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496B1 -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496B1
KR102307496B1 KR1020210036716A KR20210036716A KR102307496B1 KR 102307496 B1 KR102307496 B1 KR 102307496B1 KR 1020210036716 A KR1020210036716 A KR 1020210036716A KR 20210036716 A KR20210036716 A KR 20210036716A KR 102307496 B1 KR102307496 B1 KR 10230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emblem
diffusion
pattern forming
form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368A (ko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박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기 filed Critical 박철기
Priority to KR102021003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29C33/3857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by making impressions of one or more parts of models, e.g. shaped articles and including possible subsequent assembly of th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Abstract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 및 입체형 엠블렘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양형성부가 형성된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의 문양형성부에 음각부를 형성하며, 상기 음각부에 확산금형을 삽입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미세 요철에 의한 빛의 확산(산란)에 의해 엠블렘에 대한 투과광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어 보다 식별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생산시간과 공정이 단축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DEVICE FOR EMBLEM WITH IMPROVED DIFFUSION OF TRANSMISSION LIGHT}
개시된 내용은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사나 제품을 표시하기 위해 제품에 부착하는 입체형 엠블렘에 투과광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엠블렘은 각종 단체(기업, 스포츠클럽, 학교 등)의 심벌 마크이고,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있어서는 자사 제품임을 소비자에게 각인시키는 상표로서 사용된다. 즉, 엠블렘은 회사명이나 단체, 회사 마크, 로고 등을 나타내는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을 조합시켜 특정 회사나 단체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외관에 부착되는 엠블렘에 있어서, 엠블렘은 눈에 잘 띄도록 플라스틱 또는 금속 표면에 크롬 도금을 하게 되며, 이러한 도금 방법으로는 전기적 도금, 화학적 도금, 용융 도금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엠블렘이 단순히 자동차의 출처 표시 기능에서 탈피하여 차량 외부 디자인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나타나는 미감 또는 엠블렘 독자적인 형태로서의 미감도 중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평면형 디자인에서 벗어나 입체감, 컬러감을 강화시키는 형태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2932호(명칭: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에 의한 엠블렘의 성형방법)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증착막이 코팅된 열가소성필름, 즉 성형시트에 탄성을 부여하는 부직포를 부착하고, 이 부직포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성형시트에 칼날형태의 요철을 갖는 조금형으로 가압하면서 고주파로 가열하여, 조금형의 요철사이에 양각의 엠블렘을 성형하는 동시에 엠블렘의 테두리를 절단한다.
이때, 엠블렘은 부직포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록한 반구형의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부직포 하부의 양면테이프는 고주파에 의하여 부직포에 융착된다.
상술한 선행기술 외에도 입체형 엠블렘을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의 보편적인 방법은 엠블렘 조립체의 형상을 사출, 전주, 단조 등의 방법으로 성형한 후 후가공을 하게 된다.
또한, 성형된 사출품에 도색, 도금을 하는 웨트공정으로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시된 내용은, 각종 물품에 부착되어 광고 효과 및 생산자의 브랜드를 강조할 수 있는 엠블렘을 제조하되 난반사를 극대화시켜 빛반사도가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광분산시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어 공정이 단축되어 제조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문양형성부가 형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1단계; 금형의 문양형성부에 음각부를 형성하는 2단계; 음각부에 확산금형을 삽입 부착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금형은 표면에 미세 돌기로 된 확산패턴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패턴부는 표면에 부식액을 접촉시켜 부식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패턴부는 표면에 대해 블라스트입자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의 목적은, 문양형성부가 양각으로 형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문양형성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로 된 확산패턴을 새기는 2단계;를 포함하는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턴은 문양형성부의 표면을 부식액에 접촉시켜 부식시켜 형성된다.
상기 확산패턴은 상기 문양형성부의 표면에 대해 블라스트입자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의 목적은, 제1금형에 양각으로 문양형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과 결합되는 제2금형에는 문양형성부가 삽입되는 성형홈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금형장치를 준비하는 1단계; 문양형성부 및 성형홈부에 확산시트를 넣고, 제1금형과 제2금형을 결합시키는 2단계; 결합된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문양형성부 및 성형홈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의하면, 별도의 발광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세 요철에 의한 빛의 확산(산란)에 의해 엠블렘에 대한 투과광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어 보다 식별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생산시간과 공정이 단축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블럼은 투명한 중합체(pet , pc, abs , tpu, pvc 등등) 필름에 인쇄및 증착등을 사용하여 색상을 먼저 입히고, 고주파 성형을 이용하여 형상을 조형하게 되므로 이러한 방식은 전자가 후가공이 각제품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것에 반해 필름상태에서 여러 개의 제품을 동시에 가공하는 효과가 있어 가격면에서 이점을 가질수 있다.
한편 요즘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에서 많은 관심을 갖는것은 백라이트이므로 본 발명은 인쇄나 증착을 이용하여 백라이팅(혹은 인쇄를 이용한 컬러 백라이팅) 효과를 주는데 탁월한 방법이다.
즉, 백라이팅을 함에 있어서 광원으로는 엘이디(LED)를 사용하고, 어떤 제품들은 선명한( 혹은 뚜렸한) 광원이 드러나는 제품을 원하고 있으나 그 반대로 하나의 광원이지만 여러 개처럼 보이는 산란 효과를 원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본 발명은 고주파성형을 함에 있어 하나의 광원으로 여러 개의 광원을 넣은것 처럼 보이는 효과를 주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패턴을 넣어서 성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결합 공정 예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대한 도면대용사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의해 완성된 '엠블렘'을 나타낸 도면대용사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결합 공정 예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대한 도면대용사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에 의해 완성된 '엠블렘'을 나타낸 도면대용사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르는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은, 엠블렘의 제조에 사용되는 엠블렘의 금형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엠블렘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형성부(100)가 형성된 금형(M)을 준비하는 1단계(S1);
금형(M)의 문양형성부(100)에 음각부(104)를 형성하는 2단계(S2);
음각부(104)에 확산금형(130)을 삽입 부착하는 3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산금형(130)은 표면에 미세 돌기로 된 확산패턴부(1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확산패턴부(132)는 표면에 부식액을 접촉시켜 부식되도록 하여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확산패턴부(132)는 표면에 대해 블라스트입자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은, 문양형성부(100)가 양각으로 형성된 금형(M1)과, 문양형성부(100)가 삽입되는 성형홈부(170)가 형성된 제2금형(M2)을 준비하는 1단계(S1);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로 된 확산패턴(120)을 새기는 2단계(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단계(S1)는 제1금형(M1)에 양각으로 문양형성부(100)가 형성되고,
제1금형(M1)과 결합되는 제2금형(M2)에는 문양형성부(100)가 삽입되는 성형홈부(170)가 형성되도록 하여 금형을 준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문양형성부(100)가 성형홈부(170)에 삽입되었을때 성형홈부(170)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성형홈부(170)의 깊이는 문양형성부(100)의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문양형성부(100)가 성형홈부(170)에 삽입된 후 그 사이의 틈새에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이 장입되어 가압 성형됨으로써 엠블렘(300)이 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금형은 2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설명의 편의상 양각형태로 문양형성부(100)가 형성된 금형을 제1금형(M1)으로 칭하고, 이 양각의 문양형성부(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되어 성형홈부(170)가 형성된 금형을 제2금형(M2)으로 칭한다.
확산패턴(120)은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을 부식액에 접촉시켜 부식시켜 형성된다.
또는 상기 확산패턴(120)은 상기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에 대해 블라스트입자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금형(M1)은 문양형성부(100)가 양각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요철로 이루어진 확산패턴(120)이 새겨져 형성된다.
확산패턴(120)은 미세한 요부와 철부가 다수로 형성되고, 이들 미세한 요부 및 철부는 깊이, 높이, 형상 등이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확산패턴(120)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로써,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을 부식액에 접촉시켜 부식시켜 형성된다.
즉, 돌출된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을 제외하고 다른 부위의 외면을 내부식성의 소재로 밀봉시킨 상태에서 문양형성부(100)의 표면만 부식액에 접촉시켜 부식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S2)에서 상기 확산패턴(120)은 샌드블라스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샌드블라스트는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블라스트입자를 분사하여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에 요철로 된 확산패턴(120)을 형성하는 것으로, 블라스트입자는 직경이 큰 입자가 사용된다.
너무 미세한 입자를 적용하면 요철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입자 직경이 큰 블라스트입자를 고압으로 분출시켜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을 타격하면서 확산패턴(1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완성된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는,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문양형성부(100)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로 된 확산패턴(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엠블렘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금형(M1)을 금형기에 장착하고, 제1금형(M1)의 상부에는 제2금형(M2)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후 제1금형(M1)의 상면, 즉 문양형성부(100)의 상부에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이 배치된다.
이후 제2금형(M2)을 하강시켜 제1금형(M1)에 결합시켜서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을 가압하고, 가열시키면서 엠블렘(300)이 형성된다.
일정 시간 경과후 제2금형(M2)을 상승시켜 분리한 후 엠블렘이 완성된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을 취출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완성된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은 엠블렘의 문양이 현출되는 요부(220)가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오목한 요부(220)의 저면에는 미세한 요철을 갖는 요철면(240)이 형성된다.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에 형성되는 엠블렘의 형상에 따라 색상을 미리 형성하거니 테두리 선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이렇게 금형공정을 완료하여 형성된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은 요철면(240)이 전술한 문양형성부(100)의 요철부에 의해 형성된 것이므로, 다수의 요부와 철부가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요철면(240)의 요부와 철부는 각기 깊이, 높이, 형상이 모두 각기 상이하므로 외부에서 빛이 입사된 후 난반사를 일으키게 되므로 빛반사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펄분말을 넣는 공정 또는 펄분말이 도포된 시트를 코팅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재료 원가를 월등히 절감시키게 되므로 제품 경쟁력이 제고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제조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형성부(100)가 형성된 제1금형(M1)과, 성형홈부(170)가 형성된 제2금형(M2)을 준비하는 1단계;
문양형성부(100) 또는 성형홈부(170)에 확산시트를 넣고,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을 넣는 2단계(S2);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을 결합시킨 후 가압 성형시키는 3단계(S3);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을 분리하여 확산시트가 부착된 엠블렘을 수득하는 4단계(S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단계는 제1금형(M1)에 양각으로 문양형성부(100)가 형성되고, 제1금형(M1)과 결합되는 제2금형(M2)에는 문양형성부(100)가 삽입되는 성형홈부(170)가 형성되도록 하여 금형장치를 준비한다.
2단계(S2)의 확산시트는 일면 또는 양면에 미세한 요철로 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이다.
확산시트는 소모성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 후 폐기하고 다시 새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확산시트가 일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엠블렘 소재용 판넬(200)을 넣은 후, 결합된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을 가압 성형함으로써 확산시트가 부착된 엠블렘이 완성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문양형성부 120 : 요철부
200 : 엠블렘 소재용 판넬 220 : 요철부
240 : 요철면

Claims (1)

  1. 엠블렘을 제조하기 위한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엠블렘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형성부가 형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금형의 문양형성부에 음각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음각부에 확산금형을 삽입 부착하는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금형은 표면에 부식액에 의한 부식으로 인해 미세 돌기로 된 확산패턴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036716A 2019-10-16 2021-03-22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KR10230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716A KR102307496B1 (ko) 2019-10-16 2021-03-22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253 2019-10-16
KR1020210036716A KR102307496B1 (ko) 2019-10-16 2021-03-22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253 Division 2019-10-16 201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368A KR20210045368A (ko) 2021-04-26
KR102307496B1 true KR102307496B1 (ko) 2021-10-01

Family

ID=757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716A KR102307496B1 (ko) 2019-10-16 2021-03-22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418A (ja) 2000-03-31 2001-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レンズとその成形金型及びこの成形金型の成形治具
JP2008254230A (ja) 2007-04-02 2008-10-23 Japan Steel Works Ltd:The 成形体の成形用金型およびこれを用い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9098622A (ja) 2017-12-01 2019-06-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内装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586A (ko) * 2011-11-10 2013-05-21 이상윤 문양판 탈착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418A (ja) 2000-03-31 2001-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レンズとその成形金型及びこの成形金型の成形治具
JP2008254230A (ja) 2007-04-02 2008-10-23 Japan Steel Works Ltd:The 成形体の成形用金型およびこれを用い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9098622A (ja) 2017-12-01 2019-06-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内装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368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6043A (zh) 塑料壳体及其制作方法
TW201034836A (en) Device and method for decorating plastic parts
JP2014173203A (ja) 光透過性を有する人工皮革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樹脂成形品
JP2009120120A (ja) 装飾部材
JP2011018875A (ja) 金属質感を有する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るハウジング
KR102307496B1 (ko) 투과광의 확산이 향상된 입체형 엠블렘의 금형장치의 제조방법
KR102108370B1 (ko) 금속 느낌과 질감을 갖는 브랜드로고 및 라벨 제조방법
CN105313384A (zh) 一种导光装饰复合片材及其部件
CN101877950A (zh) 透光微孔布置结构及其制造方法
CN112518234A (zh) 一种透光金属饰件的加工方法
JP2016221030A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KR101131642B1 (ko) 입체이미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486B1 (ko) 입체형 엠블럼
KR101001866B1 (ko) 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한 입체 표면 장식부재 및 그제조방법
KR100891137B1 (ko) 입체문양을 가지는 장식판재의 제조방법
CN104191896A (zh) 一种壁饰复合玻璃
JP2008126529A (ja) 加飾成形体
TWI391745B (zh) Microstructure optical plate and its marking manufacturing method
JP2010064485A (ja) 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4478541B2 (ja) 裏面側から照光可能な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TWI484231B (zh) 一種導光裝飾複合片材及其部件
KR101325963B1 (ko) 수지성형 조각장식을 갖는 차량용 계기명판 제조방법
JP2012070913A (ja) つけ爪の製造方法
KR101283797B1 (ko) 엠보 패턴을 갖는 금속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1225396A (ja) エンブレ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