front plate)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방향은 좌우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프런트 슬롯(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0)에서 제2 하우징(1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l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l11)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l21)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32, a rear plate)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방향은 좌우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슬롯(112)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리어 슬롯(1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0)에서 제2 하우징(1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l32)는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l12)와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l22)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가 평평하면, 제1 하우징(110)의 좌측 끝단은 제2 하우징(120)의 우측 끝단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과 접촉할 수 있고,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의 전체 너비는 제1 하우징(110)의 너비(w1)와 제2 하우징(120)의 너비(w2)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와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굽어질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강한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프레임(20)에 구비된 구동계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프레임(20)은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위 설명은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와 대칭되는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밴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 칭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와 리어 플레이트(132) 각각의 일부는 상기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제2 프런트 슬롯(121)과 제2 리어 슬롯(122) 각각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이에 고정된 프런트 플레이트(131) 및 리어 플레이트(1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플레이트(131)와 리어 플레이트(132)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플레이트(131)와 리어 플레이트(132)는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의 곡률 중심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의 곡률 중심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의 길이(a2)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의 길이(a1)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의 곡률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너비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에 대하여 굽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너비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에 대하여 굽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소리 제공방향이 굽어진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귀를 향할 수 있다. 즉, 스피커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에게 개선된 현장감과 높은 음질의 소리를 제공하여, 음향 렌즈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 어셈블리(100)가 평평한 형태(도 7 참조)에서 굽어진 형태(도 9 참조)로 변화하면,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와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에 의해 커질 수 있다. 즉,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0S), 및 확장 공간(130S)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이로써, 스피커 어셈블리(100)가 제공하는 소리의 재생대역이 확대될 수 있고, 소리의 음압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말단에서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21')를 가질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의 일단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프런트 슬롯(121')의 타단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제2 스피커홀(120H)이 형성되는 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에 삽입될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l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l11)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l21')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상기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의 일단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의 타단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상기 타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말단에서 제2 리어 포션(12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22')를 가질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의 일단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프런트 슬롯(121')과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l22')는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l21')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에 삽입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l32)는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l12)와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l22')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리어 플레이트(132)와 제2 리어 슬롯(122')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리어 탄성부재(142)의 일단은 리어 플레이트(132)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리어 탄성부재(142)의 타단은 제2 리어 슬롯(122')의 상기 타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10의 상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0의 하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제2 프런트 슬롯(121')에 대한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를 제2 프런트 슬롯(12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제2 리어 슬롯(122')에 대한 리어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를 제2 리어 슬롯(12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 및 제2 리어 탄성부재(142)와 이에 연관된 구성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 도 8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상기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원활하게 굽어진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말단에서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11')를 가질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의 일단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프런트 슬롯(111')의 타단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제1 스피커홀(110H)이 형성되는 부분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에 삽입될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l31)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l11')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l21')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와 제1 프런트 슬롯(111')의 상기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의 일단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의 타단은 제1 프런트 슬롯(111')의 상기 타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와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스프링일 수 잇다. 한편,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보조 탄성부재라 칭할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말단에서 제1 리어 포션(11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에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길이(l12')를 가질 수 잇다. 제1 리어 슬롯(112')의 일단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l12')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l11')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에 삽입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l32)는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l12')와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l22')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리어 플레이트(132)와 제1 리어 슬롯(112')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어 탄성부재(152)의 일단은 리어 플레이트(132)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리어 탄성부재(152)의 타단은 제1 리어 슬롯(112')의 상기 타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리어 플레이트(132)에 대하여 제2 리어 탄성부재(142)와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보조 탄성부재라 칭할 수 있다.
도 11의 상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고,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도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고, 제1 리어 탄성부재(152)도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1의 하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와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제2 프런트 슬롯(121')에 대한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를 제2 프런트 슬롯(12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프런트 플레이트(131)를 제1 프런트 슬롯(1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고,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리어 탄성부재(142)와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제2 리어 슬롯(122')에 대한 리어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를 제2 리어 슬롯(12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신장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132)를 제1 리어 슬롯(112')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및 제2 프런트 탄성부재(151, 141)과 제1 및 제2 리어 탄성부재(152, 142)과 이에 연관된 구성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 도 8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상기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보다 원활하게 굽어진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와 제2 리어 탄성부재(142) 없이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와 제1 리어 탄성부재(152)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제1 프런트 슬롯(111'')은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말단에서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슬롯(121'')은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말단에서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은 동일한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호의 중심은 굽어진 상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고,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에 삽입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길이는 제1 프런트 슬롯(111'')의 길이와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길이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 도 11 참조) 및/또는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 도 11 참조)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런트 탄성부재(151)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단과 제1 프런트 슬롯(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프런트 탄성부재(141)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타단과 제2 프런트 슬롯(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은 제1 리어 포션(110b)의 말단에서 제1 리어 포션(11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리어 슬롯(122'')은 제2 리어 포션(120b)의 말단에서 제2 리어 포션(120b)의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은 동일한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호의 중심은 굽어진 상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의 곡률은 제1 프런트 슬롯(111'')과 제2 프런트 슬롯(121'')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32')는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고, 제1 리어 슬롯(112'')과 제2 리어 슬롯(122'')에 삽입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32')의 길이는 제1 리어 슬롯(112'')의 길이와 제2 리어 슬롯(122'')의 길이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곡률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리어 탄성부재(152, 도 11 참조) 및/또는 제2 리어 탄성부재(142, 도 11 참조)은 리어 플레이트(13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어 탄성부재(152)는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단과 제1 리어 슬롯(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리어 탄성부재(142)는 리어 플레이트(132')의 타단과 제2 리어 슬롯(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일부는 제1 프런트 포션(110a)의 상기 말단과 제2 프런트 포션(120a)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리어 플레이트(132')의 일부는 제1 리어 포션(110b)의 상기 말단과 제2 리어 포션(120b)의 상기 말단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의 길이(b2)는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의 길이(b1)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의 곡률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너비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에 대하여 굽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굽힘 동작에 대응하여, 너비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곡률 중심에 대하여 굽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소리 제공방향이 굽어진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귀를 향할 수 있다. 즉, 스피커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피커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에게 개선된 현장감과 높은 음질의 소리를 제공하여, 음향 렌즈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 어셈블리(100)가 평평한 형태(도 12 참조)에서 굽어진 형태(도 13 참조)로 변화하면,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은 프런트 플레이트(131)의 상기 일부와 리어 플레이트(132)의 상기 일부에 의해 커질 수 있다. 즉,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 제2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0S), 및 확장 공간(130S')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이로써, 스피커 어셈블리(100)가 제공하는 소리의 재생대역이 확대될 수 있고, 소리의 음압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탑 플레이트(133)는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33)의 일단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탑 포션(110c)의 내측에 형성된 제1 탑 슬롯(113)에 고정될 수 있고, 탑 플레이트(133)의 타단은 제2 하우징(120)의 제2 탑 포션(120c)의 내측에 형성된 제2 탑 슬롯(1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탑 플레이트(133)는 제2 탑 슬롯(123)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탑 탄성부재(미도시) 및/또는 제2 탑 탄성부재(미도시)는 탑 플레이트(13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탑 탄성부재는 탑 플레이트(133)의 상기 일단과 제1 탑 슬롯(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탑 탄성부재는 탑 플레이트(133)의 상기 타단과 제2 탑 슬롯(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의 상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탑 플레이트(133)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의 하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탑 플레이트(133)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 플레이트(133)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고, 탑 플레이트(133)의 상기 일부는 굽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탑 플레이트(133)는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고, 제1 탑 슬롯(113)과 제2 탑 슬롯(123)은 탑 플레이트(133)에 대응하여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 플레이트(133)의 상기 일부는 확장 공간(130S, 130S', 도 9 및 13 참조)의 상측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탑 플레이트(133) 및 이에 연관된 구성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 도 8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바텀 플레이트(134)는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34)의 일단은 제1 하우징(110)의 제1 바텀 포션(110d)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바텀 슬롯(114)에 고정될 수 있고, 바텀 플레이트(134)의 타단은 제2 하우징(120)의 제2 바텀 포션(120d)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바텀 슬롯(12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바텀 플레이트(134)는 제2 바텀 슬롯(124)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바텀 탄성부재(미도시) 및/또는 제2 바텀 탄성부재(미도시)는 바텀 플레이트(134)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바텀 탄성부재는 바텀 플레이트(134)의 상기 일단과 제1 바텀 슬롯(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텀 탄성부재는 바텀 플레이트(134)의 상기 타단과 제2 바텀 슬롯(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의 상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평평한 형태이면, 바텀 플레이트(134)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의 하측 그림을 참조하면,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100a)가 굽어진 형태이면, 바텀 플레이트(134)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텀 플레이트(134)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고, 바텀 플레이트(134)의 상기 일부는 굽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바텀 플레이트(134)는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고, 제1 바텀 슬롯(114)과 제2 바텀 슬롯(124)은 바텀 플레이트(134)에 대응하여 호(arc)를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텀 플레이트(134)의 상기 일부는 확장 공간(130S, 130S', 도 9 및 13 참조)의 하측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텀 플레이트(134) 및 이에 연관된 구성은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100b, 도 8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플레이트(134)는 전술한 탑 플레이트(133, 도 14 참조), 프런트 플레이트(131, 131', 도 7 및 12 참조), 리어 플레이트(132, 132', 도 7 및 12 참조)와 함께 확장 공간(130S, 130S', 도 9 및 13 참조)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고, 스피커 어셈블리(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스피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직선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호(arc)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호에 대응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단과 상기 제2 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을 지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단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슬롯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워지면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 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을 지니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슬롯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워지면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단에 연결되는 프런트 플레이트;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전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고, 제1 길이와 제1 곡률을 지닐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후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와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제2 곡률을 지닐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는 탑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확장 공간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는 서로 같거나 다른 방향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좌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우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 각각은: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은 플렉서블(flexible)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성가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고,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의 상기 제2 스피커는,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의 상기 제1 스피커보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좌변에 가까울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음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스피커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직선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렉서블(flexible)한 스피커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호(arc)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호에 대응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단과 상기 제2 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을 지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슬롯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워지면 압축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신장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 슬롯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을 지니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1 슬롯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워지면 압축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신장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스피커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단에 연결되는 프런트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전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지고, 제1 길이와 제1 곡률을 지니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후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후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며,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와 상기 제1 곡률보다 작은 제2 곡률을 지니는 스피커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는 탑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확장 공간의 경계를 정의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는 서로 같거나 다른 방향으로 소리를 제공하는 스피커 어셈블리.
  1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좌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우변에 인접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 각각은:
    제1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
    제2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은 플렉서블(flexible)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굽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성가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의 상기 제2 스피커는,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의 상기 제1 스피커보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좌변에 가깝고, 상대적으로 고음의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스피커 어셈블리는,
    상기 좌측 스피커 어셈블리와 좌우로 대칭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082311A 2021-06-24 2021-06-24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00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11A KR20230000200A (ko) 2021-06-24 2021-06-24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21947261.0A EP4362493A1 (en) 2021-06-24 2021-07-12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PCT/KR2021/008895 WO2022270671A1 (ko) 2021-06-24 2021-07-12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845,540 US20220417628A1 (en) 2021-06-24 2022-06-21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11A KR20230000200A (ko) 2021-06-24 2021-06-24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00A true KR20230000200A (ko) 2023-01-02

Family

ID=8454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11A KR20230000200A (ko) 2021-06-24 2021-06-24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17628A1 (ko)
EP (1) EP4362493A1 (ko)
KR (1) KR20230000200A (ko)
WO (1) WO20222706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384B1 (ko) * 2000-05-19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패널형 영상 표시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KR101275209B1 (ko) * 2006-06-0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
KR100962595B1 (ko) * 2008-03-18 2010-06-11 에스텍 주식회사 사운드 바 스피커
KR20140141400A (ko) * 2013-05-29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1777B1 (ko) * 2015-12-08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7628A1 (en) 2022-12-29
EP4362493A1 (en) 2024-05-01
WO2022270671A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6661B2 (ja)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JP6845288B2 (ja) 表示装置及び装置
US20220369024A1 (en) Display apparatus
CN109391883B (zh) 显示设备
EP3457199B1 (en) Display apparatus
US11979700B2 (en) Display apparatus
JP2001189978A (ja) パネル型スピーカ
JP202117400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117519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30000200A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945730A1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KR20220069606A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767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2022010635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884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