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34B1 -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34B1
KR102313534B1 KR1020210047444A KR20210047444A KR102313534B1 KR 102313534 B1 KR102313534 B1 KR 102313534B1 KR 1020210047444 A KR1020210047444 A KR 1020210047444A KR 20210047444 A KR20210047444 A KR 20210047444A KR 102313534 B1 KR102313534 B1 KR 10231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shape
bel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포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포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포플렉스
Priority to KR102021004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34B1/ko
Priority to KR1020210133643A priority patent/KR102352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런닝머신으로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제1 벨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런닝머신{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은 운동량이 적은 도시인 들이 실내에서 런닝을 하며 부족한 운동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의 하나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런닝머신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런닝머신몸에 구비되는 런닝조작부와 런닝머신본체의 하부에서 수평 상으로 형성되는 런닝바디 및 런닝바디에 구비되는 런닝부로 구성된 것이다.
런닝머신조작부 상부에는 사용자가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제어판넬이 구비되는 것이다. 런닝바디는 런닝머신조작부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 구성되고 런닝과정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최소 화를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런닝부는 조작제어판넬에 의하여 제어동작되는 런닝구동모터와 런닝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런닝구동롤러, 런닝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종동 회전되는 런닝종동롤러, 런닝구동롤러와 런닝종동롤러에 권취 되는 런닝벨트 및 런닝벨트의 중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런닝지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런닝머신은 접어진 런닝바디를 전개하고 조작제어판넬을 조작하여서 런닝벨트가 자신의 운동 량에 따라 적당한 속도로 동작시키면서 런닝부에서 런닝을 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런닝머신은 그 사용과정에 발생한 진동이 충분히 간쇠되지 않아 진동과 소음 이 발생하고 발생한 진동과 소음이 다른 세대로 전달되어 층간소음에 의한 분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부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견고하며 중앙에 고정나사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여 자연스레 수직으로 배치되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제1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은, 상기 벨트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가 회전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기립되어 있으며,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벨트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은, 전면에 위치하여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 및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벨트부의 회전 또는 상기 벨트부의 회전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지대; 상기 하단지지대의 상단에 위치하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에 삽입 가능한 너비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의 소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충격흡수부를 고정하는 상단지지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부는, 별도의 런닝 오일과 오일을 사용한 관리가 불필요한 무오일데크를 적용한 특수 데크판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되는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면 또는 하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상기 양단지지대의 외부를 마감 처리하는 형성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형성부는, 상기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된 상기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 하부에 체결된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 상호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끼움부 및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단 및 하부를 둘러싸는 상기 형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모듈은, 양단지지대의 상단패널 하부에 설치된 하단패널의 하부 측단 끼움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끼움돌기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이 배치되는 끼움홈;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 하부의 동일선상에 각각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의 외측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상기 끼움홈과 체결되는 고정힌지; 상기 고정힌지의 상기 제1 삽입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끼움홈과 고정 체결되고,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삽입핀; 하단부가 상기 고정힌지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삽입핀 상에 고정 연결되되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 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승강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기 상단패널 측단에 체결되는 상기 형성부와 연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기의 상, 하부에 대면하게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기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승강부의 측단에 연장 형성되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성부의 내측에 연결된 체결홈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홈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 형상인 상기 체결돌기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제2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은, 내측면에 상기 벨트부가 맞닿아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무한궤도를 이루는 궤도홈이 형성되어 있는 양단지지대; 상기 양단지지대 사이의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벨트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되,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지지대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의 높이로부터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단과 맞닿는 높이까지 형성되는 제2 손잡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부는, 양단이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기 궤도홈에 맞닿아 연결되어 있어 상기 궤도홈에 의하여 무한궤도를 이루는 계단형 컨베이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벨트부는, 상기 궤도홈의 회전에 의하여 롤링하며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칩부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칩부는, 'ㄹ'이 연속적으로 위치한 형상인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벨트부의 상단 및 하단의 형상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칩부는, 상기 궤도홈의 회전에 의하여 부드럽게 롤링하도록 돌출부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단지지대는, 온도 센서 또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궤도홈의 회전을 제어하는 센서부가 내측면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단지지대는, 하단에 마련되어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단지지대는, 합성수지 등을 주요부재로 형성되는 상단패널 및 하단패널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손잡이부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스탑부재가 일단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탑부재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궤도홈과 상기 벨트부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되는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면 또는 하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상기 양단지지대의 외부를 마감 처리하는 형성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형성부는, 상기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된 상기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 하부에 체결된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 상호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끼움부 및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단 및 하부를 둘러싸는 상기 형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모듈은, 양단지지대의 상단패널 하부에 설치된 하단패널의 하부 측단 끼움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끼움돌기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이 배치되는 끼움홈;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 하부의 동일선상에 각각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의 외측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상기 끼움홈과 체결되는 고정힌지; 상기 고정힌지의 상기 제1 삽입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끼움홈과 고정 체결되고,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삽입핀; 하단부가 상기 고정힌지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삽입핀 상에 고정 연결되되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 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승강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기 상단패널 측단에 체결되는 상기 형성부와 연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기의 상, 하부에 대면하게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기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승강부의 측단에 연장 형성되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성부의 내측에 연결된 체결홈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홈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 형상인 상기 체결돌기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런닝머신은 벨트부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견고하며 중앙에 고정나사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여 자연스레 수직으로 배치되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은 제1 벨트부(150), 프레임(130), 고정부재(190) 및 조작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벨트부(150)는 모터(140)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될 수 있고, 프레임(130)은 제1 벨트부(15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벨트부(150)가 회전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벨트부(150)는 별도의 런닝 오일과 오일을 사용한 관리가 불필요한 무오일데크를 적용한 특수 데크판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30)은 전면에 위치하여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벨트부(15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0)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0)은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되, 제1 벨트부(150)의 회전 또는 제1 벨트부(15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170)가 양단 하측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170)는 하단지지대(171), 충격흡수부(175) 및 상단지지대(17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지지대(171)는 프레임(130)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돌기(17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충격흡수부(175)는 하단지지대(17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중앙은 하단지지대(171)의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에 삽입 가능한 너비의 관통부(175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지지대(179)는 프레임(130)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17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1755)와 동일한 크기로 관통부(175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고정홈(1795)이 형성되어 있어 충격흡수부(175)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190)는 프레임(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기립되어 있으며,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조작부(110)는 프레임(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제1 벨트부(150)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은 손잡이를 동그랗게 만들어 사람이 손잡이를 잡을 때 손이 착 감기며, 다른 모양보다 사람의 손이 감싸기 편한 모양은 원형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디자인 면으로 자사의 제품이 더 친화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100)의 길이의 경우에는 950mm, 즉 95cm인데 평균 남성의 신장은 170cm에서 185cm으로 보폭의 넓이를 계산해보면 700mm ~ 800mm이므로 제품의 넓이는 넉넉하되 과하지 않고 필요한 정도의 여유분을 제공하고 있어 대량 설치 시 종래의 런닝머신보다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성능상으론, 2km/h의 차이로 종래의 런닝머신이 더 높고, 벨트의 크기는 15mm 더 작지만 무오일데크를 적용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장점을 극대화시켰다.
시장 전망은 코로나 타격으로 많은 헬스장이 문을 닫거나 잠정 중단, 관공서 등의 제품 노후화, 강한 운동을 원하는 가정집에서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종래의 런닝머신보다 가성비가 뛰어나고 시험 결과로 인증된 제품의 안전성, 제품의 특징인 무오일데크를 사용하므로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에, 헬스장 또는 관공서의 경우에는 편안한 관리와 오래가는 제품의 내구성을 기준으로, 가정집에서는 제품의 안전성을 기준으로 판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300)은 제2 벨트부(370), 양단지지대(350), 스크린부(310) 및 손잡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부(370)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양단지지대(350)는 내측면에 벨트부가 맞닿아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벨트부(37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무한궤도를 이루는 궤도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벨트부(370)는 양단이 양단지지대(350)의 궤도홈에 맞닿아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궤도홈에 의하여 무한궤도를 이루는 계단형 컨베이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벨트부(370)는 궤도홈의 회전에 의하여 롤링하며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칩부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칩부는 'ㄹ'이 연속적으로 위치한 형상인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벨트부의 상단 및 하단의 형상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궤도홈의 회전에 의하여 부드럽게 롤링하도록 돌출부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양단지지대(350)는 온도 센서 또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궤도홈의 회전을 제어하는 센서부(390)가 내측면 하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양단지지대(350)는 하단에 마련되어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고, 합성수지 등을 주요부재로 형성되는 상단패널 및 하단패널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부(310)는 양단지지대(350) 사이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되 제2 벨트부(370)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부(330)는 양단지지대(350)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되, 양단지지대(350)의 상단으로부터 스크린부(3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330)는 양단지지대(350)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스크린부(310)의 상단의 높이로부터 제1 손잡이의 하단과 맞닿는 높이까지 형성되는 제2 손잡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330)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스탑부재(301)가 일단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스탑부재가 온(ON)되는 경우 궤도홈과 제2 벨트부(370)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 이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00)를 이용해 고정되는 계단 이송 시스템(300)의 일부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단지지대(350)의 측단에는 형성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형성부(450)는 상단패널(401)의 측단에 체결된 상단끼움부(410), 양단지지대(350) 하부에 체결된 고정모듈(490) 사이에 상호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형성부(450)는, 양단지지대(350)의 외관을 먼지나 쓸림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양단지지대(350)의 측면 또는 하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양단지지대(350)의 외부를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부(450)는, 합성수지 등을 주요부재로 형성된 상단패널(401) 및 하단패널(403)을 포함하는 양단지지대(350)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양단지지대(350)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형성부(450)가 양단지지대(350)의 측단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그 충격을 감쇠하기가 어려워 쉽게 형성부(450)가 파손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490)을 양단지지대(350)의 하부에 설치하면, 외부 충격에 따른 형성부(45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400)에 대한 상세구성 및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살펴보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단지지대(350)의 측단 상, 하부에는 각각 상단끼움부(410)와 체결용 고정모듈(49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끼움부(410) 및 고정모듈(490) 사이에는 양단지지대(350)의 측단 및 하부를 둘러싸는 형성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490)은 끼움홈(491), 고정힌지(492), 삽입핀(493), 탄성부(494), 승강부(495) 및 체결돌기(496)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끼움홈(491)은 양단지지대(350)의 상단패널(401) 하부에 설치된 하단패널(403)의 하부 측단 끼움돌기(403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끼움홈(491)은 끼움돌기(403b)의 상, 하부에 대면하게 배치되어, 끼움돌기(403b)를 가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491)은 끼움돌기(403b)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은 하단패널(403)의 끼움돌기(403b)에 대면하는 접촉면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은 끼움돌기(403b)에 대면하는 접촉면이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은 합성수지의 주부재인 하단패널(403)에 설치될 시, 그 접촉면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금속재 혹은 마그넷(magn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이 하단패널(403)에 보다 확실히 견고하게 고정되려면, 한 쌍의 제1 끼움홈(4912) 및 제2 끼움홈(4914)은 마그넷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끼움홈(4914)은 고정힌지(492)의 하부 제2 삽입홈(4924)을 통과하는 풀림방지나사(미도시)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힌지(492)는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힌지(492)는 상, 하부의 동일선상에 각각 제1 삽입홈(4922) 및 제2 삽입홈(492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힌지(492)는 한 쌍의 끼움홈(491)의 외측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끼움홈(491)과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삽입핀(493)은 고정힌지(492)의 제1 삽입홈(4922)을 통과하여, 제1 끼움홈(4912)과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핀(493)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494)는 삽입핀(493)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94)은 하단부가 고정힌지(492)의 상부에 노출된 삽입핀(493) 상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부(495)는 삽입핀(493)의 외주연에 연결될 수 있되, 탄성부(494)의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부(494)에 의해 상, 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돌기(496)는 양단지지대(350)의 상단패널(401) 측단에 체결되는 형성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496)는 도시된 형성부(450)의 내측에 연결된 체결홈(451)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496)는 승강부(495)의 측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홈(451)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박스 형상인 체결돌기(496)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박스 형상인 체결돌기(496)는 ㄷ자 형상인 체결홈(451)에 끼워진 후, 별도의 끼움 핀(미도시) 및 풀림방지너트를 통해 체결홈(451)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490)은 끼움홈(491), 고정힌지(492), 삽입핀(493), 탄성부(494), 승강부(495) 및 체결돌기(49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핀(493)은 하단부가 고정힌지(492)에 직교 방향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삽입핀(493)의 하단부는 고정힌지(492)의 제1 삽입홈(4922)을 통과하여, 제1 끼움홈(4912)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95)는 삽입핀(493)의 외주연에 연결되되, 탄성부(49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495)는 탄성부(494)에 의해 상, 하 유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495)는 삽입핀(493)과 연결된 상, 하단부에 삽입연결부(4952, 4954)가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승강부(495)의 상단부에 삽입 연결된 삽입연결부(4952)는, 승강부(495)가 상, 하로 이동함에 따라 충격이 전달되므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연결부(4952)의 일 예로써, 우레탄 등과 같이 내충격성이 좋은 합성고무가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95)의 하단부에 삽입 연결된 삽입연결부(4952)는, 탄성부(494)의 상단부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495)가 삽입핀(493) 상에 상, 하 이동할 때에는, 접촉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접촉면에 윤활기능을 갖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승강부(495)는, 삽입핀(493)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핀(493)의 외주연과 연결되는 부위에 볼부싱(미도시, ball bushing)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495)는 볼부싱을 통해, 삽입핀(493)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상, 하 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부(450)는 내부충진부(451), 내부충진부(451)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외부보호부(4515) 및 내부보호부(452)을 포함할 수 있다.
형성부(450)는 내부충진부(451)와 일측의 내부보호부(452) 사이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반사하는 제1 시트지(4535)가 구비되어, 내부충진부(451)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부(45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시트지(4535)와 내부충진부(451) 사이에는 제1 시트지(4535)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잔류열이 내부충진부(45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시트지(454)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부(45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시트지(4535)와 접촉되는 스틸판(20)은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부(4545)와 홈형성부(455)가 교호되도록 단면 요철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구조적으로 강도가 향상되어 화재시 등에 내력벽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돌출형성부(4545)와 내부충진부(451) 사이에는 내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충진부(451)로의 열전 도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부(45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형성부(450)는 스티로폼과 같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충진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충진부(451)의 양면에는 외부보호부(4515)와 내부보호부(452)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충진부(451)와 내부보호부(452) 사이는 제1 시트지(453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보호부(452)는 형성부(450)를 연결하여 고정부재(400)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였을 때, 구조물의 내부로 배치되는 내부보호부(452)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시트지(4535)는 알루미늄으로 된 박판으로서, 내부충진부(451)와 내부보호부(45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시트지(4535)는 화재 등에 발생되는 외부의 열을 반사함으로써, 스티로폼과 같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충진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충진부(451)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시트지(4535)에 의해 내부충진부(451)에 전달되는 열이 차단되므로, 내부충진부(451)가 화재 발생에 의한 열에 의해 녹으면서 외부보호부(4515)과 내부보호부(45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이, 내부충진부(451)가 외부의 열에 의해 외부보호부(4515)과 내부보호부(45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트지(4535)에 배면에는 종이로 이루어 진 별도의 제2 시트지(454)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시트지(454)는 제1 시트지(4535)를 내부보호부(452)과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구비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1 시트지(4535)와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시트지(454)를 제1 시트지(4535)와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구비시키는 이유는 알루미늄재의 제1 시트지(4535)에 의해 화재열이나 태양열 등이 반사될 수 있다 하더라도, 잔류열은 내부충진부(451)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 시트지(4535)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잔류열이 제2 시트지(454)에 의해 차단되면서 충 전재(10)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내부충진부(451)가 열에 의해 녹아내리는 것을 완전하게 근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시트지(4535)와 제2 시트지(454)에 의해 화재 등에 발생되는 열량이 내부충진부(45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충진부(451)가 녹아내리면서 유발될 수 있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충진부(451)의 열변형에 의한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한편, 내부보호부(4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의 길다란 돌출형성부(4545)와 홈형성부(455)가 교호 되도록 단면 요철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다.
이때, 돌출형성부(4545)는 내부충진부(451)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돌출형성부(4545)와 내부충진부(451)의 사이에는 소정의 내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형성부(4545)와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내측 공간(미도시)를 형성하는 이유는 내부보호부(452)과 내부충진부(451)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므로, 화재나 태양열 등에 의한 가열 접촉 면적이 줄어들면서 열전도율도 그만큼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충진부(451)로의 열량전달이 최소화되면, 내부충진부(451)가 외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녹아내리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보호부(452)이 돌출형성부(4545)와 홈형성부(455)가 교호되도록 요철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보호부(452)가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형성부(450)와 비교할 때, 외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현저히 향상되므로, 안전성이 우수한 내력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부(450)는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제1 시트지(4535)에 의해 반사됨과 더불어 제2 시트지(454)에 의해 잔류열이 완전히 차단되면서, 내부충진부(451)가 열에 의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외부보호부(4515)과 내부보호부(452)의 외부로 내부충진부(451)가 용용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도 내부충진부(451)에 불이 붙지 않게 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형성부(450)는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에도 태양열을 제1 시트지(4535)가 차단하기 때 문에,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내부충진부(451)가 녹아내리면서 야기되는 열변형에 의한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시트지(4535)와 제2 시트지(454)는 외부보호부(4515)과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시트지(4535)와 제2 시트지(454)가 외부보호부(4515)과 내부충진부(451) 사이에 구비되면, 충전 재(10)에 전달되는 열을 2중으로 차단하는 결과가 되므로, 전술한 화재의 확산과 열변형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런닝머신

Claims (2)

  1.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제1 벨트부;를 포함하는,런닝머신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벨트부가 회전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어 기립되어 있으며,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벨트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면에 위치하여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벨트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 및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벨트부의 회전 또는 상기 제1 벨트부의 회전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지대;
    상기 하단지지대의 상단에 위치하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은 상기 하단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에 삽입 가능한 너비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의 소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충격흡수부를 고정하는 상단지지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부는,
    별도의 런닝 오일과 오일을 사용한 관리가 불필요한 무오일데크를 적용한 특수 데크판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런닝머신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롤링되는 제2 벨트부, 내측면에 상기 제2 벨트부가 맞닿아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벨트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무한궤도를 이루는 궤도홈이 형성되어 있는 양단지지대, 상기 양단지지대 사이의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제2 벨트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터치 패널 또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스크린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되,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단지지대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스크린부의 상단의 높이로부터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단과 맞닿는 높이까지 형성되는 제2 손잡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두개 층의 패널 중 상단에 형성된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되는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면 또는 하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상기 양단지지대의 외부를 마감 처리하는 형성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하부에 체결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형성부는,
    상기 상단패널의 측단에 체결된 상기 상단끼움부, 상기 양단지지대 하부에 체결된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단끼움부 및 상기 고정모듈 사이에는,
    상기 양단지지대의 측단 및 하부를 둘러싸는 상기 형성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모듈은,
    양단지지대의 상단패널 하부에 설치된 하단패널의 하부 측단 끼움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끼움돌기를 기준으로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이 배치되는 끼움홈;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 하부의 동일선상에 각각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끼움홈의 외측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상기 끼움홈과 체결되는 고정힌지;
    상기 고정힌지의 상기 제1 삽입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끼움홈과 고정 체결되고,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삽입핀;
    하단부가 상기 고정힌지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삽입핀 상에 고정 연결되되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삽입핀의 외주연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 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승강부; 및
    상기 양단지지대의 상기 상단패널 측단에 체결되는 상기 형성부와 연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기의 상, 하부에 대면하게 배치되어, 상기 끼움돌기를 가압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승강부의 측단에 연장 형성되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성부의 내측에 연결된 체결홈과 체결되고,
    상기 체결홈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 형상인 상기 체결돌기에 끼움 체결되는, 런닝머신.
  2. 삭제
KR1020210047444A 2021-04-12 2021-04-12 런닝머신 KR10231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444A KR102313534B1 (ko) 2021-04-12 2021-04-12 런닝머신
KR1020210133643A KR102352551B1 (ko) 2021-04-12 2021-10-08 저소음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444A KR102313534B1 (ko) 2021-04-12 2021-04-12 런닝머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43A Division KR102352551B1 (ko) 2021-04-12 2021-10-08 저소음 런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34B1 true KR102313534B1 (ko) 2021-10-18

Family

ID=782712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444A KR102313534B1 (ko) 2021-04-12 2021-04-12 런닝머신
KR1020210133643A KR102352551B1 (ko) 2021-04-12 2021-10-08 저소음 런닝머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43A KR102352551B1 (ko) 2021-04-12 2021-10-08 저소음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3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820Y1 (ko) * 2002-09-30 2002-12-27 주식회사 모투스 런닝 머신
KR200373307Y1 (ko) * 2004-10-06 2005-01-17 유상필 충격흡수 벨트가 장착된 런닝머신.
KR200428778Y1 (ko) * 2006-07-20 2006-10-16 유알텍(주) 런닝 머신용 진동 흡수장치
KR101221857B1 (ko) * 2012-04-30 2013-01-15 (주)코베스포츠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72B1 (ko) * 2012-01-10 2012-09-13 유은성 계단식 런닝머신
TWI611882B (zh) * 2016-01-26 2018-01-21 施瑞源 限力減震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820Y1 (ko) * 2002-09-30 2002-12-27 주식회사 모투스 런닝 머신
KR200373307Y1 (ko) * 2004-10-06 2005-01-17 유상필 충격흡수 벨트가 장착된 런닝머신.
KR200428778Y1 (ko) * 2006-07-20 2006-10-16 유알텍(주) 런닝 머신용 진동 흡수장치
KR101221857B1 (ko) * 2012-04-30 2013-01-15 (주)코베스포츠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551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507B1 (en) Curtain arrangement for preventing spread of smoke
EP0508698B1 (en) Industrial door having releasible beam
US8496038B2 (en) Sliding door with anti-sway trolley assembly
CA2100844A1 (en) Industrial door having releasable beam and tension bracket retention mechanism
KR102313534B1 (ko) 런닝머신
JPH10235026A (ja) ロ−ラ−コ−スタ−
CN103025990A (zh) 具有内部隔件的可弯曲绝热门板
KR102313535B1 (ko) 계단 이송 시스템
RU2584642C1 (ru) Выдвижная подножка с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м элементом и центр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CN108483176B (zh) 电梯坠落保护自锁装置
KR101253617B1 (ko) 롤 셔터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9108662A (ja) 移動間仕切装置
JP4919719B2 (ja) 対象物設置機構
KR102362952B1 (ko) 주행 속도 표시장치 및 비상 정지 기능을 포함하는 무동력 슬랫 포함 트레드밀
CN114538236B (zh) 一种具备断链保护功能的电梯补偿链
JP2013256808A (ja) 引き戸用手摺、引き戸装置
US5645139A (en) Circulatable ladder
KR200432464Y1 (ko) 오버헤드 댐퍼도어
JP3054072B2 (ja) 移動棚免震装置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CN211056482U (zh) 室内电梯的驱动装置
RU2499974C1 (ru) Дорожный блокиратор
CN207079506U (zh) 一种卷帘式车道栏杆
WO2020089606A2 (en) Elevator systems, elevator drive mechanisms, fire guards, and safet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