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499B1 -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499B1
KR102310499B1 KR1020200051681A KR20200051681A KR102310499B1 KR 102310499 B1 KR102310499 B1 KR 102310499B1 KR 1020200051681 A KR1020200051681 A KR 1020200051681A KR 20200051681 A KR20200051681 A KR 20200051681A KR 102310499 B1 KR102310499 B1 KR 10231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teering
valve
port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신수식
김세진
양동희
Original Assignee
신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정밀(주) filed Critical 신진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05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5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means for varying pressurised fluid supply based on need, e.g. on-demand, variable ass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달리할 수 있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제1 펌프와, 상기 제1 펌프와 상이한 용량의 제2 펌프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쉬프트 밸브와,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거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좌측 조향 포트 또는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 또는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조향 밸브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쉬프트 밸브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매뉴얼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지로터 펌프가 구비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조향장치는 상기 차량의 차륜의 휠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손으로 잡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은 스티어링 샤프트 및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스티어링 모터로 전달되고, 상기 스티어링 모터에 의해 좌우측 타이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좌우측 차륜의 휠에 연결된 너클이 상기 좌우측 타이로드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우측 차륜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장치에는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향장치의 회전을 보조해주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 랙과 피니언이나 웜기어 등의 기계적인 동력전달 구조로 형성되지만, 중장비의 경우에는 기계적인 동력전달없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유압만을 사용하는 전유압식 장치이지만, 일반적인 차량과 마찬가지로 파워 스티어링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인력만으로 조향이 가능하게 작동된다.
하지만, 장비가 거대해지면서 기본적인 형태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사용할 경우 인력만으로 비상조향이 불가능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비상시에도 인력만으로 조향이 가능한 기능이 추가된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가장 효과적이며 현재 많이 쓰이는 방법은 두 개의 지로터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미국 등록 특허 US6016656(2000.01.25)(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지로터 펌프로 이루어진 두 개의 계량 펌프(metering pump)를 구비한 "HYDRAULIC CONTROL DEVICE"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는 상기 두 개의 계량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컷 오프 밸브(cut-off valve)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오일 펌프로부터 상기 컷 오프 밸브 내로 유압이 유입되면, 상기 컷 오프 밸브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더 부재(slider member)가 상기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컷 오프 밸브의 유로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계량 펌프가 유압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두 개의 계량 펌프의 유압이 방향 밸브(directional valve)를 통해 스티어링 모터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오일 펌프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컷 오프 밸브 내로 유압이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컷 오프 밸브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컷 오프 밸브의 유로가 원래대로 복원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계량 펌프가 유압적으로 서로 차단되어서, 상기 두 개의 계량 펌프 중 제1 계량 펌프의 유압만이 상기 방향 밸브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모터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오일 펌프의 고장과 같은 비상 상황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을 인력만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오일 펌프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작각 대비 차륜의 조향각을 달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오일 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일이 아니라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이 변경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실 상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단조로운 기능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 특허 US6016656(2000.01.25)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달리할 수 있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조작각 대비 차륜의 조향각을 달리할 수 있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제1 펌프, 제2 펌프, 쉬프트 밸브, 조향 밸브 및 매뉴얼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는 서로 상이한 용량의 펌프로 형성된다.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조향 밸브는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한다.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거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좌측 조향 포트 또는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한다.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우측 조향 포트 또는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한다. 상기 매뉴얼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매뉴얼 밸브는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쉬프트 밸브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한다.
상기 매뉴얼 밸브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제1 연결 유로, 제2 연결 유로 및 제3 연결 유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매뉴얼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펌프 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매뉴얼 밸브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쉬프트 밸브의 유압을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유로는 상기 탱크 포트 및 상기 매뉴얼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유로는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제4 연결 유로, 제5 연결 유로, 제6 연결 유로, 제7 연결 유로, 제8 연결 유로, 제9 연결 유로, 제10 연결 유로 및 제11 연결 유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 유로는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 유로는 상기 펌프 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조향 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5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 밸브,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6 연결 유로는 상기 쉬프트 밸브 및 상기 제2 펌프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7 연결 유로는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8 연결 유로는 상기 쉬프트 밸브,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9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 밸브 및 상기 좌측 조향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0 연결 유로는 상기 우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1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 밸브 및 상기 탱크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제4 연결 유로에서 분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제12 연결 유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 밸브, 상기 쉬프트 밸브, 상기 제4 연결 유로, 상기 제9 연결 유로,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와 로드센싱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우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8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우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8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매뉴얼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매뉴얼 밸브가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유압이 조향 밸브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 또는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의 조작특성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유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쉬프트 밸브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경우, 제1 펌프의 유압만이 조향 밸브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 또는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의 조작특성은 제1 펌프의 유압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매뉴얼 밸브의 유로를 변경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뉴얼 밸브의 유로를 변경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작각 대비 차륜의 조향각을 달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매뉴얼 밸브가 펌프 포트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펌프 또는 제2 펌프를 종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유압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의 유압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매뉴얼 밸브가 쉬프트 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유압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의 유압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상단부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상단에는 스티어링 휠(30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300)은 운전자가 차량을 조향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좌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티어링 샤프트(200)는 스티어링 휠(300)과 함께 좌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우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티어링 샤프트(200)는 스티어링 휠(300)과 함게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오일 펌프(40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오일 펌프(40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 펌프 포트(P)가 형성될 수 있다.
오일 펌프(400)는 오일 탱크(500)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일 펌프(400)는 제1 오일 유로(P1)를 통해 오일 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고, 펌프 포트(P)는 제2 오일 유로(P2)를 통해 오일 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오일을 오일 탱크(500)로 회수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오일 탱크(500)로 오일을 회수하는 탱크 포트(T)가 형성될 수 있다. 탱크 포트(T)는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좌우측 차륜(810, 8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시킬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차축(700)에 설치된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로 오일을 공급받거나 회수받는 조향 포트(L, R)가 형성될 수 있다.
차륜(810, 820)은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차륜(810)의 휠 내측에는 좌측 조향 너클(910)이 설치될 수 있고, 좌측 조향 너클(910)의 일단은 차축(70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조향 너클(910)의 타단은 링크 바(93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차륜(820)의 휠 내측에는 우측 조향 너클(920)이 설치될 수 있고, 우측 조향 너클(920)의 일단은 차축(700)의 우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조향 너클(920)의 타단은 링크 바(930)의 우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각각은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중 실린더의 끝단은 차축(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중 피스톤로드의 끝단은 좌측 조향 너클(910)의 양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중 실린더의 끝단은 차축(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중 피스톤로드의 끝단은 우측 조향 너클(920)의 양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조향 포트(L, R)는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조향 포트(L)는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조향 포트(R)는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오일 유로(P4)의 일단부는 두 개로 분지되어 제1 단부 유로(P41) 및 제2 단부 유로(P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부 유로(P41)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중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서 먼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단부 유로(P42)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중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가까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오일 유로(P5)의 일단부는 두 개로 분지되어 제3 단부 유로(P51) 및 제4 단부 유로(P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부 유로(P51)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중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가까운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단부 유로(P52)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중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서 먼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조향 포트(L)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에서 인출되면서 좌측 조향 너클(91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삽입되면서 우측 조향 너클(92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은 좌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은 제5 오일 유로(P5)로 이동된 후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 후에 탱크 포트(T)를 통해 배출되어서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즉,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타측보다 고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유출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타측에 충진된 유압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보다 저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조향 포트(R)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로 삽입되면서 좌측 조향 너클(91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인출되면서 우측 조향 너클(92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은 우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은 제4 오일 유로(P4)로 이동된 후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 후에 탱크 포트(T)를 통해 배출되어서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즉,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타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일측보다 고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유출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일측에 충진된 유압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타측보다 저압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매뉴얼 밸브가 펌프 포트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펌프 또는 제2 펌프를 종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2의 유압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의 유압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매뉴얼 밸브가 쉬프트 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유압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의 유압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조향 밸브(10), 제1 펌프(20), 제2 펌프(30), 쉬프트 밸브(40), 제1 밸브 플레이트(50), 제2 밸브 플레이트(60), 제3 밸브 플레이트(70), 엔드 캡(80) 및 매뉴얼 밸브(15)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밸브(10)는 스티어링 휠(300)의 회전에 따라 유압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조향 밸브(10)에는 펌프 포트(P), 탱크 포트(T),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가 형성될 수 있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펌프 포트(P)를 통해 오일 펌프(400)의 유압이 조향 밸브(10) 및 매뉴얼 밸브(1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조향 밸브(10)의 유압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으며,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의 유압이 조향 밸브(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탱크 포트(T)를 통해 조향 밸브(10)의 유압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펌프 포트(P)를 통해 오일 펌프(400)의 유압이 조향 밸브(10) 및 매뉴얼 밸브(1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조향 밸브(10)의 유압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으며,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의 유압이 조향 밸브(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탱크 포트(T)를 통해 조향 밸브(10)의 유압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조향 밸브(10) 내에는 드라이빙 샤프트(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조향 밸브(10)는 조향 밸브 하우징(12)과, 조향 밸브 하우징(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빙 샤프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밸브 하우징(12)은 조향 밸브(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드라이빙 샤프트(14)의 일단부는 제1 밸브 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제1 펌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드라이빙 샤프트(14)는 스티어링 휠(300)의 회전력에 의해 후술하는 커넥팅 샤프트(9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드라이빙 샤프트(14)의 타단부는 조향 밸브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이 돌출된 드라이빙 샤프트(14)의 타단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내주에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하단부 외주에 형성된 스플라인과 치합되는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빙 샤프트(14)는, 단일의 샤프트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길게 결합되거나,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빙 샤프트(14)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풀(14B)과, 스풀(14B)에 결합되어 스풀(14B)과 함께 회전되어서 커넥팅 샤프트(90)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브(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20)는 조향 밸브(10)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펌프(30)는 제1 펌프(20)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상이한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지로터(ge-rotor) 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펌프(20)는, 제1 펌프 하우징(22)과, 제1 펌프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기어(24)와, 제1 외측기어(24)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1 내측기어(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펌프(30)는, 제2 펌프 하우징(32)과, 제2 펌프 하우징(3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외측기어(34)와, 제2 외측기어(34)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내측기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 하우징(22)은 제1 펌프(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펌프 하우징(32)은 제2 펌프(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측기어(24) 및 제2 외측기어(34)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가 상이한 용량으로 형성된다' 것은, '제1 외측기어(24)의 중공(내부공간)의 크기와 제2 외측기어(34)의 중공(내부공간)의 크기가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펌프(30)의 용량이 제1 펌프(20)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되나, 제1 펌프(20)의 용량이 제2 펌프(30)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외측기어(24)는, 제1 펌프 하우징(2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펌프 하우징(22)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1 펌프 하우징(2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외측기어(34)는, 제2 펌프 하우징(3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펌프 하우징(32)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2 펌프 하우징(3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외측기어(24) 및 제2 외측기어(34) 각각의 내주면에는 제1 기어치(2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측기어(26) 및 제2 내측기어(36) 각각의 외주면에는 제1 기어치(24A)와 대응하는 제2 기어치(26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기어(26)는 커넥팅 샤프트(9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기어(26)는 커넥팅 샤프트(90)의 일단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내측기어(36)는 커넥팅 샤프트(9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기어(36)는 커넥팅 샤프트(90)의 타단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팅 샤프트(90)는 제2 밸브 플레이트(60)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60)의 중심에는 커넥팅 샤프트(9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샤프트(90)의 일단부는 제1 펌프(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샤프트(90)의 타단부는 제2 펌프(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샤프트(90)가 드라이빙 샤프트(14)에 의해 회전될 시, 제1 내측기어(26)가 회전되면서 제1 외측기어(24) 및 제1 내측기어(26)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키면서 제1 펌프(20)는 오일을 펌핑할 수 있고, 제2 내측기어(36)가 회전되면서 제2 외측기어(34) 및 제2 내측기어(36)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키면서 제2 펌프(30)는 오일을 펌핑할 수 있다.
쉬프트 밸브(40)는 제2 펌프(30)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쉬프트 밸브(40)는 매뉴얼 밸브(15)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펌프 포트(P)를 통해 조향 밸브(10)로 유입된 유압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통과한 후, 조향 밸브(10)의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배출되거나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게 되면, 펌프 포트(P)를 통해 조향 밸브(10)로 유입된 유압은 제1 펌프(20)만을 통과한 후, 조향 밸브(10)의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배출되거나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오일 펌프(400)의 고장 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오일 펌프(400)가 작동되지 않으면, 매뉴얼 밸브(15)는 쉬프트 밸브(40)로 오일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쉬프트 밸브(40)는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운전자는 자신의 힘만으로 스티어링 휠(3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쉬프트 밸브(40)는 쉬프트 밸브 하우징(42)과 슬라이딩 부재(44)와 리턴 스프링(46)을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은 쉬프트 밸브(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보어(4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4)는 보어(41)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4)는 보어(41)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 먼 슬라이딩 부재(44)의 일단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유압 플랜지(43)가 형성될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로부터 보어(41)로 유입된 유압은 유압 플랜지(43)가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44)의 일면을 가압하여서 슬라이딩 부재(44)를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유압 플랜지(43)는 보어(41)로 유입된 유압을 받는 슬라이딩 부재(44)의 일면의 면적을 증가시켜서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내부에 형성된 보어(41)는 유압 플랜지(43)가 배치된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에는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될 때 유압 플랜지(43)가 걸림되는 걸림단차(45)가 형성될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로부터 보어(41) 내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어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 접촉되기 전에, 유압 플랜지(43)는 걸림단차(45)에 걸림되어서, 슬라이딩 부재(44)가 더 이상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매뉴얼 밸브(15)로부터 보어(41) 내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어도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제3 밸브 플레이트(70)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밸브 플레이트(70)가 슬라이딩 부재(44)에 의해 가격되어 미세하게 변형될 경우 제2 펌프(30)의 회전 저항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매뉴얼 밸브(15)로부터 보어(41) 내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어도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4)의 타격으로 인한 제3 밸브 플레이트(7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슬라이딩 부재(44)는 보어(41)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어,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6)은 슬라이딩 부재(44)를 탄성 지지하여 슬라이딩 부재(44)를 캡(80)을 향해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턴 스프링(46)의 일단은 슬라이딩 부재(44)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6)의 타단은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는 리턴 스프링(46)의 타단이 안착되는 안착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되거나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서 멀어지게 이동될 때, 안착홈(72)은 리턴 스프링(46)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압착 및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엔드 캡(80)은 쉬프트 밸브(40)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쉬프트 밸브(40)의 내부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엔드 캡(80)은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개구된 외측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제1 밸브 플레이트(50)는 조향 밸브(10) 및 제1 펌프(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는 조향 밸브(10) 및 제1 펌프(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의 일측은 조향 밸브 하우징(12)의 개방된 내부공간 일측을 차폐할 수 있고, 제1 밸브 플레이트(50)의 타측은 제1 펌프 하우징(22)의 개방된 내부공간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에는 조향 밸브(10) 내에서 제1 펌프(2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향 밸브 하우징(12) 및 제1 펌프 하우징(22) 각각에는 상기 제1 홀과 연통되어 조향 밸브(10) 내에서 제1 펌프(2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플레이트(50)에는 제1 펌프(20) 내에서 조향 밸브(1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홀(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향 밸브 하우징(12) 및 제1 펌프 하우징(22) 각각에는 상기 제2 홀과 연통되어 제1 펌프(20) 내에서 조향 밸브(1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60)는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60)는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밸브 플레이트(60)의 일측은 제1 펌프 하우징(22)의 개방된 내부공간 타측을 차폐할 수 있고, 제2 밸브 플레이트(60)의 타측은 제2 펌프 하우징(32)의 개방된 내부공간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60) 각각에는 조향 밸브(10) 내에서 제2 펌프(3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3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향 밸브 하우징(12), 제1 펌프 하우징(22) 및 제2 펌프 하우징(32) 각각에는 상기 제3 홀과 연통되어 조향 밸브(10) 내에서 제2 펌프(3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플레이트(5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60) 각각에는 제2 펌프(30) 내에서 조향 밸브(1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4 홀(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향 밸브 하우징(12), 제1 펌프 하우징(22) 및 제2 펌프 하우징(32) 각각에는 상기 제4 홀과 연통되어 제2 펌프(30) 내에서 조향 밸브(10)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는 제2 펌프(30) 및 쉬프트 밸브(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는 제2 펌프(30) 및 쉬프트 밸브(4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의 일측은 제2 펌프 하우징(32)의 개방된 타측을 차폐할 수 있고, 제3 밸브 플레이트(70)의 타측은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개방된 내부공간 타측을 차폐할 수 있다.
제3 밸브 플레이트(70)에는 조향 밸브(10) 내에서 쉬프트 밸브(40) 내로 유압을 유입하기 위한 제5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조향 밸브 하우징(12), 제1 펌프 하우징(22) 및 제2 펌프 하우징(32) 각각에는 상기 제5 홀과 연통되어 조향 밸브(10) 내에서 쉬프트 밸브(40) 내로 유압을 유입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 플레이트(60) 및 제3 밸브 플레이트(70) 각각에는 제1 펌프(20) 내의 유압 및 제2 펌프(30) 내의 유압을 연결하기 위한 제6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펌프 하우징(22), 제2 펌프 하우징(32) 및 쉬프트 밸브 하우징(42) 각각에는 상기 제6 홀과 연통되는 커넥팅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44)의 외주에는 슬라이딩 부재(44)가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커넥팅 유로를 연결하는 커넥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44)가 보어(41)로 유입된 유압에 의해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향해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커넥팅 홈이 상기 커넥팅 유로를 연결함으로써,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유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엔드 캡(80), 쉬프트 밸브 하우징(42), 제3 밸브 플레이트(70), 제2 펌프 하우징(32), 제2 밸브 프레이트(60), 제1 펌프 하우징(22), 제1 밸브 플레이트(50) 및 조향 밸브 하우징(12)은 복수개의 볼트(B)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캡(80), 쉬프트 밸브 하우징(42), 제3 밸브 플레이트(70), 제2 펌프 하우징(32), 제2 밸브 프레이트(60), 제1 펌프 하우징(22), 제1 밸브 플레이트(50) 각각에는 복수개의 볼트(B)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조향 밸브 하우징(12)에는 복수개의 볼트(B)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트(B) 각각은 엔드 캡(80), 쉬프트 밸브 하우징(42), 제3 밸브 플레이트(70), 제2 펌프 하우징(32), 제2 밸브 프레이트(60), 제1 펌프 하우징(22), 제1 밸브 플레이트(50)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을 차례로 관통한 후, 조향 밸브 하우징(1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 제2 밸브 플레이트(60) 및 제3 밸브 플레이트(70)는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플레이트(50), 제2 밸브 플레이트(60) 및 제3 밸브 플레이트(70)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밸브 플레이트(50), 제2 밸브 플레이트(60) 및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제작 구조를 간단하게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제1 밸브 플레이트(50), 제2 밸브 플레이트(60) 및 제3 밸브 플레이트(70)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매뉴얼 밸브(15)는 쉬프트 밸브(40)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매뉴얼 밸브(15)의 일부는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외주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매뉴얼 밸브(15)의 나머지 부분은 쉬프트 밸브 하우징(42)의 외주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쉬프트 밸브(40)는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밸브(1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밸브(10)는 제1 펌프(20)로부터 유압을 제공받거나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좌측 조향 포트(L) 또는 우측 조향 포트(R)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밸브(10)는 우측 조향 포트(R) 또는 좌측 조향 포트(L)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매뉴얼 밸브(15)는 펌프 포트(P)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하여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뉴얼 밸브(15)는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쉬프트 밸브(40)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 설치되는 밸브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 사용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나, 본 실시예에서 매뉴얼 밸브(15)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유로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매뉴얼 밸브(15)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면 유압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해 매뉴얼 밸브(15)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매뉴얼 밸브(15)를 작동(ON)시키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다.
매뉴얼 밸브(15)는, 작동 시에 펌프 포트(P)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할 수 있고, 오프(미작동) 시에 쉬프트 밸브(4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매뉴얼 밸브(15)는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운전자 조작에 따라 상기 매뉴얼 밸브(15)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를 온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매뉴얼 밸브(15)를 온시킬 수 있고,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를 오프 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매뉴얼 밸브(15)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제1 연결 유로(L1), 제2 연결 유로(L2), 제3 연결 유로(L3), 제4 연결 유로(L4), 제5 연결 유로(L5), 제6 연결 유로(L6), 제7 연결 유로(L7), 제8 연결 유로(L8), 제9 연결 유로(L9), 제10 연결 유로(L10), 제11 연결 유로(L11) 및 제2 연결 유로(L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L1)는 펌프 포트(P) 및 매뉴얼 밸브(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L1)는 펌프 포트(P)로 공급된 유압을 매뉴얼 밸브(15)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L1)는 제4 연결 유로(L4)에서 분지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L2)는 매뉴얼 밸브(15) 및 쉬프트 밸브(40)를 연결할 수 있다.제2 연결 유로(L2)는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매뉴얼 밸브(15)로 공급된 유압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하여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L2)는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쉬프트 밸브(40)의 유압을 매뉴얼 밸브(15)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로(L3)는 탱크 포트(T) 및 매뉴얼 밸브(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로(L3)는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매뉴얼 밸브(15)로 공급된 유압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제4 연결 유로(L4)는 펌프 포트(P) 및 조향 밸브(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 유로(L4)는 펌프 포트(P)로 공급된 유압을 조향 밸브(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5 연결 유로(L5)는 조향 밸브(10), 제1 펌프(20) 및 쉬프트 밸브(40)를 연결할 수 있다.
제6 연결 유로(L6)는 쉬프트 밸브(40) 및 제2 펌프(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7 연결 유로(L7)는 제2 펌프(30) 및 쉬프트 밸브(40)를 연결할 수 있다.
제8 연결 유로(L8)는 쉬프트 밸브(40), 제1 펌프(20) 및 조향 밸브(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9 연결 유로(L9)는 조향 밸브(10) 및 좌측 조향 포트(L)를 연결할 수 있다.
제10 연결 유로(10)는 우측 조향 포트(R) 및 조향 밸브(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1 연결 유로(L11)는 조향 밸브(10) 및 탱크 포트(T)를 연결할 수 있다.
제12 연결 유로(L12)는 조향 밸브(10), 쉬프트 밸브(40), 제4 연결 유로(40), 제9 연결 유로(L9),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와 로드센싱포트(LS)를 연결할 수 있다. 제12 연결 유로(L12) 및 로드센서포트(LS)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 내의 유압 부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필수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뉴얼 밸브(15)가 작동 상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좌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좌회전시키면, 오일 펌프(400)는 펌프 포트(P)로 유압을 공급한다. 펌프 포트(P)로 공급된 유압 중, 일부는 매뉴얼 밸브(15)로 제공되고, 나머지는 조향 밸브(10)로 제공된다.
매뉴얼 밸브(15)가 작동 상태인 경우, 매뉴얼 밸브(15)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한다. 이리 하면, 쉬프트 밸브(40)는 제5 연결 유로(L5) 및 제6 연결 유로(L6)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제7 연결 유로(L7) 및 제8 연결 유로(L8)를 유압적으로 연결한다. 제5 연결 유로(L5) 및 제6 연결 유로(L6)가 유압적으로 연결되고, 제7 연결 유로(L7) 및 제8 연결 유로(L8)가 유압적으로 연결되면,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300)의 좌회전 시, 조향 밸브(1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4 연결 유로(L4)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로 공급하고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L9)로 공급한다. 이 때, 조향 밸브(10)는 우측 조향 포트(R)로부터 제10 연결 유로(L10)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11 연결 유로(L11)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매뉴얼 밸브(15)가 미작동 상태인 경우에는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유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조향 밸브(10)로 공급되는 유압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의 유압이다.
물론, 운전자가 차량을 우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우회전시키면, 스티어링 휠(300)을 좌회전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오일 펌프(400)는 펌프 포트(P)로 유압을 공급한다. 펌프 포트(P)로 공급된 유압 중, 일부는 매뉴얼 밸브(15)로 제공되고, 나머지는 조향 밸브(10)로 제공된다.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티어링 휠(300)의 좌회전 시와는 다르게, 스티어링 휠(300)의 우회전 시에는, 조향 밸브(1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4 연결 유로(L4)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제8 연결 유로(L8)로 공급하고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제10 연결 유로(L10)를 통해 우측 조향 포트(R)로 공급한다. 이 때, 조향 밸브(10)는 좌측 조향 포트(L)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제11 연결 유로(L11)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뉴얼 밸브(15)가 미작동 상태인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매뉴얼 밸브(15)가 미작동 상태인 경우 매뉴얼 밸브(15)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하지 않는다. 이리하면, 쉬프트 밸브(40) 내의 유압은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매뉴얼 밸브(15)로 이동되어, 쉬프트 밸브(40)는 제5 연결 유로(L5) 및 제6 연결 유로(L6)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고 제7 연결 유로(L7) 및 제8 연결 유로(L8)를 유압적으로 차단하며 제6 연결 유로(L6) 및 제7 연결 유로(L7)를 유압적으로 연결한다. 제5 연결 유로(L5) 및 제6 연결 유로(L6)가 유압적으로 차단되고, 제7 연결 유로(L7) 및 제8 연결 유로(L8)가 유압적으로 차단되면,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는 유압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제6 연결 유로(L6) 및 제7 연결 유로(L7)가 유압적으로 연결되면, 제1 펌프(20)의 유압만이 제5 연결 유로(L5) 또는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조향 밸브(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쉬프트 밸브(4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매뉴얼 밸브(15)로 이동된 유압은 제3 연결 유로(L3)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된다.
나머지 구성들의 유압 흐름은, 앞서 설명한 매뉴얼 밸브(15)가 작동 상태인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매뉴얼 밸브(15)를 구비한다. 매뉴얼 밸브(15)가 펌프 포트(P)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쉬프트 밸브(40)로 공급하여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의 유압이 조향 밸브(10)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L) 또는 우측 조향 포트(R)로 공급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300)의 조작특성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의 유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쉬프트 밸브(40)가 제1 펌프(20) 및 제2 펌프(30)를 유압적으로 차단되도록, 매뉴얼 밸브(15)가 쉬프트 밸브(40)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하는 경우, 제1 펌프(20)의 유압만이 조향 밸브(10)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L) 또는 우측 조향 포트(R)로 공급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300)의 조작특성은 제1 펌프(20)의 유압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매뉴얼 밸브(15)의 유로를 변경하여 스티어링 휠(300)의 조작력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매뉴얼 밸브(15)의 유로를 변경하여 스티어링 휠(300)의 조작각 대비 차륜의 조향각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향 밸브 15 : 매뉴얼 밸브
20 : 제1 펌프 30 : 제2 펌프
40 : 쉬프트 밸브 100 :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L : 좌측 조향 포트 L1 : 제1 연결 유로
L2 : 제2 연결 유로 L3 : 제3 연결 유로
L4 : 제4 연결 유로 L5 : 제5 연결 유로
L6 : 제6 연결 유로 L7 : 제7 연결 유로
L8 : 제8 연결 유로 L9 : 제9 연결 유로
L10 : 제10 연결 유로 L11 : 제11 연결 유로
L12 : 제12 연결 유로 P : 펌프 포트
R : 우측 조향 포트 T : 탱크 포트

Claims (10)

  1.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와 상이한 용량의 제2 펌프;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쉬프트 밸브;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거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좌측 조향 포트 또는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 또는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조향 밸브;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쉬프트 밸브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매뉴얼 밸브;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매뉴얼 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펌프 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하는 제1 연결 유로;
    상기 매뉴얼 밸브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쉬프트 밸브의 유압을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하는 제2 연결 유로;
    상기 탱크 포트 및 상기 매뉴얼 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쉬프트 밸브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유압적으로 차단할 시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매뉴얼 밸브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제3 연결 유로;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하고, 상기 펌프 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조향 밸브로 공급하며, 제1 연결유로가 분지되는 제4 연결 유로;
    상기 조향 밸브,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하는 제5 연결 유로;
    상기 쉬프트 밸브 및 상기 제2 펌프를 연결하는 제6 연결 유로;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쉬프트 밸브를 연결하는 제7 연결 유로;
    상기 쉬프트 밸브,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하는 제8 연결 유로;
    상기 조향 밸브 및 상기 좌측 조향 포트를 연결하는 제9 연결 유로;
    상기 우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조향 밸브를 연결하는 제10 연결 유로;
    상기 조향 밸브 및 상기 탱크 포트를 연결하는 제11 연결 유로; 및
    상기 조향 밸브, 상기 쉬프트 밸브, 상기 제4 연결 유로, 상기 제9 연결 유로,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와 로드센싱포트를 연결하는 제12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밸브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우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8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우회전 시,
    상기 매뉴얼 밸브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쉬프트 밸브로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쉬프트 밸브는, 상기 제5 연결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유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조향 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8 연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우측 조향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좌측 조향 포트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200051681A 2020-04-28 2020-04-28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31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81A KR102310499B1 (ko) 2020-04-28 2020-04-28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81A KR102310499B1 (ko) 2020-04-28 2020-04-28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499B1 true KR102310499B1 (ko) 2021-10-13

Family

ID=781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681A KR102310499B1 (ko) 2020-04-28 2020-04-28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4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935A (en) * 1989-07-14 1990-07-24 J. I. Case Company Auxiliary power steering system
US6016656A (en) 1996-02-24 2000-01-25 Danfoss A/S Hydraulic control device
EP2610142A1 (en) * 2011-12-27 2013-07-03 Sauer-Danfoss ApS Hydraulic steering device
US20140196804A1 (en) * 2013-01-16 2014-07-17 Sauer-Danfoss Aps Hydraulic control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935A (en) * 1989-07-14 1990-07-24 J. I. Case Company Auxiliary power steering system
US6016656A (en) 1996-02-24 2000-01-25 Danfoss A/S Hydraulic control device
EP2610142A1 (en) * 2011-12-27 2013-07-03 Sauer-Danfoss ApS Hydraulic steering device
US20140196804A1 (en) * 2013-01-16 2014-07-17 Sauer-Danfoss Aps Hydraulic control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414B2 (en)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front and rear steerable wheels
US20020157894A1 (en) Torque device for electronic steer-by wire steering systems
EP0682618B1 (en) Four-wheel steering system for vehicle
EP2944540B1 (en) Turning system and heavy-load wheeled vehicle having independent suspension
JPH07196049A (ja) 車両用操舵装置
EP1048549B1 (en) Hydrostatic automotive or high speed steering system
KR102310499B1 (ko)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12550445B (zh) 一种液压助力转向系统
JPH07117694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310498B1 (ko)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0157633B1 (ko) 유압제어밸브
KR100371734B1 (ko) 동력 조향장치
JPS611579A (ja) 動力操舵装置
JP4033232B2 (ja) 動力舵取装置
JP3931836B2 (ja) 動力舵取装置
JPH07466B2 (ja) 切換弁を備えた車両の4輪操舵装置
JPH0796389B2 (ja) 前後輪操舵車の後輪操舵装置
JP2000355279A (ja) リヤ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50280Y2 (ja) オ−ルテレンクレ−ン車の操舵装置
RU2033360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5771561A (zh) 一种双向驾驶四轮多功能液压控制方法
JP579957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586702B2 (ja) 車両用自動操向装置
JP2002087311A (ja) トラック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92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