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097A -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097A
KR20230060097A KR1020210144377A KR20210144377A KR20230060097A KR 20230060097 A KR20230060097 A KR 20230060097A KR 1020210144377 A KR1020210144377 A KR 1020210144377A KR 20210144377 A KR20210144377 A KR 20210144377A KR 20230060097 A KR20230060097 A KR 2023006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signal
distress
transmitting device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택
김창돈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10144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097A/ko
Publication of KR2023006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097A/ko
Priority to KR1020240025890A priority patent/KR20240031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배터리 전력의 소모를 감소시키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는 조난 신호부 및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물에 잠겨서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DISTRESS SIGNAL TRANSMITTING DEVICE FOR REDUCING CONSUMPTION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선원이 조난 상황에 처하면 조난 신호를 발생시켜야만 한다. 조난 상황이 오래될 수 있으므로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오랫동안 온되어 있어야 하나, 조난 신호를 계속 출력하면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가 없다.
KR 10-2307867 B
본 발명은 배터리 전력의 소모를 감소시키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신호 발신 장치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는 조난 신호부; 및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물에 잠겨서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난 신호 발신 장치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는 조난 신호부; 및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일정 수심 이상 가라앉으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고, 상기 일정 수심 미만으로 가라앉거나 수면 위에 있을 때 상기 조난 신호를 기설정 주기로 출력시킨다.
상기 각 실시에서는 파고의 높이를 감지하여 최고조에 달할 때 조난신호를 송출하고 최저 높이 또는 수면 이하로 잠길 때 조난신호의 송출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신 장치는 일정 수심 이상으로 가라앉아서 압력이 1.03 기압 이상이 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파도의 최고점에서 송신할 경우 통달거리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선원용 조난 위치 발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에 소정 깊이 이상 잠겼을 때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소정 깊이 이하 또는 수면 위에 있을 때 조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가 상당히 절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난 위치 알림 시스템은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 및 관제 센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어선원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로서, 어선원이 바다에 빠지는 등의 조난 상황에 처했을 때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조난 신호는 사방으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고 관제 센터(102)로만 전송될 수도 있다.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관제 센터(102)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중간의 다른 단말기들을 통하여 관제 센터(102)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난 신호는 조난 상황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난 신호는 어선원의 제어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고,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조난 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관제 센터(102)는 상기 조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어선원이 조난 상황임을 알아차리고, 상기 조난 신호에 포함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어선원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로 구조선을 보내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가 포함된 조난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집하면, 상기 어선원의 이동 경로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계속적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시키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게 된다.
특히,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소정 깊이 이상 물에 잠겼을 때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상기 출력된 조난 신호가 관제 센터(102)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물에 잠겼다고 판단이 되면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고, 수면 위에 있을 때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되, 소정 깊이 이상 물에 잠겼을 때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빠졌다고 바로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이상 물에 빠졌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만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를 어선원이 소지하고 있으며, 상기 어선원은 바다에 빠지는 등 조난 상황에 처했을 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조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어선원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조난 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거나, 조난 위치 발신장치(100)가 조난 상황을 감지하여 조난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GPS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조난 신호에 포함시켜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염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염분치가 기준치 이상이면 조난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어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잠겼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02).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잠기지 않았으면 조난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시킨다.
반면에,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잠겼다고 판단되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204). 상기 슬립 모드에서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물론,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GPS를 통하여 위치 정보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계속하여, 어선원이 물에 잠겼다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수면 위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06).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수면 위에 존재하지 않고 물에 잠겨 있으면, 슬립 모드가 유지된다(S208).
반면에,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수면 위에 존재하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다시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만, 수면 위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특정 시간 이상 수면 위에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만 수면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어선원이 위험 상황인 경우 조난 신호를 관제 센터(102)로 출력시키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잠겼을 때에는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되, 조난 신호 출력 경과 시간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에를 들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는 시간이 길어지면 조난 신호의 세기를 점차 줄이거나 출력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소모를 절약시키는 방법으로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조난 신호를 발생시키되, 관제 센터(102)로부터 조난 상황을 파악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만, 어선원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므로, 조난 신호는 계속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잔존 배터리 양을 파악하고, 상기 잔존 배터리 양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초기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때는 관제 센터(102)로만 전송하되, 초기 조난 신호를 출력한 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난 신호를 사방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주변에 있는 선박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어선원의 수동 제어 또는 자동으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00).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특정 주기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어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물에 잠겨서 일정 수심 깊이로 들어갔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심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즉,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압력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압력이 예를 들어 1.03 기압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여기서, 1.03 기압은 수중 30cm 진입했을 때의 압력으로서 일 예시일 뿐이며, 이로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CPU는 ADC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전압 값)을 확인하며, 상기 전압 값을 기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압력이 1.03 기압보다 작으면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고, 1.03 기압 이상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모드가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에서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특정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압력 센서는 계속해서 활성화시키고 조난 신호 출력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오프시킬 수 있다.
어선원이 수면 위로 떠오름에 따라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도 떠오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압력이 1.03 기압 미만으로 다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압력이 1.03 기압 미만으로 변화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06).
압력이 1.03 기압 이상이면 슬립 모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며, 1.03 기압 미만으로 변화되면 슬립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S310).
이어서,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압력이 최소값이 되었을 때, 즉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판단될 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다시 출력시킬 수 있다.
물론,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상기 슬립 모드가 해제되자마자 즉시 조난 신호를 다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압력 1.03 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조난 신호를 출력하거나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이 1.03 기압을 기준으로 출렁거릴 경우,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조난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압력이 출렁거릴때는 압력이 1.03 기압 이상이더라도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며, 1.03 기압 이상의 압력이 일정 시간 유지되었을 때만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압력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이 1.0 기압에서 1.03 기압 사이에서 압력의 변화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1.0 기압에서 1.03 기압으로 변화될 때의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의 변화와 1.03 기압에서 1.0 기압으로 변화될 때의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의 변화가 다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1.03 기압 미만으로물에 잠겨있을 때는 GPS를 통하여 위치 정보는 획득하되 조난 신호는 출력시키지 않을 수 있고, 수면 위에 있을 때 비로소 조난 신호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1.03 기압 이상에서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되 위치 정보는 계속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기설정 시간 이상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면 위치 정보 검출을 중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난 위치 발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는 제어부(400), 통신부(402), 센서부(404), GPS부(406), 조난 신호부(408), 신호 출력 제어부(410) 및 배터리(4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02)는 관제 센터(102) 등과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센서부(404)는 압력 센서 또는 염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분 센서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해수에 잠기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염분을 감지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가 잠겨진 깊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압력 값을 감지할 수 있다.
GPS부(406)는 GPS 위성과 통신하여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위치 내지 위치와 고도를 파악할 수 있다.
조난 신호부(408)는 조난 위치 발신 장치(100)의 위치 정보 및 조난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조난 신호를 관제 센터(102)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출력 제어부(410)는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 신호 발신 장치(100)의 압력이 1.03 기압 미만이면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고, 1.03 기압 이상이면 조난 신호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출력 제어부(410)는 조난 신호 출력 경과 시간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배터리(412)는 전원을 조난 신호 발신 장치(100)의 구성요소들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각 실시예에서 조난신호는 수면으로부터 높이가 가장 높을 때 송신하면 육지 혹은 주변의 선박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난신호 발신장치는 GPS로 측정되는, 평균 이상의 높은 위치에서 송신을 하도록 GPS의 고도 측정 기법을 적용하거나, 1.03 미만으로 유지되는 시간대의 중앙 부근으로 산출되는 중간 시간대, 즉 파도의 정점에 위치한 시간이라고 유추되는 시간대에 조난신호를 송출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조난신호는 그 당시 조난자가 처한 수면의 위치에서 가장 멀리까지 조난신호가 도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면에서 흡수되는 무선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조난 신호 발신 장치 102 : 관제 센터

Claims (9)

  1. 조난 신호 발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는 조난 신호부; 및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물에 잠겨서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압력이 1.03 기압 미만이면 상기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고 1.03 기압 이상이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도록 상기 조난 신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염분 센서를 통하여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해수에 잠겼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압력이 1.03 기압을 기준으로 출렁거리면 상기 조난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시키도록 상기 조난 신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를 출력시키되, 압력에 따라 조난 신호의 세기 또는 출력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압력이 1.03 기압 이상이 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슬립 모드에서는 상기 조난 신호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중지되고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은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8. 조난 신호 발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가지는 조난 신호를 출력하는 조난 신호부; 및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출력 제어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신 장치가 일정 수심 이상 가라앉으면 상기 조난 신호의 출력을 중지시키고, 상기 일정 수심 미만으로 가라앉거나 수면 위에 있을 때 상기 조난 신호를 기설정 주기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수심은 3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KR1020210144377A 2021-10-27 2021-10-27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KR2023006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377A KR20230060097A (ko) 2021-10-27 2021-10-27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KR1020240025890A KR20240031276A (ko) 2021-10-27 2024-02-22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377A KR20230060097A (ko) 2021-10-27 2021-10-27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5890A Division KR20240031276A (ko) 2021-10-27 2024-02-22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097A true KR20230060097A (ko) 2023-05-04

Family

ID=863797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377A KR20230060097A (ko) 2021-10-27 2021-10-27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KR1020240025890A KR20240031276A (ko) 2021-10-27 2024-02-22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5890A KR20240031276A (ko) 2021-10-27 2024-02-22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600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867B1 (ko) 2019-12-20 2021-10-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867B1 (ko) 2019-12-20 2021-10-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형 수압센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조난신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76A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630B1 (ko) 수중 표적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US6388617B1 (en) Radio beacon with a GPS interface for automatically activated EPIRBs
US20160359570A1 (en) Measurement system for seas, rivers and other large water bodies
KR101645646B1 (ko) 수중운동체 동작 상태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11294074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8653967B1 (en) Communications buoy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s
US11488462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KR20110118491A (ko) 수질 모니터링 로봇
US20210312782A1 (en) Man location and man overboard detection system
KR20230060097A (ko)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조난 신호 발신 장치
WO2008118617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sonar systems
JP2000103391A (ja) 救難ブイ
US10943459B2 (en) Fall-into-water accident determination system and fall-into-water accident determination method
KR20190128800A (ko) 홍채인식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산업 잠수복
JP2017215178A (ja) 超音波計測装置、超音波計測プログラム及び超音波計測方法
WO2019095594A1 (en) Following mobile device, follow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9789939B1 (en) Adaptive pinger
CN204916126U (zh) 一种便携式搜救示位标
KR102515189B1 (ko) 수상사고 또는 비상상황 시의 대상체 위치 추적장치 및 그 방법
CN109917326B (zh) 一种延长水声搜救信标工作寿命的方法及装置
KR102556955B1 (ko) 수중 음향 탐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탐지 방법
JP6195554B2 (ja) 海上位置保持方法
JP7218615B2 (ja) 水中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水中異常検知装置
JP4203821B2 (ja) 測定装置、外部装置、及び外部装置交換方法
CN112752219B (zh) 一种适用于无人艇的超短波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