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169B1 -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 Google Patents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169B1
KR102315169B1 KR1020190160829A KR20190160829A KR102315169B1 KR 102315169 B1 KR102315169 B1 KR 102315169B1 KR 1020190160829 A KR1020190160829 A KR 1020190160829A KR 20190160829 A KR20190160829 A KR 20190160829A KR 102315169 B1 KR102315169 B1 KR 10231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crete
cement
mat
hydrat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734A (ko
Inventor
유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포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포우
Priority to KR102019016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1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폭 방향의 양 끝단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유실방지부를 형성시킨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을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치밀하게 편직된 제1층과,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의 제2층 및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 사이의 공간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로 이루어진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사이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섬유파일이 밀집되게 식모되어 형성된 유실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on-site hydration concrete complex having edge-dropping prevention of cement mixed powder and its on-site hydration concrete mat}
본 발명은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폭 방향의 양 끝단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유실방지부를 형성시킨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토지조성, 도로공사, 매립지 조정공사 등의 경우 절취사면은 필연적으로 형성되어지며, 절취사면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안정성의 확보는 구조물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 된다.
또한, 절개지 비탈면은 부득이 기반암까지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기반암의 노출은 주행자 및 인근주민들에게 나쁜 경관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도로공사, 철도공사에 의해서 형성된 비탈진 경사면은 집중호우나 태풍 등의 가혹한 자연조건이 있는 경우 붕괴의 위험까지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불안정한 사면을 보강하는 공법의 일종으로서 숏크리트(shotcrete) 공법이 종종 이용되는데, 이러한 숏크리트 공법은 표층이 불안정한 사면의 표면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표층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공법으로서 단기간의 효과가 뚜렷하다는 장점 때문에 흔히 시공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숏크리트 공법은 굴착된 면에 액상의 콘크리트를 뿜어서 붙이는 작업으로 시설이 과다하게 사용되며, 사전 준비 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펌프를 이용하여 타설하기 때문에 작업시 소음이 발생과 노즐 끝단을 작업자가 잡고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분사시 입자를 작업자가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저류조, 수로, 사면의 마감시에는 콘크리트 표면층을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양생을 시키기 위한 거품집 등이 사용되는데 거프집을 설치하지 않고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 및 타설 작업시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일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플렉시블한 매트를 현장에 설치 후 매트에 물을 뿌리면 물과 시멘트 복합 소재가 반응하여 상기 시멘트 복합 소재가 경화되어 콘크리트가 되도록 함으로서 터널의 숏크리트 작업 대용 및 저류조, 수로, 사면 등의 마감재, 배수로 라이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물을 뿌려 경화시키는 매트로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밀하게 편직된 바닥 층(10),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 층(12), 및 하부의 바닥 층(10)과 상부의 상부 층(12) 사이의 공간(16)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14)를 갖는 편직된 천을 제공한다.
충진물질, 예컨대 시멘트는 상부 및 하부 페이스들 사이의 공간(16) 내에 도입되며, 액체, 예컨대 물의 첨가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경화될 때까지, 패브릭은 가요성이며, 공간(16) 내의 물질이 경화된 후 형상화될 수 있고, 패브릭은 견고하며, 광범위한 상황에서 구조적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콘크리트 매트는 현장에 설치하고자 할 때 매트를 펼치거나 또는 매트의 이동시 충진된 시멘트가 폭 방향의 측면을 통해 유실되는 문제가 있어 콘크리트 매트를 적용하여 경화시키면 끝단부의 시멘트 유실에 따라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의 경우 바닥 층(10)의 길이를 연장한 연장부(24)를 상부 층(12)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측면을 폐쇄함으로써 시멘트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의 경우 바닥 층(10)의 길이를 연장한 연장부를 상부 층(12)의 상부면을 덮은 후 물을 뿌려 사용시에는 시멘트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나 매트의 이동시 또는 보관시 연장부(24)가 벗겨져 측면이 개방되는 문제가 있고 또는 시멘트 충입시 연장부가 상부 층(12)의 상부면을 덮어 충진을 방해하여 충진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시 작업자가 시멘트 분말 충진시에는 상부면에 걸치어져 있는 연장부를 펼친 후 시멘트를 충진하고 상기 시멘트 분말 충진이 완료되면 다시 작업자가 양쪽의 연장부(24)를 일일이 상부 층(12)의 상부면을 덮도록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만약 작업자가 깜빡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종래와 같이 시멘트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7203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트 분말 충진과 동시에 충진되는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따라서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별도의 후 작업 없이도 시멘트의 충진이 용이한 등의 편리성이 있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밀하게 편직된 제1층과, 더 느슨하게 편직된 제2층 및 하부의 바제1층과 상부의 제2층 사이의 공간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로 이루어진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제1층과 제2층 사이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유실방지부는 제1층과 제2층에 고정되는 고정연결부와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를 폐쇄시키는 수직섬모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직섬모는 연결 섬유보다 지름이 작은 원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직섬모는 연결 섬유보다 용융점이 낮은 원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유실방지부는 제1층의 끝단 원사를 편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편직하던 반대 방향으로 일정간격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직섬모는 셔닐 얀(Chenille yarn) 또는 DTY는 250데니아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집합체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는 치밀하게 편직된 제1층과,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의 제2층 및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 사이의 공간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로 이루어진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와 상기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사이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혼합 분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섬유파일이 밀집되게 식모되어 형성된 유실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사이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를 이용하여 시멘트 충진과 동시에 충진되는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따라서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별도의 후 작업 없이도 시멘트의 충진이 용이한 등의 편리성이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콘크리트 매트에 있어서 유실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a는 도 4의 "A"부 확대사진.
도 5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실방지부가 형성된 측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사진.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1)는 치밀하게 편직된 바닥의 제1층(100)과,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의 제2층(200) 및 하부의 바닥의 제1층(100)과 상부의 제2층(200) 사이의 공간(400)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섬유(3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의 제1층(100)과 상부의 제2층(200)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100)과 제2층(200)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며 시멘트가 충진되는 제1층(100)과 제2층(200) 사이 공간(400)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섬유파일이 밀집되게 식모되어 형성된 유실방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유실방지부(500)는 첨부도면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100)과 제2층(200)에 고정되는 고정연결부(510)(520)와 상기 제1층(100)과 제2층(200) 사이를 폐쇄시키는 수직섬모(5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섬모(530)는 셔닐 얀(Chenille yarn) 또는 DTY가 250데니아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수직섬모(530)는 연결섬유(300)보다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가느다란 원사의 다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수직섬모(530)는 연결섬유(300)보다 플렉시플하고 고유한 색체를 갖고 있으면 상기 유실방지구(500)의 설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섬모(530)의 지름이 연결섬유(300)보다 작은 이유는 상기 연결섬유(300)는 인장강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만 수직섬모(530)는 시멘트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밀도로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층(100)과 제2층(200) 모두 폭방향 끝단에 고밀도로 박음질된 끝부분에 형성된 고정연결부(510)(520)에 의해 뻣뻣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끝단에 강도 향상의 효과가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매트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더불어 유실방지부에 의해 매트의 전체적인 인장강도도 향상되게 된다.
상기 유실방지부(500)의 형성에 있어서 전자에서와 같이 제1층(100) 및 제2층(200)과는 별도의 원사를 이용하여 고밀도로 박음질하여 형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1층(100)의 폭방향 끝단 원사를 편직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시킨 다음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하던 반대 방향으로 일정간격 고밀도로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사용 방법으로는 유실방지부(500)의 측면 예컨대 매트의 폭방향 측면에 수직이면서 고밀도로 구비된 수직섬모(530)를 열로 가열하여 수직섬모의 외표면 쪽을 녹여 밀폐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섬모(530)의 일부를 녹여 사용하면 녹여져 형성된 표면층에 의해 강도 증대 및 수밀 향상도 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유실방지부(500)는 마치 치솔모와 같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부의 제1층(100)과 상부의 제2층(200)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100)과 제2층(200)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사이 공간(400)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500)를 이용하여 시멘트 충진과 동시에 충진되는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따라서 콘크리트 매트의 제조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별도의 후 작업 없이도 시멘트의 충진이 용이한 등의 편리성이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치밀하게 편직된 제1층과, 더 느슨하게 편직된 상부의 제2층 및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 사이의 공간을 가로 질러 연장되는 연결 섬유로 이루어진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의 제1층과 상부의 제2층의 폭방향 양쪽 끝단부에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도록 박음질되어 충진된 사이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의 유실을 방지하는 섬유파일이 밀집되게 식모되어 형성된 유실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방지부는 제1층과 제2층에 고정되는 고정연결부와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를 폐쇄시키는 수직섬모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0829A 2019-12-05 2019-12-05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KR10231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29A KR102315169B1 (ko) 2019-12-05 2019-12-05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29A KR102315169B1 (ko) 2019-12-05 2019-12-05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34A KR20210070734A (ko) 2021-06-15
KR102315169B1 true KR102315169B1 (ko) 2021-10-21

Family

ID=7641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29A KR102315169B1 (ko) 2019-12-05 2019-12-05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1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932B2 (ja) 1991-10-29 2000-10-23 帝人テクロス株式会社 シェニール糸及びそれによるシート材
KR101851183B1 (ko) * 2017-08-31 2018-04-24 주식회사 골든포우 경사 방향의 인장력이 보강된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JP2018204707A (ja) * 2017-06-06 2018-12-27 槌屋ティスコ株式会社 回転軸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3777A1 (en) 2009-01-29 2010-08-04 Concrete Canvas Limited Impregnated cloth
KR20170013430A (ko) * 2015-07-27 2017-02-07 (주)케미우스코리아 하수관 보수용 패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2932B2 (ja) 1991-10-29 2000-10-23 帝人テクロス株式会社 シェニール糸及びそれによるシート材
JP2018204707A (ja) * 2017-06-06 2018-12-27 槌屋ティスコ株式会社 回転軸シール
KR101851183B1 (ko) * 2017-08-31 2018-04-24 주식회사 골든포우 경사 방향의 인장력이 보강된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34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4608A (en) Method of lining ditches
CN104153380B (zh) 一种防渗围堰结构及施工工艺
JP6811469B2 (ja) 表層崩壊防止用マット、表層崩壊防止兼用緑化構造体及び表層崩壊防止兼用緑化工法
KR102003415B1 (ko)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집합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매트
DE3728255A1 (de) Erdankerband
KR102315169B1 (ko) 시멘트 혼합분말의 변부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집합체 및 그 현장 수화 콘크리트용 매트
CN113322966B (zh) 一种用于基坑的边坡支护层面装置、施工方法及其应用
JP3431783B2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JP6676462B2 (ja) 堤防補強工法
JPH0454011B2 (ko)
CN110593203B (zh) 柔性抗冻胀、抗冲刷渠道防护设施及施工方法
CN211285635U (zh) 黄土边坡的加固结构
DE102014101334B4 (de) Böschungssicherungseinrichtung, damit hergestelltes Böschungsbauwerk,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öschungsbauwerks
JP6811470B2 (ja) 護岸用マット、護岸用緑化構造体及び護岸工法
KR100879482B1 (ko) 생태복원용 식생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EP0012823B1 (de) Ausbau von Untertage liegenden Räumen
KR200233322Y1 (ko) 연약지반의 표층부용 보강재
KR20210039165A (ko) 터프팅 연결사를 이용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KR102519679B1 (ko) 수로용 섬유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084648B2 (ja) 法面の表層崩壊防止工法
KR102265893B1 (ko) 텍스타일 그리드를 구비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급속시공하는 구조물 보강방법
JP7285482B2 (ja) 法枠形成具及び法枠形成方法
KR20080071761A (ko) 절취사면의 강섬유보강텍솔옹벽의 시공방법
JP6893381B2 (ja) 壁面の汚れ防止方法
KR101842688B1 (ko) 사면보강용 섬유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