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51B1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0251B1 KR102510251B1 KR1020220033284A KR20220033284A KR102510251B1 KR 102510251 B1 KR102510251 B1 KR 102510251B1 KR 1020220033284 A KR1020220033284 A KR 1020220033284A KR 20220033284 A KR20220033284 A KR 20220033284A KR 102510251 B1 KR102510251 B1 KR 102510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ntrol valve
- passage
- transformer
- f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000721034 Homo sapiens Optic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5913 Optic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는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매설된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탑재된 기기함의 충격을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와 기기함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에 접속된 변압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와 기기함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에 접속된 변압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매설된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탑재된 기기함의 충격을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의 전선은 통상적으로 전주를 이용하여 공중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주와 공중의 전선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으로 인해 지중 매설 형태의 배전선로로 교체 시공하거나 신설 시공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지중배전선로 시공법에는 직매식과 관로식 그리고 전력구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직매식과 관로식은 전선관의 사용 유무에 따라 다를 뿐 그 시공형태가 유사하다.
이러한 직매식과 관로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또는 케이블 관로, 중간 접속지점이나 선로가 꺾이는 지점에 사용되는 맨홀(10)은 지하에 매설되고 변압기(T/R, 11)와 개폐기(S/W, 12)는 지상에 설치하며 이 기기들이 설치되는 지점에서만 케이블을 지상으로 인출하여 기기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매설된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탑재된 기기함에 충격으로 인하여 기기함과 지중배전선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지중배전선로는 지중에 매설되므로 지중배전선로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지중배전선로와 기기함의 파손 여부를 외부에서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지중배전선로의 파손은 지중배전선로에 접속된 변압기의 손상이나 이상으로 이어지고, 변압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주변 상가와 주택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매설된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탑재된 기기함의 충격을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도시 지중배전선로에 접속된 변압기 화재 감시 시스템(100)은,
변압기(102)가 지중 매설된 케이블 맨홀(101);
상기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의 제1 도어구조체(120)와 제2 도어구조체(130);
상기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공간의 화재 신호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06);
상기 변압기(102)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102)를 지지하고,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11)와, 상기 베이스 본체(111)는 중공부(111a)의 중심에 제1 스크류(115)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제1 스크류(115)의 하단에 제1 베벨기어(117)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17)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18)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베벨기어(118)를 구동모터(119a)의 회전축(119)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스크류(115)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일정 형상의 제1 이동블록부(116)를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1 이동블록부(116)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변압기(102)를 탑재하는 평판 형태의 안착부(116a)를 결합하는 리프트 모듈(110);
상기 케이블 맨홀(101)은 양쪽의 내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탱크(144a)에 연결된 제1 분사 노즐(141)과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탱크(154a)에 연결된 제2 분사 노즐(151);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106)로부터 수신한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가스탱크(144a)와 상기 제1 분사 노즐(141)의 제1 연결통로에 설치된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와 상기 제2 가스탱크(154a)와 상기 제2 분사 노즐(151)의 제2 연결통로에 설치된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스탱크(144a)와 상기 제2 가스탱크(154a)의 불활성 가스가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모터(119a)를 구동시켜 상기 리프트 모듈(110)에 의해 상기 변압기(102)를 상승시키는 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변압기를 지하에 매설 시 발생하는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열 방출이나 습기 제거를 위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나 오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변압기가 지하에 매설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지중배전선로와 기기함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로에 접속된 변압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전체 개략 구성도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후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와 충격흡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를 승하강하는 리프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후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와 충격흡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를 승하강하는 리프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변압기는 안전상의 위험(기기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폭발로 인한 보행자 위험 및 우천시 감전사고의 위험과 맨홀 내부의 산소 부족 및 유해가스로 인한 맨홀 내 작업시 작업자 질식 위험)의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변압기나 개폐기와 같은 기기를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기기의 고장이나 이로 인한 화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기(변압기, 개폐기)를 지하에 매설할 수 없는 실정이다.
홍수, 지진, 공사 중 포크레인 작업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매설된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중배전선로가 탑재된 기기함에 충격으로 인하여 기기함과 지중배전선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후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와 충격흡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100)는 변압기(102)가 케이블 맨홀(101)에 지중 매설되고, 지중배전선로(20)가 변압기(102)의 일측면에 접속된 상태를 갖는다.
리프트 모듈(110)은 변압기(102)의 후면에 형성되어 변압기(102)를 지지하고,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11)를 포함한다.
리프트 모듈(110)은 베이스 본체(111)로부터 하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제1 지지대(112)를 형성하고, 제1 지지대(112)의 양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변압기(102)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제2 지지대(113)와 제3 지지대(114)를 형성한다.
이러한 리프트 모듈(110)의 구성은 변압기(102)의 정면을 설명할 때, 도 5 내지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100)는 프레임부(2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거나 저감시키는 기기함 보호부(200)를 포함한다.
기기함 보호부(200)는 프레임부(210), 제1 충격흡수장치(220) 및 제2 충격흡수장치(2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10)는 복수의 지중배전선로(20)를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고정한다.
프레임부(21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선반과 유사한 형태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12)과 수평 프레임(211)으로 이루어지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 또는 목재 등으로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212)은 양쪽으로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제2 충격흡수장치(230)를 설치한다.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제2 충격흡수장치(230)는 지중배전선로(20)을 탑재한 프레임부(210)가 다양한 원인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을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제2 충격흡수장치(230)는 바닥면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211)의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1 연장 프레임(213)과 제2 연장 프레임(214)을 형성한다.
제1 연장 프레임(213)과 제2 연장 프레임(214)의 상부에는 수직 프레임(212)의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215)과 제2 하우징(216)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5)과 제2 하우징(216)의 내부 공간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백(201)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어 있다.
에어백(201)은 내부 공간이 비어 있고, 압축공기의 주입으로 팽창되었다가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수축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충격흡수장치(220)는 에어백(201), 제1 공기 분기부(221), 제1 공기탱크(미도시) 및 제1 공기배출팬(228)을 포함한다.
제2 충격흡수장치(230)는 에어백(201), 제2 공기 분기부(231), 제2 공기탱크(236) 및 제2 공기배출팬(238)을 포함한다.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제2 충격흡수장치(230)는 동일한 기능과 구성요소를 갖고 있으므로 일부 구성요소의 도면 표현과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5)과 제2 하우징(216)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과 배출 기능을 하는 일정 형상의 제1 공기 분기부(221)와 제2 공기 분기부(231)를 결합한다.
제1 하우징(215)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한 에어백(201)은 제1 이동관로(222a)에 연통되어 제1 이동관로(222a)에 의해 제1 공기 분기부(221)의 내부의 제1 메인관로(222)에 연통된다.
제2 하우징(216)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한 에어백(201)은 제2 이동관로(232a)에 연통되어 제2 이동관로(232a)에 의해 제2 공기 분기부(231)의 내부의 제2 메인관로(232)에 연통된다.
제1 공기 분기부(221)의 제1 메인관로(222)는 일측이 외부의 제1 공기통로(미도시)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의 제1 배기통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공기 분기부(231)의 제2 메인관로(232)는 일측이 외부의 제2 공기통로(234)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의 제2 배기통로(23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공기통로(미도시)는 일정 위치의 통로 상에 제1 제어밸브(225)를 설치하고, 제1 공기탱크(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 공기탱크는 제1 하우징(215)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한 에어백(201)에 공기를 공급하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제어밸브(225)는 제1 공기통로 상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공기통로(234)는 일정 위치의 통로 상에 제2 제어밸브(235)를 설치하고, 제2 공기탱크(236)에 연결된다.
제2 공기탱크(236)는 제2 하우징(216)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한 에어백(201)에 공기를 공급하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제어밸브(235)는 제2 공기통로(234) 상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225)와 제2 제어밸브(235)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구성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 펌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배기통로는 일단이 제1 메인관로에 연통되고, 타단이 제1 공기배출하우징(227)의 제1 공기배출팬(228)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공기배출팬(228)은 팬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229)을 포함한다.
제1 공기배출하우징(227)은 제1 공기배출팬(228), 제1 모터(229)와 제1 공기배출팬(228)의 배출구(227a)를 포함한다.
제2 배기통로(233)는 일단이 제2 메인관로(232)에 연통되고, 타단이 제2 공기배출하우징(237)의 제2 공기배출팬(238)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공기배출팬(238)은 팬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239)을 포함한다.
제2 공기배출하우징(237)은 제2 공기배출팬(238), 제2 모터(239)와 제2 공기배출팬(238)의 배출구(237a)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진동센서(240)는 프레임부(210), 제1 연장 프레임(213)과 제2 연장 프레임(214)의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로(20)에 가해지는 진동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07)는 진동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기준 진동값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1 제어밸브(225)와 제2 제어밸브(235)로 제어 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제1 공기탱크(미도시)와 제2 공기탱크(236)의 압축공기를 제1 메인관로(222), 제1 이동관로(222a)와, 제2 메인관로(232), 제2 이동관로(232a)를 거쳐 에어백(201)으로 공급한다.
프레임부(210)는 지중배전선로(20)가 탑재된 기기함이다.
프레임부(210)는 에어백(201)이 팽창하여 견고하게 지지해주어 지중배전선로(20)의 충격을 저감시켜 지중배전선로(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측정된 진동값에 따라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 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에어백(201)이 진동값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모터(229)와 제2 모터(239)로 전송하여 제1 공기배출팬(228)과 제2 공기배출팬(238)을 회전시켜 에어백(201)의 압축공기를 제1 메인관로(222), 제1 이동관로(222a)와, 제2 메인관로(232), 제2 이동관로(232a)를 거쳐 제1 공기배출팬(228)의 배출구(227a)와 제2 공기배출팬(238)의 배출구(237a)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201)은 압축공기가 토출되어 축소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에서 변압기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를 승하강하는 리프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100)는 변압기(102)가 케이블 맨홀(101)에 지중 매설되고, 케이블 맨홀(101)을 경유하는 지중 케이블(103)은 변압기(102) 일측에 서로 접속된 상태를 갖는다.
그레이티 설치대(104)는 변압기(102)에 대한 설치 바닥면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그레이팅 자체의 복수의 격자 패널로 인해 우수한 배수 작용을 수행한다.
변압기(102)의 주변에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그 침출수 및 우수는 그레이팅 설치대(104)를 통해 하부의 저수공간(160)으로 낙하되고, 배수관(161)을 통해 집수정(미도시)으로 흘러 배출된다.
변압기(102)는 리프트 모듈(11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된다.
리프트 모듈(110)은 변압기(102)의 후면에 형성되어 변압기(102)를 지지하고,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11)를 포함한다.
리프트 모듈(110)은 베이스 본체(111)로부터 하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제1 지지대(112)를 형성하고, 제1 지지대(112)의 양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변압기(102)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제2 지지대(113)와 제3 지지대(114)를 형성한다.
베이스 본체(111)는 상하 이동장치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승과 하강할 수 있는 비어 있는 공간인 중공부(111a)를 형성한다.
베이스 본체(111)는 중공부(111a)의 중심에 제1 스크류(115)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제1 스크류(115)의 하단에 제1 베벨기어(117)를 결합하고, 제1 베벨기어(117)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18)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제2 베벨기어(118)를 구동모터(119a)의 회전축(119)에 결합한다.
제1 스크류(115)는 직선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고, 제1 이동블록부(116)를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스크류(115)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일정 형상의 제1 이동블록부(115)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제1 스크류(115)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전조 또는 연삭 방식으로 가공된다.
제1 이동블록부(116)는 내부에 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제1 스크류(115)가 너트부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제1 이동블록부(116)의 너트부는 중심 부분을 제1 스크류(115)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1 스크류(1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스크류(115)는 제1 이동블록부(116)의 너트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제1 이동블록부(116)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평판 형태의 안착부(116a)를 결합한다.
안착부(116a)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2 지지대(113)와 제3 지지대(114)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변압기(102)를 탑재한다.
구동모터(119a)의 구동에 따라 제1 스크류(115)가 회전되면, 제1 이동블록부(116)와 안착부(116a)는 제1 스크류(115)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케이블 맨홀(101)은 양쪽의 내측벽에 상하 방향의 제1 측부 분사 수단과 제2 측부 분사 수단이 설치되고, 제1 측부 분사 수단은 일정한 간격마다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141)이 형성되며, 제2 측부 분사 수단은 일정한 간격마다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151)이 형성된다.
제1 분사 노즐(141)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제1 노즐구(141a)와 끝단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노즐구(141b) 및 끝단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제3 노즐구(141c)를 포함하고, 제1 노즐구(141a), 제2 노즐구(141b), 제3 노즐구(141c)로부터 연장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배출구(141d)를 형성한다.
제2 분사 노즐(151)은 제1 분사 노즐(14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 구조로 인하여 제1 분사 노즐(141)과 제2 분사 노즐(151)은 불활성 가스 분사의 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 전체에 분무하도록 한다.
제1 분사 노즐(141)은 일면에 제1 분사 통로(142)를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2 분사 노즐(151)은 일면에 제2 분사 통로(152)를 결합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1 분사 통로(142)에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탱크(144a)에 연결하고, 제2 분사 통로(152)에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탱크(154a)에 연결한다.
제1 압축 공기 공급부(140)는 제1 공기탱크(144) 및 제1 송풍기(147)를 포함한다. 제2 압축 공기 공급부(150)는 제2 공기탱크(154) 및 제2 송풍기(157)를 포함한다.
제1 공기탱크(144)는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는 제1 공기 압축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있다.
제2 공기탱크(154)는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는 제2 공기 압축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있다.
제1 가스탱크(144a)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를 저장하고, 제1 분사 통로(142)와 제1 통로(14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2 가스탱크(154a)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를 저장하고, 제2 분사 통로(152)와 제2 통로(1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통로(143)에는 통로 상에 불활성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가 설치된다.
제2 통로(153)에는 통로 상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가 설치된다.
제1, 2 송풍기(147, 157)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미도시)과, 팬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송풍기(147)의 유입측은 외부에 연통되는 제1 배기덕트(147a)에 연결되고, 제1 송풍기(147)의 배출측은 제1 공기탱크(144)의 일측에 제1 연결덕트(146)와 연결한다.
제1 송풍기(147)는 제1 연결덕트(146)에 의해 제1 공기탱크(144)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공기탱크(144)는 케이브 맨홀(101)에 공기를 공급하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공기탱크(144)는 공기를 흐르는 제3 공기 통로(148)에 의해 저수공간(160)과 연결된다. 제3 공기 통로(148)는 저수공간(160)를 관통하고, 제3 공기 통로(148) 상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3 토출량 제어밸브(149)가 설치된다.
저수공간(160)을 관통한 제3 공기 통로(148)의 끝단에는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저수공간(160)의 내측면에 분사하도록 하는 제1 분사구(148a)를 포함한다.
제2 공기탱크(154)는 공기를 흐르는 제4 공기 통로(158)에 의해 저수공간(160)과 연결된다. 제4 공기 통로(158)는 저수공간(160)를 관통하고, 제4 공기 통로(158) 상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4 토출량 제어밸브(159)가 설치된다.
저수공간(160)을 관통한 제4 공기 통로(158)의 끝단에는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저수공간(160)의 내측 벽면에 분사하도록 하는 제2 분사구(158a)를 포함한다.
제1 분사구(148a)와 제2 분사구(158a)의 형태는 저수공간(160)에 쌓인 침출수나 오수, 기타 쓰레기 등이 내려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수공간(160)의 내측 벽면에 공기를 강하게 분사한다.
제2 송풍기(157)의 유입측은 외부에 연통되는 제2 배기덕트(157a)에 연결되고, 제2 송풍기(157)의 배출측은 제2 공기탱크(154)의 일측에 제2 연결덕트(156)와 연결한다.
제2 송풍기(157)는 제2 연결덕트(156)에 의해 제2 공기탱크(154)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공기탱크(154)는 케이브 맨홀(101)에 공기를 공급하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 제3 토출량 제어밸브(149) 및 제4 토출량 제어밸브(159)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형태로 구성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 펌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블 맨홀(101)은 천장면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제1 도어구조체(120)와 제2 도어구조체(130)를 포함한다.
제1 도어구조체(120)는 내부에 제1 상부 격벽(121)과 제1 하부 격벽(122)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길이 방향의 일정한 제1 공간부(123)을 형성하고, 제1 공간부(123)에 수평 방향으로 제1 랙기어(124)를 배치하고, 제1 랙기어(124)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제1 피니언기어(125)를 제1 하부 격벽(122)의 일측에 결합하고, 제1 피니언기어(125)의 회전축(미도시)에 제1 구동모터(126)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1 피니언기어(125)는 회전축에 제1 구동모터(126)를 직접 결합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축에 기어박스(미도시)를 결합하고, 기어박스의 일측에 제1 구동모터(126)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구동모터(126)의 회전에 따라 제1 피니언기어(125)가 회전되고, 제1 랙기어(124)는 제1 피니언기어(125)의 회전에 따라 제1 공간부(123)를 삽입과 이탈을 반복한다.
제2 도어구조체(130)는 내부에 제2 상부 격벽(131)과 제2 하부 격벽(132)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길이 방향의 일정한 제2 공간부(133)을 형성하고, 제2 공간부(133)에 수평 방향으로 제2 랙기어(134)를 배치하고, 제2 랙기어(134)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제2 피니언기어(135)를 제2 하부 격벽(132)의 일측에 결합하고, 제2 피니언기어(135)의 회전축(미도시)에 제2 구동모터(136)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제2 피니언기어(135)는 회전축에 제2 구동모터(136)를 직접 결합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축에 기어박스(미도시)를 결합하고, 기어박스의 일측에 제2 구동모터(136)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구동모터(136)의 회전에 따라 제2 피니언기어(135)가 회전되고, 제2 랙기어(134)는 제2 피니언기어(135)의 회전에 따라 제2 공간부(133)를 삽입과 이탈을 반복한다.
제1 랙기어(124)와 제2 랙기어(134)는 양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을 개폐한다.
온도센서(105)는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공간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화재 감지 센서(106)는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공간의 화재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온도센서(105)와 화재 감지 센서(106)는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공간에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온도센서(105), 화재 감지 센서(106), 디스플레이부(108), 스피커(109),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 제3 토출량 제어밸브(149) 및 제4 토출량 제어밸브(159), 구동모터(119a), 제1 구동모터(126), 제2 구동모터(1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08)와 스피커(109)는 변압기(102)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온도센서(105)와 화재 감지 센서(106)로부터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한다.
제어부(107)는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와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제1 가스탱크(144a)와 제2 가스탱크(154a)의 불활성 가스가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구동모터(126)와 제2 구동모터(136)에 모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랙기어(124)와 제2 랙기어(13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을 개방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19a)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1 스크류(115)가 회전되면, 제1 이동블록부(116)와 안착부(116a)는 제1 스크류(115)을 따라 상승한다.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이 개방되고, 변압기(102)의 일부는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변압기(102)의 일부가 케이블 맨홀(101)의 외부로 이탈되면, 제어부(107)는 디스플레이부(108)를 제어하여 사람들이 접근을 방지하는 경고 신호를 발광 신호로 출력하고, 스피커(109)를 제어하여 위험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이 개방하지 않고, 변압기(102)를 케이블 맨홀(101)의 상단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이 개방되면, 외부 공기가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제1 공기탱크(144)와 제2 공기탱크(154)의 압력 조절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공기탱크(144)와 제2 공기탱크(154)의 압력값을 조정할 수도 있고, 제1 송풍기(147)와 제2 송풍기(157)를 구동시켜 제1 공기탱크(144)와 제2 공기탱크(154)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내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전 카메라부(180)는 케이블 맨홀(101)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고, 변압기(102)의 전체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회전 카메라부(180)는 좌우, 상하 회전과 줌(확대/축소)이 가능한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사용하고, 동체 추적 기능을 갖고 있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이동체의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181)는 회전 카메라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카메라부(18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제어부(107)는 객체 탐지부(182)와 연동하여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객체를 탐지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객체 분류를 위해 Softmax가 아닌 다양한 독립 로지스틱을 사용하고, 컨볼루션 레이어를 이용하여 특징 학습이 수행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복수의 컨볼루션 레이어와 스킵 연결로 구성되어 3개의 개별 규모에서 특징을 감지하고, 컨볼루션 레이어에 의해 특징맵을 다운 샘플링하고, 불변 크기 특징을 전송하기 위해 실행된다.
객체 탐지부(182)는 영상 정보에서 객체(화재)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맵을 추출한다.
객체 탐지부(182)는 추출한 특징맵을 기초로 영상에서 화재 객체의 존재가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한다.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faster RCNN,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YOLO(You Only Look Onc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YOLO 객체 인식모듈(YOLOv3)을 일례로 하고 있다.
신경망 처리부(185)는 딥러닝 학습부(186), 판별부(187) 및 학습부(188)를 포함한다.
제어부(107)는 딥러닝 학습부(186), 판별부(187) 및 학습부(1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저장부(183)는 제어부(107)로부터 객체 탐지부(182)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객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객체 영상은 화재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처리부(185)는 입력으로 객체 영상을 입력하고, 출력으로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83)는 복수의 화재 영상을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저장부(183)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통해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화재 영상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신경망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신경망의 출력층에서 생성된 출력값과 학습 데이터에 대한 원하는 기대 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계산하고, 오류를 줄이는 방향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에 적용되는 연결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신경망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크기 측정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은 다양한 객체 영상과 이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정보를 인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입력층, 히든층 및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임피던스값을 입력층에 입력시키고, 입력된 객체 영상과 이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정보를 출력층으로 출력되도록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딥러닝 학습부(186)는 저장부(183)로부터 수신한 학습 데이터인 화재 객체 영상에서 특징값을 검출하고, 특징값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딥러닝 학습부(186)는 화재 객체 영상으로부터 특징 벡터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 벡터들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판별부(187)는 딥러닝 학습부(186)로부터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어부(107)로부터 객체 영상을 수신하고,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한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부(187)는 수신한 객체 영상을 양자화하여 특징값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값들을 딥러닝 학습부(186)에서 학습된 학습 데이터의 특징 벡터들과 비교하여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결과 여부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학습부(188)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객체 영상이 판별되지 않는 경우, 새로운 객체 영상으로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신경망 처리부(185)로부터 화재 영상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와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제1 가스탱크(144a)와 제2 가스탱크(154a)의 불활성 가스가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구동모터(126)와 제2 구동모터(136)에 모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랙기어(124)와 제2 랙기어(13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을 개방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19a)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1 스크류(115)가 회전되면, 제1 이동블록부(116)와 안착부(116a)는 제1 스크류(115)을 따라 상승한다.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이 개방되고, 변압기(102)의 일부는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추후, 정비사에 의해 변압기(102)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110: 리프트 모듈 120: 제1 도어구조체
130: 제2 도어구조체 140: 제1 압축 공기 공급부
150: 제2 압축 공기 공급부 200: 기기함 보호부
210: 프레임부 220: 제1 충격흡수장치
230: 제2 충격흡수장치
110: 리프트 모듈 120: 제1 도어구조체
130: 제2 도어구조체 140: 제1 압축 공기 공급부
150: 제2 압축 공기 공급부 200: 기기함 보호부
210: 프레임부 220: 제1 충격흡수장치
230: 제2 충격흡수장치
Claims (1)
- 지중배전선로(20)를 일측면에 접속한 변압기(102)가 지중 매설된 케이블 맨홀(101);
복수의 지중배전선로(20)를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으로 선반과 유사한 형태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 대한 골격을 이루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12)과 수평 프레임(211)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210);
상기 수직 프레임(212)의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지중배전선로(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키는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제2 충격흡수장치(230);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장치(220)와 상기 제2 충격흡수장치(230)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고, 압축공기의 주입으로 팽창되었다가 압축공기가 토출되면 수축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백(201)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어 있는 제1 하우징(215)과 제2 하우징(216)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215)과 상기 제2 하우징(216)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과 배출 기능을 하는 일정 형상의 제1 공기 분기부(221)와 제2 공기 분기부(231)를 결합하고,
상기 제1 공기 분기부(221)와 상기 공기 분기부(231)에 공기통로로 연결된 제1 제어밸브(225)와 제2 제어밸브(235)를 제어하여 공기 주입을 통해 상기 에어백(201)이 팽창하여 상기 프레임부(21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 공기 분기부(221)의 제1 메인관로(222)는 일측이 외부의 제1 공기통로(미도시)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의 제1 배기통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공기 분기부(231)의 제2 메인관로(232)는 일측이 외부의 제2 공기통로(234)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의 제2 배기통로(23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기통로는 일정 위치의 통로 상에 상기 제1 제어밸브(225)를 설치하고, 제1 공기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통로(234)는 일정 위치의 통로 상에 상기 제2 제어밸브(235)를 설치하고, 제2 공기탱크(236)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기통로는 일단이 상기 제1 메인관로(222)에 연통되고, 타단이 제1 공기배출하우징(227)의 제1 공기배출팬(228)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배출하우징(227)은 상기 제1 공기배출팬(228)과, 상기 제1 공기배출팬(228)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229)와 제1 공기배출팬(228)의 배출구(227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통로(233)는 일단이 제2 메인관로(232)에 연통되고, 타단이 제2 공기배출하우징(237)의 제2 공기배출팬(23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기배출하우징(237)은 제2 공기배출팬(238)과, 상기 제2 공기배출팬(238)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239)와 제2 공기배출팬(238)의 배출구(237a)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210)의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로(20)에 가해지는 진동값을 측정하는 진동센서(24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240)로부터 측정된 진동값이 기설정된 기준 진동값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밸브(225)와 상기 제2 제어밸브(235)로 제어 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공기탱크와 상기 제2 공기탱크(236)의 압축공기를 상기 제1 메인관로(222)와, 상기 제2 메인관로(232)를 거쳐 상기 에어백(201)으로 공급하는 제어부(10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맨홀(101)은 천장면이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제1 도어구조체(120)와 제2 도어구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구조체(120)는 내부에 제1 상부 격벽(121)과 제1 하부 격벽(122)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길이 방향의 일정한 제1 공간부(123)을 형성하고, 제1 공간부(123)에 수평 방향으로 제1 랙기어(124)를 배치하고, 상기 제1 랙기어(124)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제1 피니언기어(125)를 제1 하부 격벽(122)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피니언기어(125)의 회전축(미도시)에 제1 구동모터(126)를 결합하고,
상기 제2 도어구조체(130)는 내부에 제2 상부 격벽(131)과 제2 하부 격벽(132)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길이 방향의 일정한 제2 공간부(133)을 형성하고, 제2 공간부(133)에 수평 방향으로 제2 랙기어(134)를 배치하고, 상기 제2 랙기어(134)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제2 피니언기어(135)를 제2 하부 격벽(132)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피니언기어(135)의 회전축(미도시)에 제2 구동모터(136)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블 맨홀(101)은 양쪽의 내측벽에 상하 방향의 제1 측부 분사 수단과 제2 측부 분사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측부 분사 수단은 일정한 간격마다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제1 분사 노즐(14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부 분사 수단은 일정한 간격마다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제2 분사 노즐(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사 노즐(141)은 일면에 제1 분사 통로(142)를 결합하여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탱크(144a)에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분사 노즐(151)은 일면에 제2 분사 통로(152)를 결합하여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탱크(154a)에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맨홀(101)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고, 변압기(102)의 전체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회전 카메라부(180);
영상 정보에서 객체(화재)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으로부터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맵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특징맵을 기초로 영상에서 화재 객체의 존재가 추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추출하는 객체 탐지부(182);
상기 회전 카메라부(180)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하고, 상기 객체 탐지부(182)와 연동하여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객체를 탐지하는 제어부(107); 및
복수의 화재 영상을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저장부(183)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통해 학습시키는 딥러닝 학습부(186)와, 상기 딥러닝 학습부(186)로부터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7)로부터 객체 영상을 수신하고, 신경망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한 객체 영상에 대응하는 화재 영상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187)로 이루어진 신경망 처리부(18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7)는 상기 신경망 처리부(185)로부터 화재 영상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토출량 제어밸브(145)와 상기 제2 토출량 제어밸브(155)로 제어밸브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스탱크(144a)와 상기 제2 가스탱크(154a)의 불활성 가스가 상기 케이블 맨홀(10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되고, 온도값과 화재 감지 신호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모터(126)와 상기 제2 구동모터(136)에 모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랙기어(124)와 상기 제2 랙기어(13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상기 케이블 맨홀(101)의 천장면을 개방하는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284A KR102510251B1 (ko) | 2022-03-17 | 2022-03-17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284A KR102510251B1 (ko) | 2022-03-17 | 2022-03-17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0251B1 true KR102510251B1 (ko) | 2023-03-16 |
Family
ID=8598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3284A KR102510251B1 (ko) | 2022-03-17 | 2022-03-17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025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471B1 (ko) | 2008-01-01 | 2013-03-06 | 시티알 매뉴팩쳐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Oltc 화재 및/또는 변압기 폭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102023846B1 (ko) * | 2018-06-19 | 2019-09-20 |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
KR102047357B1 (ko) * | 2019-07-01 | 2019-11-21 | 주식회사 부창전기 |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
KR102198895B1 (ko) * | 2020-06-30 | 2021-01-05 | (주)다산기술단 | 건축구조물 내부의 지중 통신케이블 보호장치 |
KR102314499B1 (ko) * | 2021-02-26 | 2021-10-19 |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지중케이블 보호관 |
-
2022
- 2022-03-17 KR KR1020220033284A patent/KR1025102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471B1 (ko) | 2008-01-01 | 2013-03-06 | 시티알 매뉴팩쳐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Oltc 화재 및/또는 변압기 폭발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102023846B1 (ko) * | 2018-06-19 | 2019-09-20 |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
KR102047357B1 (ko) * | 2019-07-01 | 2019-11-21 | 주식회사 부창전기 |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
KR102198895B1 (ko) * | 2020-06-30 | 2021-01-05 | (주)다산기술단 | 건축구조물 내부의 지중 통신케이블 보호장치 |
KR102314499B1 (ko) * | 2021-02-26 | 2021-10-19 |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지중케이블 보호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6299B1 (ko)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 시스템 | |
KR102508185B1 (ko) | 변압기에 연결 설치되는 지중배전선로 관로의 환풍 시스템 | |
KR102474556B1 (ko) | 신도시 지중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2393520B1 (ko) | 침수 이중안전 구조를 갖는 인출식 지중 매립형 현장감시 제어반 | |
KR102441868B1 (ko) | 집중배기 환기방식의 터널 내 연기 가이드 시스템 | |
KR102153688B1 (ko) | 합선방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 |
KR102441872B1 (ko) |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 | |
WO2010066915A1 (es) | Muelle de carga | |
KR102441876B1 (ko) | Cctv를 이용한 터널 내 화재 소화 및 제연 시스템 | |
KR102510251B1 (ko)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기기함 보호 장치 | |
JP2006207177A (ja) | 防水板 | |
CA2990271C (en) | Under car power unit | |
EP2438964A1 (en) | Tracer smoke generator for ventilation tests | |
KR102441874B1 (ko) | Cctv를 이용한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 | |
KR102153678B1 (ko) | 침수 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고정기구 | |
KR101763771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 |
KR101375123B1 (ko) |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 |
KR102551025B1 (ko) |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2532518B1 (ko) | 변전소에 연결되는 지중 케이블의 고정 안정장치 | |
CN110011207A (zh) | 一种带安全保护装置的地埋变电站 | |
CA2805576C (en) | Compressed natural gas fueling station | |
CN106930782B (zh) | 隧道横洞独立加压送风系统以及送风方法 | |
GB2477365A (en) | Flood barrier | |
KR101785392B1 (ko) |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 |
KR20090116569A (ko) | 기계식 플랩댐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