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48B1 -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48B1
KR102170348B1 KR1020200067067A KR20200067067A KR102170348B1 KR 102170348 B1 KR102170348 B1 KR 102170348B1 KR 1020200067067 A KR1020200067067 A KR 1020200067067A KR 20200067067 A KR20200067067 A KR 20200067067A KR 102170348 B1 KR102170348 B1 KR 10217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pport
inner case
outer c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6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4Artificial horiz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배치되고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면 상부에는 케이스 지지턱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와 상기 외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케이스 지지턱에 지지되는 덮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지면은 고정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외면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 마감 고정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대칭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와 상기 상부 경사구의 하부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상부 완충구로 구성되는 상부 보호구; 상기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용공간의 하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내부 경사면과 외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면서 하부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에 안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덮개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 또는 좌우로 보호부재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는 전선 보호관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이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단이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구, 상기 수평 지지구의 타단에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의 외부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구, 상기 수평 지지구와 회전 지지구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힌지구, 상기 회전 지지구의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Underground communication wire protection devic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전선을 이중으로 보호하고, 선로나 하수관 등의 보수작업시 굴착기와 같은 중장비에 의한 지중전선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상업 및, 공업단지의 지중에는 지중선로로서, 송배전 전선이 수용된 전선관, 가스배관, 상하수도관 등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지중선로를 지중에 매설하는 이유는 안전성 및 단열성 때문이며, 지중에 장시간 동안 매설된 지중선로는 자체 노후에 의한 파손 및 침투수에 의해 부식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수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중선로를 보수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중선로가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지중선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굴착작업은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행하는데, 굴착기에 설치된 버킷으로 지면을 굴착한다.
이와 같이,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굴착기의 운전자는 지중에 매설된 지중선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감각으로 굴착작업을 수행하고, 운전자는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는 충격을 감지하면 버킷을 이동시켜 버킷이 지중선로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지중선로의 위치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굴착기의 버킷이 과도하게 지중선로를 가압하여 지중선로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는 지중선로의 매설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중선로를 따라 정확한 굴착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워 수시로 굴착진행방향을 수정하면서 굴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43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40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지중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보호관을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를 통해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굴착기 등의 사용에 따른 접촉시 상부 보호구와 완충수단을 통해 복수개의 지중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보호관을 보호할 수 있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는 하부에 배치되고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면 상부에는 케이스 지지턱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와 상기 외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케이스 지지턱에 지지되는 덮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지면은 고정 플레이트에 지지되며, 외면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 마감 고정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대칭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와 상기 상부 경사구의 하부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상부 완충구로 구성되는 상부 보호구; 상기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용공간의 하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내부 경사면과 외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면서 하부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에 안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덮개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 또는 좌우로 보호부재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는 전선 보호관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이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구;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단이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구, 상기 수평 지지구의 타단에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의 외부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구, 상기 수평 지지구와 회전 지지구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힌지구, 상기 회전 지지구의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원상복귀를 위하여 충격완충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내부 케이스 지지구의 사이와 내부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스 지지스프링과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의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홈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외부 케이스에 지지되는 측면 지지스프링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 덮개와 외부 케이스의 케이스 덮개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덮개가 접촉하는 외부 케이스 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 덮개가 접촉하는 내부 케이스 몸체에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수평감지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는 복수개의 지중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보호관을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를 통해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온도차에 따른 습기와 결로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는 굴착기 등의 사용에 따른 접촉시 상부 보호구와 완충수단을 통해 복수개의 지중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보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케이스 지지구, 내부 케이스, 보호관 보호구를 제외환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케이스 지지구, 내부 케이스, 보호관 보호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케이스 지지구, 내부 케이스, 보호관 보호구를 제외환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케이스 지지구, 내부 케이스, 보호관 보호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는 고정 플레이트(200), 외부 케이스(300), 외부 마감 고정구(400), 상부 보호구(500),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 내부 케이스(700), 보호관 보호구(800), 완충수단(9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고정돌기(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는 지중에 플레이트 고정돌기(210)를 통해 위치 고정되면서 상부에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의 구성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의 폭과 두께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외부 케이스(300)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외부 케이스(300)는 고정 플레이트(200)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면서 각종 구성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는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며 내면 상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 몸체(3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에 지지되는 덮개 지지돌기(322)가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 케이스(300)는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의 상부에 케이스 덮개(320)를 장착하여 내부의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부 마감 고정구(400)는 외부 케이스(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마감 고정구(400)는 지면이 고정 플레이트(200)에 지지되고, 외면(410)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 마감 고정구(4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외면(41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300)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 보호구(500)는 외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호구(500)는 외부 케이스(300)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대칭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돌기(512)가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510)와 상기 상부 경사구(5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상부 완충구(5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보호구(500)는 상부 경사구(510)를 통해 외력이 외부 케이스(3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상부 완충구(520)를 통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보호구(500)는 정면상 " ∧ "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510)의 하부에 정면상 " △ "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완충구(520)를 장착하여,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통해 지중작업시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5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외력이 외부 케이스(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부 완충구(520)를 통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는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는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용공간(312)의 하부에 내부 케이스(7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는 상부의 내면과 외면에 내부 경사면(610)과 외부 경사면(6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는 외부 케이스(300)의 케이스 덮개(320)와 상부 보호구(500)의 파손으로 인한 내부 케이스(700)의 하중 전달시 내부 경사면(610)을 통해 내부 케이스(700)를 하부 안내하여 충격 손실을 줄이고, 외부 경사면(620)을 통해 완충수단(900)을 회전작동시켜 케이스 덮개(320)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는 외부 케이스(300)와 간격을 두고 내부 케이스(700)를 지지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700)에 외력 전달시에는 완충수단(900)과 연동작동하여 내부 케이스(70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저면에는 내부 케이스(700)의 안착에 따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내부 케이스(700)는 외부 케이스(300)의 수용공간(312)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700)는 수용공간(312)에 배치되면서 하부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700)는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712)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경사면(720)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710)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7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덮개(7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700)는 전선 보호관(W)이 수용되는 장착공간(712)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 몸체(710)의 상부에 내부 케이스 덮개(730)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보호관 보호구(800)는 내부 케이스(700)의 장착공간(71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 보호구(800)는 상하 또는 좌우로 보호부재(810)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810)의 내부에는 전선 보호관(W)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8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관 보호구(800)는 장착공간(712)과 대응하는 크기로 보호부재(810)가 형성되면서 상하 또는 좌우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지중전선이 수용된 전선 보호관(W)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82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완충수단(900)은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용공간(312)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900)은 외부 케이스(300)의 케이스 덮개(320)와 상부 보호구(500)의 파손으로 인한 내부 케이스(700)의 하중 전달시 연동작동하는 내부 케이스(700) 및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와 연동작동하여 상기 케이스 덮개(3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900)은 일단이 외부 케이스(800)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구(910)와 상기 수평 지지구(9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외부 경사면(620)과 대응되게 경사면(922)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구(920)와 상기 수평 지지구(910)와 회전 지지구(92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힌지구(930) 및 상기 회전 지지구(9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9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900)은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작동시 외부 경사면(620)과 맞닿는 경사면(922)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힌지구(930)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 지지구(920)가 회전작동하면서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940)를 통해 케이스 덮개(320)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는 도시된 도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의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는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원상복귀를 위하여 충격완충수단(11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는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충격완충수단(1100)을 장착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현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충격완충수단(1110)은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사이와 내부 케이스(7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스 지지스프링(1110)과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홈(630)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외부 케이스(300)에 지지되는 측면 지지스프링(1120) 및 상기 내부 케이스(700)의 내부 케이스 덮개(730)와 외부 케이스(300)의 케이스 덮개(3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재(11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충격완충수단(1110)은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케이스 지지스프링(1110)과 상부 지지부재(1130)를 통해 완충시키고, 수평방향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측면 지지스프링(1120)을 통해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1130)는 스프링 또는 완충쇼버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6은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를 구성하는 고정 플레이트에 수평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와 내부 케이스(700)에는 압력센서(S1, S2)를 장착하여, 외부에서도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은 공지된 송수신기를 통해 서버에 전달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에 수평감지센서를 장착하여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의 기울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케이스 덮개(320)가 접촉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와 상기 내부 케이스(700)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 덮개(730)가 접촉하는 내부 케이스 몸체(710)에 장착되는 압력센서(S1, S2)를 통해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보호관(W)이 장착될 수 있도록 지중에 홈을 형성한 후 상기 지중으로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고정돌기(210)가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2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의 상부 중앙으로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며 내면 상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 몸체(3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에 지지되는 덮개 지지돌기(322)가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320)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스(3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양측으로 지면은 고정 플레이트(200)에 지지되며, 외면(410)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 마감 고정구(40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케이스 덮개(320)를 제거한 후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단이 외부 케이스(800)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구(910), 상기 수평 지지구(9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외부 경사면(620)과 대응되게 경사면(922)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구(920), 상기 수평 지지구(910)와 회전 지지구(92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힌지구(930), 상기 회전 지지구(9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940)로 구성되는 완충수단(9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용공간(312)의 하부 양측에 상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내부 경사면(610)과 외부 경사면(620)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수용공간(312)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상부에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712)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710)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7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덮개(730)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70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케이스 덮개(730)를 개방한 후 상기 장착공간(712)에 상하로 보호부재(810)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810)의 내부에는 전선 보호관(W)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820)이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구(8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 보호부재(810)를 분리한 후, 상기 보호관 장착홈(820)에 복수의 지중전선이 수용된 전선 보호관(W)을 장착한 다음, 상기 상 보호부재(810)를 장착한 후, 상기 케이스 덮개(730)를 통해 내부 케이스(700)의 장착공간(712)을 폐쇄한다.
이후,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외부 케이스 몸체(310)의 상부에 케이스 덮개(320)를 장착하여 수용공간(312)를 폐쇄한 후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외부 케이스(300)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대칭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돌기(512)가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510)와 상기 상부 경사구(5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상부 완충구(520)로 구성되는 상부 보호구(500)를 장착하면,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후, 상기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가 장착된 상부로 흙과 포장재를 통해 마감하면, 상기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10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이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는 조립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 또는 교체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전선 보호관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200 : 고정 플레이트 210 : 플레이트 고정돌기
300 : 외부 케이스 310 : 외부 케이스 몸체
312 : 수용공간 314 : 케이스 지지턱
320 : 케이스 덮개 322 : 덮개 지지돌기
400 : 외부 마감 고정구 410 : 외면
500 : 상부 보호구 510 : 상부 경사구
512 : 상부 돌기 520 : 상부 완충구
600 : 내부 케이스 지지구 610 : 내부 경사면
620 : 외부 경사면 622 :
700 : 내부 케이스 710 : 내부 케이스 몸체
712 : 장착공간 730 : 내부 케이스 덮개
800 : 보호관 보호구 810 : 보호부재
820 : 보호관 장착홈 900 : 완충수단
910 : 수평 지지구 920 : 회전 지지구
922 : 경사면 930 : 힌지구
940 : 완충 지지부재

Claims (3)

  1. 하부에 배치되고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 고정돌기(210)가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200);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며 내면 상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 몸체(3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케이스 지지턱(314)에 지지되는 덮개 지지돌기(322)가 형성되는 케이스 덮개(320)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스(300);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지면은 고정 플레이트(200)에 지지되며, 외면(410)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부 마감 고정구(400);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대칭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부 돌기(512)가 형성되는 상부 경사구(510)와 상기 상부 경사구(5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상부 완충구(520)로 구성되는 상부 보호구(500);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용공간(312)의 하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내부 경사면(610)과 외부 경사면(620)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수용공간(312)에 배치되면서 하부는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에 안착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712)이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경사면(720)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710)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7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 덮개(730)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700);
    상기 내부 케이스(700)의 장착공간(712)에 장착되고, 상하 또는 좌우로 보호부재(810)가 분리형성되며, 상기 보호부재(810)의 내부에는 전선 보호관(W)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보호관 장착홈(820)이 형성되는 보호관 보호구(800); 및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단이 외부 케이스(800)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구(910), 상기 수평 지지구(9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외부 경사면(620)과 대응되게 경사면(922)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구(920), 상기 수평 지지구(910)와 회전 지지구(92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힌지구(930), 상기 회전 지지구(9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완충 지지부재(940)로 구성되는 완충수단(90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300)의 수용공간(312)에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원상복귀를 위하여 충격완충수단(1110)이 장착되며,
    상기 충격완충수단(1110)은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사이와 내부 케이스(7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되는 케이스 지지스프링(1110)과 상기 내부 케이스 지지구(6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홈(630)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외부 케이스(300)에 지지되는 측면 지지스프링(1120) 및 상기 내부 케이스(700)의 내부 케이스 덮개(730)와 외부 케이스(300)의 케이스 덮개(3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재(1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케이스 덮개(320)가 접촉하는 외부 케이스 몸체(310)와 상기 내부 케이스(700)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 덮개(730)가 접촉하는 내부 케이스 몸체(710)에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S1, S2)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0)에는 수평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KR1020200067067A 2020-06-03 2020-06-03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KR10217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67A KR102170348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67A KR102170348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48B1 true KR102170348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67A KR102170348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06B1 (ko) * 2021-01-05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케이블 방호판
KR102642706B1 (ko) * 2023-05-18 2024-03-04 (주)조이엔지니어링 아두이노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84342B1 (ko) 2006-11-29 2007-02-22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전기 지중케이블 보호 구조물
KR100957234B1 (ko) * 2009-11-24 2010-05-11 (주)고려에스앤디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134166B1 (ko) * 2012-02-16 2012-04-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367428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이중 파손 방지 구조를 갖는 송배전 케이블 파손 방지 장치
KR102085579B1 (ko) * 2019-08-29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84342B1 (ko) 2006-11-29 2007-02-22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전기 지중케이블 보호 구조물
KR100957234B1 (ko) * 2009-11-24 2010-05-11 (주)고려에스앤디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134166B1 (ko) * 2012-02-16 2012-04-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367428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이중 파손 방지 구조를 갖는 송배전 케이블 파손 방지 장치
KR102085579B1 (ko) * 2019-08-29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06B1 (ko) * 2021-01-05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케이블 방호판
KR102642706B1 (ko) * 2023-05-18 2024-03-04 (주)조이엔지니어링 아두이노 수평유지장치를 이용한 지중 정보통신 선로 보호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348B1 (ko) 건축용 지중 통신전선 보호장치
KR100733783B1 (ko)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1262940B1 (ko) 가스배관용 조립식 보호관
KR100934484B1 (ko) 지중 배전 선로의 보호장치
KR100942724B1 (ko)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038748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0648420B1 (ko) 건축단지 바닥매설용 고압전선 케이블보호관 구조
JP4883802B2 (ja) Fbg光ファイバセンサ式傾斜計
KR101565933B1 (ko) 건축단지 지하 매설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KR101549668B1 (ko) 변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KR101180466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2231312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통신 케이블 지중관로 보호구
KR100805072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KR100933191B1 (ko) 공동주택용 지하매설 전선보호관
KR102466560B1 (ko) 지중배전선로용 보호관 설비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083415B1 (ko) 감전예방 배전용 지지 완철
KR100655460B1 (ko) 송배전용 케이블 보호 구조물
KR100853694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1854903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KR100305089B1 (ko) 가스관매설용 보호블록
KR100889385B1 (ko) 건축단지내의 지중케이블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