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43B1 -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43B1
KR102309443B1 KR1020210029867A KR20210029867A KR102309443B1 KR 102309443 B1 KR102309443 B1 KR 102309443B1 KR 1020210029867 A KR1020210029867 A KR 1020210029867A KR 20210029867 A KR20210029867 A KR 20210029867A KR 102309443 B1 KR102309443 B1 KR 10230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ir vent
air
hol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정철영
이정흠
Original Assignee
대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공업 (주) filed Critical 대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21002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0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스터에 장착되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서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하금형과의 사이에 투입되는 소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상기 상금형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금형에 쿠션핀을 통하여 설치되는 블랭크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상금형, 하금형 및 블랭크 홀더에 히팅 카트리지가 배치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홀더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금형과 연통되어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1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금형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2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은 히팅 카트리지 사이마다 직분사공이 상하부에 각각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에는 볼텍스 튜브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소재의 온간성형 후 상기 볼텍스 튜브를 통해 제1, 제2 에어벤트홀 내부로 냉각공기를 분사시키고, 상기 냉각공기는 상기 직분사공을 따라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 직분사되어 상기 소재가 급속 냉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내부에 에어벤트홀을 형성시키고 볼텍스 튜브를 통해 냉각풍을 에어벤트홀로 공급하여 급속냉각을 통해 제품 성형 불량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더욱이 직분사공을 통해 소재 표면으로 냉각공기가 직분사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조로 반영구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비운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벤트홀의 냉각유로 개선을 통해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제품의 성형 굴곡부에 보다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급속냉각을 통해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Rapid cooling structure of warm forming press molding}
본 발명은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금형 내에 에어벤트홀을 형성시키고 볼텍스 튜브를 통해 냉각풍을 에어벤트홀 내부에서 직분사공을 통해 냉각공기를 소재 표면으로 직분사시켜 금형의 급속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비 향상을 목적으로 한 차체의 경량화와, 탑승자 보호를 위한 충돌 안전성 향상을 양립시키기 위해, 차량 부품에 대한 고강도 강판의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강도 강판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성형성이 떨어지고, 또 금형 이형 후의 탄성 회복에 의한 형상 변화(스프링 백)가 커, 치수 정밀도 불량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프레스 성형을 적용하는 부품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그 때문에, 프레스 성형성의 개선 및 형상 동결성의 향상(스프링 백의 감소)을 목적으로 하여,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5416호)에는 강판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 후에 프레스 성형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을 고강도 강판에 적용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열간 프레스 성형은, 냉간 프레스 성형보다 높은 온도에서 성형함으로써, 프레스 성형할 때의 강판의 변형 저항을 저하시키고, 바꾸어 말하면 변형 능력을 향상시켜, 형상 동결성의 향상을 프레스 균열의 방지와 함께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에서는 강판을 오스테나이트역까지 가열하고, 냉각시에 퀀칭·상변태를 수반하기 때문에, 성형 전후에서 강판의 조직이 변화하기 쉽고, 프레스 성형품에 있어서 강도나 연성과 같은 인장 특성의 편차가 큰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경량 알루미늄합금 판재에 탄소섬유 강화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이하, "CFRP" 라고 약칭한다)를 적용하여 자동차 패널의 강도를 높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CFRP는 프레스 금형의 온간성형법에 의해 수지가 녹으면서 알루미늄 패널의 상부면에 접합되도록 하는데, 프레스 금형의 히팅유닛에 의해 열접합시킨 다음, 금형의 냉각수로를 통해 패널이 냉각되도록 하여 경화시키나, 급속냉각의 온도제어가 어려워 도 1의 사진에서와 같이 제품산포 발생(미성형)과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표면냉각 온도편차에 의한 성형불량도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알루미늄 합금과 CFRP의 온간 동시성형시 발생되는 냉각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급속냉각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54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금형 내에 에어벤트홀을 형성시키고 냉각풍을 에어벤트홀 내부로 직분사시켜 금형의 급속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 전체면으로 냉각온도가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볼스터에 장착되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서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하금형과의 사이에 투입되는 소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상기 상금형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금형에 쿠션핀을 통하여 설치되는 블랭크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상금형, 하금형 및 블랭크 홀더에 히팅 카트리지가 배치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홀더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금형과 연통되어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1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금형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2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은 히팅 카트리지 사이마다 직분사공이 상하부에 각각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에는 볼텍스 튜브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소재의 온간성형 후 상기 볼텍스 튜브를 통해 제1, 제2 에어벤트홀 내부로 냉각공기를 분사시키고, 상기 냉각공기는 상기 직분사공을 따라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 직분사되어 상기 소재가 급속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은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하금형의 일측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공 및 배출공을 통해 냉각공기가 유통되고, 상기 상금형 및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금형의 표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공급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하여 상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의 유로 간격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에어벤트홀은 상기 블랭크 홀더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2개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벤트홀은 상기 하금형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2개 형성되되, 상기 각 공급공은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하금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되는 방향에서 냉각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상금형의 일측면에는 상기 블랭크 홀더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에어벤트홀이 연장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금형의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상기 블랭크 홀더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에어벤트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유출공을 연결하는 공기이송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이송통로는 상기 유입공과 상기 배출공에서 일정경사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금형의 측면을 냉각시키는 측면냉각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냉각유로의 내측면에는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은 상기 제 에어벤트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금형 내측으로 직경이 좁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내부에 에어벤트홀을 형성시키고 볼텍스 튜브를 통해 냉각풍을 에어벤트홀로 공급하여 급속냉각을 통해 제품 성형 불량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더욱이 직분사공을 통해 소재 표면으로 냉각공기가 직분사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조로 반영구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비운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벤트홀의 냉각유로 개선을 통해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제품의 성형 굴곡부에 보다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급속냉각을 통해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스 온간성형을 통해 탄소섬유 강화수지를 알루미늄합금 상부에 접착하여 동시 성형시, 탄소섬유 강화수지의 미성형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로 소재를 가압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내에 형성된 에어벤트홀의 배치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내에 형성된 에어벤트홀의 배치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로 소재를 가압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내에 형성된 에어벤트홀의 배치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는 제품의 하단면 형상을 갖는 하금형(100)이 하부의 볼스터(400)에 장착되고, 하금형(100)의 상부에는 제품의 상단면 형상을 갖는 상금형(200)이 상부의 슬라이더(6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금형(200)의 외측으로는 블랭크 홀더(300)가 배치되어 상금형(200)에 쿠션핀(700)을 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금형(200)은 하금형(100)과의 사이에 투입되는 소재를 블랭크 홀더(300)로 먼저 규제한 상태로 상부에서 가압하여 제품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는 상금형(200), 하금형(100) 및 블랭크 홀더(300) 내측으로 히팅 카드리지(500)가 일렬로 배치되어 히팅 카드리지(5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소재에 온열에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내로 투입되는 소재는 알루미늄합금 판재의 상부에 탄소섬유 강화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동시에 적층시켜 동시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온간성형 후 제품 냉각을 위해 금형 내부에 별도의 급속냉각 구조를 설계하여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프레스 가압시 블랭크 홀더(300)의 일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상금형(200)과 연통하여 블랭크 홀더(300)의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1 에어벤트홀(10)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금형(100)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2 에어벤트홀(20)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소재를 가압시켜 온간성형이 이루어진 후,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 내측으로 냉각공기를 공급시켜 유로를 따라 냉각공기가 이동되면서 열전달되어 소재가 급속냉각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에어벤트홀(10)은 블랭크 홀더(300)의 일측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공(310)과 배출공(320)을 통해 냉각공기가 내측으로 공급 및 외부로 배출되며, 블랭크 홀더(300) 사이에 개재되는 상금형(200)의 일측면에는 제1 에어벤트홀(10)이 연통되는 유입공(210)이 형성되고, 상금형(200)의 타측면에는 유입공(210)과 연통되어 블랭크 홀더(300)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에어벤트홀(10)과 연통되는 유출공(220)이 형성되며, 유입공(210)과 유출공(220)을 연결하는 공기이송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금형(200)에 형성된 유입공(210)과 유출공(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소재를 가압시킨 상태에서 제1 에어벤트홀(10)과 연통되도록 상금형(200)의 측면에 일정 높이 선상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금형(20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소재를 가압시켜 온간성형이 이루어진 다음, 제1 에어벤트홀(10) 내측으로 냉각공기를 주입시켜 히팅 카드리지(500)에 의해 가열된 상금형(200)과 블랭크 홀더(300)를 냉각시키면서, 이와 함께 성형된 제품 표면으로 냉각열이 전달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금형(200)의 일측면에는 고정홀(201)이 형성되고, 고정홀(201)이 형성되는 면과 대응되는 블랭크 홀더(300)의 일측면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고정돌기(301)가 삽입되어, 상금형(20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돌기(301)가 고정홀(201)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위치가 고정되어, 제1 에어벤트홀(10)이 정확한 위치에 상호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에어벤트홀(20)은 하금형(100)의 일측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공(110)과 배출공(120)을 통해 냉각공기가 유통되는데, 이러한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금형(200) 및 블랭크 홀더(300)와 하금형(100)의 표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금형의 길이방향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며, 금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2개씩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냉각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이 형성되는 각 공급공(110, 310)으로 볼텍스 튜브(800)가 각각 설치되어, 급속냉각공기를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 내측으로 직분사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볼텍스 튜브(800)는 유지보수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압축 공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움직이는 부분이 없는 구조로써 압축공기의 기류를 분리시켜 영하 50℃ 가량의 찬 바람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는 볼텍스 튜브(800)를 통해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 내측으로 냉각공기가 직분사되도록 하여, 온간성형 이후 신속하게 제품을 냉각시키도록 한다.
더욱이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은 일렬로 설치되는 히팅 카트리지(500) 사이마다 직분사공(11, 21)이 상하부에 각각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냉각공기가 직분사공(11, 21)을 따라 소재 표면으로 직분사되어 소재가 급속 냉각되면서 히팅 카트리지(500)의 주변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급속냉각을 위한 에어벤트홀은 냉각공기의 열접촉에 의해 공급공(110, 310)에서 배출공(210, 320)으로 향하면서 냉각공기의 온도가 높아져, 금형 전체면으로 일정한 온도제어가 용이하게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금형 내 온도변화 분포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에어벤트홀의 유로를 개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내에 형성된 에어벤트홀의 배치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이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되, 공급공(110, 310)에서 배출공(210, 320)을 향하여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의 유로가 이루는 간격이 협소해지도록 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공급공(110, 310)에서 시작되어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꺽여져 되돌아 오는 유로와 이루는 간격(d1, d2, d3, d4)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d1>d2>d3>d4), 냉각공기가 배출공(120, 320)을 향하여 유로 내부에 접촉되면서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접촉되는 간격을 더욱 좁혀 공급공(110, 310)에서 배출공(120, 320)으로 열확산이 보다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랭크 홀더(300)와 하금형(100)에 형성되는 제1, 제2 에어벤트홀(10, 20)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2개씩 형성되되, 각 공급공(110, 310)은 블랭크 홀더(300)와 하금형(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되는 방향에서 냉각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형성시켜 보다 신뢰도 높은 열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금형(200)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이송통로가 유입공(210)과 배출공(120, 320)의 연결부분에서 일정경사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금형(200)의 측면을 냉각시키는 측면냉각유로(230)가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성형 굴곡부에서 이러한 측면냉각유로(230)에 의해 냉각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 굴곡부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금형(200)의 양측 유입공(210)과 유출공(220)은 제1 에어벤트홀(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금형(200)이 하방에 소재를 가압할때 소재의 특성 및 가압력에 의해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보다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냉각공기가 유입공(210)과 유출공(220)으로 여유있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측면냉각유로(230)의 내측면에는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로를 따라 이송되는 냉각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하며, 다단의 층을 따라 공기가 부딪히면서 측면냉각유로(230) 부분에서 열전달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냉각유로의 개선을 통해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제품의 성형 굴곡부에 보다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급속냉각을 통해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하금형 110 : 공급공
120 : 배출공
200 : 상금형 210 : 유입공
220 : 유출공 230 : 측면냉각유로
300 : 블랭크 홀더 310 : 공급공
320 : 배출공
400 : 볼스터
500 : 히팅 카트리지
600 : 슬라이더 700 : 쿠션핀
800 : 볼텍스 튜브
10 : 제1 에어벤트홀 11 : 연통홈
20 : 제2 에어벤트홀 21 : 연통홈

Claims (3)

  1. 볼스터에 장착되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서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하금형과의 사이에 투입되는 소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상기 상금형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금형에 쿠션핀을 통하여 설치되는 블랭크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상금형, 하금형 및 블랭크 홀더에 히팅 카트리지가 일렬로 배치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홀더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금형과 연통되어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1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금형의 일측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타측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제2 에어벤트홀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은 히팅 카트리지 사이마다 직분사공이 상하부에 각각 외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에는 볼텍스 튜브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소재의 온간성형 후 상기 볼텍스 튜브를 통해 제1, 제2 에어벤트홀 내부로 냉각공기를 분사시키고, 상기 냉각공기는 상기 직분사공을 따라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 직분사되어 상기 소재가 급속 냉각되되,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은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하금형의 일측과 타측면에 형성되는 공급공 및 배출공을 통해 냉각공기가 유통되고, 상기 상금형 및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금형의 표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공급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하여 상기 상기 제1, 제2 에어벤트홀의 유로 간격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벤트홀은 상기 블랭크 홀더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2개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벤트홀은 상기 하금형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2개 형성되되, 상기 각 공급공은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하금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향되는 방향에서 냉각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금형의 일측면에는 상기 블랭크 홀더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에어벤트홀이 연장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금형의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상기 블랭크 홀더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에어벤트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상기 유출공을 연결하는 공기이송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이송통로는 상기 유입공과 상기 배출공에서 일정경사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금형의 측면을 냉각시키는 측면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냉각유로의 내측면에는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은 상기 제1 에어벤트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금형 내측으로 직경이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KR1020210029867A 2021-03-08 2021-03-08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KR10230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67A KR102309443B1 (ko) 2021-03-08 2021-03-08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67A KR102309443B1 (ko) 2021-03-08 2021-03-08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43B1 true KR102309443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67A KR102309443B1 (ko) 2021-03-08 2021-03-08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5723A (zh) * 2022-11-29 2023-03-17 萍乡市路盟环保新材料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球形催化剂的成型降温设备
CN116689589A (zh) * 2023-08-04 2023-09-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医疗器械加工用冲压设备
CN117139541A (zh) * 2023-10-18 2023-12-01 河北海浩高压法兰管件集团有限公司 一种法兰盘锻造成型模具
CN117344124A (zh) * 2023-10-17 2024-01-05 江苏瑞格高合金材料有限公司 高速钢加工的快速淬火设备
CN117344124B (zh) * 2023-10-17 2024-05-28 铜陵景昌钢制品有限公司 高速钢加工的快速淬火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416A (ja) 2004-01-20 2005-08-04 Nissan Motor Co Ltd 熱間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型
JP2009125808A (ja) * 2007-11-21 2009-06-1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熱成形プレス
KR20100060258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프레스 경화용 금형장치
JP2014076483A (ja) * 2012-10-05 2014-05-01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ホットスタンピング成形装置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416A (ja) 2004-01-20 2005-08-04 Nissan Motor Co Ltd 熱間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型
JP2009125808A (ja) * 2007-11-21 2009-06-1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熱成形プレス
KR20100060258A (ko)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프레스 경화용 금형장치
JP2014076483A (ja) * 2012-10-05 2014-05-01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ホットスタンピング成形装置及びその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05723A (zh) * 2022-11-29 2023-03-17 萍乡市路盟环保新材料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球形催化剂的成型降温设备
CN116689589A (zh) * 2023-08-04 2023-09-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医疗器械加工用冲压设备
CN116689589B (zh) * 2023-08-04 2023-11-07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医疗器械加工用冲压设备
CN117344124A (zh) * 2023-10-17 2024-01-05 江苏瑞格高合金材料有限公司 高速钢加工的快速淬火设备
CN117344124B (zh) * 2023-10-17 2024-05-28 铜陵景昌钢制品有限公司 高速钢加工的快速淬火设备
CN117139541A (zh) * 2023-10-18 2023-12-01 河北海浩高压法兰管件集团有限公司 一种法兰盘锻造成型模具
CN117139541B (zh) * 2023-10-18 2024-04-16 河北海浩高压法兰管件集团有限公司 一种法兰盘锻造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443B1 (ko) 금형 내 에어벤트홀을 통한 냉각풍을 직분사하는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급속 냉각구조
CN104797407B (zh) 金属/cfrp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和制造设备
US8349100B2 (en) Method for press-molding embossed steel plate
KR101933915B1 (ko) 복합 섬유 시트의 열간 압착 성형장치
JP6940509B2 (ja) 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装置
JP2014079790A (ja) 熱間プレス成形方法及び金型
KR101679966B1 (ko) 핫스탬핑 금형 장치
JP6112286B1 (ja) 熱間プレス法および熱間プレスシステム
US20170348753A1 (en) A tool for hot forming structural components
KR102347724B1 (ko) 탄소섬유 강화수지와 금속판재의 동시성형을 위한 온간성형 프레스 금형 장치의 냉각구조
KR101098092B1 (ko) 수평식 절곡 강화유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070973A (ja) 熱間プレス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128500B1 (ko) 이형 통전 가열기를 이용한 핫 프레스 포밍 방법
KR100804963B1 (ko)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냉각 지연장치
US11504758B2 (en) Hot press processing method and hot press processing apparatus
US11420379B2 (en) Method for hot-forming a thermoplastic material and implementation facility
KR101382180B1 (ko) 핫 스탬핑용 예열 장치
CN107548326B (zh) 用于生产浇铸型芯的芯盒
US20210164071A1 (en) Temperature-control device for partially cooling a component
JP5685462B2 (ja) ホットプレス装置
CN107000019A (zh) 用于对工件进行变形和/或部分地加压淬火的模具以及用于对工件进行变形和/或部分地加压淬火的方法
KR20080099756A (ko) 웰드레스 방식의 사출금형 장치
CN109434082A (zh) 一种用于汽车模具的冷却装置
CN213440817U (zh) 一种橡胶制品制造设备
KR101606512B1 (ko) 이송대상물 냉각장치가 포함된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