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781B1 -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781B1
KR102307781B1 KR1020210002624A KR20210002624A KR102307781B1 KR 102307781 B1 KR102307781 B1 KR 102307781B1 KR 1020210002624 A KR1020210002624 A KR 1020210002624A KR 20210002624 A KR20210002624 A KR 20210002624A KR 102307781 B1 KR102307781 B1 KR 10230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transmission lines
power transmission
rotat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주
Original Assignee
김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주 filed Critical 김점주
Priority to KR102021000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기본적으로 2개의 가공송전선로 간격을 유지하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4개 이상의 해당 가공송전선로 간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간격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한 한 쌍이 플럭시블한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이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되 회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와 서로 억지 끼움하여 고정되며, 타단에는 가공송전선로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서로 동일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이어지게 연결되어 서로 탈착하는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재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4개의 해당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Spacer device}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2개의 가공송전선로 간격을 유지하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4개 이상의 해당 가공송전선로 간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게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지지물과 그 설치된 다수의 지지물 간에 이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전력이동이 가능하도록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送電)하는 송전선 및 그 지지물에 송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부속설비를 통칭한다.
특히, 수십 또는 수백 미터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물은 그 높이만 해도 60미터 이상인 철탑 등이 사용되고 있어 그 간격을 서로 이어주도록 다수 설치되는 송전선은 그 하중에 의해 늘어지거나 바람 등의 자연적인 영향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전선 서로 간의 간격에 변화를 주지않도록 스페이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페이서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송전선의 설치간격이나 개수에 따라 한 쌍의 송전선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나 4개 이상의 해당 송전선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작업자는 간격을 유지하고자 하는 송전선의 개수나 그 간격에 맞게 여러 형태의 스페이서를 구비하여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적어도 4개 이상의 송전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통해 한 쌍의 송전선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 굳이 사용되지 않는 간격유지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을 포함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04986호(공고일:2015.03.2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한 쌍의 송전선 간의 설치간격의 유지가 가능하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4개 이상의 해당 송전선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는 탈착 가능한 한 쌍이 플럭시블한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이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되 회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와 서로 억지 끼움하여 고정되며, 타단에는 가공송전선로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서로 동일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이어지게 연결되어 서로 탈착하는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재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4개의 해당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나의 간격고정장치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이어진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를 펼치거나 서로 부착하여 가공송전선로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형태를 달리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송전선 간격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A-A'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대한 제1몸체부재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각도조절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고정끼움체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대한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대한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이하, 간략하게 '간격고정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격고정장치(1)는 크게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송전철탑(미도시)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10)의 설치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간격유지부(200)가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가공송전선로(10)가 설치된 개수나 그 설치간격에 따라 펼쳐지거나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몸체부재(110), 제2몸체부재(110') 및 연결부재(12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는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되 후술하는 연결부재(120) 양단과 서로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서로 펼쳐지거나 끼움 결합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몸체부재(110')의 설명은 상기 제1몸체부재(110)의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제1몸체부재(110)는 제2몸체부재(11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측 또는 양측에 후술하는 간격유지부(200)가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각도조절체(111) 및 고정끼움체(112)를 포함한다.
각도조절체(111)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에는 서로 대칭되게 간격유지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공(113)이 천공형성된다.
각도조절체(111)는 각각의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간격유지부(2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이후에 그 회전각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을 유닛으로 하는 회전방지제(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이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방지체(115)는 회전손잡이(220) 외면이 끼움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간격유지부(200)가 회전한 이후에 상기 회전손잡이(220) 외면이 한 쌍의 상기 회전방지체(115)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각도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이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진 회전방지체(115)는 관통공(113)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을 갖게 복수로 구성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체(115)에 의한 간격유지부(200)의 회전반경은 도시된 임의의 기준선(L)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예를 들어, 정방향(시계방향)이나 역방향(반시계방향))을 기준으로 50도의 회전반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방지체(115)의 회전반경을 50도로 제한하는 이유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펼쳐진 상태의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간격유지부(200) 간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각도조절체(111)는 고정끼움체(112)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간격유지부(2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부(S)를 제공하도록 한다.
고정끼움체(112)는 상술한 각도조절체(111)와 동일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체(111) 양측에 한 쌍으로 천공형성된 관통공(113)과 대향되는 위치에 끼움홈(114)이 형성되어 간격유지부(200)가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면에 끼움홈(114)이 형성된 고정끼움체(112) 타면에는 탈착홈(116)과 탈착돌기(118)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몸체부재(110)를 구성하는 고정끼움체(112)와 제2몸체부재(110')를 구성하는 고정끼움체(112') 각각의 하부는 연결부재(120) 양단과 서로 이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가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부재(120)는 구부러짐과 펴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즉,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펼쳐진 형상을 이룬 이후에 외부환경(바람이나 조류에 의한 타격 등)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0)의 구부러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바(Bar) 형상을 갖는 지지체(121)가 그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121)는 그 상부가 하부가 제1몸체부재(110)의 고정끼움체(112,112') 및 제2몸체부재(110')의 고정끼움체(112,112')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120)가 외부환경에 의해 원치 않는 구부러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0) 및 한 쌍의 고정끼움체(112,112') 외면에는 지지체(121)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23)이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20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술한 몸체부(10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되 타단은 가공송전선로(10)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가공송전선로(10) 간의 설치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몸체부(100)에 형성된 공간부(S)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간격유지부(200) 일단 외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관통공(113,113')에 관통 삽입됨과 동시에 끼움홈(114,114')에 억지 끼움하는 회전축(2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113,113')에 관통삽입되는 회전축(210) 외면에는 회전손잡이(220)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13,113')에 관통 삽입된 간격유지부(200)의 이탈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회전손잡이(220)는 상기 회전축(210)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손잡이(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유지부(20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관통공(113,113')에 관통삽입되어 끼움홈(114)과 결합하는 회전축(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두 분체(210a,210b)의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분체(210b)가 상기 끼움홈(114)과 결합하게 공간부(S)에 배치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분체(210)가 상기 관통공(113,113')을 관통하여 두 분체(210a,210b)가 서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공간부(S)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가공송전선로(10) 외면과 끼움 결합하는 간격유지부(200) 타단에는 해당 가공송전선로(10)가 관통하기 위한 끼움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230) 외면에는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해당 가공송전선로(10)와 상기 끼움공(230)의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간격유지부(200)는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간부(S)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몸체부(100) 양측으로 가공송전선로(1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간격유지부(200) 회전방향에 따라 여러 형태로 해당 가공송전선로(10)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간격고정장치(1)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나의 간격고정장치(1)를 통해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이어진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를 펼치거나 서로 부착하여 가공송전선로(10)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형태를 달리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10)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몸체부
110: 제1몸체부재 110': 제2몸체부재
111,111': 각도조절체 113,113': 관통공
115,115': 회전방지체 112,112': 고정끼움체
114,114': 끼움홈 116,116': 탈착홈
118, 118': 탈착돌기
120: 연결부재 121: 지지체
123: 삽입홈
200: 간격유지부
210: 회전축 220: 회전손잡이
230: 끼움공
S: 공간부

Claims (1)

  1. 탈착 가능한 한 쌍이 플럭시블한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이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00); 및
    일단이 상기 몸체부(100)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되 회전 이후에는 상기 몸체부(100)와 서로 억지 끼움하여 고정되며, 타단에는 가공송전선로(10)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10)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서로 동일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이어지게 연결되어 서로 탈착하는 제1몸체부재(110)와 제2몸체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가공송전선로(10)의 설치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가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4개의 해당 가공송전선로(10)의 설치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각각의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는 상기 간격유지부(2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부(S)를 갖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각도조절체(111,111') 및 고정끼움체(112,112')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체(111,111')는 관통공(113,11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진 상기 간격유지부(200)의 회전손잡이(220) 외면이 상기 각도조절체(111,111')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13,113')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다수 구비된 한 쌍의 회전방지체(115,115')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간격유지부(200)의 회전반경은 50도 이내로 한정하여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상기 간격유지부(200) 간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끼움체(112,112')는 일면에 상기 간격유지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홈(114,114')가 형성되되 타면에는 탈착홈(116,116')과 탈착돌기(118,118')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20)에 이어진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제1몸체부재(110)와 상기 제2몸체부재(110')가 펼쳐지도록 서로 분리된 이후에 바(Bar) 형상을 갖되 상기 연결부재(120)에 형성된 삽입홈(12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체(121)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0)의 구부러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KR1020210002624A 2021-01-08 2021-01-08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KR10230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624A KR102307781B1 (ko) 2021-01-08 2021-01-08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624A KR102307781B1 (ko) 2021-01-08 2021-01-08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781B1 true KR102307781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624A KR102307781B1 (ko) 2021-01-08 2021-01-08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7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130A (ko) * 1997-12-11 1999-07-05 엄순천 스페이스 댐퍼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2167952B1 (ko) * 2020-05-07 2020-10-20 주식회사 에이스이디씨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130A (ko) * 1997-12-11 1999-07-05 엄순천 스페이스 댐퍼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2167952B1 (ko) * 2020-05-07 2020-10-20 주식회사 에이스이디씨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781B1 (ko) 가공송전선로 다기능 간격고정장치
BR0004919A (pt) Monitor do tipo plano
US20210088157A1 (en) Wiring member support device
DE19617900A1 (de) Kabelkette
EP0226188B1 (en) Device for limiting the bending of a submarine cable portion
CN110594543B (zh) 角度调节阻尼机构及应用该角度调节阻尼机构的医疗设备
JP6644910B2 (ja) 拡張型ケーブル分配装置および拡張型ケーブル分配装置の製造方法
TW201540983A (zh) 具有單件鉸鏈之線導引裝置,對應之鏈節及鉸鏈帶
SE440412B (sv) Forbindningsdon for optiska fibrer
US11506240B2 (en) Modular linking system, wheelchair kit and wheelchair
EP0859345B1 (de) Schutzgehäuse für optische Geräte mit einem Haltekörper zum Anbringen an einer Befestigungsfläche
JP7206116B2 (ja) ケーブルダクト用の接続体
DE69411523T2 (de) Biegeanlage für Biegemaschine
EP1964226B1 (en) Connection device for junction devices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604835B1 (ko)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방지장치
JP2015110990A (ja) 転がり案内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転がり案内ユニット
ITMI20002123A1 (it) Canale componibile per il confinamento di cavi elettrici e simili.
DE202004011202U1 (de) Moduldichtung für Leitungsdurchführungen
KR101324630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20170292551A1 (en) Joint device and guide arrangement
KR102252152B1 (ko) 방사형 클러치의 피치 세분화를 이용한 경사체홀더 회전각 조절장치
KR20160112561A (ko)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프릭션 롤러 컨베이어
CN216466942U (zh) 一种改进的支架组件
JP2015117759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