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309B1 -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309B1
KR102312309B1 KR1020170084762A KR20170084762A KR102312309B1 KR 102312309 B1 KR102312309 B1 KR 102312309B1 KR 1020170084762 A KR1020170084762 A KR 1020170084762A KR 20170084762 A KR20170084762 A KR 20170084762A KR 102312309 B1 KR102312309 B1 KR 10231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earable device
disposed
ear wearabl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87A (ko
Inventor
이기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09B1/ko
Priority to US16/023,096 priority patent/US10484777B2/en
Priority to CN201810710983.6A priority patent/CN109218878B/zh
Priority to EP18181765.1A priority patent/EP34259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ear wearable device)는, 귓바퀴(pinna)의 홈에 삽입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되면, 고막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스피커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일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된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는 누름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누름 부재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상기 누름 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되는 부분을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가 통과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EAR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도 개발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되고, 외부 전자 장치는 오디오 컨텐츠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컨텐츠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귓바퀴(또는, 이개)(pinna)의 홈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귓바퀴의 모양은 사람마다 다양하므로,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분(예: 윙 팁(wing tip))은 탈착 가능하고 다양한 사이즈로 다수 개 제공될 수 있다. 귓바퀴의 모양에 따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부분(이하, 탈착 부재)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귓바퀴에 흔들림 없이 결합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귓바퀴의 모양에 적합한 탈착 부재를 선택할 때, 여러 개의 탈착 부재들을 일일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하고 착용해 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이즈를 변경하려면, 탈착 부재들을 소지하고 있을 때 가능하다. 또한, 일부 사이즈의 탈착 부재들이 제공되고 있어, 정밀한 탈착 부재에 대한 선택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는 부분을 교체하지 않고도 그 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는 부분을 교체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하게 그 사이즈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ear wearable device)는, 귓바퀴(pinna)의 홈에 삽입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되면, 고막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스피커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일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된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는 누름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누름 부재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상기 누름 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되는 부분을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가 통과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는 부분을 교체하지 않고도 하우징에 배치된 누름 부재를 누른 상태에서 귓바퀴의 홈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부분을 하우징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하우징의 밖으로 빼내는 방식으로 그 사이즈를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는 부분은 다양한 사이즈의 교체 가능한 탈착 부재들로 제공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탈착 부재들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가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 및 9b는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의 이동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 하기 위한 락/언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이동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이동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1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부재 및 하우징 간의 결합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perspective view)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들을 도시한다. 도 2의 2A는 제 1 방향(11)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정면도(front view)이다. 도 2의 2B는 제 2 방향(12)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좌측면도(left view)이다. 도 2의 2C는 제 3 방향(13)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우측면도(right view)이다. 도 2의 2D는 제 4 방향(14)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평면도(top view)이다. 도 2의 2E는 제 5 방향(15)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저면도(bottom view)이다. 도 2의 2F는 제 6 방향(16)으로 바라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배면도(back view)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housing)(110)과, 하우징(11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결합된 이동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 밖으로 돌출된 이동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귓바퀴(pinna)의 홈(예: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를 하우징(110)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하우징(110)의 밖으로 빼내는 방식으로, 하우징(110) 밖으로 돌출된 이동 부재(120) 부분은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될 때,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은 귓바퀴의 홈에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제 2 부분(112)은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의 2B, 2C, 2D 또는 2E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은 제 1 방향(11)으로 볼록한 형상이고, 대체적으로 귓바퀴의 홈의 면을 따르는 곡면(1112, 1113)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제 2 부분(112)은 제 1 부분(111)으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고, 스피커로부터 발생된 소리는 제 2 부분(112)에 형성된 개구(도 2의 2F의 112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제 2 부분(112)에 결합되는 이어 팁(ear tip)(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팁(130)은 중공(도 2의 2F의 1301)을 포함하는 원형의 가요성 부재일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면, 이어 팁(130)은 외이도의 내면과 제 2 부분(112)의 외주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팁(130)은 탈착 가능하고 다양한 사이즈로 다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120)는 일단부(121)에서 타단부(미도시)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은 개구(1114)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120)는 개구(1114)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타단부는 하우징(110) 안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 및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장부(123)는 하우징(110)의 개구(11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개구(111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에 결합된 이동 부재(120)는 하우징(110) 밖으로 볼록한 형태(예: 아크형 또는 곡형(curved))의 돌출부(124)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를 하우징(110)의 개구(1114)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하우징(110)의 밖으로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124)는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돌출부(124)는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귓바퀴의 홈(예: 외이도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귓바퀴의 홈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이도에 바로 연결된 제 1 공간과, 바깥 방향(예: 도 1의 제 6 방향(16))으로 제 1 공간 다음에 배치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2B 및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은 귓바퀴 홈의 제 1 공간에 대응하는 A 면(1115)과, 귓바퀴 홈의 제 2 공간에 대응하는 B 면(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B 면(1116)은 고리 형태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는 외주연(outer circumferen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위치와,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관통되는 하우징(110)의 개구(1114)의 위치는, B 면(1116)의 외주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120)의 돌출부(124)는 대체적으로 귓바퀴 홈의 제 2 공간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제 5 방향(예: 도 1의 15)으로 볼록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124)의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결합될 때, 이동 부재(120)의 돌출부(124)는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10) 및 귓바퀴의 홈 간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에 형성된 홀(1111)에 결합되는 누름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 부재(140)의 일부(1401)는 홀(1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누름 부재(140)의 노출된 일부(1401)에 외력이 가해지면, 누름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의 2B 및 2E를 참조하면, 누름 부재(140)가 설치되는 홀(1111)은 B 면(1116)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제 1 부분(111) 안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누름 부재(14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될 때 누름 부재(140)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누름 부재(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부재(120)의 이동(예: 인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고,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부재(120)의 이동을 방해하는 도시하지 않은 락/언락(lock/unlock)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는 경우, 누름 부재(140) 및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 간의 결합력(또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락/언락 장치는 외력에 의한 이동 부재(120)의 이동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는 경우, 누름 부재(140) 및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 간의 결합력이 없거나 저하되고, 락/언락 장치는 외력에 의한 이동 부재(120)의 이동(예: 인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 및 2에서 도시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오른쪽 귀에 착용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왼쪽 귀에 착용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오른쪽 귀에 착용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는 대칭적인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안테나(311), 통신 회로(310), 입력 장치(320), 센서(330), 오디오 처리 회로(340), 메모리(350), 전력 관리 회로(360), 배터리(370) 및 프로세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또는, 안테나 방사체)(311)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311)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311)는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311)는 무선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방사체(예: 무선 충전 코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311)는 외부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311)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금속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311)는 하우징(예: 도 1 또는 2의 11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의 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예: 도 1 또는 2의 110)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안테나(311)는 하우징(110)의 일부 금속 영역 또는 전체 금속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311)는 통신 회로(310)가 실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PCB(printed circuited board)에 실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외부 장치(예: 스마트 폰)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안테나(311)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안테나(311) 및 프로세서(380) 사이의 다양한 RF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의 수신에서, 통신 회로(310)는 안테나(311)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베이스밴드 신호를 프로세서(38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응하여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인적/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신호의 송신에서, 프로세서(380)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회로(31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 회로(310)는 프로세서(380)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311)를 통해 공중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외부 장치와의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신 회로(310)는 하우징(예: 도 1의 110)의 외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contact)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전자 장치의 장착 부에 장착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컨택은 외부 전자 장치의 장착 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 폰, PC, PDA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컨텐츠)의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외부 장치(예: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32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320)는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또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드가 제공되는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택타일 레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32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온 또는 오프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32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예: 근거리 통신) 연결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320)는 오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컨텐츠)에 연관하는 사용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작, 재생 일시 중지, 재생 중지, 재생 속도 조절, 재생 볼륨 조절 또는 음소거 등의 기능에 연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6 방향(16)으로 향하는 면(1117)을 따라 배치되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면 터치 패드가 설치된 면(1117)은 귀 옆으로 향하고,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착용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패드 상에서의 제스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설치된 면(1117)을 툭툭 두드리거나 위아래로 스와이핑(swiping)하는 등의 다양한 제스처에 의하여,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동작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면(1117)을 통해 한번의 탭(single tap)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또는, 프로세서(38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그 재생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면(1117)을 통해 두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다음 오디오 데이터로 그 재생을 전환할 수 있다. 면(1117)을 통해 세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이전 오디오 데이터로 그 재생을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면(1117)을 통해 위 또는 아래로 스와이핑하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화가 걸려 왔을 때, 면(1117)을 통해 두 번의 탭에 관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센서(330)는 물리량을 측정하거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330)는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330)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의 2C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110)의 B 면(1116)의 광 투과성 영역(150)에 정렬된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예: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는 물체로부터 산란 또는 반사된 하나 이상의 파장 대역의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예: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수광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 스마트 폰)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검출 모드(예: 근접 검출 모드, 생체 검출 모드 등)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심박 검출 모드에서, 외부 장치는 수광부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심박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수광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검출 모드(예: 근접 검출 모드, 생체 검출 모드 등)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80)는 획득한 정보를 통신 회로(31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획득한 정보를 스피커(341)을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33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결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33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예: 충전 장치)에 결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또는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외부 장치(예: 충전 장치)의 센서에 대응하는 피감지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장착 부에 설치된 Hall IC를 포함하고,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의 장착 부에 결합되면, 외부 장치의 Hall IC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인식하고, 외부 장치 및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결합에 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장착 부에 설치된 컨택을 포함하고,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하우징(도 1의 110)에 설치된 컨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의 장착 부에 결합되면, 외부 장치의 컨택 및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컨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결합을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오디오 디코더(미도시) 및 D/A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는 메모리(35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D/A 컨버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디코더는 통신 회로(310)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 폰, PC, PDA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350)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스피커(341)는 D/A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A/D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는 마이크로폰(342) 통해 전달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운용 동작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결합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감지될 때,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해당 효과 또는 안내 음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예: 충전 장치)에 결합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감지될 때,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해당 효과 또는 안내 음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효과음이나 안내 음의 출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 회로(340)는 프로세서(380)에 포함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메모리(35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운영 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50)는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 폰, PC, PDA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로부터 수신한 제 1 오디오 데이터(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 2 오디오 데이터(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360)(예: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 내에서 배터리(370)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처리해야 하는 부하(load)에 맞추어 그에 따른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36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360)는 프로세서(380)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360)는 배터리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결합되는 경우, 전력 관리 회로(36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37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회로(360)는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회로는 안테나(341)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7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또는 외부 장치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은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에 해당하는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예: 스마트 폰, 웹 서버 등)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상태(예: 재생 중, 재생 일시 중지 등)에 따라,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발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광 수단은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 수집 및 출력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입력 장치(32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외부 장치에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그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작, 재생 일시 중지, 재생 중지, 재생 속도 제어, 재생 볼륨 제어, 또는 음소거 등).
프로세서(38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 서버, 스마트 폰, PC, PDA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외부 장치로부터 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또는, 다운로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외부 장치로부터 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또는, 스트리밍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예: 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 또는 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오디오 데이터 재생). 프로세서(380)는 획득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예: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오디오 데이터 재생). 외부 장치는 획득한 오디오 신호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센서(330)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이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80)는 센서(330)로부터 획득한 정보로부터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된 상태임이 확인될 때, 프로세서(380)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에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모리(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341)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재생하여 스피커(341)로 출력하는 모드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임이 확인될 때, 프로세서(380)는 상기 모드를 중지하거나 외부 장치로 이에 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 전송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스피커(341)로 출력하는 모드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임이 확인될 때, 프로세서(380)는 상기 모드를 중지하거나 외부 장치로 이에 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및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된 상태임이 확인될 때, 프로세서(380)는 생체 센서(예: 심박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지 않은 상태임이 확인될 때, 프로세서(380)는 생체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될 때,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마스터 장치가 되고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41)로 출력할 뿐 아니라,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마이크로폰(342)을 이용하여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명령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명령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전송 또는 재생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입력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 요소에서 특정 구성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가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 및 9b는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의 이동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 하기 위한 락/언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외관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물질 또는 다수의 물질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비금속 물질 또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금속, 탄소 섬유 및 다른 섬유 복합체들, 세라믹, 유리, 목재 등의 물질 또는 이 물질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제 1 면(4001), 제 2 면(4002) 및 제 3 면(4003)을 포함하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면(4001) 및 제 2 면(4002)은 하우징(11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면들이고, 제 3 면(4003)은 하우징(110)의 양쪽 사이를 둘러싸는 면일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제 1 면(4001)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410), 제 2 면(4002)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420), 및 제 3 면(4003)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은 제 1 하우징(410) 및 제 2 하우징(42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하우징(410) 및 제 2 하우징(420)은 제 3 하우징(430)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410)의 제 1 면(4001)은 제 1 엣지(4901)를 포함하고, 제 2 하우징(420)의 제 2 면(4002)은 제 2 엣지(49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의 제 3 면(4003)은 제 1 엣지(4901)를 따라 제 1 엣지(4901)에 접하는 제 3 엣지(49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의 제 3 면(4003)은 제 2 엣지(4902)를 따라 제 2 엣지(4902)에 접하는 제 4 엣지(49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410) 및 제 3 하우징(430)이 결합되면, 제 1 면(4001) 및 제 3 면(4003)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420) 및 제 3 하우징(430)이 결합되면 제 2 면(4002) 및 제 3 면(4003)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면(4001) 및 제 3 면(4003) 사이의 제 1 경계(4931)(예: 제 1 엣지(4901) 및 제 3 엣지(4903)의 접합부)와, 제 2 면(4002) 및 제 3 면(4003) 사이의 제 2 경계(4932)(예: 제 2 엣지(1902) 및 제 4 엣지(1904)의 접합부)는 2 차원 또는 3 차원 공간 상에서 폐곡선일 수 있다. 제 3 면(4003)은 제 1 경계(4931) 및 제 2 경계(4932)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 형태의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경계(4931)는 제 1 평면(미도시) 상의 원이고, 제 2 경계(4932)는 제 2 평면(미도시) 상의 원일 수 있고, 제 3 면(4003)은 원형 고리 형태의 면일 수 있다. 제 1 평면은 제 2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제 2 평면과 평행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평면은 제 2 평면과 예각을 이루게 설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경계(4931) 또는 제 2 경계(4932)는 원 이외의 다양한 모양 또는 크기의 단일 폐곡선(simple closed curv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경계(4931) 및 제 2 경계(4932)는 대체적으로 삼각형으로 설계되고, 제 3 면(4003)은 삼각 고리 형태의 면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하우징(410)은 제 1 단부(61)에 형성된 제 1 개구(611) 및 제 2 단부(62)에 형성된 제 2 개구(621)를 포함하는 관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410)은 제 2 개구(621) 쪽으로 내부 공간(63)이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410)은 제 1 단부(61)를 포함하는 1-1 파트(601) 및 제 2 단부(62)를 가지는 1-2 파트(602)를 포함할 수 있다. 1-1 파트(601)는 제 3 하우징(430)에 결합되는 볼록한 커버 형태일 수 있다. 1-2 파트(602)는 1-1 파트(601)로부터 연장된 원통 형태일 수 있다. 1-1 파트(601)의 내부 공간(6011) 및 1-2 파트(602)의 내부 공간(6021)은 연결되어 있고, 제 1 하우징(410)은 이 내부 공간들(6011, 6021)을 포함하는 제 1 내부 공간(63)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410)의 제 1 면(4001)은 1-1 파트(601)에 포함된 제 4 면(4004) 및 1-2 파트(602)에 포함된 제 5 면(4005)으로 구분되고, 제 4 면(4004) 및 제 5 면(4005)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면, 1-1 파트(601)는 귓바퀴의 홈(예: 외이도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되고, 1-2 파트(602)는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다. 제 4 면(4004)의 적어도 일부는 귓바퀴의 홈의 면을 따르는 곡면을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이는 1-1 파트(601) 및 귓바퀴의 홈 간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410)의 제 4 면(4004)의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410)이 귓바퀴의 홈(예: 외이도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될 때,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면(4004)의 적어도 일부는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10) 및 귓바퀴의 홈 간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b 및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안에 배치된 스피커(예: 도 3의 341)로부터 발생된 소리는 제 1 하우징(410)의 제 2 개구(62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예: 도 3의 341)를 포함하는 회로(미도시)는 제 1 내부 공간(6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통신 회로(310), 오디오 처리 회로(340), 전력 관리 회로(360) 등은 PCB에 실장될 수 있다. PCB 및 배터리(예: 도 3의 370) 등은 제 3 하우징(430)의 내부 공간(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1 내부 공간(63)에 배치된 스피커(341)를 포함하는 회로와, 제 3 하우징(430)에 배치된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적 연결 수단(예: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 실시 예에서, 도 5a 및 6을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1 하우징(410)의 제 1 개구(61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410) 및 플레이트(470) 간의 결합에 의해, 독립된 제 1 내부 공간(6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470)는 개구(471)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 수단은 개구(471)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 1 내부 공간(63)에 배치된 스피커(341)를 포함하는 회로는 플레이트(470)의 면(47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택(contact)(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은 제 10 면(40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컨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410) 및 제 3 하우징(430)이 결합되면, 제 1 컨택 및 제 2 컨택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컨택 또는 제 2 컨택은 가요성 도전 부재(flexible conductive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도전 부재는 C 클립(clip), 포고 핀(pogo-pin), 스프링, 도전성 포론 및 러버, 도전성 테이프 또는 쿠퍼(cooper)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2 개구(621)에 배치된 다공성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부재(510)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4, 5a, 5b 및 6을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1-2 파트(602)에 결합되는 이어 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팁(130)은 중공(1301)을 포함하는 원형의 가요성 부재일 수 있다. 1-2 파트(602)의 제 2 단부(62)는 외주를 따라 형성된 홈(도 6의 622)을 포함하고, 이어 팁(130)은 홈(6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면, 이어 팁(130)은 외이도의 내면과 1-2 파트(도 6의 602)의 외주면(도 6의 제 5 면(4005))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도 4, 5a, 5b 및 7을 참조하면, 제 2 면(4002)은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면(4002)은 돔(dome) 형태의 제 7 면(4007)과, 제 7 면(4007)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고리 형태(예: 원형 고리 형태)의 제 6 면(40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420)은 양쪽 면들(예: 제 8 면(4008) 및 제 9 면(4009))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2-1 파트(7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엣지(4902)는 제 6 면(4006) 및 제 9 면(4009)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2-1 파트(701)는 제 6 면(4006) 및 제 8 면(4008) 사이의 경계인 제 5 엣지(49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420)은 2-1 파트(701)에 결합되는 2-2 파트(702)를 포함하고, 2-2 파트(702)는 제 7 면(40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7 면(4007)은 제 6 면(4006)의 제 5 엣지(4905)를 따라 제 5 엣지(4905)에 접하는 제 6 엣지(49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2 파트(702)는 볼록한 커버 형태(예: 아크형 또는 돔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2-1 파트(701)의 제 8 면(4008)은 제 5 엣지(4905) 근처에 2-2 파트(702)의 단부(7021)가 결합되는 설치부(예: 홈)(4008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2 파트(702)의 단부(7021)는 접착 물질 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2-1 파트(701)의 설치부(40081)에 결합될 수 있다. 2-1 파트(701) 및 2-2 파트(702)가 결합되면, 2-1 파트(701) 및 2-2 파트(702) 사이에는 제 2 내부 공간(7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예: 도 1의 320)(예: 터치 패드)는 제 2 내부 공간(7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2 내부 공간(73)에 배치된 입력 장치와, 제 3 하우징(430)에 배치된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적 연결 수단(예: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 실시 예에서, 도 5b 및 6을 참조하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2 하우징(420)은 2-1 파트(701)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 수단은 개구를 관통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5a 및 7을 참조하면, 제 2 내부 공간(73)에 배치된 입력 장치(예: 터치 패드)는 2-1 파트(701)의 제 9 면(4009)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3 컨택(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은 제 11 면(401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4 컨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420) 및 제 3 하우징(430)이 결합되면, 제 3 컨택 및 제 4 컨택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컨택 또는 제 4 컨택은 가요성 도전 부재(예: C 클립, 포고 핀, 스프링, 도전성 포론 및 러버, 도전성 테이프 또는 쿠퍼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 3 하우징(430)은 제 1 하우징(410)이 결합되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0 면(40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은 제 2 하우징(420)이 결합되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1 면(40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410) 및 제 10 면(4010) 사이의 결합, 또는 제 2 하우징(420) 및 제 11 면(4011) 사이의 결합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착 물질, 볼트, 스냅 핏(snap-fits) 등의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하우징(43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제 10 면(4010) 및 제 11 면(4011)은 서로 반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되면, 제 3 하우징(430)은 도시하지 않은 귓바퀴의 홈(예: 외이도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되고, 제 3 하우징(430)의 제 3 면(4003)의 적어도 일부는 귓바퀴의 홈의 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면(4003)의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착용될 때,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면(1003)의 적어도 일부는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10) 및 귓바퀴의 홈 간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 5a, 5b, 8a, 8b, 9a 및 9b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 3 하우징(430)에 결합된 이동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를 제 3 하우징(430)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제 3 하우징(430)의 밖으로 빼내는 방식으로, 제 3 면(4003) 밖으로 돌출된 이동 부재(120)의 돌출부(124)는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는 일단부(121)에서 타단부(122)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은 개구(1114)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개구(1114)를 통하여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타단부(122)는 제 3 하우징(4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 및 타단부(122)를 연결하는 연장부(123)는 제 3 하우징(430)의 개구(11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제 3 하우징(110)의 제 3 면(4003)에 형성된 개구(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개구(520)에 삽입되는 삽입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 및 제 3 하우징(110)의 삽입부(1211)는 핀 접속으로 되어 있는 핀 구조(pin-connected construction)로 설계될 수 있다. 삽입부(1211)는 하나 이상의 핀 홀들(1212, 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삽입부(1211)가 제 3 하우징(110)의 개구(520)에 끼워 맞춰질 때, 제 3 하우징(430)은 삽입부(1211)의 하나 이상의 핀 홀들(1212, 1213)에 정렬되는 핀 홀들(522, 523)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삽입부(1211)가 제 3 하우징(110)의 개구(520)에 끼워 맞춰지고, 핀들(531, 532)이 이동 부재(120)의 핀 홀들(1212, 1213) 및 제 3 하우징(430)의 핀 홀들(522, 523)에 결합되면,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제 3 하우징(4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다양한 다른 수단(예: 접착제, 볼트 체결 등)을 이용하여 제 3 하우징(4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제 3 하우징(110) 밖으로 돌출 가능한 제 1 연장부(541)와, 제 1 연장부(541) 및 타단부(122)를 연결하는 제 2 연장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430)의 개구(1114)는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가 고정되는 위치로부터 제 3 면(4003)의 외주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 1 연장부(541)는 하우징(110) 밖으로 볼록한 형태(예: 아크형 또는 곡형)(예: 도 4의 돌출부(124))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를 제 3 하우징(430)의 개구(1114)를 통하여 제 3 하우징(430)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제 3 하우징(430)의 밖으로 빼낼 수 있고, 제 1 연장부(541) 중 제 3 면(4003) 밖으로 돌출된 부분(예: 도 4의 돌출부(124))은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의 제 1 연장부(541)는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귀에 결합될 때, 제 1 연장부(541) 중 제 3 면(4003) 밖으로 돌출된 부분(예: 도 4의 돌출부(124))은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10) 및 귓바퀴의 홈 간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 8B, 9A 및 9B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3 하우징(430)의 제 3 면(4300)에 형성된 홀(1111)에 결합되는 누름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의 노출된 부분(1401)에 외력이 가해지면, 누름 부재(140)는 홀(1111)에 안내되어 제 3 하우징(430)의 내부 방향으로 병진 운동되고,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3 하우징(430)은 홀(1111)에 연결된 제 4 내부 공간(9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 4 내부 공간(94)은 제 3 하우징(430)의 제 10 면(4010)에서 제 11 면(도 5의 4011)으로 향하는 방향(예: 도 1의 제 6 방향(16))으로 파인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는 제 3 하우징(430)의 홀(111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4-1 파트(141)와, 4-1 파트(141)의 일면(144)으로부터 누름 부재(140)의 누름 방향(900)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4-2 파트(142) 또는 4-3 파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4-2 파트(142) 또는 4-3 파트(143)는 제 4 내부 공간(9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제 3 하우징(430)의 제 4 내부 공간(94)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누름 부재(14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될 때 누름 부재(140)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누름 부재(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는 4-2 파트(142) 또는 4-3 파트(143)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95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4-2 파트(142) 또는 제 3 파트(143)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950)의 일단부(951)는 4-2 파트(142) 및 4-3 파트(143)가 연결되는 4-1 파트(141)의 면(1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950)의 타단부(952)는 상기 면(144)에 마주하는 제 4 내부 공간(94)의 면(9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누름 부재(140)는 제 3 하우징(4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 3 하우징(430)은 제 10 면(4010)에 형성된 홀(820)을 포함하고, 누름 부재(140)는 4-1 파트(141)로부터 돌출되어 홀(820)에 배치되는 돌기(예: 핀(8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820)은 누름 부재(14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너비(821)를 가지는, 폭이 좁고 긴 형태일 수 잇다. 누름 부재(140)는 핀(810) 및 홀(820)로 인하여 제 3 하우징(4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b 및 9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서, 누름 부재(140)의 4-1 파트(141)는 제 4 내부 공간(94)의 일면(942)의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145)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는 누름 부재(140)가 제 3 하우징(4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 3 하우징(430)은 개구(1114)에 연결된 제 5 내부 공간(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0)는 제 5 내부 공간(95)에 안내되어 개구(1114)를 통해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5 내부 공간(또는, 통로)(95)은 제 3 면(4003)의 외주 일부를 따라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5 내부 공간(95)은 제 4 내부 공간(94)과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단부(122)는 제 4 내부 공간(94)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제 5 내부 공간(9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단부(122)가 제 3 하우징(4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20)의 단부(122)는 제 5 내부 공간(95) 및 제 4 내부 공간(94) 사이(93)를 통과할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a, 5b, 9a 및 9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20)의 단부(122)는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941)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의 이동을 방해하는 않은 락/언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120)의 제 2 연장부(542)는 제 3 하우징(430)의 내부로 향하는 제 12 면(4012)과, 제 3 하우징(430)의 외부로 향하는 제 13 면(40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락/언락 장치는 누름 부재(140)에 형성된 관통부(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누름 부재(140)의 관통부(1402)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누름 부재(140)의 관통부(1402)는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에 마주하는 제 14 면(4014)과,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3)에 마주하는 제 15 면(40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9a를 참조하면,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은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에 접촉되고,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은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2) 사이의 마찰력은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를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락/언락 장치는,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 사이의 결합력 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은 기계적 맞물림(교합)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5a, 5b 및 9a를 참조하면, 락/언락 장치는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에 형성된 요철 면(예: 톱니 구조의 면(543))을 포함할 수 있다. 락/언락 장치는 누름 부재(120)의 제 14 면(4014)에 형성된 톱니 구조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톱니 구조의 제 14 면(4014)은 이동 부재(120)의 톱니 구조의 제 12 면(40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4 면(4014) 및 제 12 면(4012)은 기어와 같이 맞물릴 수 있다.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 사이의 체결은, 누름 부재(140) 및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를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하기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9b를 참조하면, 누름 부재(140)가 누름 방향(900)으로 이동되면(예: 푸시 상태), 누름 부재(140)의 제 14 면(4014)은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인 경우, 누름 부재(1400의 제 14 면(4014)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2 면(4012) 사이의 결합력은 저하되므로,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동 부재(120)는 가요성 물질(예: 러버(rubber), 실리콘(silic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제 3 하우징(430)의 안으로 이동되면,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의 일부는 제 3 하우징(430)의 내면을 따르는 곡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인 경우,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은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3)에 접촉될 수 있다.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더라도,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제 3 하우징(4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될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 및 이동 부재(120)의 제 3 면(4013) 사이의 마찰력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의 푸시 상태에서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를 이동시킬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 및 이동 부재(120)의 제 3 면(4013)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설계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이 이동 부재(120)의 제 3 면(4013)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3 하우징(430)은 제 10 면(4010)에 형성된 홀(820)을 포함하고, 누름 부재(140)는 4-1 파트(141)로부터 돌출되어 홀(820)에 배치되는 핀(8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820)은 누름 부재(14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너비(821)를 가질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누름 부재(140)는 핀(810) 및 홀(820)로 인하여 누름 방향(900)으로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 가능하다. 누름 부재(140)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푸시 상태에 있을 때,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은 이동 부재(120)의 제 3 면(4013)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름 부재(140)의 4-2 파트(142) 또는 4-3 파트(143)가 누름 방향(900)으로 이동되어 제 4 내부 공간(94)의 면(941)에 닿도록 설계될 수 있고, 누름 부재(140)는 누름 방향(900)으로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름 부재(140)의 푸시 상태에서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 및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3)이 접촉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 또는 이동 부재(120)의 제 13 면(4013)은 윤활 물질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두 면들(4015, 4013)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 부재(140)의 제 15 면(4015) 또는 제 13 면(4013)을 요철 형태로 설계되어, 두 면들(4015, 4013) 간의 마찰 면적을 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락/언락 장치는 다양한 다른 요소들로 설계되어, 누름 부재(140)의 푸시 상태에서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의 이동(예: 인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고, 누름 부재(140)의 언푸시 상태에서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하우징(1030)과, 하우징(10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30)에 결합된 이동 부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30)은 도 5a 및 5b의 제 3 하우징(430)과 같이 대체적으로 고리 형태의 제 3 면(4003)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하우징(1030)에 결합되는 다른 하우징(예: 도 5a의 제 1 하우징(410) 또는 제 2 하우징(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도 3의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1030)은 개구(1034)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1020)는 개구(1034)를 통하여 하우징(10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020)의 일단부(1021) 및 타단부(1022)를 연결하는 연장부(1023)는 하우징(1030)의 개구(1034)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이동 부재(1020)의 타단부(1022)는 하우징(1030)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020)의 일단부(1021)는 개구(103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하우징(1030)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30)에 결합된 이동 부재(1020)는 하우징(1030) 밖으로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1024)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를 하우징(1030)의 개구(1034)를 통하여 하우징(1030)의 안으로 넣거나 또는 하우징(1030)의 밖으로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출부(1024)는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30)은 개구(1034)에 연결된 제 6 내부 공간(109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020)는 제 6 내부 공간(1096)에 안내되어 개구(1034)를 통해 하우징(10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30)은 제 6 내부 공간(1096)과 연결된 제 7 내부 공간(109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020)의 단부(1022)는 제 7 내부 공간(1097)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020)는 도 5a 및 5b의 이동 부재(1020)에서 톱니 구조의 면(543)을 포함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30)은 볼트 체결용 나사산(1032)을 가지는 홀(1031)을 포함할 수 있다. 홀(1031)은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이 배치된 공간(예: 제 6 내부 공간(1096))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하우징(1030)의 홀(1031)에 체결 가능한 볼트(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040)는 나사를 낸 둥근 봉(또는, 샤프트(shaft))(1042)과, 봉(1042)에 연결된 머리부(head)(10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트(1040)를 홀(1031)에 체결하여 전진시키면, 볼트(1040)의 단부(1043)는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를 가압할 수 있다.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는 그 두께보다 작은 폭(예: 볼트(1040)의 단부(1043) 및 하우징(1030)의 내벽(1098) 간의 폭)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그 이동은 자유롭지 않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볼트(1040)의 단부(1043) 및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볼트(1040)의 단부(1043)는 뾰족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1040)를 후퇴시키면, 볼트(1040)의 단부(1043)는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를 가압하지 않고, 이동 부재(1020)의 연장부(1023)는 하우징(103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30)의 홀(1031)은 볼트(1040)의 머리부(1041)가 수용되는 공간(1031)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1040)를 홀에 체결하여 전진시키면, 볼트(1040)의 머리부(1041)는 홀(1031)의 공간(1031)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1031)에 수용된 머리부(1041)의 노출면은 하우징(1030)의 외면과 매끄럽게 연결되고,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볼트(1040)의 머리부(1041)는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루드라이버(screwdriver) 또는 손톱 등을 이 홈에 끼워 회전시키면, 볼트(1040)는 회전되어 홀(1031)에서 전진되거나 또는 후퇴될 수 있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이동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우징에 이동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1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부재 및 하우징 간의 결합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는 하우징(1130)과, 하우징(1130)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30)에 결합된 이동 부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30)은 도 5a 및 5b의 제 3 하우징(430)과 같이 대체적으로 고리 형태의 외주면(또는 외주연)(11003)(예: 도 5a 및 5b의 제 3 면(4003))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는 하우징(1130)에 결합되는 다른 하우징(예: 도 5a의 제 1 하우징(410) 또는 제 2 하우징(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30)은 외주면(11003)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4 개구(1134) 및 제 5 개구(1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30)은 제 4 개구(1134) 및 제 5 개구(1135)를 연결하는 통로(또는, 내부 공간)(1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120)는 일단부(112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123)를 포함하고, 연장부(1123)는 하우징(1130)의 통로(1136)를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의 일단부(1121)는 제 4 개구(113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하우징(1130)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30)에 결합된 이동 부재(1120)는 제 4 개구(1134) 밖으로 볼록한 형태의 a 부분(또는, 돌출부)(1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의 일단부(1121)는 도 8a에서와 같이 하우징(1130)에 형성된 개구(예: 도 8a의 520)에 결합될 수 있다. a 부분(1124)은 하우징(1130)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귓바퀴의 홈(예: 외이도에 연결된 공간)에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20)의 연장부(1123)는 통로(1136)에 배치되는 b 부분(1126)과, 제 5 개구(1135) 밖에 위치하는 c 부분(1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로(1136) 및 b 부분(1126)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동 부재(1120)의 연장부(1123)가 통로(1136) 상에서 미끄럼 이동되고, a 부분(1124)(또는 c 부분(1125))의 사이즈는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는 가요성 물질(예: 러버,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가 귓바퀴의 홈에 결합될 때 이동 부재(1120)의 a 부분(1124)이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동 부재(1120)의 a 부분(1124)은 사이즈 조절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20)의 a 부분(1124)이 귓바퀴의 홈의 내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때, 통로(1136) 및 b 부분(1126) 사이의 마찰력은 이동 부재(1120)의 연장부(1123)가 통로(1136)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20)의 b 부분(1126) 및 하우징(1130)의 통로(1136) 사이의 마찰력은, 이동 부재(1120)의 연장부(1123) 또는 하우징(1130)의 통로(1136)를 형성하는 물질 또는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의 b 부분(1126)은 통로(1136)의 폭보다 큰 두께이고, 통로(1136)에 탄력적으로 끼워 맞춰 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의 b 부분(1126)의 외면 또는 통로(1136)의 내면은 거친 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120)의 b 부분(1126)의 외면은 통로(1136)의 내면과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11c를 참조하면, 하우징(1130c)은 파인 형태의 홈(1134c)을 포함하고, 이동 부재(예: 도 11a의 1120)의 연장부(1123c)가 이 홈(1134c)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요성 이동 부재의 연장부(1123c)는 하우징(1130c)에 형성된 홈(1134c)에 탄력적으로 끼워 맞춰 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홈(1134c)의 출입구의 너비(1134d)는 가요성 이동 부재의 연장부(1123c)의 두께보다 작은 너비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홈(1134c)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는 오른쪽 귀에 착용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왼쪽 귀에 착용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4)는 하우징(1130b)과, 하우징(1130b)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30b)에 결합된 이동 부재(1120b)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왼쪽 귀에 착용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와는 대칭적인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 또는 4)는 도 3의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4)의 이동 부재(1220) 및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의 이동 부재(1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4)의 이동 부재(1120b)는 하우징(1130b)에 고정되는 일단부(1121b)와, 일단부(1121b)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23b)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의 연장부(1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3, 4)은 연결 선(1127)(예: 연장부들(1123, 112b))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실시 예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3, 4) 모두를 소지하기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3, 4)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착용될 때,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3, 4) 사이의 연결 선(1127)은 늘어뜨려져 사용자의 목의 뒷부분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선(1127)은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3, 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연결 선(1127)의 일단부(예: 도 11b의 1121)는 하나의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에 실장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선(1127)의 타단부(예: 도 11b의 1121b)는 다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4)에 실장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선(1127)은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경로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메모리(예: 도 3의 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예: 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 또는 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예: 도 3의 341)를 통하여 출력하고,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예: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선(1127)를 통하여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메모리(예: 도 3의 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예: 비휘발성 오디오 데이터 또는 휘발성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예: 도 3의 341)를 통하여 출력하고, 오디오 데이터(예: 오디오 신호)를 연결 선(1127)를 통하여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 장치(예: 스마트 폰)로부터 오디오 신호(예: 외부 장치가 재생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 선(1127)를 통하여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선(1127)은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이동시키는 경로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포함하나,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연결 선(1127)을 통하여 제 2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각각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배터리 잔량이 불균형 상태에 있을 때,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간의 전력 교환이 연결 선(1127)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배터리 잔량이 균형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신호가 연결 선(1127)를 통하여 두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간에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ear wearable device)(도 1의 1)는, 귓바퀴(pinna)의 홈에 삽입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도 1의 110)과,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되면, 고막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스피커(도 3의 341)와,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도 1의 1111)에 결합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일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동된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는 누름 부재(도 1의 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안에 배치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누름 부재(140)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상기 누름 부재(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도 8b의 코일 스프링(950)), 및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개구(1114)를 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되는 부분(124)을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1114)를 통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도 1의 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120)의 돌출되는 부분(124)은,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귓바퀴의 홈에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부재(120)는 제 1 단부(121)에서 제 2 단부(122)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가요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121)는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122)는 상기 하우징(11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121) 및 제 2 단부(122)를 연결하는 연장부(123)는 상기 개구(11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는 상기 개구(1114)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 부재(140)는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통과되는 관통부(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관통부(1402)의 일면(도 9a의 제 14 면(4014))은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 부재(120)의 인입 또는 인출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40)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관통부(1402)의 일면(4014)은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1402)의 일면(4014)에 형성된 톱니 구조의 제 1 면과,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에 형성된 톱니 구조의 제 2 면(도 9a의 5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40)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은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개구(1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배치되는 제 1 공간(도 9a의 제 5 내부 공간(95))과, 상기 이동 부재(120)의 제 2 단부(122)가 배치되는 제 2 공간(도 9a의 제 4 내부 공간(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122)는, 상기 제 1 공간(95)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스피커(도 3의 41)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제 2 개구(도 2의 1121)를 포함하는 제 1 면(도 4의 4001)과, 상기 제 1 면(4001)의 반대 편에 배치되는 제 2 면(도 4의 4002)과, 상기 제 1 면(4001) 및 제 2 면(4002)을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제 3 면(도 4의 40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개구(1114)는 상기 제 3 면(4003)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120)의 일단부(121)는 상기 제 3 면(400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 부재(140)를 위한 상기 홀(도 4의 1114)은 상기 제 3 면(400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부(121)는 상기 제 3 면(4003)에 배치된 제 3 개구(도 9a의 520)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부(121)는 핀 접속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개구(1114)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120)의 연장부(123)가 배치되는 공간(도 9a의 제 5 내부 공간(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95)은 상기 제 3 면(4003)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 1 면(4001)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도 5a 및 5b의 410)과, 상기 제 2 면(4002)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도 5a 및 5b의 420)과, 상기 제 3 면(4003)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도 5a 및 5b의 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 부재(140), 이동 부재(120) 및 탄성 부재(950)는 상기 제 3 하우징(43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341)는 상기 제 1 하우징(410) 안(도 6의 제 1 내부 공간(6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상기 제 2 면(4002)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 안(도 7의 제 2 내부 공간(73))에 배치된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상기 제 3 면(4003)에 형성된 광 투과성 영역(도 2의 150)에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110) 안에 배치된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센서는 심박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 부재(140)는 상기 홀(111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분(도 9a의 제 1 파트(141))과, 상기 제 1 부분(141)으로부터 상기 누름 부재(140)의 이동 방향(900)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부분(도 9a의 제 2 파트(142) 또는 제 3 파트(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부분(142 또는 143)에 관통된 코일 스프링(9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도 8b의 제 3 하우징(430))은, 폭이 좁고 상기 누름 부재(140)의 이동 방향으로 긴 형태의 제 2 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140)는, 상기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홀(820)에 배치되는 돌기(8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상기 하우징(110) 안에 배치된 배터리(도 3의 370)와, 상기 하우징(110) 안에 배치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도 3의 350), 및 상기 하우징(110) 안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341), 상기 배터리(370) 및 상기 메모리(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도 3의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50)는, 실행시에, 상기 프로세서(380)가, 상기 메모리(3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341)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상기 하우징(110) 안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통신 회로(도 3의 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50)는, 실행시에, 상기 프로세서(380)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38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410: 제 1 하우징
420: 제 2 하우징 430: 제 3 하우징
120: 이동 부재 130: 이어 팁

Claims (20)

  1.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ear wearable device)에 있어서,
    귓바퀴(pinna)의 홈에 삽입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되면, 고막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외부로 일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일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된 푸시 상태(pushed state)에 있는 누름 부재;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누름 부재를 언푸시 상태(un-pushed state)로 되돌리도록 상기 누름 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돌출되는 부분을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가 통과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귓바퀴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귓바퀴의 홈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가요성 부재이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안 또는 밖으로 이동 가능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관통부의 일면은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을 방해하며,
    상기 누름 부재가 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관통부의 일면은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일면에 형성된 톱니 구조의 제 1 면과,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에 형성된 톱니 구조의 제 2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가 언푸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은 서로 맞물려 있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가 배치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이동 부재의 제 2 단부가 배치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1 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제 2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의 반대 편에 배치되는 제 2 면과,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을 연결하는 고리 형태의 제 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개구는 상기 제 3 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 3 면에 연결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를 위한 상기 홀은,
    상기 제 3 면에 배치된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3 면에 배치된 제 3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연장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 3 면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형태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면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면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3 면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 이동 부재 및 탄성 부재는,
    상기 제 3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 1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에 형성된 광 투과성 영역에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광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심박 센서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부분에 관통된 코일 스프링인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폭이 좁고 상기 누름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긴 형태의 제 2 홀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홀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70084762A 2017-07-04 2017-07-04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31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62A KR102312309B1 (ko) 2017-07-04 2017-07-04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6/023,096 US10484777B2 (en) 2017-07-04 2018-06-29 Ear wearable device
CN201810710983.6A CN109218878B (zh) 2017-07-04 2018-07-02 耳朵可穿戴设备
EP18181765.1A EP3425924B1 (en) 2017-07-04 2018-07-04 Ea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62A KR102312309B1 (ko) 2017-07-04 2017-07-04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87A KR20190004487A (ko) 2019-01-14
KR102312309B1 true KR102312309B1 (ko) 2021-10-13

Family

ID=6291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62A KR102312309B1 (ko) 2017-07-04 2017-07-04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84777B2 (ko)
EP (1) EP3425924B1 (ko)
KR (1) KR102312309B1 (ko)
CN (1) CN109218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06536S (ko) * 2017-06-30 2018-06-11
US10674244B2 (en) * 2018-02-21 2020-06-02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90727S1 (en) * 2018-05-08 2020-07-2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bud
USD887394S1 (en) * 2018-07-10 2020-06-16 Dongguan UiiSii Electronics Co., Ltd Earphone
USD912011S1 (en) * 2018-10-31 2021-03-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luetooth earphone
USD904352S1 (en) * 2018-11-30 2020-12-08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bud
US11950039B2 (en) 2019-02-13 2024-04-02 Yukka Magic Llc Ringed-shaped biometric earpiece
JP1644515S (ko) * 2019-04-25 2019-10-28
JP1644595S (ko) * 2019-04-25 2019-10-28
JP1644596S (ko) * 2019-04-25 2019-10-28
USD904349S1 (en) * 2019-07-29 2020-12-08 Logitech Europe S.A. Wireless earphone with fin
USD917426S1 (en) * 2019-09-12 2021-04-27 Shenzhen Ginto E-commerce Co., Limited Wireless earphone
USD906298S1 (en) * 2019-09-16 2020-12-29 Baoqing Wang Earphone
USD909346S1 (en) * 2019-09-16 2021-02-02 Baoqing Wang Earphone
USD925492S1 (en) * 2019-09-27 2021-07-20 Yamaha Corporation Earphone
USD940108S1 (en) * 2019-12-11 2022-01-04 Jicheng Wu Earphones
USD930618S1 (en) * 2019-12-31 2021-09-1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948481S1 (en) * 2020-01-03 2022-04-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926161S1 (en) * 2020-09-28 2021-07-27 Xinying Chen Wireless earphone
USD976870S1 (en) * 2020-10-13 2023-01-3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973037S1 (en) * 2021-01-12 2022-12-20 Target Brands, Inc. Earphone
USD1014469S1 (en) * 2021-07-19 2024-02-13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Earbud
CN114245263B (zh) * 2022-02-26 2022-05-03 深圳市乔威电源有限公司 一种贴合式蓝牙耳机装置
USD1003870S1 (en) * 2022-03-16 2023-11-07 Shanxi Jonter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Set of earphones and charging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274A1 (en) * 2005-04-02 2006-10-12 Simlab Invention & Consultancy Private Limited A headset with a windable microphone boom
US20160249133A1 (en) * 2013-10-07 2016-08-25 Gn Netcom A/S Earphone device with optica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377A (ja) * 2000-09-28 2002-04-12 Aiwa Co Ltd ヘッドホン
DK174403B1 (da) * 2001-01-04 2003-02-10 Gn Netcom As Ørering til hovedsæt
US6934567B2 (en) * 2002-08-14 2005-08-23 Addax Sound Company Personal wearable communication and speaker system
EP1429580B1 (en) 2002-12-13 2006-05-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amping device for a headset
US7155265B2 (en) * 2003-09-24 2006-12-26 Medhin Michael S Retractable telephone holding unit
CN2733793Y (zh) * 2004-08-18 2005-10-12 美律实业股份有限公司 可调式无线耳机
US7720244B2 (en) 2005-03-16 2010-05-18 Widex A/S Earpiece for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JP4158117B2 (ja) * 2005-03-28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4900138B2 (ja) * 2007-08-24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ースピーカ装置
ATE554517T1 (de) * 2007-01-06 2012-05-15 Apple Inc Headsetanschluss zur selektiven leitung von signalen je nach der bestimmten ausrichtung des angeschlossenen steckverbinders
US20080298625A1 (en) * 2007-06-02 2008-12-04 Allen Lamont Prince Earphone Earhook Stabilizer
US8428289B2 (en) * 2007-06-13 2013-04-23 Innovelis, Inc. Headphone adap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US20090110227A1 (en) * 2007-10-31 2009-04-30 Allen Lamont Prince Earphone earbud stabilizer
US20170041720A1 (en) 2009-03-30 2017-02-09 J. Craig Oxfor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timulation of the limbic auditory response
GB0922610D0 (en) 2009-12-23 2010-02-10 B & W Group Ltd Earphone
US20120237068A1 (en) * 2011-03-18 2012-09-20 Intricon Corporation Soft Concha Ring Behind-The-Ear Hearing Aid
WO2014051416A1 (en) 2012-09-28 2014-04-03 Balda Solutions Malaysia Sdn. Bhd. An earpiece with adjustable support loop
WO2014061646A1 (ja) * 2012-10-15 2014-04-24 京セラ株式会社 イヤホン
US9398365B2 (en) * 2013-03-22 2016-07-19 Otter Products, Llc Earphone assembly
US9264792B2 (en) * 2013-09-06 2016-02-16 Plantronics, Inc. Ear tip with stabilizer
US9524731B2 (en) 2014-04-08 2016-12-20 Doppler Labs, Inc. Active acoustic filter with location-based filter characteristics
US10057675B2 (en) 2015-07-29 2018-08-21 Bose Corporation Integration of sensors into earphones
US20170048614A1 (en) 2015-08-13 2017-02-16 Garth W. Gobeli Corrections for Transducer Deficiencies
US9571914B1 (en) 2015-08-20 2017-02-14 Redesign Studio, Llc Earbud headphones that convert into an accessory
US9497530B1 (en) 2015-08-31 2016-11-15 Nura Holdings Pty Ltd Personalization of auditory stimulus
CN106412741B (zh) * 2016-09-19 2022-11-15 歌尔科技有限公司 可以自动适应人耳角度的头戴装置及一种头戴耳机
US10511901B2 (en) * 2017-04-06 2019-12-17 Bose Corporation Adaptable ear tip for headpho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7274A1 (en) * 2005-04-02 2006-10-12 Simlab Invention & Consultancy Private Limited A headset with a windable microphone boom
US20160249133A1 (en) * 2013-10-07 2016-08-25 Gn Netcom A/S Earphone device with optica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5924B1 (en) 2020-03-25
US10484777B2 (en) 2019-11-19
US20190014403A1 (en) 2019-01-10
EP3425924A1 (en) 2019-01-09
KR20190004487A (ko) 2019-01-14
CN109218878B (zh) 2021-11-05
CN109218878A (zh)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309B1 (ko) 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1425484B2 (en) Ear wearable device
EP2693308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132733A1 (en)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60007151A1 (en)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KR100686563B1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KR101128392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정보 입력 방식과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식간의 자동 전환이 가능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200082447A (ko)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구비된 펜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17206B2 (en) Electronic device,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9538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input path
KR20200054033A (ko) 팝업 회전 카메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9084A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90133961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6144291U (zh) 用于确定相对位置的传感器装置以及包括其的电子装置
US20150163393A1 (en) Remote control built-in device case for electronic device
KR102631112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20110234547A1 (en) Stylus
US8405643B2 (en) Stylus
US20150256932A1 (en) Microphone
US20140018127A1 (en) Method and appendage for retrofitting a mobile phone to use same for navigating a computer environment
US20110316781A1 (en) Multi-functional mouse
WO2017035794A1 (zh)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CN106325542A (zh) 一种具备投影键盘功能的鼠标及其实现方法
KR101160942B1 (ko) 복합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90114630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