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21B1 - 내진 발전기 - Google Patents

내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21B1
KR101852021B1 KR1020170121243A KR20170121243A KR101852021B1 KR 101852021 B1 KR101852021 B1 KR 101852021B1 KR 1020170121243 A KR1020170121243 A KR 1020170121243A KR 20170121243 A KR20170121243 A KR 20170121243A KR 101852021 B1 KR101852021 B1 KR 10185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base plate
support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to KR102017012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41Means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 상에 복수개 배치된 내진유닛 상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방진고무로 내진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장착된 발전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또는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발전기에 공급될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발전기 엔진으로 공급하되, 설정 범위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발전기{Earthquake-proof Generator}
본 발명은 내진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견딜 수 있는 내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도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면서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크게 지진 자체에 의한 1차 피해와, 지진이 끝난 후 발생하는 부수적인 2차 피해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지진 자체에 의한 1차 피해는 지진발생시 지표가 갈라지거나 침하하여 생기는 지상 및 지하 구조물 붕괴, 도로와 교량 유실, 해안지역의 해일로 인한 각종 피해, 이에 따른 인명손실 등을 말한다. 그리고 2차 피해는 1차 피해로 생기는 화재, 수도 ·전기 ·가스 ·통신 ·유통시설의 파괴와 이에 따른 사회생활 혼란을 말한다.
이러한 지진 피해에 따른 대책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인공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 시에 그 지역의 지반을 감안하여 충분한 내진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고층건물이 많은 현대의 대도시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대책에 따라서, 각국 정부는 새로 건물을 지을 때 반드시 방진시설을 갖추도록 의무화하는 추세이다.
또한 공장, 관공서, 및 병원 등에는 상용 전원의 차단 시, 자가 발전을 통해 최소한의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전기는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와 발전기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만으로 지진에 대비하도록 되어 있어 발전기의 진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써 발전기가 지진의 진동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전도되는 경우, 발전기는 비상 전력을 생산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재난 구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 심각한 사회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의 구조를 개선하고, 연료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밸브를 구비하여 연료 누출에 따른 2차 피해를 방지하고, 또한 발전기를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와, 동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진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발전기가 전도되면서 발생하는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 상에 복수개 배치된 내진유닛 상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방진고무로 내진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장착된 발전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또는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발전기에 공급될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발전기 엔진으로 공급하되, 설정 범위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제1연료라인과, 상기 제1연료라인으로부터 발전기 엔진으로 연료를 전달하되 상기 제1연료라인과 발전기 엔진 사이에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제2연료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제1연료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된 연료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연료라인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연료탱크 상에서 지진의 크기를 감지하는 지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연료라인은 외형이 변형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측부 플레이트를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측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측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측부 플레이트가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 또는 측부 플레이트의 내측 면에 구비된 패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동체 플레이트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진고무 주변을 지지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진고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동체 플레이트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 연결판, 지지판의 각 외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지지판과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유닛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제1차폐판을 구비하는 제1커버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차폐판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2차폐판을 구비하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1고정판 상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대향하여 상기 제2고정판 저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마주하는 중심 부분에 개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 스프링 및 상기 제1지지판의 외주면과 제2지지판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연결하여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사이의 간격 유지와 함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판은 상기 탄성 지지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 지지부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사이가 가까워지는 경우에 상기 제1안내홈을 통과한 상기 탄성 지지부가 돌출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폐판의 내주면과 제2차폐판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돌출된 부분이 접촉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제1안내홈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가 돌출되면서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제2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발전기에 따르면,
첫째, 지진 발생 시 발전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 공급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연료 공급부의 파손이 우려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셋째,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동체 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결과적으로 발전기가 탈거 또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섯째, 발전기의 전도를 방지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와 동시에 피해 복구 과정에서 용이하게 발전기를 회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보호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이 수직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연료 공급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발전기(1)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발전기(11)가 장착되는 동체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부(100)와, 동체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보호부(2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설치면으로부터 내진시키는 내진유닛(300)과,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엔진(12)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전기(11)는 다수의 지지 대상물 중 하나에 해당되며 이 외에도 엔진(12), 라디에이터 그릴(13), 모터, 흡/배기관, 배터리, 연료탱크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지지부(100)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발전기(1)는 설치면 상에 내진유닛(300)을 통하여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주변에서 지지부(100)가 인접하게 복수개 배치된다.
지지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10)로부터 절곡되는 측부 플레이트(120)와, 측부 플레이트(120)로부터 다시 절곡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100)는 상부 플레이트(110)가 측부 플레이트(120) 상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부 플레이트(110)와 측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와 측부 플레이트(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111)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10)는 측부 플레이트(120)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외력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부 플레이트(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최대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고정된 높이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최대 높이를 벗어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이탈 또는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0)는 고정된 높이 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상하 진동하는 것을 최대한 인접하여 접촉하지 않고 지지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의 고정된 높이를 벗어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상하 진동하는 경우 장공(111)의 길이 범위 내에서 고정된 높이가 늘어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하 진동 폭을 소폭 증가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부 플레이트(110)의 최대 높이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하 진동이 더 커지는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탈거 방지를 위해서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물리적인 높이가 저 증가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측부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패드부재(140)가 구비된다. 패드부재(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마찰이나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부 플레이트(110)와 측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분리된 경우 패드부재(140)도 분리하여 부착되고, 일체형인 경우 하나의 패드부재로 부착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가 절곡된 면 외측에는 보강 플레이트(150)가 구비된다. 보강 플레이트(150)는 측부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에서는 도 2와는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100) 단면을 나타낸다. 지지부(100)는 측부 플레이트(120) 상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간격 조정부(160)를 포함한다.
간격 조정부(160)는 측부 플레이트(120) 상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이 구비된다. 물론 간격 조정부(160)의 개수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증감할 수 있다. 간격 조정부(160)는 측부 플레이트(120)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0) 방향으로 돌출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외력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순간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때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하부에 구비된 내진유닛(300)을 통하여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큰 외력이 가해지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탈거 또는 전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기울어지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정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에 배치된 간격 조정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하부에 배치된 간격 조정부(160)에 비하여 간격이 더 크게 배치된다. 그러면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기울어지면서 간격 조정부(160)와 접촉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간격 조정부(160)가 배치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간격 조정부(160) 사이에 균일한 압력 가해질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격 조정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접촉하는 단부에도 패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 조정부(160)에 구비된 패드부재는 단순히 마찰과 소음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간격 조정부(160) 사이에 거리가 소폭 맞지 않는 경우에도 패드부재의 탄성으로 인해 보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격 조정부(160)가 상하방향으로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부 간격 조정부(160)와 중앙 간격 조정부(160) 사이의 간격이 중앙 간격 조정부(160)와 하부 간격 조정부(160)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많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부로 갈수록 토크가 커지기 때문에 하부에 비하여 상부가 더 상대적으로 많이 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보호부(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체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방진고무(21)를 통해 내진되도록 결합되고, 동체 플레이트(20) 또는 방진고무(21) 주변에는 보호부(200)가 배치된다. 여기서 동체 플레이트(20)는 발전기와 같은 지지 대상물이 장착된 하나의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고, 발전기나 엔진,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같은 각 지지 대상물의 몸체가 방진고무(21) 상에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 위치가 될 수도 있다.
보호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되는 고정판(210)과, 고정판(210) 상에서 절곡되어 방진고무(21)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판(220)과, 연결판(220)으로부터 절곡되어 동체 플레이트(20)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판(230) 및 고정판(210), 연결판(220), 지지판(230)의 각 외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판(240)을 포함한다.
앞서 지지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하여 전도를 방지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서 발전기가 전도되는 경우 내진 발전기(1)의 기능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서 동체 플레이트(20)를 지지하여 궁극적으로 발전기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부(200)는 지지판(230)과 동체 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부재(250)를 포함한다. 패드부재(250)는 지지판(230)과 동체 플레이트(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소음이나 마찰에 이한 손상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내진유닛이 수직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진유닛(300)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351)과 제1고정판(351) 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제1차폐판(353)을 구비하는 제1커버부(350)와,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제2고정판(361)과 상기 제2고정판(361) 상에서 돌출되어 제1차폐판(353)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2차폐판(362)을 구비하는 제2커버부(360)와, 제1고정판(351) 상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310)과, 제1지지판(310)과 대향하여 제2고정판(361) 저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320)과,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이 마주하는 중심 부분에 개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 스프링(330) 및 제1지지판(310)의 외주면과 제2지지판(320)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연결하여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 사이의 간격 유지와 함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탄성 지지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제2차폐판(362)은 탄성 지지부(340)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탄성 지지부(340)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안내홈(36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커버부(350)는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 사이가 가까워지는 경우에 제1안내홈(363)을 통과한 탄성 지지부(340)가 돌출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1차폐판(353)의 내주면과 제2차폐판(362)의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 지지부(340)의 돌출된 부분이 접촉하는 탄성패드(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패드(370)는 제1안내홈(363)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탄성 지지부(340)가 돌출되면서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제2안내홈(37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은 어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대로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판(310)은 제1고정판(351) 상에 설치되고, 제1고정판(351)은 설치면 상에 설치된다. 설치면은 지면이나 지면에 고정되는 또 다른 구조물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판(351) 내부에는 제1지지판(3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352)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352)은 제1고정판(351) 상에서 제1지지판(310)이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제1지지판(3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지지판(310)의 상부에는 방진 스프링(3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결합턱(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지지판(320)은 제1지지판(310)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지지판(320)의 상면은 제2고정판(361) 내부 저면에 접촉하여 제2고정판(361)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2지지판(320)의 하부에는 방진 스프링(3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결합턱(321)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스프링(330)은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고정판(361) 상부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면 상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방진 스프링(330)은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부(340)는 방진 스프링(330)과 더불어 수직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제1지지판(310) 또는 제2지지판(3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가 기울어지거나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힘에 대응하여 반력을 제공하여 수평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커버부(360)의 상부에 외력이 가해지고, 제1커버부(350)의 좌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2고정판(361)은 하측으로 가압되어 내려가고, 제2커버부(36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1커버부(350)가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방진 스프링(330)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축이 휘어지면서 기울어지고, 탄성 지지부(340)도 기울어진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압축되며, 또한 탄성 지지부(340)의 좌측은 수평방향으로 가해진 외력에 의해 탄성패드(37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지지부(340)의 우측은 상대적으로 탄성패드(37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차폐판(362)은 탄성패드(370)를 중심으로 제1차폐판(353)과 압축되면서 탄성패드(370)의 탄성력으로 인한 복원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가해진 외력에 대응하여 반력이 발생하면서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도 복원력이 형성된다.
또한 예컨대, 제2커버부(360)의 좌측 상단에 외력이 집중되는 경우, 제2고정판(361)은 좌측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어 내려가고, 상대적으로 제2커버부(360)의 우측 상단은 올라간 형상으로 기울어진다(미도시).
그러면 방진 스프링(330)은 수직방향으로 압축되고, 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탄성 지지부(340)도 압축되면서 절곡되어 탄성패드(370)의 내측에 형성된 제2안내홈(371)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돌출된다. 이때 우측에 배치된 탄성 지지부(340)는 상대적으로 인장되면서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 사이의 거리가 탄성 지지부(340)의 거리보다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방진 스프링(330)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탄성 복원력과 함께 좌측에 배치된 탄성 지지부(340)는 구부러진 것이 펴지려는 반력이 작용하고, 우측에 배치된 탄성 지지부(340)는 펴진 상태가 원 상태로 돌아오려는 반력이 작용하여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이 원위치할 수 있는 수직 또는 수평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단순히 수평방향으로만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방진 스프링(330)과 탄성 지지부(340) 및 탄성패드(370)가 함께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작용할 수 있어 수평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제1커버부(350)에 외력이 전달되어 제1커버부(350)가 좌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제1고정판(351)에 고정된 제1지지판(310)이 방진 스프링(330)과 탄성 지지부(340)에 의해 다시 반대 방향으로 반력이 형성되고, 또한 제1차폐판(353)과 제2차폐판(362) 사이에서 탄성패드(370)에 의해 반력이 발생하면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방진 스프링(330)과 탄성 지지부(340)의 복원력에 의해 진동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제1지지판(310)과 제2지지판(3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진유닛(300)이 설치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도, 즉 넘어지거나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내진 발전기의 연료 공급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발전기는 연료탱크(410)로부터 발전기 엔진(12)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부(400)는 단순히 적소로 연료를 운반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진 발전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지진과 같은 외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외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반한다.
이를 위해서 연료 공급부(400)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410)와, 연료탱크(410)에서 연료를 발전기 엔진(12) 방향으로 흡입 또는 펌핑하는 제1연료라인(420)과, 제1연료라인(420)과 연결되어 엔진(12)에 직접 결합되는 제2연료라인(430)과, 제1연료라인(420)의 연료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440)와, 지진과 같은 외력을 감지하는 지진센서(450)를 포함한다.
먼저 연료탱크(410)는 일정한 크기의 용량을 가지는 저장소로서 발전기 엔진(12)의 연소방식에 따라서 이에 맞는 연료가 저장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4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내부에 배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연료탱크(410)는 별도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내진 발전기의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에 포함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연료라인(420)은 연료탱크(410)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펌프(미도시)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제1연료라인(420)은 연료탱크(410) 내부에 저장된 연료의 잔량을 체크하는 유량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연료라인(420) 상에는 밸브(4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440)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료가 공급되는 제1연료라인(420)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1연료라인(420)은 일종의 파이프 형상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제1연료라인(420)의 단부에는 제2연료라인(430)이 구비된다. 제2연료라인(430)은 제1연료라인(420)과 발전기 엔진(1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료라인(420)과 엔진(12) 사이에서 서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료라인(430)은 고무 재질의 튜브와 같이 외형, 길이 등이 변형되거나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재질일 수 있고, 또는 일정한 길이와 외경을 가지지만 그 결합각도가 변형될 수 있는 스틸 재질의 플렉시블 호스가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연료라인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피해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440)는 제1연료라인(420) 상에서 지진센서(45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연료라인(420)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차단된 밸브(44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외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전기가 탈거 또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전기의 연료라인 파손을 방지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와 동시에 피해 복구 과정에서 용이하게 발전기를 회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내진 발전기
100 : 지지부
200 : 보호부
300 : 내진유닛
400 : 연료 공급부

Claims (18)

  1. 설치면 상에 복수개 배치된 내진유닛 상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방진고무로 내진되도록 배치되고, 상부에 장착된 발전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또는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발전기에 공급될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발전기 엔진으로 공급하되, 설정 범위 이상의 외력이 감지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측부 플레이트를 설치면 상에 고정시키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측면에 복수개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제1연료라인과, 상기 제1연료라인으로부터 발전기 엔진으로 연료를 전달하되 상기 제1연료라인과 발전기 엔진 사이에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도록 외형이 변형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제2연료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측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 또는 측부 플레이트의 내측 면에 구비된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진유닛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제1차폐판을 구비하는 제1커버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차폐판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2차폐판을 구비하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1고정판 상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대향하여 상기 제2고정판 저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마주하는 중심 부분에 개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방진 스프링 및
    상기 제1지지판의 외주면과 제2지지판의 외주면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연결하여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사이의 간격 유지와 함께,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료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배출된 연료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1연료라인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연료탱크 상에서 지진의 크기를 감지하는 지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센서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측부 플레이트가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 상에서 상하 방향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동체 플레이트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진고무 주변을 지지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에서 절곡되어 상기 방진고무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동체 플레이트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 연결판, 지지판의 각 외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지지판과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5. 삭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판은 상기 탄성 지지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 지지부들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 사이가 가까워지는 경우에 상기 제1안내홈을 통과한 상기 탄성 지지부가 돌출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차폐판의 내주면과 제2차폐판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돌출된 부분이 접촉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제1안내홈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가 돌출되면서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제2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발전기.
KR1020170121243A 2017-09-20 2017-09-20 내진 발전기 KR10185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43A KR101852021B1 (ko) 2017-09-20 2017-09-20 내진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43A KR101852021B1 (ko) 2017-09-20 2017-09-20 내진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021B1 true KR101852021B1 (ko) 2018-04-27

Family

ID=620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43A KR101852021B1 (ko) 2017-09-20 2017-09-20 내진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17A (ko) * 2018-09-21 2020-03-31 (주)코스탈파워 내진형 연료탱크
KR102355993B1 (ko) * 2021-09-15 2022-01-25 신준식 산업용 발전기 지지구조
CN117888994A (zh) * 2024-03-15 2024-04-16 福建金龙腾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耐寒静音式集装箱内燃发电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543B2 (ja) * 1998-05-26 2006-04-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及びダクトの製造方法
KR101455292B1 (ko) * 2014-05-20 2014-11-04 (주) 지엔씨에너지 내진 스토퍼
KR101659315B1 (ko) * 2016-07-21 2016-09-30 주식회사 대흥기전 방진패드시공 생략형 방진 스토퍼와 그것이 적용된 내진 발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543B2 (ja) * 1998-05-26 2006-04-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及びダクトの製造方法
KR101455292B1 (ko) * 2014-05-20 2014-11-04 (주) 지엔씨에너지 내진 스토퍼
KR101659315B1 (ko) * 2016-07-21 2016-09-30 주식회사 대흥기전 방진패드시공 생략형 방진 스토퍼와 그것이 적용된 내진 발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17A (ko) * 2018-09-21 2020-03-31 (주)코스탈파워 내진형 연료탱크
KR102109541B1 (ko) * 2018-09-21 2020-05-13 (주)코스탈파워 내진형 연료탱크
KR102355993B1 (ko) * 2021-09-15 2022-01-25 신준식 산업용 발전기 지지구조
CN117888994A (zh) * 2024-03-15 2024-04-16 福建金龙腾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耐寒静音式集装箱内燃发电机组
CN117888994B (zh) * 2024-03-15 2024-06-04 福建金龙腾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耐寒静音式集装箱内燃发电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835B1 (ko) 내진 발전기
KR101852021B1 (ko) 내진 발전기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36164B1 (ko)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20180119035A (ko)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20200059055A (ko) 진동감쇠장치 및 이를 채용한 분전반 설치 구조체
KR101864954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101386982B1 (ko) 지진감지장치
KR101778155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10175284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911783B1 (ko) 기계설비용 내진 찬넬
CN101886788A (zh) 灯具减振装置
KR101618525B1 (ko) 이중 내진형 배전함
KR101724255B1 (ko) 내진 발전기
KR102105205B1 (ko) 배전반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74433B1 (ko) 태양광발전장치와 에너지저장장치의 내진구조
KR101879153B1 (ko) 내진 발전기
KR102444015B1 (ko) 방진 전기 안전제어반
KR102132277B1 (ko) 지진발생시 케이블 인입 및 인출구에 적용한 케이블 보호를 위한 수배전반 외함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JP6075953B2 (ja) 免震構造体
CN210291109U (zh) 一种耐磨波纹管补偿器
CN209977555U (zh) 用于高层建筑的矩形风管侧向抗震支吊架
KR101752841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