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413B1 -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413B1
KR102311413B1 KR1020210002147A KR20210002147A KR102311413B1 KR 102311413 B1 KR102311413 B1 KR 102311413B1 KR 1020210002147 A KR1020210002147 A KR 1020210002147A KR 20210002147 A KR20210002147 A KR 20210002147A KR 102311413 B1 KR102311413 B1 KR 10231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motor
inner sp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일
김부웅
Original Assignee
김하일
김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일, 김부웅 filed Critical 김하일
Priority to KR102021000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의 기둥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책상 및 테이블 상에 배치가능하며, 외부공간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외부공간과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방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 및 음량을 감지하는 음성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멀어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고, 상기 음성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량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올려놓아 상방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배출에 방해받지 않고 쌍방의 대화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 AIR CURTAIN APPARATUS FOR BLOCKING SPLASH }
본 발명은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표소나 상담창구와 같이 2명 이상이 서로 마주보며 대화가 필요한 곳에는 투명한 아크릴로 형성된 가림막을 배치시키며, 서로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꾀하고 있다. 또한, 가림막을 통해 외부의 먼지나 가스 및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도 하며, 상호 대화하는 상담자와 피상담자 간의 비말의 전달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림막은 하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서류나 물건 등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그러나, 쌍방이 대화를 하더라도 상기 가림막에 의해 소리가 상당부분 차단되므로, 상기 가림막을 사이에 둔 쌍방은 상기 개구부를 향해 고개를 숙이고 서로 소리를 높이거나 재차 되묻는 경우가 많아 대화에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이에 상기 가림막의 일부에 복수 개의 구멍을 뚫어 소리의 전달을 더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소리가 명확히 전달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담자측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피상담자측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소리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였으나, 이는 소리의 일방향으로의 전달만 용이할 뿐 상담자가 피상담자의 말을 전해 듣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공기의 막을 형성함으로써 쌍방간의 외부의 먼지나 해충이 실내공간으로 진입이 차단되는 에어커튼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1719호(2020.08.28.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은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 차량의 실내와 실외의 에너지 이동을 막아 차량 내부의 공조 가동 시 승객의 승하차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를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적용하는 경우 상담자와 피상담자의 안면으로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쌍방의 대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는 차량 특히 버스의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므로, 승객의 키보다 더 큰 높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압이 상당하며, 이를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적용하는 경우 공기압에 의해 쌍방의 대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또한, 특허문헌 1의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는 버스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에 따라 작동되므로, 이를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적용하는 경우 상담자와 피상담자자 상담창구 또는 상담 테이블에 앉았을 때 어느 누군가가 에어커튼 장치를 직접 온(On) 또는 오프(Off)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171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올려놓아 상방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군가에 의해 장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조작되지 않고, 상담자와 피상담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조작이 가능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과 음량을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배출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는, 기둥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의 기둥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책상 및 테이블 상에 배치가능하며, 외부공간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외부공간과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방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 및 음량을 감지하는 음성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멀어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고, 상기 음성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량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도록 대응되고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케이스; 및 상기 모터가 수용되도록 대응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모터와 연동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살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지지링;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지지링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한 쌍이 마련되는 경우, 각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은 수렴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일치하도록 상호 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의하면, 상담자와 피상담자 사이의 테이블에 올려놓아 상방으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공기의 배출에 방해받지 않고 쌍방의 대화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의하면, 상담자와 피상담자의 동작 및 위치를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음성과 음량을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배출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담자와 피상담자가 에어커튼 장치의 조작에 신경쓰지 않고 쌍방의 대화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필터가 추가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내부구성인 임펠러와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임펠러의 지지살과 지지링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임펠러의 날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와 다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의 결합수단 중 후크와 후크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와 다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의 결합수단 중 걸고리와 걸이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필터가 추가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내부구성인 임펠러와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임펠러의 지지살과 지지링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임펠러의 날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과 다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의 결합수단 중 후크와 후크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비말차단용 에어커튼과 다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의 결합수단 중 걸고리와 걸이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는 케이스(100)와, 동작감지센서(200), 음성감지센서(300), 모터(400), 임펠러(5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기둥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막을 형성하여 사용자와 마주하는 상대방 사이의 공기유동을 차단하는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구(111)가 형성된 제1케이스(110)의 일면이 라운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케이스(110)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내부공간에 후술하는 임펠러(50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케이스(110)의 내부공간과 임펠러(500)의 크기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10)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케이스(110)는 커버(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a)는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케이스(110)로부터 분리 또는 제1케이스(110)와 결합이 가능하다.
커버(110a)의 내측에는 필터(110b)가 마련될 수 있고, 필터(110b)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필터(110b)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다양한 기능의 필터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10b)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필터일 수 있다.
제2케이스(120)는 내부공간에 후술하는 모터(40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2케이스(120)의 내부공간과 모터(400)의 크기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1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결합수단 및 분리수단으로 다양한 구성, 방법 및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이드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130)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130)은 임펠러(5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이동을 배출구(112)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는 한 쌍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즉, 케이스(100)의 후면은 바닥으로부터 수직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한 케이스(100)와 다른 케이스(100´)는 상기 후면을 서로 맞대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는 다른 제2케이스(미도시) 및 제1케이스(110´)와 접면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는 상기 어느 한 케이스(110)와 상기 다른 케이스(110´)가 결합함으로써 배출구(112, 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두텁게 하여 서로 마주앉은 사용자들의 비말 차단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케이스(100)와 상기 다른 케이스(100´)는 외력에 의해 배치된 위치에서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결합수단(600, 6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은 수렴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일치하도록 결합수단(600, 6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600, 600´)은 후크(610, 610´)와 후크홈(62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한 케이스(100)의 후면에는 후크(610)와 후크홈(620)이 마련되고, 상기 다른 케이스(600´)의 후면에는 후크(610)와 후크홈(620)에 각가 대응되는 후크홈(620´)과 후크(61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케이스(100)와 상기 다른 케이스(100´)의 후면을 접면시키고, 후크(610)를 후크홈(620´)에 삽입시키며 후크홈(620)에 후크(610´)을 삽입시킨 후, 상기 어느 한 케이스(600)와 상기 다른 케이스(1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결합수단(600, 600´)으로 걸고리(630)와 걸이대(640)를 구비할 수 있다. 어느 한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회전가능한 걸고리(630)가 마련되고, 다른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걸고리(630)에 대응하는 걸이대(64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되는 걸고리(630)가 걸이대(640)에 걸리면 상기 어느 한 케이스(100)와 다른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결합을 해제하려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2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200)는 케이스(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동작감지센서(200)는 케이스(100)에 수용되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동작감지센서(200)는 적외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감지센서(300)는 사용자의 음성과 음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음성감지센서(300)는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음성감지센서(300)는 케이스(100)에 수용되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과 음량을 감지할 수 있다.
모터(400)는 케이스(100) 즉, 제2케이스(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400)는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모터(400)가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편의상 생략한 것일 뿐으로 모터(40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모터(400)는 후술하는 임펠러(500)와 동축(同軸)으로 구동될 수 있다.
임펠러(500)는 케이스(100) 즉, 제1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500)는 모터(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다. 임펠러(500)가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해 제1케이스(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유입구(111)가 사용자를 향해 배치된 경우, 사용자 쪽에 위치하는 공기는 임펠러(500)의 회전에 따라 제1케이스(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배출구(112)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12)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사이에 두고 자리잡은 제1사용자측과 제2사용자측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임펠러(500)는 회전축(510)과 지지살(520), 지지링(530) 및 날개(5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510)은 모터(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축(510)은 모터(400)와 연동되고, 모터(400)의 회전축과 동축(同軸)일 수 있다.
지지살(520)은 막대형상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살(520)은 각각의 일단이 회전축(510)에 연결되고, 회전축(5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링(530)은 복수 개의 지지살(520) 타단을 연결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지지살(5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복수 개의 지지살(5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링(530)은 회전축(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날개(540)는 서로 인접한 지지링(5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날개는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동작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멀어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모터(400)에 전기적으로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성감지센서(30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량에 비례하여 모터(400)의 회전력이 변화하도록 모터(400)에 전기적으로 명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는 사용자가 접근하면 동작감지센서(20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모터(400)에 전기적으로 신호를 보내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멀어지면 이와 반대로 작동을 멈추도록 모터(400)를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호 대화하는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음성감지센서(300)는 사용자의 음성과 음량을 감지하며, 이때 사용자의 음량이 점점 커져 미리 정해진 값을 넘어서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400)에 더 빠른 회전을 전기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음량이 점점 작아질수록 상기 제어부는 모터(400)에 회전을 줄이도록 전기적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량이 커지면 그에 따라 비말의 확산이 더 강화될 것으로 미리 계산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와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차단력을 강화하고자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100´ : 케이스 110, 110´ : 제1케이스
110a : 커버 110b : 필터
111, 111´ : 유입구 112, 112´ : 배출구
120 : 제2케이스 130 : 가이드판
200 : 동작감지센서 300 : 음성감지센서
400 : 모터 500 : 임펠러
510 : 회전축 520 : 지지살
530 : 지지링 540 : 날개
600, 600´ : 결합수단 610, 610´ : 후크
620, 620´ : 후크홈 630 : 걸고리
640 : 걸이대

Claims (6)

  1. 기둥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의 기둥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책상 및 테이블 상에 배치가능하며, 외부공간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외부공간과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방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 및 음량을 감지하는 음성감지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모터와 연동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지지살, 상기 복수 개의 지지살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지지링,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지지링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멀어짐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고, 상기 음성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량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변화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명령하는 제어부; 및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도록 대응되고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모터가 수용되도록 대응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분리 또는 결합가능하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한 쌍이 마련되는 경우, 각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은 수렴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은 일치하도록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와 후크홈,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걸고리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걸이대를 포함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02147A 2021-01-07 2021-01-07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KR10231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47A KR102311413B1 (ko) 2021-01-07 2021-01-07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47A KR102311413B1 (ko) 2021-01-07 2021-01-07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413B1 true KR102311413B1 (ko) 2021-10-12

Family

ID=7807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47A KR102311413B1 (ko) 2021-01-07 2021-01-07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0459A1 (en) * 2020-10-21 2022-04-21 Paul Bemis Tabletop bio-safty air curtain
KR20230147843A (ko) 2022-04-15 2023-10-24 아이투엠 주식회사 비말차단장치
KR20240026570A (ko) 2022-08-22 2024-02-29 아이투엠 주식회사 저소음 비말차단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9146A (ja) * 1989-05-25 1990-1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換気装置
JP2002213767A (ja) * 2001-01-19 2002-07-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20082065A (ko) * 2001-04-23 2002-10-30 주식회사 에이스랩 카지노 테이블 게임기의 공기정화장치
KR20110132176A (ko) * 2010-06-01 2011-12-07 차흥식 에어커튼장치
CN207438818U (zh) * 2017-11-19 2018-06-01 济源维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会议室的智能调节空调
KR20200101719A (ko) 2019-02-20 2020-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US20210025605A1 (en) * 2020-08-25 2021-01-28 Cambridge Technology Development, Inc. Pandemic tabletop system and methods for preventing pathogen transmission
JP3230876U (ja) * 2020-12-16 2021-02-25 チコー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飛沫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9146A (ja) * 1989-05-25 1990-1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換気装置
JP2002213767A (ja) * 2001-01-19 2002-07-3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020082065A (ko) * 2001-04-23 2002-10-30 주식회사 에이스랩 카지노 테이블 게임기의 공기정화장치
KR20110132176A (ko) * 2010-06-01 2011-12-07 차흥식 에어커튼장치
CN207438818U (zh) * 2017-11-19 2018-06-01 济源维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会议室的智能调节空调
KR20200101719A (ko) 2019-02-20 2020-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 커튼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US20210025605A1 (en) * 2020-08-25 2021-01-28 Cambridge Technology Development, Inc. Pandemic tabletop system and methods for preventing pathogen transmission
JP3230876U (ja) * 2020-12-16 2021-02-25 チコー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飛沫遮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0459A1 (en) * 2020-10-21 2022-04-21 Paul Bemis Tabletop bio-safty air curtain
KR20230147843A (ko) 2022-04-15 2023-10-24 아이투엠 주식회사 비말차단장치
KR20240026570A (ko) 2022-08-22 2024-02-29 아이투엠 주식회사 저소음 비말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413B1 (ko) 비말차단용 에어커튼 장치
JP7170877B2 (ja) 調整可能なノズルを備えたインダクションジェットファン
JP5964873B2 (ja) ファンレス扇風機
KR20210080546A (ko) 조절 가능한 팬 노즐
TWI616178B (zh) 清掃機器人
KR20210080545A (ko) 회전 가능한 노즐을 갖는 팬
EP1797808A2 (en) Vacuum cleaner having a motor noise reduction system
JP2014020374A (ja) ファン組立体
JP2012192824A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274358B2 (ja) 調剤用クリーンルームユニット
CN213206044U (zh) 便携吹风装置
JP4310739B2 (ja) 引き戸装置
KR102399914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019321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KR20010037821A (ko)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JP2502013B2 (ja) 調理装置
CN104165134B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CN218971080U (zh) 一种开合帘用导轨装置
CN107709216B (zh) 电梯
CN113966429B (zh) 摆动门操作器、摆动门系统和调节摆动门操作器的方法
CN218096116U (zh) 一种吸油烟机
KR102463381B1 (ko) 에어스크린 장치
KR102561128B1 (ko) 공기 청정기
JP62892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80572B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