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820B1 -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820B1
KR102313820B1 KR1020200074786A KR20200074786A KR102313820B1 KR 102313820 B1 KR102313820 B1 KR 102313820B1 KR 1020200074786 A KR1020200074786 A KR 1020200074786A KR 20200074786 A KR20200074786 A KR 20200074786A KR 102313820 B1 KR102313820 B1 KR 10231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 truck
housing
safety device
loading box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선
Original Assignee
이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선 filed Critical 이경선
Priority to KR102020007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e hydraulic syste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는, 차체의 자세에 따라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로서,
덤프 트럭의 차체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차체 자세 변화와 연계하여 항상 노면 측을 향하는 상태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와, 상기 가이드구의 회동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세팅되는 제어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DUMP TRUCK}
본 발명은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과 같은 차량들은 적재부 측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역 작업시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덤프 트럭의 경우, 적재부 측의 적재함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질 때 차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차량의 전도와 같은 안전 사고가 하역 작업 중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덤프 트럭의 전도 사고는 대부분 불균일한 노면(路面)에 의해 차량의 차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함이 들어 올려질 때 무게 중심을 잃고 전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덤프 트럭의 덤핑 동작 시 차량은 물론이거니와, 운전자나 차량 주변의 작업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덤핑 작동 지점의 노면 상태에 따라 적재함의 작동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가 요구된다.
(특허0001) 등록특허공보 특허등록 제10-044647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덤프 트럭의 덤핑 동작시 차체의 불안정한 자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도 사고를 간단한 구조 및 방식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체의 자세에 따라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로서,
덤프 트럭의 차체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차체 자세 변화와 연계하여 항상 노면 측을 향하는 상태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
상기 가이드구의 회동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세팅되는 제어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덤프 트럭의 적재함 측이 덤핑 동작될 때, 차체 자세에 따라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특히 덤프 트럭의 덤핑 동작 중에 차체의 불안정한 자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차량 전도(顚倒)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2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는, 하우징(10), 가이드구(20), 센서(30) 및 제어구(40)를 포함하며, 덤프 트럭(T, 이하 "차량"이라고 함.)의 차체 기울기 자세 감지와 부합하는 상태로 차체 측에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T)은 도 1에서와 같이 적재함(T1)이 구비되고, 이 적재함(T1) 측이 유압력에 의해 덤핑 동작되는 통상의 덤프 트럭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차량(T)의 적재함(T1) 아래쪽의 적재부(T2, 차체 프레임)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T)의 기울기 자세에 따라 함께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12)을 구비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서 내부 공간(12)의 개방부 측이 측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서와 같이 내부 공간(12)의 개방부 측이 별도의 덮개(1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차단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덮개(14)는 외부 물기나 이물질 등이 내부 공간(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는 밀폐 차단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은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 예를 들어,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거나, 이외에도 용접 접합 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구(20)는 하우징(10) 내측에서 차량(T)의 기울기 자세 변화와 연계하여 항상 노면(E) 측을 향하여 6시 방향을 유지하는 상태로 각도 전환이 가능하게 자유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가이드구(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일단(상부) 측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2) 내벽면 일측에 고정핀(22)으로 체결 설치되며, 핀 축선을 중심으로 일종의 무게추 작용에 의해 노면(E) 측을 향하여 항상 6시 방향을 유지하는 상태로 자유 회동되도록 세팅된다.
가이드구(20)의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목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핀(22)의 핀 축선을 중심으로 무게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무게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가이드구(20)는 고정핀(22)에 의해 하우징(10) 내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회전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회동이 가능하되, 앞,뒤 방향으로는 불규칙한 움직임이나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30)는 가이드구(20)의 자유 회동 움직임을 접촉 방식으로 센싱할 수 있는 상태로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된다.
센서(30)는 여러 가지의 접촉 방식의 센서들 중에서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30)는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구(20) 측과 연계하여 차량(T)의 차체 기울기 상태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된다.
센서(30)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 내측에서 가이드구(2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10)의 내부 공간(12) 내벽면 양쪽 지점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30)는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0) 측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항상 노면(E) 측과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가이드구(20) 일측과 접촉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0)의 기울어진 자세를 센싱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센서(30)는 특히 차량(T)의 길이방향 앞쪽 부분이 뒤쪽 부분보다 더 위쪽에 위치된 상태로 차체가 기울어진 상태일 때, 가이드구(20) 측과 연계하여 센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하우징(10) 내측에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구(40)는 센서(30) 측의 센싱 신호에 따라 차량(T)의 적재함(T1) 덤핑 동작의 제한이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어구(40)는 적재함(T1)의 덤핑 구동을 위한 유압력을 센싱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방식의 구조를 갖도록 세팅 형성된다.
제어구(40)는 밸브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차량(T)의 적재함(T1) 측을 덤핑 동작이 가능하게 구동하기 적재함용 유압 라인(L)의 개폐가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제어구(40)는 밸브 중에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30)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센서(30)의 센싱 신호에 따라 유압 라인(L)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즉, 제어구(40)는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기울기 자세 변화에 의해 가이드구(20)의 움직임이 센서(30)에 의해 센싱될 때,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서 적재함용 유압 라인(L)의 통로를 차단하고, 센싱 신호가 해제되면 통로를 개방하는 상태로 개폐 동작되도록 세팅된다.
이와 같은 제어구(40)의 밸브 작용에 의하면, 센서(30)의 센싱 신호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적재함용 유압 라인(L)의 통로를 용이하게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 하우징(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체 기울기 자세에 따라 하우징(10)의 자세가 변화될 때, 이와 연계된 가이드구(20), 센서(30) 및 제어구(40)의 센싱 및 제어 작용으로 차체 기울기 자세를 용이하게 센싱하여 적재함(T1)의 덤핑 동작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T)의 적재함(T1) 측에 담겨진 적재물을 덤핑 동작으로 하역 처리할 때, 특히 차량(T)의 차체가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덤핑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차량(T) 전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가이드 브래킷(16)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브래킷(16)은 요구되는 센싱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하우징(10)의 자세 전환 조작 및 고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가이드 브래킷(16)은 도 7에서와 같이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 고정 배치되며,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 측과 각각 연결핀(18)으로 연결되어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하우징(10) 측을 잡아줄 수 있는 브래킷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핀(18)들은 차량(T)의 적재부(T2) 길이방향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축선을 이루도록 세팅된다.
이러한 가이드 브래킷(16)은 차량(T)의 차체 기울기 센싱과 부합하는 상태로 자세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하우징(10) 측을 잡아줄 수 있다.
즉, 가이드 브래킷(16)은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은 상태로 하우징(10)을 자세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으므로, 특히 차체 길이방향 전,후 부분 간의 기울기 자세 센싱, 또는 차체 폭 방향 좌,우 부분 간의 기울기 자세 센싱과 부합하는 상태로 하우징(10)의 센싱 자세 전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브래킷(16)은 도 9에서와 같이 연결핀(18)의 연결 지점과 대응하는 상태로 탄성 걸림구(16a)가 형성되고, 하우징(10) 측에는 탄성 걸림구(16a) 측과 대응하도록 걸림홈(16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걸림구(16a)는 볼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래킷(16) 측에서 탄성부재(16c)에 의해 눌려지면서 하우징(10)의 걸림홈(16b) 측에 탄력적으로 걸려질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6b)은 하우징(10) 측에 반구형의 홈부 형태로 형성되며, 연결핀(18)의 축선 둘레부를 따라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걸림구(16a)는 가이드 브래킷(16)의 연결핀(18) 지점을 중심으로 하우징(10)의 센싱 자세 전환 조작이 이루어질 때,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걸림홈(16b) 중에서 어느 한 지점의 홈부 측에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브래킷(16)은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측이 어느 한 자세로만 고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센싱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자세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는, 가이드구(20) 측과 대응하는 유동 억제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 억제부(50)는 하우징(10)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구(2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동 억제부(50)는 차량(T)의 이동 중에는 가이드구(20)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억제하고, 적재함(T1)의 덤핑 동작시에는 이와 연계하여 가이드구(20)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유동 억제부(50)는 차량(T)의 적재함(T1) 측과 연계하여 가이드구(20)의 움직임 제한이 가능하게 작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동 억제부(50)는 눌림구(52)와 걸림구(54)를 구비하고, 서로 공기가 통하도록 연결 튜브(56)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눌림구(52)와 걸림구(54)는 도 10에서와 같이 벨로우즈 타입의 포켓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되, 눌림구(52)는 부피가 탄력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걸림구(54)는 부피가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포켓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54)는 예를 들어, 눌림구(52) 측이 외력에 의해 눌려질 때, 도 11에서와 같이 눌림구(52) 측의 내부 공기를 연결 튜브(56)를 통해 공급받아서 공기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상태로 걸림 동작되고, 눌림구(52)의 눌림이 해제되면 다시 탄력적으로 수축되는 상태로 걸림 해제 동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54) 일측에는 지지홈(54a)이 형성되며, 이 지지홈(54a)은 걸림구(54)의 팽창시 가이드구(20) 일측이 걸려져서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눌림구(52)는 도 10에서와 같이 차량(T)의 적재부(T2) 측에서 적재함(T1)의 하부 측에 눌려질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되, 적재함(T1)의 초기 덤핑 동작시 누름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세팅된다.
걸림구(54)는 하우징(10) 내측에 배치되되, 눌림구(52) 측이 눌려질 때에만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가이드구(20)의 회동 방향으로의 유동을 지지홈(54a)의 걸림 지지력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된다.
유동 억제부(50)는 도 12에서와 같이 눌림구(52) 측과 대응하는 부착구(5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구(58)는 눌림구(52)의 설치 위치 조절과 부합하도록 차량(T) 측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부착구(58)는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눌림구(52) 측이 고정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부착구(58)는 금속판 형태이면서 자력(磁力)에 의해 차량(T)의 적재부(T2)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차량(T)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눌림구(52) 측이 적재함(T1)의 덤핑 동작과 연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억제부(50)는 차량(T)의 적재함(T1) 측이 덤핑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눌림구(52) 측이 눌려지면서 가이드구(2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걸림구(54)에 의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 억제부(50)는 특히 차량(T)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관성 등에 의해 가이드구(20) 측이 비정상적으로 유동되면서 파손 또는 변형되는 현상으로부터 가이드구(20) 측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덤프 트럭 이외에도 예를 들어, 차체 전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사다리 차량이나 지게 차량 등에도 상기와 같이 차량의 차체 기울기 자세의 센싱이 가능하게 설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재함(T1)의 덤핑 동작시 차량(T)의 차체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차체 기울기 상태에서는 덤핑 동작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덤핑 동작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차량(T)의 전도 사고가 최대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가이드구 30: 센서
40: 제어구 50: 유동 억제부 T: 차량

Claims (6)

  1. 차체의 자세에 따라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로서,
    덤프 트럭의 차체 측에 설치되며 가이드 브래킷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차체 자세 변화와 연계하여 항상 노면 측을 향하는 상태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
    상기 가이드구의 회동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덤핑 동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세팅되는 제어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 측과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핀 축선을 중심으로 센싱 자세 전환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 측을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측에 일단이 고정핀으로 연결 고정되어 핀 축선을 중심으로 무게추 형태로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고, 상기 가이드구의 회동 중에 접촉 센싱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구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고, 상기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덤프 트럭의 적재함 구동을 위한 유압 라인의 통로 측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되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는, 유동 억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부는,
    연결 튜브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며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눌림구 및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기 눌림구는, 상기 적재함의 덤핑 동작과 연계하여 탄력적으로 수축 가능하게 눌려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덤프 트럭의 적재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눌림구 측이 눌려질 때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가이드구 측을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걸림 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KR1020200074786A 2020-06-19 2020-06-19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KR10231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6A KR102313820B1 (ko) 2020-06-19 2020-06-19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786A KR102313820B1 (ko) 2020-06-19 2020-06-19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820B1 true KR102313820B1 (ko) 2021-10-15

Family

ID=7815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786A KR102313820B1 (ko) 2020-06-19 2020-06-19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673A (ja) * 1994-12-05 1996-06-18 Katsuyoshi Ito 運搬車両
KR100397937B1 (ko) * 2000-12-22 2003-09-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덤프트럭의 덤핑시 횡경사 전복 방지장치
KR100446470B1 (ko) 2002-08-27 2004-08-30 아이씨피 주식회사 트럭전도방지 장치
JP4387069B2 (ja) * 2001-04-12 2009-12-1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ダンプ車輌の転倒防止装置及びその転倒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673A (ja) * 1994-12-05 1996-06-18 Katsuyoshi Ito 運搬車両
KR100397937B1 (ko) * 2000-12-22 2003-09-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덤프트럭의 덤핑시 횡경사 전복 방지장치
JP4387069B2 (ja) * 2001-04-12 2009-12-1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ダンプ車輌の転倒防止装置及びその転倒防止方法
KR100446470B1 (ko) 2002-08-27 2004-08-30 아이씨피 주식회사 트럭전도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3166B1 (en)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unified vibration absorber and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KR101004178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보조장치
US5449214A (en) Safety system for an occupant of an automotive vehicle
JP2003191812A (ja)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US11975752B2 (en) Support roller, vehicle with a support roller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vehicle
KR20180099358A (ko)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KR102313820B1 (ko) 덤프 트럭용 안전장치
EP3720761B1 (en) An assembly for releasably engaging an upper vehicle part with a base vehicle part
KR20190105370A (ko) 자세제어 기능을 가지는 지게차
US11597346B2 (en) Sensor for activating a vehicle-sensitive locking mechanism of a belt retractor
JPH07187025A (ja) 車両用横転防止キャスター装置
KR102285428B1 (ko) 리어 덤프차량의 적재함 잠금장치
JPH05124543A (ja) トラツク横転防止装置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JPH0321545A (ja) 産業車両の安全装置
KR102428813B1 (ko) 틸팅 캐빈의 락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게차
KR101458647B1 (ko) 지게차의 캐빈 틸팅시 파손 방지장치
JP2531086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装置
JP7224909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0124055Y1 (ko) 시이트 벨트의 차체 감응식 센서구조
JP6860375B2 (ja) ホイール固定用ボルトナット装着型アオリ保護具
JPH024829Y2 (ko)
KR102529456B1 (ko)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는 상용차의 캡 고정용 스트라이커
KR100643962B1 (ko) 공기 스프링을 이용한 차량 전복방지 장치
JPS5921064Y2 (ja) ダン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