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931B1 -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931B1
KR102310931B1 KR1020200095920A KR20200095920A KR102310931B1 KR 102310931 B1 KR102310931 B1 KR 102310931B1 KR 1020200095920 A KR1020200095920 A KR 1020200095920A KR 20200095920 A KR20200095920 A KR 20200095920A KR 102310931 B1 KR102310931 B1 KR 10231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cart
unit
ca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최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웅 filed Critical 최길웅
Priority to KR102020009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5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3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using magnet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에 진공흡착시스템을 적용하여 적재대상물을 상기 적재카트에 용이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부(110)가 설치된 상태로 상측면에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100); 상기 적재카트(10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적재카트(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200);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적재카트(100)에 마련된 흡입펌프(160)와 유동관로(161)를 매개로 연결되는 중공형 포스트부(300); 상기 포스트부(3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포스트부(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회전암부(400); 상기 회전암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관절구동부(530)를 매개로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신축관로부(500);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적재대상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부(600);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착부(600)의 조작에 의해 신축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SUPPORT CART APPARATUS POSSIBLE LOADING AND UNLOADING OF OBJECT BY VACUUM ADSORPTION}
본 발명은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에 진공흡착시스템을 적용하여 적재대상물을 상기 적재카트에 용이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카트는 무게가 나거거나 부피가 큰 물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수동이동기구로서, 물품이 적재되는 일정면적의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부재와 상기 적재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을 잡고 밀어거나 끌어 상기 적재대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적재카트에 무게가 나거가나 부피가 큰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 올려 상기 적재카트에 적재하거나 별도의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한 후, 상기 견인부재를 파지하여 견인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적재카트는 물품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물품을 들어 올려 적재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반복수행함에 따라 작업피로도가 증가됨은 물론 무거운 물품의 적재시 신체에 무리가 가해져 신체손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물품의 적재시 적재카트가 이동되어 원활한 적재을 이룰 수 없는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0530호의 손잡이구동형 전기 핸드카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마트나 공장, 식자재마트 등과 같이 다수개의 적재대상물을 적재카트에 적재하여 이동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적재카트에 마련된 흡착부를 통해 적재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상기 적재카트에 용이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승하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착형 적재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부(110)가 설치된 상태로 상측면에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100); 상기 적재카트(10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적재카트(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200);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적재카트(100)에 마련된 흡입펌프(160)와 유동관로(161)를 매개로 연결되는 중공형 포스트부(300); 상기 포스트부(3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포스트부(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회전암부(400); 상기 회전암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관절구동부(530)를 매개로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신축관로부(500);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적재대상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부(600);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착부(600)의 조작에 의해 신축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퀴부(110)는 상기 견인부(200)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적재카트(100)의 일측방향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방휠부(120)와, 상기 전방휠부(1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적재카트(100)의 타측방햐 하측면에 설치되는 후방휠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휠부(12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견인부(200)에 연결되는 회전가이드구(121)와, 상기 회전가이드구(121)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1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후방휠부(13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구동장치(131)와, 상기 전동구동장치(131)의 길이방향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2)의 이격거리는 상기 한 쌍의 후방바퀴(132)의 이격거리보다 짧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에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시, 상기 적재카트(10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림방지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기울림방지부(15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 네 모서리부분에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부(151)와, 상기 고정축부(151)에 장착브라켓(15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완충구(153)가 설치된 보강휠(1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지지부(700)는,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710)와, 상기 마운팅부재(710)에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상기 신축관로부(500)가 위치되는 가이드부재(720)와, 상기 가이드부재(720)에서 상기 적재카트(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720)에 설치되는 지지휠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바퀴부(110)에 의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은, 상기 적재카트(100)에 장착되는 실린더부재(141)와, 상기 실린더부재(141)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신장시 지면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면안착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견인부(200)와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동관로(161)가 연결되는 중공형 직립포스트(310)와,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마련된 고정클램프(320)에 의해 고정되는 중공형 무빙포스트(330)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적재대상물을 적재카트에 승하차시 흡착부에 의해 진공흡착하여 용이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을 승하차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과 작업편의성의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카트의 하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카트에 이동제한유닛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박스에 구동제어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통연결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구동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와 지지휠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카트의 하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카트에 이동제한유닛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박스에 구동제어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통연결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구동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와 지지휠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100)와, 상기 적재카트(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200)와, 상기 적재카트(100)에 설치되는 중공형 포스트부(300) 및 회전암부(400)와, 상기 회전암부(400)에 관절구동부(530)를 매개로 장착되는 신축관로부(500)와,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단부에 장착되어 적재대상물을 진공흡착하는 흡착부(600)와,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는 대형마트나 공장, 식자재마트 등 다수개의 적재대상물을 일정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작업자가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흡착부(600)를 통해 적재대상물을 진공흡착하여 상기 적재카트(100)에 용이하게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적재카트(100)는 상기 적재대상물을 상측면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는 이동바퀴부(110)가 설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견인부(200)에 의한 견인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퀴부(110)는 상기 견인부(200)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적재카트(100)의 일측방향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방휠부(120)와, 상기 전방휠부(1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적재카트(100)의 타측방향 하측면에 설치되는 후방휠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휠부(12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견인부(200)에 연결되는 회전가이드구(121)와, 상기 회전가이드구(121)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1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후방휠부(13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구동장치(131)와, 상기 전동구동장치(131)의 길이방향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3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2)의 이격거리는 상기 한 쌍의 후방바퀴(132)의 이격거리보다 짧도록 함으로써 상기 견인부(200)의 회전조작에 의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적재카트(100)에는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바퀴부(110)에 의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14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은 상기 적재카트(100)에 적재대상물을 승하차하는 작업의 수행시, 상기 적재카트(100)가 상기 이동바퀴부(110)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대상물의 낙하로 인한 파손 및 낙하된 적재대상물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은 상기 적재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즉 상기 견인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적재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양 모서리부분에 한 쌍이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2)가 좁은 간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적재대상물를 상기 적재카트(100)에 승하차시 한쪽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을 상기 적재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적재카트(100)의 한 쪽 기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은 상기 적재카트(100)에 장착되는 실린더부재(141)와, 상기 실린더부재(141)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신장시 지면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면안착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실린더부재(141)가 구동하여 상기 로드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지면안착구(142)가 지면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이동바퀴부(110)에 의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적재대상물의 승하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이 상기 적재카트(100)의 길이방향 일측 양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재카트(100)의 타측 양 모서리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에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시, 상기 적재카트(10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림방지부(1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기울림방지부(15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 네 모서리부분에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부(151)와, 상기 고정축부(151)에 장착브라켓(15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완충구(153)가 설치된 보강휠(1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재카트(100)에 상기 이동제한유닛(140)과 기울림방지부(150)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제한유닛(140)과 기울림방지부(150)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견인부(200)는 상기 적재카트(10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적재카트(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견인부(200)는 상기 이동바퀴부(110)의 전방휠부(12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휠부(1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카트(10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견인부(200)는 상기 전방휠부(120)의 회전가이드구(121)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인트폴(210)과, 상기 조인트폴(210)의 길이방향 타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폴(220)과, 상기 연장폴(220)의 상단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폴(230)과, 상기 연장폴(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파지폴(230)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컨트롤박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240)에는 상기 전동구동장치(131)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제어구(24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파지폴(2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제어구(241)를 상기 적재카트(100)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전동구동장치(1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후방바퀴(132)가 정회전이나 역회전되어 상기 적재카트(100)의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240)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41)와 후술되는 흡입펌프(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스위치(미부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적재카트(100)에 마련된 흡입펌프(160)와 유동관로(161)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기둥의 구조를 갖으면서 적재대상물의 적재높이에 대응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견인부(200)와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동관로(161)가 연결되는 중공형 직립포스트(310)와,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마련된 고정클램프(320)에 의해 고정되는 중공형 무빙포스트(3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암부(400)는 상기 포스트부(3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포스트부(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부(3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연통연결부(410)를 매개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통연결부(410)는 상기 무빙포스트(330)의 길이방향 상단에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흡입공(421)이 형성된 고정연장구(420)와, 상기 고정연장구(420)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회전암부(400)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커버회전구(430)와, 상기 고정연장구(420)와 커버회전구(430)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440)과, 상기 고정연장구(42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버회전구(43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기밀패킹구(45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통연결부(410)는 상기 회전암부(400)를 회전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무빙포스트(330)의 내측과 상기 회전암부(400)의 내측에 연통되어 진공흡착 작업시 상기 무빙포스트(330)와 회전암부(400) 내측에 원활한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빙포스트(330)나 연통연결부(410)에는 후술되는 상기 튜브지지부(700)를 상기 포스트부(300) 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튜브지지부(7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락킹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바이다.
또한, 상기 신축관로부(500)는 상기 회전암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관절구동부(530)를 매개로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관절구동부(530)는 상기 회전암부(40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내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컨테이너(531)와,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컨테이너(53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연통홀(533)이 형성된 연장연통구(532)와, 상기 연결컨테이너(531)와 연장연통구(532)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534)와, 상기 연장연통구(532)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컨테이너(53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편(535)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관로부(500)는 상기 연장연통구(532)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조인트관로(510)와, 상기 조인트관로(510)의 단부에 신축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흡착부(600)가 설치되는 신축튜브(5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신축튜브(520)는 외주연에 주름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주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부(600)는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적재대상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착부(600)는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적재대상물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지지부(700)는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착부(600)의 조작에 의해 신축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대상물의 적재높이에 따라 상기 흡착부(600)의 높낮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튜브지지부(700)는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710)와, 상기 마운팅부재(710)에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상기 신축관로부(500)가 위치되는 가이드부재(720)와, 상기 가이드부재(720)에서 상기 적재카트(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720)에 설치되는 지지휠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마운팅부재(710)는 상기 연장연통구(532)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720)의 관통설치를 위한 관통공(711)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재(720)는 평면상 "⊃"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신축관로부(500)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휠부재(730)는 상기 가이드부재(720)의 폭방향 양측에 장착된 상태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연결편(731)과, 상기 회전연결편(731)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720)의 내측에서 상기 적재카트(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신축튜브(520)를 지지하는 회전휠(73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휠(732)에 상기 신축튜브(520)가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부재(72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720)가 상기 마운팅부재(710)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암부(400)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휠(732)에 지지된 상기 신축튜브(520)의 지지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흡착부(600)가 상기 적재카트(100)의 상측면 방향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재(7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회전휠(732)에 지지된 상기 신축튜브(520)의 지지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흡착부(600)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지지부(700)에 의해 상기 신축튜브(520)를 지지하는 위치의 변경을 통해 상기 흡착부(6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적재카트(100)로의 적재대상물 승하차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적재카트 110: 이동바퀴부
120: 전방휠부 130: 후방휠부
140: 이동제한유닛 150: 기울림방지부
160: 흡입펌프 200: 견인부
210: 조인트폴 220: 연장폴
230: 파지폴 240: 컨트롤박스
300: 포스트부 310: 직립포스트
330: 무빙포스트 400: 회전암부
410: 연통연결부 500: 신축관로부
510: 조인트관로 520: 신축튜브
530: 관절구동부 600: 흡착부
700: 튜브지지부 710: 마운팅부재
720: 가이드부재 730: 지지휠부재

Claims (4)

  1. 지면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부(110)가 설치된 상태로 상측면에 적재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카트(100); 상기 적재카트(10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적재카트(1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200);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적재카트(100)에 마련된 흡입펌프(160)와 유동관로(161)를 매개로 연결되는 중공형 포스트부(300); 상기 포스트부(300)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포스트부(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회전암부(400); 상기 회전암부(4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관절구동부(530)를 매개로 내부가 연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신축관로부(500); 상기 신축관로부(5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적재대상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부(600);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흡착부(600)의 조작에 의해 신축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퀴부(110)는 상기 견인부(200)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적재카트(100)의 일측방향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방휠부(120)와, 상기 전방휠부(1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적재카트(100)의 타측방햐 하측면에 설치되는 후방휠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휠부(12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견인부(200)에 연결되는 회전가이드구(121)와, 상기 회전가이드구(121)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1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후방휠부(13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구동장치(131)와, 상기 전동구동장치(131)의 길이방향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2)의 이격거리는 상기 한 쌍의 후방바퀴(132)의 이격거리보다 짧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에는 적재대상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시, 상기 적재카트(100)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림방지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기울림방지부(150)는 상기 적재카트(100)의 하측면 네 모서리부분에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부(151)와, 상기 고정축부(151)에 장착브라켓(15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완충구(153)가 설치된 보강휠(1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지지부(700)는, 상기 관절구동부(53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부재(710)와, 상기 마운팅부재(710)에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상기 신축관로부(500)가 위치되는 가이드부재(720)와, 상기 가이드부재(720)에서 상기 적재카트(100)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신축관로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720)에 설치되는 지지휠부재(7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바퀴부(110)에 의한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제한유닛(140)은, 상기 적재카트(100)에 장착되는 실린더부재(141)와, 상기 실린더부재(141)의 로드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신장시 지면에 가압밀착되어 상기 적재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면안착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300)는 상기 견인부(200)와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적재카트(100)에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동관로(161)가 연결되는 중공형 직립포스트(310)와,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직립포스트(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마련된 고정클램프(320)에 의해 고정되는 중공형 무빙포스트(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KR1020200095920A 2020-07-31 2020-07-31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KR10231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20A KR102310931B1 (ko) 2020-07-31 2020-07-31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20A KR102310931B1 (ko) 2020-07-31 2020-07-31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931B1 true KR102310931B1 (ko) 2021-10-08

Family

ID=7811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20A KR102310931B1 (ko) 2020-07-31 2020-07-31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06B1 (ko) * 2022-10-11 2023-03-09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저중심 구조를 갖는 핸드 파레트 트럭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80Y1 (ko) * 2006-10-11 2008-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바닥설치용 운반장치
CN202480097U (zh) * 2012-01-13 2012-10-10 广州市华南橡胶轮胎有限公司 一种橡胶块真空吸附移动装置
KR20120139258A (ko) * 2011-06-17 2012-12-27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KR101286727B1 (ko) * 2012-05-03 2013-07-16 임병기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CN207826312U (zh) * 2018-01-05 2018-09-07 东莞市升佳净水材料有限公司 储罐装车输送装置
KR20200120157A (ko) * 2019-04-11 2020-10-21 최길웅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80Y1 (ko) * 2006-10-11 2008-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 바닥설치용 운반장치
KR20120139258A (ko) * 2011-06-17 2012-12-27 (주)금성다이아몬드 글래스 패널 이동용 진공흡착 유닛
CN202480097U (zh) * 2012-01-13 2012-10-10 广州市华南橡胶轮胎有限公司 一种橡胶块真空吸附移动装置
KR101286727B1 (ko) * 2012-05-03 2013-07-16 임병기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CN207826312U (zh) * 2018-01-05 2018-09-07 东莞市升佳净水材料有限公司 储罐装车输送装置
KR20200120157A (ko) * 2019-04-11 2020-10-21 최길웅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06B1 (ko) * 2022-10-11 2023-03-09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저중심 구조를 갖는 핸드 파레트 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05806A (ja) 吊上げ車両
US5417541A (en) Manual forklift pallet jack for unloading the contents of a beverage delivery truck
JP2009539732A (ja) 延長フォークを有するパレット台車
US20070189888A1 (en) Manipulator
US3815767A (en) Drum handling device
WO2018155027A1 (ja) 昇降装置
KR102310931B1 (ko) 진공흡착에 의한 적재대상물의 승하차가 가능한 적재카트장치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JPH09150741A (ja) 重量物運搬用の電動台車
JP2008519742A5 (ko)
US2706061A (en) Material handling equipment for industrial trucks
US4854422A (en) Hand-operated lift truck
KR102507706B1 (ko) 저중심 구조를 갖는 핸드 파레트 트럭
US6854552B2 (en) Fork lift with traverse motion system
GB2459458A (en) A means for rotating a cart
EP0686110B1 (en) Container carrier
CN110505981B (zh) 用于接收并运输部件、特别是软管或配管的设备、用于车辆的材料收集容器以及具有这种设备的吸泥车
JP3356539B2 (ja) 荷役車両
KR102400406B1 (ko) 덕트 리프트 장치
JPH09309697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降ろし用アタッチメント
CN109879211B (zh) 叉车
CN113581865A (zh) 一种移动式流水线码垛装置
JP3610412B2 (ja) 自走式台車
KR102221994B1 (ko) 차량의 적재함용 진공흡착시스템
WO2013111663A1 (ja) 車体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