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67B1 -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67B1
KR102307867B1 KR1020190172217A KR20190172217A KR102307867B1 KR 102307867 B1 KR102307867 B1 KR 102307867B1 KR 1020190172217 A KR1020190172217 A KR 1020190172217A KR 20190172217 A KR20190172217 A KR 20190172217A KR 102307867 B1 KR102307867 B1 KR 10230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pressure sensor
unit
distress signal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944A (ko
Inventor
박준호
임승주
장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63C2009/0052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by water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직물프레임부,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 사이에 결합되고 수압을 감지하여 수압에 대한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수압센서부, 수압센서부와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압을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를 포함하고, 수압은 수압센서부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와 평행한 수압을 제외한 물의 압력이고,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는 수압에 의해 신축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수압센서부를 가압하면서 수압을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A water pressure sensor, technical clothes including the same and providing method of SOS signal thereof}
본 발명은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프레임부 및 필름부와 평행한 수압을 제외한 수압만을 감지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통하여 생성된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 발생부에서 조난신호를 관제센터 및 부력생성부로 전송하는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어선, 선박, 낚시, 해양레포츠, 해상작업, 안전요원 등과 같은 해상 활동 중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해난사고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체의 목 뒤에서 어깨, 가슴 앞쪽을 포함하는 상반신에 착용함으로써 물에 빠져도 몸이 뜰 수 있어 소중한 인명을 보호한다.
한편, 해상에서 발생하는 익사사고의 경우, 익사자 중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는 구명조끼의 착용감은 물론 활동성이 나빠서 대부분 착용을 기피하고 있었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명조끼를 살펴보면,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조끼를 구성하고 조끼 내부에는 가벼운 부력재를 투입하거나 또는,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공기팽창식 구명조끼의 가스발사기가 입수와 동시에 에어튜브에 기체(공기)를 주입하여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왔다.
하지만, 전자의 부력재는 다소 딱딱하여서 신체 활동이 불편하여 사용자들이 착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후자의 공기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에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하여 부력이 크지만, 수동팽창 인플레이터, 에어튜브, 가스를 보관 및 주입하기 위한 실린더 및 에어유니트가 날카로운 것에 긁히거나 찔리면 쉽게 손상 및 파손되므로 위급상황 시, 재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182957호(2012.09.13.)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938282호(2019.01.08.)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수압센서부에서 일정 이상의 수압이 감지되었을 경우 생성되는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조난신호 발생부를 통하여 부력생성부에서 부력을 생성함은 물론 사용자의 지인의 단말기나 관제센터로 조난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재질의 수압센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는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직물프레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 사이에 결합되고 수압을 감지하여 상기 수압에 대한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수압센서부; 상기 수압센서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압을 상기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은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와 평행한 수압을 제외한 물의 압력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는 상기 수압에 의해 신축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수압센서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수압을 상기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염화비닐(PCV) 및 이축연신 폴리에틸렌(O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신축성을 지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서부는 직물, 부직포 및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전도성을 지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서부는 수분, 풍압, 대기압 및 강성을 가지는 매개체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은 제1 직물프레임 및 상기 제1 직물프레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직물프레임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는 상기 제1 직물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직물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필름이며, 상기 제1 직물프레임, 제1 필름 및 상기 수압센서부, 상기 제2 직물프레임, 제2 필름 및 상기 수압센서부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 및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의류와 결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한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의류 사이를 개폐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는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의류 사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상기 의류에 형성되고 상기 수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압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조난신호 발생부; 및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센서부에서 상기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관제센터나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내부로 부력기체가 주입되는 부력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부력생성부로 전송하여 상기 부력생성부의 내부로 상기 부력기체가 주입되도록 상기 부력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부력생성부는 상기 부력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기능성 의류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압센서부가 상기 수압을 감지하여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관제센터,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능성 의류의 부력발생부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부력발생부가 내부로 부력기체를 주입하여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부력발생부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관제센터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수압센서부에서 일정 이상의 수압이 감지되었을 경우 생성되는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조난신호 발생부를 통하여 부력생성부에서 부력을 생성함은 물론 사용자의 지인의 단말기나 관제센터로 조난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직물 재질의 수압센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의 (c)는 도 3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의 하부만 물에 노출되었을 경우, 필름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의 중앙부까지 물에 노출되었을 경우, 필름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섬유형 수압센서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섬유형 수압센서(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의 (c)는 도 3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100)는 직물프레임부(110), 수압센서부(120) 및 필름부(130)를 포함한다.
직물프레임부(110)는 직사각형상의 테두리부분만 형성되어 창틀과 같이 내부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서의 직물프레임부(110)는 직사각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직물프레임부(110)는 연질폼 또는 두꺼운 직물의 재질로 구성되어 의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직물프레임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110)은 제1 직물프레임(111) 및 제1 직물프레임(111)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 직물프레임(111)과 결합되는 제2 직물프레임(112)이다.
제1 직물프레임(111) 및 제2 직물프레임(112)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물프레임부(110)는 직물프레임부(110)는 제1 직물프레임(111) 및 제2 직물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수압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110) 사이에 결합되고 수압을 감지하여 수압에 대한 수압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압은 수압센서부(120) 및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130)와 평행한 수압을 제외한 물의 압력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수압센서부(120)는 직물, 부직포 및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전도성을 지닌 섬유일 수 있으며, 수압센서부(120)에는 후술되는 조난신호 발생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압센서부(120)는 수분, 풍압, 대기압 및 강성을 가지는 매개체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압센서부(120)는 수분에 닿는 정도이거나 물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아닌 바람에 의한 풍압, 대기 중의 기압 및 물리적인 압력(예를 들어, 인체나 강성을 가지는 매개체로 수압센서부를 가압 등)에 의해서는 반응하지 않으며, 오로지 수압에만 반응한다.
필름부(130)는 수압센서부(120)와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111, 112)에 결합되어 수압을 수압센서부로 전달한다. 필름부(130)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필름부(130)는 2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130)는 수압에 의해 신축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수압센서부(120)를 가압하면서 수압을 수압센서부(1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필름부(130)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염화비닐(PCV) 및 이축연신 폴리에틸렌(O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신축성을 지닌 필름일 수 있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130)는 제1 직물프레임(1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 필름(131) 및 제1 필름(131)과 대향하도록 제2 직물프레임(112)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필름(13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b), (c)를 참조하면, 제1 필름(131)은 제1 직물프레임(111)의 외측에 형성되되, 제1 직물프레임(111)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름(132)은 제2 직물프레임(112)의 외측에 형성되되, 제2 직물프레임(112)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1 직물프레임(111), 제1 필름(131) 및 수압센서부(120)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직물프레임(112), 제2 필름(132) 및 수압센서부(120)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내부공간은 수압이 작용함에 따라 제1 필름(131) 및 제2 필름(132)이 수압센서부(120)를 향하여 변형됨에 따라 수압센서부(120)로 수압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의 하부만 물에 노출되었을 경우, 필름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의 중앙부까지 물에 노출되었을 경우, 필름부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섬유형 수압센서(100)의 하부만 물에 잠겼을 경우와 본 발명의 섬유형 수압센서(100)의 제1 필름(131)과 제2 필름(132)이 변형되는 정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섬유형 수압센서(100)에 작용하는 수압은 도 4의 (a)의 상태보다 도 4의 (b)의 상태에서 더 크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1 필름(131)과 제2 필름(132)은 도 4의 (a)에 도시된 상태보다 도 4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 많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수압센서부(120)로 수압을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압센서부(120)를 소지한 상태라면, 수압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수압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2.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30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섬유형 수압센서가 수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300)는 섬유형 수압센서(100) 및 기능성 의류(200)를 포함한다.
섬유형 수압센서(100)는 기능성 의류(200)에 선택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이러한 섬유형 수압센서(1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조하도록 한다.
기능성 의류(200)는 의류(210), 수용부(220), 부력생성부(230), 조난신호 발생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의류(21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해양, 해상, 강가, 계곡 등과 같은 물이 존재하는 곳에 착용하는 구명조끼, 래쉬가드, 잠수복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의류(210)에는 수용부(220), 부력생성부(230), 조난신호 발생부(240) 및 제어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20)는 의류(210)에 형성되어 섬유형 수압센서(100)를 수용한다. 또한, 수용부(220)는 의류(210)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수압에 가장 취약한 복부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섬유형 수압센서(100)는 상기한 위치에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수로 인한 안전사고에도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수압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용부(220)는 수용부재(221) 및 체결부재(222)를 포함한다.
수용부재(221)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의류(210)와 결합한다. 예시적으로 수용부재(221)는 캥거루 주머니와 같이 의류(210)와 결합함에 따라 의류(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수용부재(221)의 소재는 의류(210)와 동일한 소재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부재(222)는 수용부재(221)의 적어도 일부 및 수용부재(221)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한 의류(210)에 형성되어 수용부재(221)의 적어도 일부와 의류(210) 사이를 개폐시킨다. 이를 위한 체결부재(222)는 지퍼, 벨크로, 똑딱이 등과 같은 체결방식을 취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의류(210)와 수용부재(221)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방식이든 무방하다.
상기한 구조를 통하여 섬유형 수압센서(100)는 수용부재(221)와 의류(2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섬유형 수압센서(100)를 수용부재(221)와 의류(210) 사이에 넣을 수도 있고, 빼낼 수도 있다.
부력생성부(230)는 의류(210)에 형성되어 내부로 부력기체가 주입된다. 구체적으로 부력생성부(230)는 부력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부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부력생성부(230)는 의류(210)의 목 부위, 가슴 부위 및 복부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조난신호 발생부(240)는 의류(210)에 형성되고 수압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압센서부(120)로부터 수신한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조난신호 발생부(240)는 생성한 조난신호를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부력생성부(230), 관제센터나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수압센서부(120) 및 조난신호 발생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압센서부(120) 및 조난신호 발생부(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만약, 수압센서부(120)에서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관제센터나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조난신호 발생부(240)로부터 수신한 조난신호를 부력생성부(240)로 전송하여 부력생성부(230)의 내부로 부력기체가 주입되도록 부력생성부(240)를 제어한다.
3.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300)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300)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은 (a) 수압센서부(120)가 수압을 감지하여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조난신호 발생부(230)가 제어부(250)에 의해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제어부(250)가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난신호를 관제센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 및 기능성 의류(200)의 부력발생부(230)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d) 부력발생부(230)가 내부로 부력기체를 주입하여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조난신호는 수압센서부(120)에서 감지되는 수압에 대한 신호로서, 수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난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지인이나 관제센터에 근무하는 직원은 사용자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제어부(250)가 조난신호 발생부(240)를 제어하여 조난신호를 부력발생부(230)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c2) 제어부(250)가 조난신호 발생부(240)를 제어하여 조난신호를 관제센터 및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수압센서부에서 일정 이상의 수압이 감지되었을 경우 생성되는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조난신호 발생부를 통하여 부력생성부에서 부력을 생성함은 물론 사용자의 지인의 단말기나 관제센터로 조난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섬유형 수압센서
110: 직물프레임부
111: 제1 직물프레임
112: 제2 직물프레임
120: 수압센서부
130: 필름부
131: 제1 필름
132: 제2 필름
200: 기능성 의류
210: 의류
220: 수용부
221: 수용부재
222: 체결부재
230: 부력생성부
240: 조난신호 발생부
250: 제어부
300: 기능성 의류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직물프레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 사이에 결합되고 수압을 감지하여 상기 수압에 대한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수압센서부;
    상기 수압센서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압을 상기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은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와 평행한 수압을 제외한 물의 압력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는 상기 수압에 의해 신축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수압센서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수압을 상기 수압센서부로 전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물프레임은 제1 직물프레임 및 상기 제1 직물프레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직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직물프레임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름부는 상기 제1 직물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직물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필름이며,
    상기 제1 직물프레임, 제1 필름 및 상기 수압센서부, 상기 제2 직물프레임, 제2 필름 및 상기 수압센서부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염화비닐(PCV) 및 이축연신 폴리에틸렌(OP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신축성을 지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서부는 직물, 부직포 및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전도성을 지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서부는 수분, 풍압, 대기압 및 강성을 가지는 매개체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
  5. 삭제
  6. 제1 항에 따른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 및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의류와 결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한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의류 사이를 개폐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형 수압센서는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의류 사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상기 의류에 형성되고 상기 수압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압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조난신호 발생부; 및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센서부에서 상기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관제센터나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조난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상기 의류에 형성되어 내부로 부력기체가 주입되는 부력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부력생성부로 전송하여 상기 부력생성부의 내부로 상기 부력기체가 주입되도록 상기 부력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부력생성부는 상기 부력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수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9. 제6 항에 기능성 의류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압센서부가 상기 수압을 감지하여 수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조난신호 발생부가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압신호를 기반으로 조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압센서부 및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관제센터,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기능성 의류의 부력발생부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부력발생부가 내부로 부력기체를 주입하여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부력발생부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c2)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난신호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상기 관제센터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KR1020190172217A 2019-12-20 2019-12-20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KR10230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17A KR102307867B1 (ko) 2019-12-20 2019-12-20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17A KR102307867B1 (ko) 2019-12-20 2019-12-20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44A KR20210079944A (ko) 2021-06-30
KR102307867B1 true KR102307867B1 (ko) 2021-10-05

Family

ID=7660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217A KR102307867B1 (ko) 2019-12-20 2019-12-20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097A (ko) 2021-10-27 2023-05-04 (주)카네비모빌리티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37A1 (ko)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탭과 메탈 리드의 접합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3276A (ja) * 2009-04-03 2010-10-28 Seiko Epson Corp 相対圧力センサー、相対圧力測定装置及び相対圧力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10B1 (ko) * 2011-04-28 2013-04-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KR102420891B1 (ko) * 2017-11-20 2022-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페브릭 압력 센서
KR20190063003A (ko) * 2017-11-29 2019-06-07 최종운 수중 인명 구조용 스마트 에어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3276A (ja) * 2009-04-03 2010-10-28 Seiko Epson Corp 相対圧力センサー、相対圧力測定装置及び相対圧力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097A (ko) 2021-10-27 2023-05-04 (주)카네비모빌리티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KR20240031276A (ko) 2021-10-27 2024-03-07 (주)카네비모빌리티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944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867B1 (ko)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US20170313395A1 (en) Lifesaving device and lifesaving control method
KR101182957B1 (ko)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CA1333443C (en) Inflatable immersion suit
CN209870696U (zh) 一种救援型救生衣
WO2013164864A1 (en) Life-saving self-inflating garment for apnea swimmers and swimmers
CN205156750U (zh) 一种便于拆卸的救生衣防弹衣
US9079647B2 (en) Vented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242728Y1 (ko) 구명복용부력제
WO2015011629A9 (en) Clothing with inflation system
KR102144461B1 (ko) 구명기능을 갖는 작업복
KR102438368B1 (ko) 수상사고에 대한 2차 사고의 예방 및 안전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3378B1 (ko) 수상용 인명구조 장치
KR20180015946A (ko) 우의 겸용 구명복
KR101047653B1 (ko) 해양 실족사고 자동알림장치
WO1995022262A1 (en) Thermoinsulative protective garments
KR200385153Y1 (ko) 일체형 구명복
KR20200052815A (ko)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CN213787378U (zh) 一种佩戴式无线生命特征检测设备
KR20090002973U (ko) 구명조끼
JP3065606U (ja) 救命胴衣として機能する常時着用型の安全衣
JP4242625B2 (ja) 救命具付きの胸当てズボン
KR20240005508A (ko) 벨트 형태의 구명용 장치
KR20240057649A (ko) 발열 장치를 포함하는 드라이슈트
CN205197048U (zh) 一种抗浸防寒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