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323B1 - 카트리지 및 흡인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323B1
KR102311323B1 KR1020197023183A KR20197023183A KR102311323B1 KR 102311323 B1 KR102311323 B1 KR 102311323B1 KR 1020197023183 A KR1020197023183 A KR 1020197023183A KR 20197023183 A KR20197023183 A KR 20197023183A KR 102311323 B1 KR102311323 B1 KR 10231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ap
liquid
cartridge
up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336A (ko
Inventor
토모이치 와타나베
히로후미 마츠모토
타쿠마 나카노
케이 오이시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4Tobacco cartridges f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새로운 구조를 갖는 흡인기용 카트리지 및 흡인기를 제공한다.
흡인기용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과, 공기 유로와, 수용 공간과 공기 유로를 긴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액체를 가열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히터를 가진다. 구획 부재는, 수용 공간과 공기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짧은 길이 방향으로 개구한 개구부를 가진다. 개구부는, 상류측 개구연부와, 하류측 개구연부를 가진다. 구획 부재는,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를 가진다. 상류측 개구연부와 상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하류측 개구연부와 하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흡인기
본 발명은, 카트리지 및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료의 연소 없이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면 전자 담배가 알려져 있다. 전자 담배는, 니코틴 등의 향미를 포함하는 액체(에어로졸원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무화(霧化)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입에 공급하거나, 니코틴 등의 향미를 포함하지 않는 액체(에어로졸원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무화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향미원(예를 들면 담배원)을 통과시킨 후에 사용자의 입에 에어로졸을 공급한다.
전자 담배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또는 리저버와, 이 액체를 무화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전자 담배에는, 히터와 배터리를 접속하는 한 쌍의 도선을 서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 링을 갖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유럽 특허공개 제29419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흡인기용 카트리지 및 흡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흡인기용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과, 공기 유로와,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공기 유로를 긴 길이(長手)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액체를 가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히터를 가진다.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공기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짧은 길이(短手) 방향으로 개구한 개구부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는, 상류측 개구연부(開口緣部)와, 하류측 개구연부를 가진다. 상기 구획 부재는,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를 가진다. 상기 상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상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류부(上流部)와, 상기 하류측 단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류부를 가지며, 상기 하류부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상류부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류측 히터 단부와, 하류측 히터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류측 히터 단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류측 히터 단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상기 액 공급구를 덮도록 배치된 액 보유 부재를 가지며, 상기 액 보유 부재는, 상기 액 공급구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유출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상기 히터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흡인기가 제공된다. 이 흡인기는,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부를 가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캡을 하우징에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액 보유 부재, 및 히터를 하우징에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체 부품을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체 부품을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7-7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캡의 제1 면측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공기 유출구가 마련되는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공기 유출구와 히터의 다른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커버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커버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구획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구획 부재, 액 보유 부재, 및 히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캡의 제2 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캡, 액 보유 부재, 및 히터를 하우징에 조립한 상태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기(10)는, 마우스피스(11)와, 카트리지(20)와, 배터리부(12)를 갖는다. 카트리지(20)는, 예를 들면 니코틴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향미를 포함하는 액체를 무화하여 마우스피스(11)를 향해 에어로졸을 공급한다. 배터리부(12)는, 카트리지(20)에 전력을 공급한다. 마우스피스(11)는, 카트리지(2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입으로 인도한다. 흡인기(10)가 소정 기간 사용된 후, 마우스피스(11)와 카트리지(20)는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11)는 교환하지 않고, 카트리지(20)만 교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인기(10)는 마우스피스(1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흡인기(10)는 마우스피스(1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20)와 마우스피스(11)가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카트리지(20)와 마우스피스(11)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트리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20)는, 하우징(30)과, 액 보유 부재(40)와, 히터(50)와, 캡(70)을 갖는다. 카트리지(20)는, 이것들에 더해, 이것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도 2에 나타내는 부품은 카트리지(20)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은, 캡(70)을 하우징(30)에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캡(70),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하우징(30)에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체 부품을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체 부품을 조립한 상태의 카트리지(20)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7-7에 있어서의 카트리지(20)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2에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카트리지(2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긴 길이 방향이란 도 1에 나타낸 흡인기(10)의 카트리지(20) 및 배터리부(12)가 나열되는 방향을 말하고, 짧은 길이 방향이란 긴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류측이란 히터(50)의 위치를 기준으로 공기 유출구(34)와는 반대측, 또는 에어로졸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말하고, 하류측이란 히터(50)의 위치를 기준으로 공기 유출구(34)와 가까운 쪽, 또는 에어로졸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을 말한다.
하우징(30)은,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의 부재이며, 액체를 수용 가능한 탱크(31)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탱크(31)의 내부 공간을 수용 공간(31a)(도 6 참조)이라고 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0)과 탱크(3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30)과 탱크(31)가 다른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징(30)은, 하우징 본체(30a)와, 이 하우징 본체(30a)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60)를 갖는다. 하우징 본체(30a)는, 탱크(31)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획 부재(36)를 갖는다. 구획 부재(36)는, 커버 부재(60)를 하우징 본체(30a)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공기 유로(62)(도 6 참조)와, 탱크(31) 내부의 수용 공간(31a)을 긴 길이 방향으로 구획한다. 구획 부재(36)는, 액체를 탱크(31) 내부의 수용 공간(31a)에 공급하기 위한 액 공급구(32)(개구부의 일례에 상당하다)를 갖는다. 액 공급구(32)는, 수용 공간(31a)과 공기 유로(62)를 연통시키도록 카트리지(2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개구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연통이란, 액체의 연통 및 기체의 연통을 포함한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36)는 액 보유 부재(40)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를 갖고, 이 오목부에 액 공급구(32)가 형성된다. 즉, 구획 부재(36)는, 구획 부재(36)의 커버 부재(60)와 가장 가까운 제1 면(36a)과, 제1 면(36a)보다 수용 공간(31a)과 가까운 제2 면(36b)을 갖고, 이 제2 면(36b)에 액 공급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면(36a)과 제2 면(36b)이 같은 높이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액 보유 부재(40)는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구획 부재(36) 상에 배치된다. 구획 부재(36)는, 구획 부재(36)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액 보유 부재(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액 공급구(32)가 2개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액 공급구(32)는 1개 이상의 임의의 수로 마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액 공급구(3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획 부재(36)가 복수개의 액 공급구(32)를 구획하고 있다.
탱크(31)는,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33)(도 7 참조)를 갖는다. 개구부(33)는, 배터리부(12)와 접속되는 측의 탱크(31)의 단면에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액 공급구(32)의 개구 면적은, 개구부(33)의 개구 면적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액 공급구(32)가 짧은 길이 방향으로 개구하므로, 긴 길이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33)보다 큰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탱크(31) 내로의 액체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액 공급구(32)가 복수개인 경우의 액 공급구(32)의 개구 면적은, 각각의 액 공급구(32)의 개구 면적의 합계를 말한다.
또, 하우징(30)은,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공기 유출구(34)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본체(30a)가, 마우스피스(11)와 접속되는 측의 단면에 공기 유출구(34)를 갖는다. 공기 유출구(34)는, 마우스피스(11)와 연통한다. 흡인기(10)에 마우스피스(11)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기 유출구(34)로부터 직접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출구(34)가 하우징 본체(30a)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기 유출구(34)가 하우징 본체(30a)와 커버 부재(60)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하우징 본체(30a)에 커버 부재(60)를 장착함으로써 공기 유출구(34)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커버 부재(60)에 공기 유출구(34)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공기 유출구(34)는, 예를 들면 하우징(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30a)는,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35)를 갖는다. 절결부(35)는, 커버 부재(60)에 의해 덮인다. 절결부(35)는, 커버 부재(60)에 덮여 있지 않을 때,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커버 부재(60)는,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판형의 부재이다. 커버 부재(60)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 유입구(61)를 갖는다. 공기 유입구(61)는, 하우징 본체(30a)의 구획 부재(36) 및 히터(5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입구(61)는, 커버 부재(6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또한, 공기 유입구(61)는 단수개여도 된다. 커버 부재(60)는, 하우징 본체(30a)와 함께, 히터(50) 및 액 보유 부재(40)가 수납되는 공기 유로(62)(도 6 및 도 7 참조; 공간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형성한다. 공기 유입구(61)와 공기 유출구(34)는, 이 공기 유로(62)을 개재하여 서로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입구(61)는, 직접 외기에 개구하여,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30)을 둘러싸는 외측 하우징을 마련하여, 외측 하우징 내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우징(30)과 외측 하우징 각각이, 배터리부(12)와의 계합(係合) 수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 혹은, 하우징(30)이 배터리부(12)와의 계합 수단을 갖고, 외측 하우징이 하우징(30)을 배터리부(12)에 가압함으로써, 하우징(30)을 배터리부(12)에 계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액 보유 부재(40)는, 예를 들면 코튼, 유리 섬유, 또는 다공질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는 다공질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 보유 부재」란, 그 자체가 발열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다공질 부재를 말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보유 부재(40)는, 구획 부재(36)의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카트리지(20)에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액 보유 부재(40)는, 구획 부재(36) 상에 적층되어, 구획 부재(36)에 의해 지지된다. 탱크(31)에 수용된 액체는, 액 보유 부재(40)와 접촉하고, 액 보유 부재(40)에 의해 흡수되어 보유된다. 바꾸어 말하면, 액 보유 부재(40)는, 탱크(31) 내에 수용된 액체를 히터(50)를 향해 빨아 올린다. 액 보유 부재(40)의 액 공급구(32)와 대향하는 면의 면적은, 액 공급구(32)의 개구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액 공급구(32)의 개구 면적 전체를 확실히 액 보유 부재(40)로 덮을 수 있음과 함께, 구획 부재(36)에 의해 액 보유 부재(40)를 지지하기 쉬워진다.
히터(50)는, 전체적으로 대략 U형이며, 액 보유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액 공급구(32)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히터(5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보유 부재(40)와 커버 부재(60)의 사이에 배치된다. 히터(50)는, U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형 또는 면형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히터(50)는, I자 형상, 또는 I자 형상의 복수개의 히터를 서로 리드 선으로 접속한 형태일 수 있다. 히터(50)가 면형인 경우에는, 그 단면(평면 부분)이 액 보유 부재(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50)는,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를 보유 가능한 예를 들면 다공질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50)에 이용하는 다공질 금속의 재질은, 보유한 액체를 사용자가 흡연할 때에 전기 가열에 의해 무화하는 윅 겸용 히터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50)는, 예를 들면 니켈, 니크롬, 스테인리스(SUS) 등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일 수 있다. 또, 전력을 인가했을 때에 발열 가능한 도전성 재료이면, 실리콘카바이드(SiC) 등의 세라믹을 이용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히터(50)는, 3차원 망목(網目) 구조를 갖고 있다. 3차원 망목 구조는, 공극을 포함하는 것이며, 적어도 일부의 공극끼리 연통한 구조, 즉, 오픈 셀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실시형태의 히터(50)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을 빨아 올리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오픈 셀 구조를 갖는 다공질 금속체로서, 스미토모 전공사(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제의 셀멧(등록상표)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셀멧은, 니켈(Ni)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 또는 니켈 및 크로뮴(Cr)의 합금을 포함하는 다공질 금속체이다. 또, 히터(50)로서는, 예를 들면 니켈, 니크롬, 스테인리스(SUS)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선재를, 액 보유 부재(40) 상에 망목형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해 형성해도 된다.
히터(50)의 적어도 일부는, 액 보유 부재(40)와 접촉 또는 근접하게 배치되어, 액 보유 부재(40)에 보유된 액체를 가열해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히터(50)가 다공질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히터(50)가 액 보유 부재(40)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히터(50)는 액 보유 부재(40)로부터 액체를 흡수하여 보유하고, 보유한 액체를 가열하여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히터(50)가 다공질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20)에 액 보유 부재(4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히터(50)는, 가열 요소로서의 기능에 더해, 액체를 보유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액 보유 부재(40) 대신에, 면형의 다공질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터(50)가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히터(50)를 구획 부재(36)의 오목부에 배치한다. 또, 액 보유 부재(40)가 다공질 세라믹 등의 다공질로서 강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프린트 또는 증착 등의 수단으로 백금이나 팔라듐 등의 히터를 액 보유 부재(40)에 소정의 패턴으로 마련해도 된다.
히터(50)는, 배터리부(12)와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리드 선(51)(도전체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리드 선(51)은, 캡(70)의 후술하는 한 쌍의 수용부(76)에 수용된다. 히터(50)는, 리드 선(51)으로부터 분기하여 마련되는 계지부(係止部)(52)를 갖는다. 계지부(52)는, 리드 선(51)이 수용부(76)에 수용되었을 때에 캡(70)의 후술하는 제2 면(72)에 계지함으로써, 히터(50)가 긴 길이 방향에서 마우스피스(11)(공기 유출구(34) 측)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 계지부(52)를 캡(70)의 후술하는 제1 면(71)에 계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히터(50)가 긴 길이 방향에서 배터리부(12) 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계지부(52)는, 후술하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 선(51)의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캡(7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은, 카트리지(2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캡(70)은, 카트리지(20)를 구성하는 각 부품과는 다른 부품으로서 구성된다. 이로써, 캡(70)과 카트리지(20)의 하우징(30)에, 각각 다른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70)을 가요성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캡(70)을 카트리지(20)에 착탈하기 쉽게 하고, 하우징(30)을 비가요성 부재(강성이 높은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3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캡(70)은, 예를 들면 하우징(30) 또는 탱크(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캡(7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료, 또는 실리콘 등의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은,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탱크(31)와 도 1에 나타낸 배터리부(1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바꾸어 말하면, 캡(70)은, 히터(50)와 배터리부(12)를 접속하는 도전체의 전로의 도중에 마련된다. 캡(70)은, 탱크(31) 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캡(70)은, 카트리지(20)에 장착되었을 때에, 탱크(31)의 개구부(33)를 씰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은, 제1 면(71)과, 제1 면(71)과 반대측의 제2 면(72)과, 캡 측면(73)을 갖는다. 캡 측면(73)은, 제1 면(71)의 외주연과 제2 면(72)의 외주연을 접속하는 면이다. 제1 실시형태의 캡(70)은, 전체적으로 대략 판형을 이루고 있지만,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캡(70)의 제1 면(71) 측의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은, 제1 면(71)에, 탱크(31) 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씰하는 씰 영역(74)을 갖는다. 씰 영역(74)은, 탱크(31)의 개구부(33)를 형성하는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부분 및 개구부(33)를 폐지(閉止)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 캡(70)은, 제1 면(71)의 씰 영역(74)에, 도 8에 나타내는 정면시(正面視)로 대략 D형의 돌기부(75)를 갖는다. 돌기부(75)는, 캡(70)을 카트리지(20)에 장착했을 때에 탱크(31)의 개구부(33)에 감합(嵌合)하여, 캡(70)의 씰성을 향상시킨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구부(33)의 형상은, 돌기부(75)의 형상에 대응하는 D형의 개구를 갖는다.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은, 히터(50)의 한 쌍의 리드 선(51)을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76)를 갖는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76)는 한 쌍의 리드 선(51)을 수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76)는, 히터(50)와 배터리부(12)의 사이의 전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임의의 도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체란, 예를 들면 히터(50)의 일부, 히터(50)에 접속된 리드 선(51), 배터리부(12)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히터(50)의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의 리드 선을 접속하는 도선(커넥터), 히터(50)의 단자, 배터리부(12)의 단자, 및 이것들의 조합 등, 히터와 배터리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도전체를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76)는, 씰 영역(74)의 외측에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76)는, 캡(70)의 표면 상의 씰 영역(74) 내에 위치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수용부(76)에 의해 수용되는 임의의 도전체(예를 들면 리드 선(51))는, 탱크(31)의 개구부(33)를 씰하는 씰 영역(74)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씰 영역(74)을 도전체가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도전체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 등을 씰 영역(74) 내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 탱크(31)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76)는, 캡 측면(73)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76)는, 캡 측면(73)에 형성되고, 또한 제1 면(71)으로부터 제2 면(72)을 향해 관통하는 오목부의 형태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의 형태의 수용부(76)는, 캡 측면(73)의 외주면(73a)보다 캡(70)의 중심측으로 들어가도록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76)는, 캡(70)을 도 8의 정면도에서 보았을 때의 대략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마련된다. 수용부(76)가 한 쌍의 리드 선(51)을 수용하는 것에 의해, 캡 측면(73)의 적어도 일부가, 히터(50)와 배터리부(12)를 접속하는 한 쌍의 도전체의 각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캡(70)은, 히터(50)와 배터리부(12)를 접속하는 도전체가 통과하는 구멍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도전체 중 어느쪽도 캡(70)의 외주면 측을 통과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캡(70)은, 씰 영역(74)과 수용부(76)의 사이에 이하와 같은 위치 관계를 갖는다. 즉, 도 6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0)의 제1 면(71)에 있어서 씰 영역(74)과 그 이외의 영역을, 카트리지(20)의 긴 길이 방향과 평행한 가상적인 하나의 평면(P1)으로 구획했을 때에, 평면(P1)보다 씰 영역(74) 측에 탱크(31)가 위치하고, 평면(P1)보다 씰 영역(74)과는 반대측에 수용부(76) 및 히터(50)가 위치한다. 즉, 제1 실시형태의 캡(70)에서는, 씰 영역(74)과 수용부(76)가 하나의 평면(P1)에 의해 명확하게 구획되는 위치 관계를 가지므로, 수용부(76)가 씰 영역(74)에 영향을 주지 않아, 수용부(76)에 기인하는 탱크(31)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20)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31)의 개구부(33)를 캡(70)으로 폐지(閉止)한다. 이로써, 캡(70)의 씰 영역(74)이 개구부(33)를 씰하여, 개구부(33)로부터의 액체의 유출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액 공급구(32)로부터, 에어로졸원이 되는 액체를 수용 공간(31a) 내에 공급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액 보유 부재(40)를 배치한다. 구획 부재(36)는, 제1 면(36a)과 제2 면(36b)의 단차에 의해 오목부를 갖고 있으므로, 탱크(31)의 액 공급구(32)로부터 액체가 다소 흘러넘쳐도, 이 오목부 안에 액체가 체류한다.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액 보유 부재(40)를 배치함으로써, 액 보유 부재(40)가 액체를 보유하여, 탱크(31)로부터 액체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트리지(20)는, 액 보유 부재(40)에 의해, 탱크(31)의 용량 이상의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만일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액 보유 부재(40)를 배치한 후 액체를 개구부(33)를 통해서 수용 공간(31a)에 공급했을 경우, 액 보유 부재(40)와 액 공급구(32)의 간극으로부터, 또는 액 보유 부재(40)를 통과하여 액체가 새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액체를 수용 공간(31a)에 공급한 후 캡(70)을 개구부(33)에 장착하게 되므로, 캡(70)과 개구부(33)를 폐지했을 때에, 수용 공간(31a)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액체가 액 공급구(32)로부터 새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캡(70)으로 탱크(31)의 개구부(33)를 폐지한 후 액체를 수용 공간(31a) 내에 공급함으로써, 탱크(31)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50)가 다공질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20)에 액 보유 부재(4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액 보유 부재(40) 대신에, 면형의 다공질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터(50)가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히터(50)를 구획 부재(36)의 오목부에 배치한다. 또, 이 경우에는, 히터(50)가 하우징(30)(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36))과 직접 접촉하므로, 하우징(30)의 당해 접촉 개소를 내열 소재로 형성하거나, 내열 소재로 피복해도 된다.
계속해서, 액 보유 부재(40) 위에 히터(50)가 배치된다. 이때, 히터(50)의 리드 선(51)은 수용부(76)에 수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히터(50)의 리드 선(51)을 캡(70)의 수용부(76)에 계합시켜, 액 보유 부재(40)의 면에 히터(50)를 당접시킨다. 수용부(76)는, 캡 측면(73)에 형성된 오목부의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리드 선(51)을 캡(70)의 측면으로부터 수용부(76)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0)를 하우징 본체(30a)에 장착하여, 절결부(35)를 덮는다. 이로써, 카트리지(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카트리지(20)의 전체 부품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0)와 하우징 본체(30a)에 의해 공기 유로(62)가 구획 형성된다. 히터(50)에 전력이 공급되면, 액 보유 부재(40)에 보유된 액체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또, 히터(50)를 윅 겸용 히터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히터(50)에 보유된 액체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1)로부터 공기를 들이 마시면, 커버 부재(60)의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공기 유로(62)을 통과해 공기 유로(62)에 존재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공기 유출구(34)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의 입안으로 에어로졸이 공급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의 캡(70)은, 씰 영역(74)과, 씰 영역(74)의 외측에 마련되는 수용부(76)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수용부(76)에 수용되는 도전체(예를 들면 리드 선(51))를 보유하기 위한 구멍 등을 씰 영역(74)의 내부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용부(76)를 통해서 탱크(31) 내의 액체가 배터리부(12)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20)에서는, 액 공급구(32)가 짧은 길이 방향으로 개구함과 함께, 수용부(76)가, 캡(70)의 캡 측면(73)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다. 이로 인하여,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카트리지(20)에 조립할 때, 액 공급구(32)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액 보유 부재(40)로 덮고, 리드 선(51)을 캡(70)의 측면으로부터 수용부(76)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 형상의 수용부에 리드 선(51)을 통과시키는 경우에 비해,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카트리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20)에서는, 한 쌍의 리드 선(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이간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수용부(76)의 각각이 리드 선(51)을 수용한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76)는 하나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한 쌍의 리드 선(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나의 수용부(76)에 수용된다. 또, 한 쌍의 리드 선(51)을 절연 소재로 피복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수용부(76)의 형상은, 도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캡(70)은, 제1 면(71)과, 제2 면(72)과, 캡 측면(73)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판형의 형상을 갖지만, 수용부(76)가 씰 영역(74)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한,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캡(70)은, 구형, 단부가 구면인 원기둥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제1 실시형태의 카트리지(20)에서는, 캡(70)의 수용부(76)에 히터(50)의 리드 선(51)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76)에 히터(50) 및 리드 선(51)과는 다른 도전체(예를 들면, 커넥터 부재) 등을 배치하여, 이 도전체와 히터(50)의 리드 선(51)을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캡(70)의 제1 면(71)과 제2 면(72)의 사이에 도전체(예를 들면 커넥터 부재)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카트리지(20)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31a), 공기 유로(62), 구획 부재(36), 히터(50), 공기 유입구(61), 공기 유출구(34)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20)는, 공기 유입구(61)(커버 부재(60)), 공기 유로(62), 구획 부재(36), 및 탱크(31)의 수용 공간(31a)을, 이 순서로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갖는다. 히터(50)는, 공기 유입구(61)와 구획 부재(36)의 사이로서, 또한 공기 유로(62) 내에 배치된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20)를 공기 유출구(34)가 마련되는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에 관련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1) 또는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공기를 들이 마시면, 커버 부재(60)의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공기 유로(62)을 통과하여, 공기 유출구(34)를 향해 흐른다. 이때,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히터(5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효율적으로 공기 유출구(34)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히터(50)의 근방 또는 내부를 통과하도록 공기 유로(62)을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히터(50)의 근방 또는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공기 유출구(34)를 향해 흘렀을 경우, 공기는 히터(50) 근방에 부유하는 에어로졸을 충분히 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 유출구(34)의 위치가,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히터(50)의 위치와 긴 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마련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적어도 일부가,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공기 유입구(61)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또는 공기 유입구(61) 중 어느 하나보다 공기 유출구(34)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공기 유출구(34)와 가까운 단부를 제1 단부(50b)라고 하고, 공기 유출구(34)로부터 먼 단부를 제2 단부(50c)라고 했을 때에, 공기 유입구(61)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길이 방향 위치에 관해서, 히터(50)의 제1 단부(50b)보다 상류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기 유입구(61)는, 긴 길이 방향 위치에 관해서, 히터(50)의 제2 단부(50c)보다 상류측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공기 유출구(34)란,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공기 유출구(34)의 개구부가 아닌, 공기 유로(62)와 공기 유출구(34)의 경계부, 즉 공기 유출구(34)의 공기 유로(62)로의 개구부를 말한다.
예를 들면,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 유출구(34)의 위치가,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히터(50)의 위치보다 공기 유입구(61) 측에 있는 경우,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공기 유출구(34)까지의 최단 통로를 통과하려고 하여, 히터(50)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공기 유출구(34)와 히터(50)가, 도 9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공기 유출구(34)로부터 유출할 때까지의 공기 유로(62) 중에 히터(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게 되므로, 공기 유입구(61)로부터의 공기가 히터(50)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공기 유출구(34)와 히터(50)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공기 유출구(34)와 히터(50)의 다른 위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카트리지(20)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카트리지(20)에서는, 공기 유출구(34)는, 히터(50)보다,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수용 공간(31a) 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유출구(34)의 공기 유입구(61) 측과 가까운 상단부(34a)가, 히터(50)의 공기 유입구(61) 측과 가까운 상단부(50a)보다,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수용 공간(31a) 측에 위치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공기 유출구(34)의 공기 유입구(61) 측과 가까운 상단부(34a)가, 히터(50)의 공기 유입구(61) 측에서 떨어진 하단부(50d)보다,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수용 공간(31a) 측에 위치한다.
공기 유출구(34)와 히터(50)가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 공기 유출구(34)의 상단부(34a)가, 히터(50)의 하단부(50d)보다,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수용 공간(31a) 측에 위치하므로, 공기 유입구(61)로부터의 공기가 히터(50)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나아가서는, 히터(50)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공기 유출구(34)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도 10에 나타낸 커버 부재(60)의 다른 형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커버 부재(6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커버 부재(60)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61)를 갖는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커버 부재(60)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단일의 공기 유입구(61)를 갖는다.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61)의 개구 면적이 모두 동일할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1)(도 1 참조) 또는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공기를 들이 마시면, 공기 유출구(34) 가까이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은, 공기 유출구(34)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공기 유입구(61)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에 비해 많아진다. 단일의 공기 유입구(61)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위길이당 면적이 일정한 경우도,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1)(도 1 참조) 또는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공기를 들이 마시면, 공기 유입구(61)의 공기 유출구(34)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은, 공기 유입구(61)의 공기 유출구(34)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에 비해 많아진다.
이에 비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공기 유입구(61)는, 공기 유출구(34)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공기 유출구(34)의 근위측의 공기 유입구(61)의 면적은, 공기 유출구(34)의 원위측의 공기 유입구(61)의 면적보다 작다. 이로써, 복수개의 공기 유입구(61)의 각각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 또는 단일의 공기 유입구(61)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위치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히터(50) 전체에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에어로졸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카트리지(20)의 구획 부재(36)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구획 부재(36)의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36)는, 공기 유출구(34)와 가장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부(36e)와,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가장 먼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단부(36f)를 갖는다. 하류측 단부(36e)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촉하는 단부이며, 상류측 단부(36f)는, 캡(70)과 접촉하는 단부이다. 또, 구획 부재(36)의 액 공급구(32)는, 공기 유출구(34)와 가장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개구연부(36c)와,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가장 먼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개구연부(36d)를 갖는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공급구(32)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의 하류측 개구연부(36c)는, 복수개의 액 공급구(32) 중에서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개구연을 말하고, 상류측 개구연부(36d)는, 복수개의 액 공급구(32) 중에서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개구연을 말한다. 또, 구획 부재(36)는, 액 공급구(32)의 상류측 개구연부(36d)와 상류측 단부(36f)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류부(36h)와, 액 공급구(32)의 하류측 개구연부(36c)와 하류측 단부(36e)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류부(36g)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공급구(32)가 전체적으로 상류측에 치우치도록 구획 부재(36)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액 공급구(32)는, 액 공급구(32)의 상류측 개구연부(36d)와 구획 부재(36)의 상류측 단부(36f)의 사이의 거리(L2)가, 액 공급구(32)의 하류측 개구연부(36c)와 구획 부재(36)의 하류측 단부(36e)의 사이의 거리(L1)보다 작아지도록, 구획 부재(36)에 형성된다. 액 공급구(32)의 상류측 개구연부(36d)와 구획 부재(36)의 상류측 단부(36f)의 사이의 거리(L2)는, 구획 부재(36)의 상류부(36h)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라고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액 공급구(32)의 하류측 개구연부(36c)와 구획 부재(36)의 하류측 단부(36e)의 사이의 거리(L1)는 구획 부재(36)의 하류부(36g)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류부(36h)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하류부(36g)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짧다.
도 14는, 구획 부재(36),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의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보유 부재(40)는 구획 부재(36)의 오목부에 마련되고, 히터(50)가 액 보유 부재(40) 상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50)는, 공기 유출구(34)와 가장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50b)(하류측 히터 단부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공기 유출구(34)로부터 가장 먼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50c)(상류측 히터 단부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50)도 전체적으로 상류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단부(50c)와 구획 부재(36)의 상류측 단부(36f)의 사이의 거리(L4)는, 제1 단부(50b)와 구획 부재(36)의 하류측 단부(36e)의 사이의 거리(L3)보다 작다.
도 1에 나타낸 흡인기(10)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1)로부터 공기를 들이 마실 때, 통상은 마우스피스(11)보다 카트리지(20)가 낮은 위치가 되도록, 즉 상류측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보유된다. 따라서, 만일 액 공급구(32)가 하류측에 치우쳐 마련되었을 경우에는, 흡인기(10)가 사용될 때의 액 공급구(32)의 위치는, 액 공급구(32)가 상류측에 치우쳐 마련되었을 경우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흡인기(10)가 사용될 때 탱크(31) 내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류측(하방측)에 체류한다. 이로 인하여, 탱크(31) 내의 액체가 적어지면, 액체가 액 보유 부재(40)와 접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만일 액 공급구(32),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가 구획 부재(36)의 긴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마련되었을 경우에는, 히터(50)가 공기 유출구(34)에 근접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히터(50)의 제1 단부(50b) 부근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충분히 냉각되지 않아 고온인 채로 공기 유출구(34)에 도입되어, 사용자의 입안에 이를 우려가 있다. 또, 액 공급구(32),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가 구획 부재(36)의 긴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마련되었을 경우, 탱크(31) 내의 액체가 적어지면, 액체가 액 보유 부재(40)의 하류측(상방측)의 부분에 흡수되기 어려워진다. 즉, 액 보유 부재(40)의 상류측(하방측)의 부분에 액체가 보유되기 쉬워지므로, 히터(50)의 제1 단부(50b) 부근의 열이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기 어려워져,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공급구(32)를 전체적으로 상류측에 치우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흡인기(10)가 사용될 때, 액 공급구(32)를 하방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흡인기(10)가 사용될 때 탱크(31) 내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류측(하방측)에 체류하므로, 탱크(31) 내의 액체가 적어져도, 액 공급구(32)를 개재하여 액 보유 부재(40)에 효율적으로 액체를 보유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히터(50) 전체에서 효율적으로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36)의 하류측에는 액 공급구(32) 및 히터(50)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히터(5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공기 유출구(34)(도 2-도 8 참조)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성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입안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보유 부재(40)의 액 공급구(32)와 대향하는 면의 면적은, 구획 부재(36)의 액 공급구(32)가 마련된 면(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면(36a)과 제2 면(36b)을 포함하는 면)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액 보유 부재(40)의 단위면적당 액 보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더해, 히터(50)와 액 공급구(32)가 액 보유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액 보유 부재(40)의 히터(50)에 의해 가열되기 쉬운 개소에 액체가 직접 공급되어, 액 보유 부재(40)에 보유된 액체(에어로졸원)가 히터(50)의 가열중에 고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낸 캡(70)의 다른 형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캡(7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은,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낸 캡(70)과 비교해 수용부(76)의 형상이 다르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캡(70)은, 제1 면(71) 및 제2 면(72)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캡 측면(73)에 2개의 수용부(76)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캡(70)의 수용부(76)는 각각, 캡 측면(73)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조부(突條部)(78)를 갖는다. 한 쌍의 돌조부(78)의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도 2 등에 나타낸 히터(50)의 리드 선(51)이 수용된다. 이로써, 한 쌍의 리드 선(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간되어 배치된다. 또한, 캡 측면(73)에 3개의 돌조부(78)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3개의 돌조부(78)의 사이에 2개의 수용부(76)가 형성된다. 또, 수용부(76)의 수는 하나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한 쌍의 리드 선(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나의 수용부(76)에 수용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도,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낸 캡(70)과 마찬가지로, 씰 영역(74)의 외측에 수용부(76)가 마련되므로, 수용부(76)를 통해서 탱크(31) 내의 액체가 배터리부(12)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용부(76)는 캡(70)의 캡 측면(73)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므로, 리드 선(51)을 캡(70)의 측면으로부터 수용부(76) 내에 배치할 수 있어, 히터(50)를 카트리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캡(70)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의 판형체이므로, 카트리지(20)에 캡(70)을 조립했을 때에, 커버 부재(60)와 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62)을 배터리부(12) 측의 공간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캡(70)보다 상류측(배터리부(12) 측)에 공기 유입구를 마련하면, 캡(70)의 상류측으로부터 내부 공간(62)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60)에 공기 유입구(61)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캡(70)에서는, 수용부(76)에 히터(50) 및 리드 선(51)과는 다른 도전체(예를 들면 커넥터 부재) 등을 배치하여, 이 도전체와 히터(50)의 리드 선(51)을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캡(70)의 제1 면(71)과 제2 면(72)의 사이에 도전체(예를 들면 커넥터 부재)가 배치된다.
도 16은, 캡(7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은, 도 2에서 도 15에 나타낸 캡(70)과 비교해 수용부(76)의 형상이 다르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캡(70)의 수용부(76)는, 제1 면(71)과 제2 면(72)의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상을 갖는다. 또, 이 캡(70)의 수용부(76)는, 제1 면(71)과 제2 면(72)의 사이에 연재(延在)하는 커넥터 부재(79)(도전체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수용하고 있다. 커넥터 부재(79)는, 일단이 히터(50)의 리드 선(51)과 접속하고, 타단이 배터리부(12)의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또는 단자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를 도통시킨다.
도 16에 나타내는 캡(70)을 카트리지(20)에 사용하는 경우, 히터(50)의 리드 선(51)은, 도 2에서 도 7에 나타낸 리드 선(51)보다 다소 짧게 형성된다. 이 히터(50)를 액 보유 부재(40) 위에 배치했을 때에, 리드 선(51)이 캡(70)에 마련된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에 접촉 또는 접속된다. 이로써,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가 도통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도, 도 2에서 도 15에 나타낸 캡(70)과 마찬가지로, 씰 영역(74)의 외측에 수용부(76)가 마련되므로, 수용부(76)를 통해서 탱크(31) 내의 액체가 배터리부(12)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캡(70)은, 수용부(76) 내에 배치된 커넥터 부재(79)를 가지므로, 히터(50)를, 배터리부(12)와 도통하도록 카트리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부재(79)가 캡(70)의 제1 면(71) 및 제2 면(72)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리드 선(51)을 카트리지(2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는 오목부 등을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에 마련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카트리지(20)에 조립할 때, 액 공급구(32)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액 보유 부재(40)로 덮고, 리드 선(51)을 커넥터 부재(79)에 짧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접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카트리지(20)에 한층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커넥터 부재(79)는, 캡(70)의 제1 면(71) 및 제2 면(72)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갖고 있지만, 예를 들면, 수용부(76) 내에 들어가는 길이를 갖고, 수용부(76) 내에 수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히터(50)의 리드 선(51)의 단부를 수용부(76) 내에 삽입함으로써, 리드 선(51)의 단부가 수용부(76)에 의해 커넥터 부재(79)를 향해 가이드되어, 리드 선(51)의 단부와 커넥터 부재(79)가 접촉 또는 접속한다.
도 17은, 캡(7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캡의 제2 면(72)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에서는, 제1 면(71)이 씰 영역(74)을 갖고, 제1 면(71) 및 제2 면(72)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76)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캡 측면(73)과 제2 면(72)을 관통하는 대략 L형의 구멍의 형태를 갖는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의 수용부(76)는, 캡 측면(73)과 제2 면(72)의 사이에 연재하는 커넥터 부재(79)(도전체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수용하고 있다. 커넥터 부재(79)는, 일단이 히터(50)의 리드 선(51)과 접속하고, 타단이 배터리부(12)의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또는 단자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를 도통시킨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넥터 부재(79)는 수용부(76)의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부재(79)의 단부가 수용부(76)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79)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캡(70)을 카트리지(20)에 사용하는 경우, 히터(50)를 액 보유 부재(40) 위에 배치했을 때에, 리드 선(51)이 캡(70)에 마련된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에 접촉 또는 접속된다. 배터리부(12)의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또는 단자는, 제2 면(72) 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와 도통하고 있으므로, 이로써,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가 도통한다. 또한, 커넥터 부재(79)의 단부가 수용부(76)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히터(50)를 액 보유 부재(40) 위에 배치했을 때에 리드 선(51)의 단부가 캡 측면(73)에 형성된 수용부(76)의 구멍에 들어가도록, 리드 선(51)을 L형으로 형성한다. 이로써, 리드 선(51)과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와 접촉 또는 접속시켜, 히터(50)와 배터리부(12)를 도통시킨다.
도 17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도, 도 2에서 도 16에 나타낸 캡(70)과 마찬가지로, 씰 영역(74)의 외측에 수용부(76)가 마련되므로, 탱크(31) 내의 액체가 수용부(76)를 통해서 배터리부(12)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캡(70)은, 수용부(76) 내에 배치된 커넥터 부재(79)를 가지므로, 히터(50)를, 배터리부(12)와 도통하도록 카트리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캡(70)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의 판형체이므로, 카트리지(20)에 캡(70)을 조립했을 때에, 커버 부재(60)와 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62)을 배터리부(12) 측의 공간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캡(70)보다 상류측(배터리부(12) 측)에 공기 유입구를 마련하면, 캡(70)의 상류측으로부터 내부 공간(62)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60)에 공기 유입구(61)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캡(70)은, 도 2에서 도 16에 나타낸 캡(70)의 돌기부(75)를 구비하지 않지만, 돌기부(75)를 씰 영역(74) 내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부(76)는, 캡 측면(73)과 제2 면(72)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이 대신에, 캡 측면(73)과 제2 면(72)을 관통하는 오목부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0은, 캡(7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에서는, 도 17에서 도 19에 나타낸 캡(70)과 마찬가지로, 제1 면(71)이 씰 영역(74)을 갖고, 제1 면(71) 및 제2 면(72)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 캡(70)은, 도 17에서 도 19에 나타낸 캡(70)과 달리, 수용부(76)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캡 측면(73)과 제1 면(71)을 관통하는 대략 L형의 구멍의 형태를 갖는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면(71)에 형성된 수용부(76)를 구성하는 구멍은, 씰 영역(74)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캡(70)의 수용부(76)는, 캡 측면(73)과 제1 면(71)의 사이에 연재하는 커넥터 부재(79)(도전체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수용하고 있다. 커넥터 부재(79)는, 일단이 히터(50)의 리드 선(51)과 접속하고, 타단이 배터리부(12)의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또는 단자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리드 선(51)과 배터리부(12)를 도통시킨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넥터 부재(79)는 수용부(76)의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부재(79)의 단부가 수용부(76)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79)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캡(70)을 카트리지(20)에 사용하는 경우, 히터(50)를 액 보유 부재(40) 위에 배치했을 때에, 리드 선(51)이 제1 면(71)에 형성된 수용부(76)로부터 돌출된 커넥터 부재(79)의 단부에 접촉 또는 접속된다. 캡 측면(73)에 형성된 수용부(76)로부터 돌출된 커넥터 부재(79)는, 배터리부(12)의 도시하지 않은 리드 선 또는 단자에 접속된다. 이로써, 히터(50)와 배터리부(12)를 도통시킨다.
도 20에 나타내는 캡(70)에 있어서도, 도 2에서 도 19에 나타낸 캡(70)과 마찬가지로, 씰 영역(74)의 외측에 수용부(76)가 마련되므로, 수용부(76)를 통해서 탱크(31) 내의 액체가 배터리부(12)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캡(70)은, 수용부(76) 내에 배치된 커넥터 부재(79)를 가지므로, 히터(50)를, 배터리부(12)와 도통하도록 카트리지(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캡(70)의 형상이 대략 반원형의 판형체이므로, 카트리지(20)에 캡(70)을 조립했을 때에, 커버 부재(60)와 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62)을 배터리부(12) 측의 공간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캡(70)보다 상류측(배터리부(12) 측)에 공기 유입구를 마련하면, 캡(70)의 상류측으로부터 내부 공간(62)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커버 부재에 공기 유입구가 없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캡(70)은, 도 2에서 도 16에 나타낸 캡(70)의 돌기부(75)를 구비하지 않지만, 돌기부(75)를 씰 영역(74) 내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수용부(76)는, 캡 측면(73)과 제1 면(71)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이 대신에, 캡 측면(73)과 제1 면(71)을 관통하는 오목부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상, 여러가지 형태의 캡(70)의 예를 설명했지만, 도 17에서 도 21에 나타낸 캡(70)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79)는 임의의 부품이다. 따라서, 도 17에서 도 21에 나타낸 캡(70)이 커넥터 부재(79)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히터(50)의 리드 선과 배터리부(12)의 단자 또는 배터리부(12)의 리드 선이 직접 접속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기(1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기(10)는, 카트리지(20)를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카트리지(20)만을 설명한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캡(70), 액 보유 부재(40), 및 히터(50)를 하우징(30)에 조립한 상태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20)의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20)는, 하우징(30)과, 액 보유 부재(40)와, 히터(50)와, 캡(70)을 갖는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리지(20)는, 히터(50) 및 액 보유 부재(40)를 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누름 링(90)을 갖는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36)는, 액 공급구(32)의 주위에 마련된 2개의 핀(91)을 갖는다. 핀(91)은, 구획 부재(36)로부터 카트리지(2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뻗는다. 액 보유 부재(40)는, 핀(91)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41)을 갖는다. 카트리지(20)를 조립할 때는, 캡(70)을, 개구부(33)를 씰하도록 탱크(31)에 장착한다. 계속해서, 액 보유 부재(40)의 삽입 구멍(41)에 핀(91)을 삽입하면서, 액 공급구(32)를 덮도록 액 보유 부재(40)를 카트리지(20)에 배치한다. 히터(50)는, 핀(91)이 U형의 히터(5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액 보유 부재(40) 위에 배치된다. 이때, 히터(50)의 리드 선(51)은, 캡(70)의 수용부(76)에 수용된다. 핀(91)의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세라믹 등의 내열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누름 링(90)을 핀(91)에 끼운다. 또한, 커버 부재(60)와 하우징 본체(30a)의 절결부(35)를 닫음으로써, 누름 링(90)이 커버 부재(60)에 의해 가압되어, 누름 링(90)이 핀(9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히터(50) 및 액 보유 부재(40)가 하우징(30)에 대해서 고정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커버 부재(60)로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커버 부재(60)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캡(70)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2에서 도 21에 나타낸 캡(70)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구획 부재(36)는, 하나의 액 공급구(32)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액 공급구(32)는 임의의 수로 마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떤 형상이나 재질이더라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10…흡인기
12…배터리부
20…카트리지
30…하우징
31…탱크
31a…수용 공간
32…액 공급구
33…개구부
34…공기 유출구
36…구획 부재
36c…하류측 개구연부
36d…상류측 개구연부
36e…하류측 단부
36f…상류측 단부
36g…하류부
36h…상류부
40…액 보유 부재
50…히터
50b…제1 단부
50c…제2 단부
51…리드 선
60…커버 부재
61…공기 유입구
62…공기 유로

Claims (7)

  1. 흡인기용 카트리지로서,
    액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과, 공기 유로와,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공기 유로를 긴 길이(長手)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액체를 가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히터를 가지며,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공기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짧은 길이(短手) 방향으로 개구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류측 개구연부(開口緣部)와, 하류측 개구연부를 가지며,
    상기 구획 부재는,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상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류부(上流部)와, 상기 하류측 개구연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하류부(下流部)를 가지며,
    상기 하류부의 긴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상류부의 긴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긴, 카트리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류측 히터 단부와, 하류측 히터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류측 히터 단부와 상기 상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류측 히터 단부와 상기 하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카트리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된 액 보유 부재를 가지며,
    상기 액 보유 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히터 사이에 배치되는, 카트리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유출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7. 청구항 1에 기재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부를 가지는, 흡인기.
KR1020197023183A 2017-02-08 2017-02-08 카트리지 및 흡인기 KR102311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4490 WO2018146738A1 (ja) 2017-02-08 2017-02-08 カートリッジ及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336A KR20190099336A (ko) 2019-08-26
KR102311323B1 true KR102311323B1 (ko) 2021-10-08

Family

ID=631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183A KR102311323B1 (ko) 2017-02-08 2017-02-08 카트리지 및 흡인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57666B2 (ko)
EP (1) EP3581037A4 (ko)
JP (1) JP6828063B2 (ko)
KR (1) KR102311323B1 (ko)
CN (1) CN110267555B (ko)
CA (1) CA3050415C (ko)
EA (1) EA037426B1 (ko)
WO (1) WO2018146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5889A1 (ja) * 2018-11-08 2020-05-14 京セラ株式会社 加熱式たばこ用ヒ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加熱式たばこ装置
WO2020105132A1 (ja) * 2018-11-21 2020-05-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霧化ユニット
CN110447962A (zh) * 2019-07-25 2019-11-15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元件和电子烟
US20210228824A1 (en) * 2020-01-29 2021-07-29 Aerami Therapeutics, Inc. Wicking cap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6182A (ja) * 2012-01-31 2015-03-02 アルトリア クライアント サービ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 電子式シガレット
JP5895062B2 (ja) * 2012-10-18 2016-03-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16096780A1 (en) * 2014-12-15 2016-06-23 Philip Morris Products S.A. Split airflow system for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n airflow inside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969A (en) 1954-08-26 1960-06-21 American Cyanamid Co Copolymer of a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and acrylonitrile, solution thereof, and fiber formed therefrom
EP0373237A1 (de) * 1988-12-13 1990-06-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halationsgerät, insbesondere Taschen-Inhalationsgerät
KR100314138B1 (ko) 1993-06-29 2001-12-28 마틴 보게스 로버트 정량분배장치
JP5196672B2 (ja) * 2007-11-29 2013-05-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システム
CA2752577C (en) * 2009-02-23 2014-04-15 Japan Tobacco Inc. Non-heating flavor inhaler
US20130201894A1 (en) 2012-02-02 2013-08-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cell broadcast service message processing
GB2494315A (en) * 2012-11-06 2013-03-06 Yunqiang Xiu Disposable electronic smoke atomizer
US9497994B2 (en) 2013-01-05 2016-11-22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device, electronic cigarette, and atomizing device used in the same
CN103504478B (zh) * 2013-05-07 2016-01-2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WO2014195859A2 (en) * 2013-06-03 2014-12-11 PRISCO, Andrea Vittorio Electronic cigarette with improved safety
WO2014194510A1 (zh) 2013-06-07 2014-12-11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
CN108433184B (zh) * 2013-09-30 2022-05-03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型香味吸取器
EP3097803A1 (en) * 2015-05-26 2016-11-30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JP7080888B2 (ja) * 2016-12-19 2022-06-0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側面開口部を備える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WO2018113528A1 (zh) * 2016-12-20 2018-06-28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烟弹、雾化组件及电子烟
US11696368B2 (en) * 2017-02-24 2023-07-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two-part liquid storage compar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6182A (ja) * 2012-01-31 2015-03-02 アルトリア クライアント サービ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 電子式シガレット
JP5895062B2 (ja) * 2012-10-18 2016-03-3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16096780A1 (en) * 2014-12-15 2016-06-23 Philip Morris Products S.A. Split airflow system for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n airflow inside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0415A1 (en) 2018-08-16
JP6828063B2 (ja) 2021-02-10
EP3581037A1 (en) 2019-12-18
US20190343186A1 (en) 2019-11-14
WO2018146738A1 (ja) 2018-08-16
JPWO2018146738A1 (ja) 2019-11-07
EP3581037A4 (en) 2020-12-16
EA037426B1 (ru) 2021-03-26
CN110267555A (zh) 2019-09-20
US11457666B2 (en) 2022-10-04
CA3050415C (en) 2022-06-21
KR20190099336A (ko) 2019-08-26
US20230022645A1 (en) 2023-01-26
CN110267555B (zh) 2022-02-11
EA201991865A1 (ru)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382B1 (ko) 카트리지 및 흡인기
JP6871954B2 (ja) 液体の供給方法
JP6812466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吸引器
KR102311323B1 (ko) 카트리지 및 흡인기
TWI638610B (zh) 筒匣及吸嚐器
US12133558B2 (en) Cartridge having partition member and heater and inhaler including same
TWI643567B (zh) 筒匣及吸嚐器
TWI643566B (zh) 液體的供給方法
TWI638608B (zh) 筒匣及吸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