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847B1 -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847B1
KR102506847B1 KR1020160168774A KR20160168774A KR102506847B1 KR 102506847 B1 KR102506847 B1 KR 102506847B1 KR 1020160168774 A KR1020160168774 A KR 1020160168774A KR 20160168774 A KR20160168774 A KR 20160168774A KR 102506847 B1 KR102506847 B1 KR 10250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evice
vehicle
support
pulse
puls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257A (ko
Inventor
전슬기
허남웅
김응환
류인철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8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격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와 차량의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이격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맥박을 측정 가능한 비접촉식 맥박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A PULSE MEASU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er Assistance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판단 및 제공 가능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차량의 시트(S)와 등받이(B) 중 적어도 하나(이하, '시트(S)'라고 통칭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판단 및 제공 가능한 운전 보조 시스템의 한 종류로서, 시트(S)에 착석한 착석자(P)의 맥박을 측정 가능한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에 매설되며 차량의 시트(S)에 인가된 충격 내지는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쿠션들(110, 120)과, 쿠션(110, 120)들 중 어느 하나에 매설되며, 전파를 이용해 착석자(P)의 맥박을 측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식 맥박 센서(130)를 포함한다. 맥박 센서(130)는, 착석자(P)를 향해 전파를 방출한 후 착석자(P)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온 전파를 분석하여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착석자(P)의 체표면에는 착석자(P)의 맥박에 의해 소정 간격의 변위가 발생하므로,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는 착석자(P)의 체표면의 변위에 의해 달라진다. 맥박 센서(130)는, 이러한 착석자(P)의 체표면의 변위로 인한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의 변위를 산출함으로써, 착석자(P)의 맥박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착석자(P)가 차량의 시트(S)에 착석하거나 차량의 등받이(B)에 기댈 경우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들(110, 120)은 착석자(P)에 의해 인가된 충격 내지는 가압력(이하, '가압력'으로 통칭함)에 의해 수축되어 두께가 줄어든다. 그러면,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L, L')는 쿠션들(110, 120)의 줄어든 두께(△ L)만큼 감소된다.
그런데, 착석자(P)에 의해 인가되는 가압력은 착석자(P)의 자세, 차량의 주행 상태 등의 변화에 따라 증감되므로,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는 이러한 가압력의 증감으로 인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착석자(P)에 의해 인가되는 가압력의 증감으로 인한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의 변위(△ L)는 착석자(P)의 맥박으로 인한 체표면의 변위에 비해 크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는, 착석자(P)에 의해 인가되는 가압력의 증감으로 인한 맥박 센서(13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의 변위(△ L)로 인해 맥박 측정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자에 의해 인가되는 가압력의 변화에 상관 없이 착석자의 맥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격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와 차량의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이격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맥박을 측정 가능한 비접촉식 맥박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기 이격부는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고 상기 착석자 쪽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맥박 센서는 상기 착석자와 대면하도록 상기 이격부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맥박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이격부에 삽입되며,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쿠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상기 착석자 쪽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제2 쿠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제3 쿠션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이격부와 상기 제2 쿠션을 함께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보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와, 상기 지지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부는 상기 이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이격부를 보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이격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이격부의 어느 한 쪽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격부의 다른 한 쪽 내측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석자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패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통해 맥박 센서와 착석자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맥박 센서의 맥박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1)는, 차량의 시트(S)에 착석한 착석자(P)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격 유지 부재(20)와, 비접촉식 맥박 센서(10)(이하, '맥박 센서(10)'라고 함)와, 쿠션(30, 40, 50)과, 탄성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차량의 시트(S)와 등받이(B) 중 적어도 하나에 매설될 수 있다.
먼저, 간격 유지 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와, 이격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20)는, 착석자(P)에 의해 인가되는 충격 내지는 가압력(이하, '가압력'이라고 통칭함)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를 갖되 맥박 센서(10)로부터 방출되거나 착석자(P)에 의해 반사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P)를 지지할 수 있도록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1)의 최상층에 배치된다.
이격부(2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P)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깊이(D)를 갖고 착석자(P) 쪽으로 개방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다음으로, 맥박 센서(10)는 전파를 이용해 맥박 센서(10)와 착석자(P) 사이의 간격을 산출하여 착석자(P)의 맥박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맥박 센서(10)는 일반적인 비접촉식 맥박 센서(10)와 동일한 구조 및 측정 원리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더욱 구제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맥박 센서(10)는, 이격부(22)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맥박 센서(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22)의 개구부를 통해 착석자(P)와 대면하도록 이격부(22)의 바닥면(22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유지 부재(20)는 높은 강도를 갖는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므로, 착석자(P)에 의해 가압력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맥박 센서(10)와 착석자(P)의 체표면 사이의 거리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P)의 자세, 차량의 주행 상태 등의 변화로 인한 가압력의 증감에 상관 없이 이격부(22)의 깊이(D)와 동일한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유지 부재(20)는, 착석자(P)의 체표면과 맥박 센서(10) 사이의 거리 변화로 인해 맥박 센서(10)의 맥박 측정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맥박 센서(10)의 맥박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쿠션(30, 40, 5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맥박 측정 장치가 설치되는 시트(S) 또는 등받이(B)의 쿠션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쿠션(30, 40, 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30)과, 제2 쿠션(40)과, 제3 쿠션(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쿠션(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박 센서(10)를 커버하도록 이격부(2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 쿠션(30)은, 상기 가압력을 완충함과 함께 맥박 센서(10)로부터 방출된 전파를 투과 가능한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쿠션(30)은, 착석자(P)에게 쿠션감을 제공함과 함께 맥박 센서(10)를 상기 가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쿠션(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제2 쿠션(40)은 상기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3 쿠션(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22)와 제3 쿠션(5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쿠션(50)은 이격부(22)만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쿠션(40)과 제3 쿠션(50)은 착석자(P)에게 쿠션감을 제공함과 함께 간격 유지 부재(20)를 상기 가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60)는 간격 유지 부재(20)와 쿠션들(30, 40, 50)을 착석자(P) 쪽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들(30, 40, 50)과 간격 유지 부재(20)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60)는, 쿠션들(30, 40, 50)을 보조하여 착석자(P)에게 쿠션감을 제공함과 함께 착석자(P)가 시트(S)에서 이탈된 경우에 쿠션들(30, 40, 50)과 간격 유지 부재(20)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탄성 복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2)는, 간격 유지 부재(20)가 제1 보강부(23)와 제2 보강부(24)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1)와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1 보강부(23)와 제2 보강부(24)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보강부(23)는 지지부(21)를 보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보강부(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25)와, 지지부(21)와 수직을 이루도록 지지부(21)와 수평부(25)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부(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이격부(22)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26)는 일단이 수평부(25)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부(21)에 고정되도록 수평부(25)와 수직부(26)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부(26)는,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보강부(23)는 상기 가압력을 일부 흡수하여 지지부(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쿠션(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6)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홀(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보강부(24)는 이격부(22)를 보강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2 보강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와 수평을 이루도록 이격부(2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보강부(24)는 일단이 이격부(22)의 어느 한 쪽 내측면(22b)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격부(22)의 다른 한 쪽 내측면(22c)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강부(24)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이격부(22)가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쿠션(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강부(2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삽입홀(3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3)는, 커버 패드(7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1)와 차이점을 갖는다.
커버 패드(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유지 부재(20)의 지지부(21) 및 제1 쿠션(30)과 착석자(P) 사이에 개재되도록 지지부(21) 및 제1 쿠션(30)을 커버한다.
커버 패드(70)는, 간격 유지 부재(20)에 비해서는 낮도 쿠션들(30, 40, 50)에 비해서는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패드(70)는 쿠션들(30, 40, 50)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 패드(70)는, 지지부(21) 대신 착석자(P)와 접촉되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3)가 적용된 시트(S) 또는 등받이(B)의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2, 3 :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0 : 맥박 센서
20 : 간격 유지 부재
21 : 지지부
22 : 이격부
22a : 바닥면
22b, 22c : 내측면
23 : 제1 보강부
24 : 제2 보강부
25 : 수평부
26 : 수직부
30 ; 제1 쿠션
32 : 제1 삽입홀
40 : 제2 쿠션
42 : 제2 삽입홀
50 : 제3 쿠션
60 : 탄성 부재
70 : 커버 패드
100 : 종래의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10, 120 : 쿠션
130 : 맥박 센서
S : 시트
B : 등받이
P : 착석자

Claims (15)

  1.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격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와 차량의 등받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이격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맥박을 측정 가능한 비접촉식 맥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기 이격부는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고 상기 착석자 쪽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갖으며,
    상기 맥박 센서는 상기 착석자와 대면하도록 상기 이격부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박 센서를 커버하도록 상기 이격부에 삽입되며,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상기 착석자 쪽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제2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력을 완충 가능한 제3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쿠션은 상기 이격부와 상기 제2 쿠션을 함께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보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와, 상기 지지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평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이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이격부를 보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이격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이격부의 어느 한 쪽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격부의 다른 한 쪽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전파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자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커버하는 커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맥박 측정 장치.
KR1020160168774A 2016-12-12 2016-12-12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KR10250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74A KR102506847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74A KR102506847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57A KR20180067257A (ko) 2018-06-20
KR102506847B1 true KR102506847B1 (ko) 2023-03-08

Family

ID=6276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774A KR102506847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8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1025A1 (en) * 2004-08-31 2006-03-23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in everyday life
JP5137988B2 (ja) * 2010-03-04 2013-02-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シート用着座センサおよびそ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57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7477B1 (ja) 座席装置
AU2012338725B2 (en) Anti-snoring head support
US20150283923A1 (en) Seat occupancy sensor unit at a lower b-surface side of a seat cushion
US9428080B2 (en) Seat occupancy sensor unit for seat with spring suspension or seat pan
CN107585060B (zh) 能够检测承载力的装置
KR101768142B1 (ko) 생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6847B1 (ko) 자동차용 맥박 측정 장치
JP5890161B2 (ja) 座席装置
JP2016088471A (ja) 着座検知センサ
US20180000422A1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and chair including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JP2012170471A (ja) 振動センサ
US11117492B2 (en) Foam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having seat occupancy detec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16146953A (ja) 生体情報検出装置
US11007901B2 (en) Seat
JP6398701B2 (ja) 着座検知装置
JP7344530B2 (ja) シート
JP2016088467A (ja) 着座検知センサ
JP2022170292A (ja) 乗物用シート
JP2007055490A (ja) 着座センサ付き座席
JP2017029702A (ja) 生体情報取得装置
WO2014017563A1 (ja) 座席装置
TWI632884B (zh)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US2019013353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CN118107454A (zh) 座椅
JP2020092912A (ja) 生体センサー及び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