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89B1 -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89B1
KR102315089B1 KR1020190153266A KR20190153266A KR102315089B1 KR 102315089 B1 KR102315089 B1 KR 102315089B1 KR 1020190153266 A KR1020190153266 A KR 1020190153266A KR 20190153266 A KR20190153266 A KR 20190153266A KR 102315089 B1 KR102315089 B1 KR 10231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rt
vehicle seat
backrest
main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725A (ko
Inventor
김상현
이우종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Elastically mounted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생체감지센서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본체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되므로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탄성부가 흡수 또는 감쇠시키게 되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센서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판단하여, 졸음운전 방지, 건강 상태 이상 경고 등과 같은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점차 활용화 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시트에는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자율 주행 시스템으로 운전 기능이 변경되도록 하여 차량을 비상 정지시키거나, 인근 병원으로 차량을 운전하도록 하는 운전 보조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운전 보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10)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생체 신호 감지 장치는 운전자의(USER)의 심박을 측정하는 것으로, 차량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에게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신호에 대응되는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10)는 송신 신호와 반송 신호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하여 심박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10)는 미약한 반송 신호가 차량 환경에서의 다양한 환경변수의 영향 즉, 차량의 진동 소음, 탑승자의 움직임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반송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되어, 종래 신호 감지 장치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42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센서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센서; 및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일면에 오목하게 탄성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탄성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밀도 및 경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양 단부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도록 절곡되는 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보조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탄성부와, 상기 중앙탄성부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양측을 커버하도록 차량 시트의 등받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탄성부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상기 생체감지센서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체감지센서는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박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생체감지센서가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되고,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저면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탑승자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및 상기 본체는 상기 저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경사진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면에 접촉되는 각도고정날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오목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면, 상기 베이스의 하측은 상기 오목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측은 상기 탄성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오목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도고정날개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날개와, 상기 커버의 상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본체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되므로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탄성부가 흡수 또는 감쇠시키게 되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는 오목부에 안전하게 삽입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탄성부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탄성부가 흡수하는 진동을 최대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는 탄성수용홈에 삽입되므로, 탄성부가 본체의 테두리를 보호하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본체가 흔들린다 하더라도, 탄성부가 본체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본체 내부의 생체감지센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과 본체 사이에는 보조탄성부가 구비되므로, 브라켓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는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차량 시트에 경사지게 장착되므로,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생체감지센서의 감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날개와 상부날개는 경사진 상태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본체는 경사진 상태로 오목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날개와 상부날개의 경사진 각도 및 위치는 오목부의 경사진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므로, 본체는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특정 각도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날개와 상부날개가 금속체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날개와 상부날개는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생체감지센서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되어, 생체감지센서의 성능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운전 보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수직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100)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장착되어 차량 시트(S)에 안착한 탑승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탄성부(130), 본체(110), 생체감지센서(120), 보조탄성부(140) 및 브라켓(150)을 포함한다.
차량 시트(S)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S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 시트(S)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의 등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후면에는 오목하게 오목부(S1a)가 형성된다.
탄성부(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오목부(S1a)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130)의 일면은 후술하는 본체(110)의 내면에 밀착되고, 탄성부(130)의 타면은 등받이(S1)의 전면 방향을 향하는 오목부(S1a)의 저면부에 밀착된다.
본체(110)는 탄성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장착되는 것으로, 탄성부(130)에 밀착되는 판형의 베이스(112)와, 베이스(112)를 덮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커버(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12)와 커버(114)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에 생체감지센서(120)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12)는 탄성부(130)의 오목부(S1a)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므로, 탄성부(130)가 베이스(112)의 테두리를 감싸게 되어, 차량의 운전 과정에서 차량으로부터 본체(110)로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베이스(112)는 탄성부(130)의 오목부(S1a)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생체감지센서(120)는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S)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연속 정현파 무선 주파수 신호를 탑승자에게 송신하고, 탑승자에 의하여 반송되는 반송파의 위상 변화를 수신받아,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이는, 인간의 폐, 심장은 공기, 혈액이 출입하고 주기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므로, 도플러 효과에 의하여 반송되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호흡, 심박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브라켓(150)은 탄성부(13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커버(114)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그 양 단부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장착되도록 등받이(S1)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150)은 본체(110)를 시트(S)의 등받이(S1)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보조탄성부(140)는 본체(110)의 외면과 브라켓(150) 사이에 위치되며 탄성부(13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정탄성부(130)의 세부 구조를 보면, 커버(114)의 외면을 가로지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탄성부(142)(130)와, 중앙탄성부(142)(130)의 양측에 커버(114)의 양측과 베이스(112)의 양측을 커버(114)하도록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탄성부(144)(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14)의 외면에는 중앙탄성부(142)(130)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115)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수직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는 오목하게 오목부(S1a)가 형성되고, 탄성부(130)의 내면은 오목부(S1a)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탄성부(130)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처럼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와 본체(110) 사이에 탄성부(130)가 구비되므로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탄성부(130)가 흡수 또는 감쇠시키게 되어,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120)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130)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밀도 및 경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경우, 탑승자를 지지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강한 밀도 및 경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반면, 탄성부(130)는 본체(11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이므로,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밀도 및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탄성부(130)가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 및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탄성부(130)가 흡수하는 진동을 최대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130)는 오목부(S1a)에 안전하게 삽입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탄성부(130)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110)는 탄성수용홈(132)에 삽입되므로, 탄성부(130)가 본체(110)의 테두리를 보호하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본체(110)가 흔들린다 하더라도, 탄성부(130)가 본체(11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본체(110) 내부의 생체감지센서(12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의 수평 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150)은 본체(110)를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브라켓(150)과 본체(110) 사이에 보조탄성부(140)가 구비되므로, 차량 시트(S)에서 브라켓(15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보조탄성부(140)가 흡수한다. 이처럼 브라켓(15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탄성부(140)로 인하여 보조탄성부(140)와 맞닿은 본체(110)의 커버(114)로는 브라켓(15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120)가 감지하는 신호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생체감지센서(120)는 차량 시트(S)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박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므로,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시트(S)에 앉은 탑승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오목부(S1a)의 저면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탑승자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12)는 오목부(S1a)를 따라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베이스(112)에 지지되는 생체감지센서(120)가 차량 시트(S)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된다. 이때, 탄성부(130)의 내면은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S1a)에 삽입되어, 탄성부(130) 및 본체(110)는 저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처럼 탄성부(130) 및 본체(110)가 오목부(S1a)에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생체감지센서(120)는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게 되어, 생체감지센서(120)는 탑승자의 심장 박동을 감지하는 효율이 뛰어나다. 즉, 생체감지센서(120)가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면 탑승자의 심장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하고, 반송되는 반송파를 용이하게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110)가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차량 시트(S)에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생체감지센서(120)의 감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탄성부(130)가 오목부(S1a)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면, 본체(110) 또한 오목부(S1a)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베이스(112)의 하측은 오목부(S1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112)의 상측은 탄성부(130)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오목부(S1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커버(114)는 하측과 상측 모두 오목부(S1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오목부(S1a)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본체(11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각도고정날개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고정날개는 본체(110)의 경사진 각도(α)를 고정시키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날개(112a)와 상부날개(114a)를 포함한다.
하부날개(112a)는 베이스(112)의 하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날개(112a)의 양 단부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후면 하측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부날개(114a)는 커버(114)의 상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날개(114a)의 양 단부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후면 상측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날개(112a)와 상부날개(114a)는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본체(110)는 경사진 상태로 오목부(S1a)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날개(112a)와 상부날개(114a)의 경사진 각도 및 위치는 오목부(S1a)의 경사진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므로, 본체(110)는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특정 각도로 차량 시트(S)의 등받이(S1)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날개(112a)와 상부날개(114a)가 금속체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날개(112a)와 상부날개(114a)는 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본체(110) 내부에 위치되는 생체감지센서(12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되어, 생체감지센서(120)의 성능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S: 차량 시트 S1: 등받이
S1a: 오목부
100: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10: 본체 112: 베이스
112a: 하부날개 114: 커버
114a: 상부날개 115: 안내홈
120: 생체감지센서 130: 탄성부
132: 탄성수용홈 140: 보조탄성부
142: 중앙탄성부 144: 절곡탄성부
150: 브라켓

Claims (10)

  1.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센서; 및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에 오목하게 탄성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면은 상기 탄성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2.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센서; 및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밀도 및 경도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3.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센서; 및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양 단부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도록 절곡되는 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보조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탄성부와, 상기 중앙탄성부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양측을 커버하도록 차량 시트의 등받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4.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센서; 및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위치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면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탄성부에 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상기 생체감지센서가 수용되고,
    상기 생체감지센서는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박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생체감지센서가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심장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타면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되고,
    차량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저면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탑승자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및 상기 본체는 상기 저면부에 지지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경사진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면에 접촉되는 각도고정날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오목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면, 상기 베이스의 하측은 상기 오목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측은 상기 탄성부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오목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도고정날개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날개와, 상기 커버의 상부 양측에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KR1020190153266A 2019-11-26 2019-11-26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KR10231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66A KR102315089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66A KR102315089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25A KR20210064725A (ko) 2021-06-03
KR102315089B1 true KR102315089B1 (ko) 2021-10-20

Family

ID=7639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66A KR102315089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921A (ja) * 1999-08-11 2001-02-20 Toyota Tekkusu Osaka:Kk 乗物用シートへのモニタ取付枠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付き乗物用シート
JP2016026944A (ja) * 2014-06-25 2016-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モニ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04B1 (ko) 2017-08-02 2021-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921A (ja) * 1999-08-11 2001-02-20 Toyota Tekkusu Osaka:Kk 乗物用シートへのモニタ取付枠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付き乗物用シート
JP2016026944A (ja) * 2014-06-25 2016-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モニ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25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6457B2 (en) Load body state judging device, vehicle seat and computer program
JP2001260698A (ja) 心拍呼吸検出装置
US20150265200A1 (en) Safety bel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ardiac and/or respiratory activity of a user of a safety belt
CN116392096A (zh) 生物传感器的配置构造
KR101768142B1 (ko) 생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5089B1 (ko) 차량용 생체 신호 감지 장치
EP3603996A1 (en) Functional component attachment base
US11156482B2 (en) Contactless sensor mounting system for vehicle
JP2017046927A (ja) ネックバンド型生体情報検出装置
WO1997024976A1 (fr) Appareil de detection de signaux emanant d'organes vivants
JP4567378B2 (ja) 生理学的数量を測定する光学デバイスならびにデータ送信および/または受信手段を備える携帯型計器
JP6411264B2 (ja) シート
JP2018000621A (ja) 生体情報検知装置および生体情報検知装置を備える椅子
US20130261477A1 (en) In-vehicle electrocardiograph device and vehicle
JP7097461B6 (ja) シート使用の検出機能を備えた自動車シートの発泡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24251A (ja) 乗り物用シート
CN114502421A (zh) 车辆座椅
JP6597524B2 (ja) 生体情報記録装置
KR102189778B1 (ko) 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맥파감지 장치
JP2018175831A (ja) 生体センサーの配置構造
JP4925313B2 (ja) 生体信号検出装置
JP6028880B1 (ja) 生体情報取得装置
KR102506847B1 (ko)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KR102009857B1 (ko)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KR20150101727A (ko) 탑승자 생체신호 판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