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99B1 - 지중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99B1
KR102314499B1 KR1020210026864A KR20210026864A KR102314499B1 KR 102314499 B1 KR102314499 B1 KR 102314499B1 KR 1020210026864 A KR1020210026864 A KR 1020210026864A KR 20210026864 A KR20210026864 A KR 20210026864A KR 102314499 B1 KR102314499 B1 KR 10231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ipe
air
cylinder
press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100); 반구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상기 케이블관(100)이 안착될 케이블공간(A)이 형성되고, 케이블관(100)이 안착된 경우, 상기 케이블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0)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2개 이상의 완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3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20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완충실린더(310);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실린더(310)가 하부로 이동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로 삽입되는 완충지지대(320); 및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지지대(320)의 상부면과,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관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케이블관 일부 또는 케이블관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어 케이블관이 부식 또는 파손이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 보호관{PIPE FOR PROTECTING UNDERGROUND CABLES}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지상에 설치된 전주에 포설되지만, 배전선이 지상으로 노출됨에 따라 감전사고 및 주변 환경의 미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지하관로를 설치한 후, 배전선을 지하관로에 포설한다. 이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케이블은 안전성 및 단열성을 위해서 보호관에 의해 보호된다.
즉, 지중케이블은 비록 외부가 피복되어 있다 하더라도 토사와의 마찰 등에 의해서 외피가 쉽게 벗겨지기도 하고, 케이블이 단락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중케이블 보호관이 제안되었다.
통상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복수의 케이블이 동시에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다수 개의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일렬로 길게 연결하여 내부에 삽입 설치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의 보호관은 지중케이블의 외피보다는 견고한 재질과 두께로서 형성되며, 대개는 지반 침하 등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휨-변형이 가능한 주름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케이블이 토사 또는 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그런데, 지중 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되는 관계로 우기시 지반침하, 또는 시설물 보수 공사 또는 시설물 설치 작업을 위한 굴착작업 등의 이유에 의해 보호관이 매설된 지반이 침하하면서 보호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48420호(2006.11.24.)에는 ‘케이블 보호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보호관 구조는 케이블 및 케이블관이 결합된 상태의 보호관이 받침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충격 흡수를 위해 스폰지로 구성된 보호관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케이블관을 견고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블관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별도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연결 부위를 통해 토사 또는 수분이 흡수되어 케이블관이 부식 또는 파손되는 등 케이블관이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을 받침대에 안착시키되, 상기 받침대 하부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케이블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케이블관 일부 또는 케이블관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어 케이블관이 부식 또는 파손이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주입시 팽창되는 공기주머니를 상기 받침대에 부가하여 상기 받침대에 안착된 케이블관을 상기 받침대와 커버부재 사이에서 기밀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케이블관의 연결부위를 밀착 보호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으로 토사 또는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100); 반구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상기 케이블관(100)이 안착될 케이블공간(A)이 형성되고, 케이블관(100)이 안착된 경우, 상기 케이블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0)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2개 이상의 완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3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20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완충실린더(310);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실린더(310)가 하부로 이동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로 삽입되는 완충지지대(320); 및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지지대(320)의 상부면과,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상기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압력공기 이송관(430); 상기 압력공기 이송관(430)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로의 압력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밸브(440); 및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진동센서에서 감지된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프링(330)이 최대로 팽창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압력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40)이 형성되고, 외주면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에어홀라인을 구비하는 본체부(210); 및 양 끝단에 플랜지(221, 222, 231, 232)가 형성된 판 구조물로서 상기 내부공간(240)에 내장되고, 상기 압력 공기의 유입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력공기 이송관(430)은 상기 내부공간(240)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240)으로 압력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내부공간(240)의 압력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케이블관(100)이 안착되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구비된 공기주머니(260); 및 상기 공기주머니(260)로 압력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입홀(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머니(260)는 상기 압력 공기의 주입시 팽창되어, 상기 케이블 공간(A)에 안착된 케이블관(100)을,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 사이에서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을 받침대에 안착시키되, 상기 받침대 하부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케이블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케이블관 일부 또는 케이블관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어 케이블관이 부식 또는 파손이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주입시 팽창되는 공기주머니를 상기 받침대에 부가하여 상기 받침대에 안착된 케이블관을 상기 받침대와 커버부재 사이에서 기밀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케이블관의 연결부위를 밀착 보호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관의 연결부위를 통해 토사 또는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관의 형상과 무관하게 케이블관을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보호관의 완충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보호관의 받침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보호관에 포함된 받침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보호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100), 케이블관(100)이 안착되는 받침대(200), 및 받침대(200)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300)를 포함한다. 이 때, 완충부재(300)는 받침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2개의 완충부재(300)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블관(100)은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파이프 형태의 관으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또는 휨-변형이 가능한 주름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받침대(200)는 반구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케이블관(100)이 안착될 케이블 공간(A)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공간(A)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블 공간(A)에 케이블관(100)이 안착된 경우, 커버부를 통해 상기 케이블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케이블관(100)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20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완충부재(300)는 받침대(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대(200)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300)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완충실린더(310), 완충지지대(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실린더(310)는 받침대(200)의 저면에 부착되어 받침대(200)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완충지지대(32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완충실린더(310)가 하부로 이동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완충실린더(310) 내로 삽입되고, 스프링(330)은 완충실린더(310) 내부에 구비되어 완충지지대(320)의 상부면과, 받침대(200)의 저면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완충부재(300)는 이러한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200)에 가해지는 상/하 방향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완충부재(30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도 1의 받침대(200)에 하중이 가해져서 받침대(200)가 하부로 이동한 경우, 그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스프링(330)이 압축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3은 상기 받침대(20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330)이 인장된 상태를 예시한다.
케이블관(100) 상부에 토사 또는 물이 침투되거나, 굴착 작업 등의 이유로 받침대(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또는 지면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30)을 압축시켜, 상기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한편, 상기 하중이 해소되면, 스프링(330)의 압축도 해소되어 상기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미도시),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기공급수단(400)은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압력공기 이송관(430), 압력공기 이송관(430)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완충실린더(310) 내부로의 압력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밸브(440),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420), 지중케이블 보호관으로 압력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관(410), 및 지중케이블 보호관 내부의 압력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지진 등의 자연 재해로부터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 공기를 주입하여,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30)을 최대로 인장시킴으로써, 상기 자연 재해로 인한 지중케이블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420)은 상기 진동센서에서 감지된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즉, 지진이 감지된 경우), 공기밸브(440)을 오픈하여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주입하되, 스프링(330)이 최대로 인장할 때까지 상기 압력공기를 주입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330)의 압축 또는 인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받침대(200)의 움직임에 반응하기 위해, 압력공기 이송관(430)의 일부를 압축/인장이 가능한 주름 형태의 로드(435)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보호관의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보호관의 받침대(200)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체부(210) 내부(즉, 내부공간(240))에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내장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6은 케이블공간(A)에 케이블관(100)이 안착되어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도 7은 내부공간(240)에 주입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다시 내부공간(240)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케이블공간(A)이 개방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받침대(200)는 실린더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압력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40)이 형성되고, 외주면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에어홀(250)이 형성된 에어홀라인(255)을 구비하는 본체부(210) 및, 내부 공간(240)에 내장된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2개의 에어홀(250)이 에어홀라인(255)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에어홀(250)은 압력공기 이송관(430)과 연결되어 압력공기를 내부공간(240)으로 공급하거나, 내부공간(240)의 압력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는 양 끝단에 플랜지(221, 222, 231, 232)가 형성된 판 구조물로서, 상기 압력 공기의 유입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공간(A)을 차폐한다. 이 때,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221, 231)는, 도 5의 예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본체부(210) 내부 공간(240)에 내장될 때, 본체부(210) 외부에 걸쳐서,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 전체가 본체부(210)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222, 232)는, 도 6의 예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압력 공기에 의해 케이블 공간(A) 상부로 밀려 올라갈 때, 본체부(210)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단의 플랜지(222, 232)는 내부공간(240) 내에서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여,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의 경로가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하고, 일단의 플랜지(221, 231)는 케이블 공간(A), 상부에서 서로 접촉하여 케이블 공간(A)을 완벽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일단의 플랜지(221, 231)가 케이블 공간(A)을 차폐하도록 동작할 때,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단의 플랜지(221, 231)의 접촉면에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으로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어부에 의해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케이블 공간(A)의 차폐 또는 개방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타단의 플랜지(222, 232)는 내부공간(240)에서 에어홀(25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에어홀(250)을 통해 압력공기가 공급될 때,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를 케이블 공간(A) 상부로 밀어 올린다.
또한, 본체부(210)의 내주면 외측에는 공기주머니(260) 및 공기주머니(260)로 압력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입홀(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주머니(260)는 공기주입홀(270)을 통해 압력 공기가 주입될 경우 도 6에 예시된바와 같이, 팽창되어, 케이블 공간(A)에 안착된 케이블관(100)을 고정한다. 즉, 본체부(210)와,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 사이에서 케이블관(100)을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상케이블 보호관은 공기주머니(260)에 의해 케이블관(100)을 기밀하게 고정함으로써, 케이블관(10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틈으로 토사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관(100)의 형상에 제약을 받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에어홀(250)을 통해 본체부(210)의 내부 공간(240)에 공급된 압력 공기가 배출될 경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가 다시 아래로 끌려 내려오게 된다. 이 때,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의 타단에 형성된 플랜지(222, 232)는 본체부(210) 내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부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240)의 공기가 에어홀(250)을 통해 배출되면, 공기주머니(260)로 주입되던 공기도 공기주입홀(27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기주머니(260)의 공기가 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관(100)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내려앉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관(100)의 교체 또는 유지 보수와 같은 작업이 필요할 경우, 이와 같이 내부공간(240)의 압력 공기를 배출시켜 케이블 공간(A)을 개방한 후, 공기주머니(260)의 팽창에 의해 상부로 들려있던 케이블관(100)을 본체부(210)의 내주면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공기 이송관(430)은 내부공간(240)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해 내부공간(240)으로 압력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내부공간(240)의 압력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케이블관 200: 받침대
210: 본체부 220: 제1 커버부
230: 제2 커버부 240: 내부공간
250: 에어홀 260: 공기주머니
270: 공기주입홀 300: 완충부재
310: 완충실린더 320: 완충지지대
330: 스프링 400: 공기공급수단

Claims (4)

  1.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지중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관(100);
    반구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상기 케이블관(100)이 안착될 케이블공간(A)이 형성되고, 케이블관(100)이 안착된 경우, 상기 케이블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받침대(200); 및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0)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2개 이상의 완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3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대(20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완충실린더(310);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실린더(310)가 하부로 이동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로 삽입되는 완충지지대(320); 및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지지대(320)의 상부면과, 상기 받침대(200)의 저면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3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중케이블 보호관은
    상기 지중케이블 보호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압력공기 이송관(430);
    상기 압력공기 이송관(430)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실린더(310) 내부로의 압력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공기밸브(440); 및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진동센서에서 감지된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프링(330)이 최대로 팽창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충실린더(310) 내부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압력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40)이 형성되고, 외주면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에어홀라인을 구비하는 본체부(210); 및
    양 끝단에 플랜지(221, 222, 231, 232)가 형성된 판 구조물로서 상기 내부공간(240)에 내장되고, 상기 압력 공기의 유입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공기 이송관(430)은
    상기 내부공간(240)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4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240)으로 압력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내부공간(240)의 압력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밸브(44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 보호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케이블관(100)이 안착되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 외측에 구비된 공기주머니(260); 및
    상기 공기주머니(260)로 압력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입홀(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머니(260)는
    상기 압력 공기의 주입시 팽창되어, 상기 케이블 공간(A)에 안착된 케이블관(100)을,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케이블공간(A)을 차폐하는 제1 및 제2 커버부(220, 230) 사이에서 기밀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20210026864A 2021-02-26 2021-02-26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231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64A KR102314499B1 (ko) 2021-02-26 2021-02-26 지중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64A KR102314499B1 (ko) 2021-02-26 2021-02-26 지중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499B1 true KR102314499B1 (ko) 2021-10-19

Family

ID=7822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64A KR102314499B1 (ko) 2021-02-26 2021-02-26 지중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4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8433A (zh) * 2022-03-22 2022-07-01 北京理工大学 一种传感器保护装置及采用该装置的传感器装配方法
KR102510251B1 (ko) * 2022-03-17 2023-03-16 이삼종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CN116557790A (zh) * 2023-07-03 2023-08-08 四川多联实业有限公司 一种可被探测的塑料管道及其探测方法
CN116906741A (zh) * 2023-07-14 2023-10-20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抗振减振低摩擦管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894912B1 (ko) * 2018-01-16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KR101975777B1 (ko) * 2018-10-31 2019-05-09 서천전기공사 (주) 변전 지중 케이블의 보호관장치
KR102002810B1 (ko) * 2019-06-10 2019-07-23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향상된 지중 배전선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894912B1 (ko) * 2018-01-16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KR101975777B1 (ko) * 2018-10-31 2019-05-09 서천전기공사 (주) 변전 지중 케이블의 보호관장치
KR102002810B1 (ko) * 2019-06-10 2019-07-23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향상된 지중 배전선로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51B1 (ko) * 2022-03-17 2023-03-16 이삼종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CN114688433A (zh) * 2022-03-22 2022-07-01 北京理工大学 一种传感器保护装置及采用该装置的传感器装配方法
CN116557790A (zh) * 2023-07-03 2023-08-08 四川多联实业有限公司 一种可被探测的塑料管道及其探测方法
CN116557790B (zh) * 2023-07-03 2023-09-15 四川多联实业有限公司 一种可被探测的塑料管道及其探测方法
CN116906741A (zh) * 2023-07-14 2023-10-20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抗振减振低摩擦管托
CN116906741B (zh) * 2023-07-14 2024-02-09 江苏扬天飞龙金属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抗振减振低摩擦管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499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CN107100652B (zh) 一种柔性抗冲击支护方法及装置
CN105339553B (zh) 线缆锚定件及方法
KR20200065668A (ko) 계측제어반의 내진 보호시설
KR101957704B1 (ko) 내진 밸브실
KR100934484B1 (ko) 지중 배전 선로의 보호장치
KR101900397B1 (ko) 배관용 내진장치
KR100957234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765108B1 (ko)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내진 보강방법
US3814357A (en) Steel spring insulator
US655101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venting out buildup of explosive gases in a manhole
KR101885294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KR101927711B1 (ko) 공동주택 내 개구부를 위한 내진 보강방법
KR10189491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KR102068789B1 (ko) 내진대비수단이 구비된 밸브실
KR101351296B1 (ko) 싱글 스테이지 구조를 갖는 내진 장치
KR101003330B1 (ko) 지수전 받침대
CN207194919U (zh) 一种柔性抗冲击支护装置
KR102170348B1 (ko)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US10738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rockfalls
KR20190098589A (ko) 건축물 기둥용 면진 시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51296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중 상하수도관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2973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지중 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24232B1 (ko)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KR101852021B1 (ko) 내진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